KR101424406B1 -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406B1
KR101424406B1 KR1020130149086A KR20130149086A KR101424406B1 KR 101424406 B1 KR101424406 B1 KR 101424406B1 KR 1020130149086 A KR1020130149086 A KR 1020130149086A KR 20130149086 A KR20130149086 A KR 20130149086A KR 101424406 B1 KR101424406 B1 KR 10142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sensing
data
modu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riority to KR102013014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은 상기 배전반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멀티센서 모듈와, 상기 멀티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된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고장 상태 및 위험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를 알리기 위한 경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SAFETY ALARM SYSTEM OF DISTRIBUTION BOARD}
아래 실시예들은 배전반의 고장 상태 및 위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안전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을 설치한 배전반이 마련된다. 상기 배전반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박스 형태의 배전반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지상의 특정 위치,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전원공급이 필요한 위치 등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기초대에 설치된다.
전기의 사용량이 날로 증가하고, 전기의 설비가 대형화 및 첨단화됨으로써, 상기 배전반의 내부 상태를 알기 어렵다.
실시예들은 감지 데이터를 통해 배전반의 운전 상태,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고장 상태 및 위험 상태를 진단하여 상기 배전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 순환을 통해 상기 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과열을 미리 차단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은 상기 배전반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멀티센서 모듈와, 상기 멀티센서 모듈로부터 전송된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고장 상태 및 위험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를 알리기 위한 경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반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운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 분배된 전력 라인들의 전력을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외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센서 모듈은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샘플링하고, 상기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라인들의 전력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배전반의 전력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배전반 내부에 분배된 전력 라인들의 전력을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외부 센서와, 상기 배전반의 문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고,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외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센서 모듈은 상기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샘플링하고, 상기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라인들이 고전압 상태임을 확인하고, 상기 문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보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알람 및 청각적 알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릴 수 있다.
상기 멀티센서 모듈은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과 상기 변환 회로로부터 변환된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샘플링하고, 상기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샘플링 회로와,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데이터가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반의 공기 순환을 위한 송풍기 및 송풍용 도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이 구현되는 배전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멀티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송풍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송풍용 도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송풍용 도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a는 도 5의 송풍용 도어부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b는 도 5의 송풍용 도어부의 동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c는 도 6의 송풍용 도어부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이 구현되는 배전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보 시스템(50)은 도 1에 도시된 배전반(10)에 구현될 수 있다. 안전 경보 시스템(50)은 멀티센서 모듈(100), 제1 외부 센서(190), 제2 외부 센서(195), 제어 모듈(200), 경보 모듈(300) 및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경보 시스템(50)은 송풍기(500)와 송풍용 도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컨대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모듈은 장치로 불릴 수도 있다.
멀티센서 모듈(100)은 배전반(10)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센서 모듈(100)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을 샘플링하고, 감지 데이터(S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멀티센서 모듈(100)은 제1 외부 센서(190)로부터 출력된 제1 감지 신호(SS1) 및/또는 제2 외부 센서(195)로부터 출력된 제2 감지 신호(SS2)를 샘플링하고, 감지 데이터(S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외부 센서(190)는 배전반(10) 내부에 분배된 전력 라인들의 전력을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SS1)를 멀티센서 모듈(1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센서(190)는 전력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외부 센서(190)로부터 생성된 제1 감지 신호(SS1)가 멀티센서 모듈(100)로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1 외부 센서(190)는 제1 감지 신호(SS1)를 제어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외부 센서(195)는 배전반(10)의 문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고, 제2 감지 신호(SS2)를 멀티센서 모듈(1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센서(195)는 문 열림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외부 센서(195)로부터 생성된 제2 감지 신호(SS2)가 멀티센서 모듈(100)로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2 외부 센서(195)는 제2 감지 신호(SS2)를 제어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안전 경보 시스템(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각 구성요소(100, 190, 195, 300, 400, 500, 및 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감지 데이터(S_DATA)를 이용하여 배전반(10) 내부의 고장 상태 및 위함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제어 신호(CTRL1)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제1 제어 신호(CTRL1)를 경보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감지 데이터(S_DATA)는 배전반(10) 내부의 온도 정보, 습도 정보, 가스 발생 정보, 자기장 정보, 및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감시 데이터(S_DATA)로부터 배전반(10) 내부의 온도 상태를 확인하고, 부품 과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감시 데이터(S_DATA)로부터 배전반(10) 내부의 습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감시 데이터(S_DATA)로부터 배전반(10) 내부의 가스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감시 데이터(S_DATA)로부터 배전반(10) 내부의 전력 공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감시 데이터(S_DATA)로부터 배전반(10) 내부의 부품의 위치 및/또는 배전반(10) 근처의 사람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감지 데이터(S_DATA)에 기초하여 배전반(10)의 부품의 교체 시기, 단순 경보, 긴급 상황, 및 위급 상황 등을 경보 모듈(300)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감지 데이터(S_DATA)를 이용하여 배전반(10)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2 제어 신호(CTRL2)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제2 제어 신호(CTRL2)를 경보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센서 모듈(100)이 제1 감지 신호(SS1)를 샘플링하여 감지 데이터(S_DATA)를 전송할 때, 제어 모듈(200)은 감지 데이터(S_DATA)를 이용하여 배전반(10) 내부에 분배된 전력 라인들의 전력 상태를 확인하고, 배전반(10)의 전력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멀티센서 모듈(100)이 제1 감지 신호(SS1)와 제2 감지 신호(SS2)를 샘플링하여 감지 데이터(S_DATA)를 전송할 때, 제어 모듈(200)은 감지 데이터(S_DATA)를 이용하여 배전반(10) 내부에 부분된 전력 라인들이 고전압 상태임을 확인하고, 배전반(10)의 문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지 데이터(S_DATA)가 배전반(10) 내부의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포함할 때, 제어 모듈(200)은 상기 온도 정보 및 상기 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배전반(10)의 공기 순환을 위한 송풍기(500) 및 송풍용 도어부(6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배전반(10) 내부의 온도가 1차 온도보다 크거나 같고 2차 온도보다 작을 때, 송풍기(500)만 동작하도록 송풍기(500)로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온도는 30도이고, 2차 온도는 50도일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배전반(10) 내부의 온도가 2차 온도보다 크거나 같고, 배전반(10) 내부의 습도가 일정 습도보다 작거나 같을 때, 송풍용 도어부(600)가 동작하도록 송풍용 도어부(6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습도는 80%일 수 있다. 상기 1차 온도, 상기 2차 온도, 및 일정 습도는 배전반(10)의 사용자 및/또는 관리자에 의해서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경보 시스템(50)은 배전반(10) 내부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배전반(10)의 효율을 높이고, 배전반(10) 내부에 발생되는 과열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경보 모듈(300)은 제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하여 배전반(10) 내부의 고장 상태 및 위험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모듈(300)은 상기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알람 및 청각적 알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각적 알람은 경광등 또는 조명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각적 알람은 사이렌 소리 및 사람의 음성의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제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배전반(10)의 운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0)는 터치스크린,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quid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 matrix OLED) 디스플레이 또는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송풍기(500)는 배전반(10)의 하측에 위치하고, 배전반(10) 내부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기(500)는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10)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송풍용 도어부(600)는 배전반(10)의 상측에 위치하고, 배전반(10) 내부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용 도어부(600)는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10)의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멀티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멀티센서 모듈(100)은 복수의 센서들(111~115), 변환 회로(130), 샘플링 회로(150), 통신 인터페이스(170), 및 전원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111~115)은 온도 센서(111), 습도 센서(112), 가스 센서(113), 자기장 센서(114), 및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111~115)는 멀티센서 모듈(100)의 내부에 구현되는 내부 센서들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5개의 센서만을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센서들(111~115)은 상기 5개의 센서 이외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11)는 배전반(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온도 센서(111)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샘플링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습도 센서(112)는 배전반(1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고,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습도 센서(112)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샘플링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가스 센서(113)는 배전반(10) 내부의 가스 성분을 감지하고, 가스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성분은 배전반(10) 내부의 과열 및/또는 연소로 인하여 생성되거나, 배전반(10)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스 물질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가스 센서(113)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샘플링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자기장 센서(114)는 배전반(10) 내부에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자기장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기장 센서(114)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샘플링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5)는 배전반(10) 내부의 부품의 위치 변화 및/또는 배전반(10) 근처의 사람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15)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샘플링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변환 회로(130)는 제1 외부 센서(190)로부터 출력된 제1 감지 신호(SS1)를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샘플링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변환 회로(130)는 제2 외부 센서(195)로부터 출력된 제2 감지 신호(SS2)를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샘플링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샘플링 회로(150)는 복수의 센서들(111~115)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과 변환 회로(130)로부터 변환된 신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샘플링하고, 감지 데이터(S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샘플링 회로(150)는 감지 데이터(S_DATA)를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제어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센서 모듈(100)과 제어 모듈(200)은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센서 모듈(100)과 제어 모듈(200)은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신호(또는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감지 데이터(S_DATA)를 제어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원 장치(180)는 멀티센서 모듈(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장치(180)는 배전반(10)에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장치(180)는 1차 전지 또는 충전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송풍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송풍기(500)는 배전반(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500)는 배전반(10)의 배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500)는 배전반(10)의 측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4c에서는 하나의 송풍기(500) 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풍기(500)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풍기(500)가 배전반(10)의 배면 및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 및/또는 좌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기(500)는 배전반(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10)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원활히 순환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송풍용 도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송풍용 도어부(600-1)는 제1 도어 유닛(613)과 도어 컨트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송풍용 도어부(600-1)는 송풍용 도어부(6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613)은 배전반(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유닛(613)은 배전반(10)의 배면 및/또는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 및/또는 좌측면)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613)은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배전반(1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613)은 배전반(10)의 상측에 위치하여, 배전반(10)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기 위해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10)의 배면 및/또는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 및/또는 좌측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10)의 배면 및/또는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 및/또는 좌측면)과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어 컨트롤러(630)는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제1 도어 유닛(61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용 도어부(600-1)는 송풍용 도어부(600-1)의 상측에 연결되고, 송풍용 도어부(600-1)의 동작, 예를 들어 개폐 동작시 배전반(10) 내부로 유입되는 비 또는 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판(6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송풍용 도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c, 및 도 6을 참조하면, 송풍용 도어부(600-2)는 제1 도어 유닛(613), 제2 도어 유닛(615), 및 도어 컨트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송풍용 도어부(600-2)는 송풍용 도어부(600)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613)과 제2 도어 유닛(615)은 배전반(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유닛(613)과 제2 도어 유닛(615)은 배전반(10)의 배면 및/또는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 및/또는 좌측면)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613)은 배전반(10)의 상측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2 도어 유닛(615)은 배전반(10)의 상측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어 유닛(613)과 제2 도어 유닛(615)은 배전반(10)의 상측에 위치하여, 배전반(10)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기 위해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유닛(613)과 제2 도어 유닛(615)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어 컨트롤러(630)는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제1 도어 유닛(613)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용 도어부(600-2)는 송풍용 도어부(600-2)의 상측에 연결되고, 송풍용 도어부(600-2)의 동작, 예를 들어 개폐 동작시 배전반(10) 내부로 유입되는 비 또는 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판(6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도 5의 송풍용 도어부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도어 유닛(613)이 배전반(10)의 배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10)의 배면과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7b는 도 5의 송풍용 도어부의 동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도어 유닛(613)이 배전반(10)의 배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배전반(10)의 배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7c는 도 6의 송풍용 도어부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도어 유닛(613)과 제2 도어 유닛(615)이 배전반(10)의 배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1 도어 유닛(613)과 제2 도어 유닛(615)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어 유닛(613)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왼쪽 방향으로 개폐되고, 제2 도어 유닛(615)은 도어 컨트롤러(630)의 제어에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내부에 분배된 전력 라인들의 전력을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외부 센서;
    상기 배전반의 문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고,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외부 센서;
    상기 배전반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샘플링하고,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센서 모듈; 및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라인들의 전력 상태가 고전압 상태임을 확인하고, 상기 문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전반의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센서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을 샘플링하고, 상기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반의 고장 상태 및 위험 상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를 알리기 위한 경보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반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운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알람 및 청각적 알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리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센서 모듈은,
    상기 제1 감지 신호와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 회로;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과 상기 변환 회로로부터 변환된 신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샘플링하고, 상기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샘플링 회로; 및
    상기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데이터가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반의 공기 순환을 위한 송풍기 및 송풍용 도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KR1020130149086A 2013-12-03 2013-12-03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KR10142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86A KR101424406B1 (ko) 2013-12-03 2013-12-03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86A KR101424406B1 (ko) 2013-12-03 2013-12-03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406B1 true KR101424406B1 (ko) 2014-07-28

Family

ID=5174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086A KR101424406B1 (ko) 2013-12-03 2013-12-03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453B1 (ko) * 2016-12-21 2017-06-07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송전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598B1 (ko) * 2011-08-22 2011-12-19 경일전기 주식회사 적외선 온도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접속부 열화진단시스템
KR20130047948A (ko) * 2011-11-01 2013-05-09 (주)휴머닉스 배전반의 도어 손잡이 접촉시 내부 통전 상태 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598B1 (ko) * 2011-08-22 2011-12-19 경일전기 주식회사 적외선 온도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접속부 열화진단시스템
KR20130047948A (ko) * 2011-11-01 2013-05-09 (주)휴머닉스 배전반의 도어 손잡이 접촉시 내부 통전 상태 알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453B1 (ko) * 2016-12-21 2017-06-07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송전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169B1 (ko) IoT기반 통합관리형 수배전반 시스템
KR10122432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42000B2 (en) Fire control systems
CN107741078B (zh) 检测装置和检测方法
CN206270944U (zh) 计算机内部环境监测系统
US10372192B2 (en) System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upply and methods therefor
CN103901908A (zh) 防潮保护装置及具有该防潮保护装置的电子装置
CN111434600A (zh) 用于电梯系统的远程监控系统及远程监控电梯系统的方法
CN206400424U (zh) 可快速除尘的计算机内部环境监测机箱
KR101424406B1 (ko) 배전반의 안전 경보 시스템
US2021015545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 out-of-operation state of an elevator system based on control bus traffic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CN204408821U (zh) 散热装置与电梯系统
CN102609019A (zh) 一种智能温湿度控制器
CN203561984U (zh) 一种设备状况监控装置
KR101239872B1 (ko) 침수시 조작이 가능한 방수형 분전반
KR20230089894A (ko) 테스트 신호를 이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43453B1 (ko) 송전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CN203260139U (zh) 基于物联网技术的便携式电脑实时防盗的智能检测装置
CN208283745U (zh) 一种可拓展的标准型通用pedc逻辑模组
DK2710703T3 (en) CONTROL INSTALLATION WHICH POSSIBLE TO CONTROL THE ELECTRIC ELECTRICAL SUPPLY OF A MULTIPLE ELECTRICAL DEVICE
CN205353823U (zh) 多功能电量监测型智能操控装置
CN201845202U (zh) 一种监控设备
JP2017054216A (ja) 電子装置、ラック装置、装置冷却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