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935B1 -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935B1
KR101423935B1 KR1020120105201A KR20120105201A KR101423935B1 KR 101423935 B1 KR101423935 B1 KR 101423935B1 KR 1020120105201 A KR1020120105201 A KR 1020120105201A KR 20120105201 A KR20120105201 A KR 20120105201A KR 101423935 B1 KR101423935 B1 KR 10142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ginseng
metal salt
nanoparticle complex
carcin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954A (ko
Inventor
게클러 커트
프램쿠마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0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9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8Silv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61K47/68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the tumour determinant being from breast cancer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인체에 독성이 없는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특정 물질에 대한 환원제로의 새로운 용도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특정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의 약제학적 조성물로 활용이 가능한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Ginseng extract-metallic salts nano particle comple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체적합성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 인삼 속의 식물은 약 12종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이 중 Panax ginseng C. A. Meyer (Oriental ginseng), P.quinquefolium L. (American ginseng) 및 P. notoginseng (Burkill) F.H.Chen(Sanchi)의 3종이 주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P. ginseng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지에서, P. quinquefolium L.은 미국, 캐나다, 중국에서, P. notoginseng (Burkill) F.H. Chen은 중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데, 아주 오래전부터 여러가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이 계속 보고 됨에 따라 인삼의 주산지인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뿐만 아니라 유럽과 오세아니아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특히, 고려인삼 (Panax ginseng)은 아시아 극동지방에서 자생하는 약용식물로, 자생지 분포 형태가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영토 및 한반도와 일치하며, 고대의 많은 문헌 기록에서 엿볼 수 있듯 역사적으로 명성이 높으며, 전통적으로 국제 인삼 시장에서 고려인삼의 가치와 품질이 고가로 인정되는 바, 한국이 세계 인삼의 종주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는 나노기술의 영역에 속하는 입자로서, 적어도 한 차원이 100nm이하인 입자를 말한다. 이러한 나노입자는 나노기술을 통해 새로운 소재, 구조, 기계, 기구 및 소자를 제작하고 그 구조를 연구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인삼의 우수한 효능이 최대한 발휘되게 하며,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유용성을 다방면으로 밝히는 연구는 현재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인삼과 나노기술을 접목한 나노입자 복합체의 개발은 현재까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의 유용한 효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고, 특정 물질에 대한 환원능을 가진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통해 특정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인삼 추출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로서, 수용액 중 UV-vis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peak)가 415m~430nm 또는 500nm~600nm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추출된 인삼의 부위가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염은 금염 또는 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4-니트로페놀을 4-아미노페놀로 환원시키는 환원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의 금속염은 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1)인삼 추출물과 금속염을 수용성 용매에 혼합시키는 단계와, (2)상기 혼합된 인삼 추출과 금속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3)상기 반응 후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추출된 인삼의 부위가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염은 금염 또는 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추출된 인삼의 부위가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염은 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방암은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 유관 상피내암, 소엽 상피내암, 파제트병, 점액성암, 수질성암, 유두상암, 관상암, 선양낭성 양종, 분비성 암종, 아포크린 암종, 화생성 암종 및 남성 유방암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유방 내의 암세포 발현을 억제 또는 사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0.1 내지 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인체에 독성이 없는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특정 물질에 대한 환원제로의 새로운 용도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특정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의 약제학적 조성물로 활용이 가능한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혼합된 수용액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금속염으로서 금염을 사용한 경우 수용액 내에서 UV-vis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금속염으로서 은염을 사용한 경우 수용액 내에서 UV-vis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1에 의하되 각각의 물질의 농도를 변경하면서 실시한 경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T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2,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에 의해 실시한 경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TEM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및 실시예 2-4에 의해 실시한 경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TEM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1-1과 비교예 1-1에 의한 경우 각각의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세포생육성을 측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생체적합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환원제로 작용한 후 4-니트로페놀과 4-아미노페놀의 UV-vis 스펙트럼을 조사한 그래프 및 육안관찰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유방암 세포에 처리한 후 변화하는 세포 생육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도 인삼의 유용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고, 새로운 용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인삼 추출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로서, 수용액 중 UV-vis 흡수 스펙트럼에서 최대 피크(peak)는 415nm~430nm 또는 500nm~600nm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은 공지의 추출 방법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인삼의 특정 부위로 제한하여 추출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삼의 뿌리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의 뿌리에는 각종 진세노사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삼의 각 부위별 추출물 중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의 추출물과 금속염을 수용성 용매에 혼합하여 수득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금염 또는 은염 일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은 추출의 방법이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적용되는 공지의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상기 금속염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염이 금염인 경우 UV-vis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peak)는 500~600nm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염이 은염인 경우에는 UV-vis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peak)는 415~430nm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크들은 상기 금속염에서는 다른 값에서 형성되던 피크가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에서는 상기 값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0.001~100nm일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0.001nm 미만일 수도 있으나 이때는 너무 미세하여 0.001nm미만의 크기로만 수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크기가 1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노입자로서 효과를 우수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4-니트로페놀을 4-아미노페놀로 환원시키는 환원능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금속염은 금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니트로페놀을 4-아미노페놀로 환원시킴에 있어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형태 및 구조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1)인삼 추출물과 금속염을 수용성 용매에 혼합시키는 단계와, (2)상기 혼합된 인삼 추출물과 금속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3)상기 반응 후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은 공지의 추출 방법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인삼의 특정 부위로 제한하여 추출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삼의 뿌리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의 뿌리에는 각종 진세노사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삼의 각 부위별 추출물 중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금염 또는 은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용매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탈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의 반응 이외에 불필요한 반응이 일어남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은 비용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반응을 유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1)단계의 혼합은 특별한 장비나 추가 시약 등의 물질이 첨가될 필요는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도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의 반응시 반응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온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에서 반응시키게 되면 특별한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열 에너지 등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도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3)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적용되는 공지의 나노입자 복합체 수득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 후 상기 수용성 용매를 건조시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산부가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은 공지의 추출 방법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인삼의 특정 부위로 제한하여 추출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삼의 뿌리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의 뿌리에는 각종 진세노사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삼의 각 부위별 추출물 중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바람직하게는 은염 일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수득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으며, 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충분히 달성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8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에는 약제학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첨가되는 물질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투입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유방암은 의학적으로 유방암이라고 분류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 유관 상피내암, 소엽 상피내암, 파제트병, 점액성암, 수질성암, 유두상암, 관상암, 선양낭성 양종, 분비성 암종, 아포크린 암종, 화생성 암종 및 남성 유방암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방암일 수 있다.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바람직하게는 유방 내의 암세포 발현을 억제 또는 사멸하여 유방암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정맥내로, 피하로, 구강으로, 직장으로, 피부로, 비강으로, 기관으로, 기관지로, 임의의 다른 비경구 경로로 또는 흡입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선택되는 투여 수준은 화합물의 활성, 투여 경로, 치료되는 병태의 중증도 및 치료되는 환자의 병태 및 이전 병력에 따를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치료 효과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의 화합물의 용량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은 당업계의 지식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나이, 성별, 체형, 체중에 따라 1 내지 1000mg/㎏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사용되는 재료들로서, 마우스 배아 섬유아 세포인 NIH-3T3 및 사람 유방 선암종 세포인 MCF-7 셀라인은 한국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공학과 분자생물학 연구실로부터 입수했다.
또한 RPMI 1640과 항생-항진균 용액은 인비트로젠사(Gibco, Invitrogen Corp.)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우태 혈청은 웰진사(FBS, WelGENE Inc.)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MTT(티아졸일 블루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 97.5% TLC)는 시그마 알드리치(Sigma-Aldrich)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는 준세이 화학(Junsei Chemical Co., Ltd.)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4-니트로페놀은 준세이사(Junsei, 일본)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NaBH4, KAuCl4, AgNO3는 알드리치(Aldrich)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삼뿌리는 롯데 수퍼 플러스(Lotte Super Plus Co., Ltd)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 전 과정에서 사용한 물은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1: 인삼 추출물- 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
(1) 인삼 추출물의 수득
인삼 뿌리를 탈이온수로 깨끗이 세척하고, 윗층을 부드럽게 문질러 흙 및 먼지 입자 등의 오염물을 제거했다. 이러한 인삼 뿌리 2.4g을 작은 조각으로 잘라서 물 50㎖에 현탁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했다. 0.45㎛필터(Whatman 나일론 막)로 얻어진 상청액을 여과, 수집해서 4℃에 보관했다(실시예 1-1).
또한, 인삼 뿌리 2.4g을 물 50㎖에 현탁한 다음, 80℃에서 각각 5시간(실시예 1-2) 및 10분(실시예 1-3) 동안 환류시켜 두 종류의 추출물을 제조했다. 이렇게 제조한 두 가지의 추출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실시예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집해서 4℃에 보관했다.
(2) 인삼 추출물- 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
KAuCl4(Au 5mM; 0.2㎖)를 상기 (1)의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수득한 인삼 추출물 1㎖와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물(0.8㎖)로 총 2㎖까지 희석했다. 3시간 후 금 나노입자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청자색 콜로이드가 형성되었다. 청자색 콜로이드가 확인된 이후에도 반응이 완전히 종료되도록 48시간 동안 이 상태를 유지하여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최종 제조하였다. 이때 교반을 포함한 추가적인 외부 에너지원을 투입하지 않았으며, 또한 반응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떠한 추가적 시약의 투입도 이뤄지지 않았다(실시예 1-1).
또한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되, 상기 (1)의 80℃에서 5시간 동안 환류시켜 수득한 인삼 추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2).
또한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되, 상기 (1)의 80℃에서 10분 동안 환류시켜 수득한 인삼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3).
또한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되, 시중 입수 가능한 롯데제과 (Lotte Confectionary Co., Ltd)의 고려홍삼즙액의 동일한 양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4).
< 실시예 2: 인삼 추출물- 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
KAuCl4 대신에 AgNO3를 사용하여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들 각각을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및 실시예 3-4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1)에 따라 수득한 각각의 인삼 추출물 1㎖와 물 1㎖을 혼합하여 각각의 인삼 추출물 단독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혼합된 각각의 용액 중,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한 혼합액을 비교예 1-1, 80℃에서 5시간 동안 환류한 혼합액을 비교예 1-2, 80℃에서 10분 동안 환류한 혼합액을 비교예 1-3으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2:
시중 입수 가능하여, 어떠한 금속염을 포함한 수용액도 처리하지 않은 롯데제과 (Lotte Confectionary Co., Ltd)의 고려홍삼즙액 1㎖와 물 1㎖를 혼합한 용액을 본 비교예 2로 하였다.
실험예
< 실험예 1: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확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1-1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상기 실시예 1-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반응 3시간 후 청자색 내지는 보라색으로 그 색깔이 변화함을 통하여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형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는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1을 통해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 상기 청자색 내지는 보라색으로 변한 용액을 가지고 UV-vis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그 흡수 스펙트럼을 확인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서 확인하는 바와 같이 용액으로부터 기록된 UV-vis 흡수 스펙트럼은 553nm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는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특징적인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가 553nm에서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300nm 근처에서 형성된 AuCl4- 이온의 특징적인 흡수 밴드가 사라지고 553nm에서 특징적인 흡수 피크가 새로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확인을 가능하게 한 용액을 2주 동안 보관한 후에도 최종 흡수 값과 피크 위치가 모두 일정하게 유지 됨을 확인하여, 시간이 지나도 그 구조에 이상이 없는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수득을 가능하게 하는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및 실시예 2-4의 용액을 가지고 UV-vis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용액으로부터 기록된 UV-vis 흡수 스펙트럼은 415-430nm 근처에서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특징적인 표면 플라스몬 공명 밴드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피크를 통해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형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더욱 특별한 것은 일반 시중에서 시판되는 것으로서 인삼 추출물 이외에 추가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으며, 인삼의 특정 부위 구별 없이 전체 인삼을 가지고 추출한 고려홍삼즙액으로서 실시예 2-4의 경우에도 415-430nm의 특징적인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일반 시중에 유통되는 인삼의 전체 부위의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고, 추가 첨가제가 일부 포함되어 있는 인삼즙액 시판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맞춤형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 가능성 확인>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및 실시예 1-4에 의하여 맞춤형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한 것인지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하되, 실시예 1-1의 경우는 특별히 인삼 추출물, KAuCl4, 물의 농도를 바꿔가면서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각각의 해당 농도에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구조 및 크기가 어느 정도이며, 이를 통해 맞춤형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수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2076849775-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농도를 조절하는 경우 해당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르며, 각각의 입자 모양은 구형, 다각형, 2중 및 3중 패트, 수지상, 사슬, 바나나송이, 포도송이의 구조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각 해당 농도 및 인삼 추출물의 처리 조건에 따라 상기 표 1과 같은 입자 크기 및 구조를 보일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입자 구조는 인삼 추출물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와 같이 상이한 작용기를 가진 각종의 물질들이 해당 온도 범위 및 농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작용하여 그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때 각 반응에는 추가적 시약이나 물질들이 첨가되는 것이 아니므로 외부적 요인은 관여치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삼의 추출물에 포함된 내재 물질과 금속염 표면 결정면 사이의 특이적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며, 각각의 농도 변화를 통해 그 구조 및 성장 속도가 영향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평균 크기는 12.7±2.9(구형), 41.9±6.1(다각형), 22.4±6.9(다이포드 및 트라이포드) 및 92.5±46.4; 224.0±77.0; 및 428.0±138.0(수지상)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특이한 것은 수지상 구조의 경우는 KAuCl4의 농도를 0.4㎖로 하고 물을 0.6㎖로 하여 수지상 구조를 형성한 다음 KAuCl4의 농도를 높여주면서 물의 양을 줄이게 되면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입자 크기가 비약적을 상승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KAuCl4의 농도가 높을 때는 KAuCl4과 인삼의 추출물에 내재된 물질과의 반응성이 낮아서 핵화가 느리게 진행되면서 입자들이 생산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입자들이 형성된 후에는 인삼의 추출물에 내재하는 물질의 잔여량이 압자를 보호하고 성장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을 통해 상기 농도 구배 및 처리 조건을 통해 어느 정도는 맞춤형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도 4에서는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1에 의하되 각각의 농도를 조금씩 변경하여 실험한 것으로서 각각의 경우에 부여한 샘플코드 Au-1 내지 Au-9의 모양을 나타내는 TEM사진이다. 구체적으로는 표 1의 각 샘플 코드로서 (a) Au-1, (b) Au-2, (c) Au-3, (d) Au-4, (e) Au-5, (f) Au-6, (g) Au-7, (h) Au-8, 및 (i) Au-9을 나타내며, (a-f) 내에 있는 삽도는 크기 분포 곡선, (g) 내에 있는 삽도는 ED 패턴, (i) 내에 있는 삽도는 고배율 이미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한 실시예 1-2, 실시예 1-3과 고려홍삼즙액을 가지고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제조한 실시예 1-4의 경우를 가지고 입자 구조 및 크기를 확인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입자들의 평균 크기는 각각 1.3±0.2, 25.9±9.1 및 3.7±1.1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TEM 이미지는 도 5에 나타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 표 1의 샘플 코드로서 (a) Au-10, (b) Au-11 및 (c) Au-12를 나타내며, (a-c) 내에 있는 삽도는 크기 분포 곡선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및 실시예 2-4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경우도 각 해당 조건에서 입자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평균 입자크기는 각각 6.1±2.4, 3.0±0.7, 4.9±2.5 및 9.5±3.3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의 TEM 이미지는 도 6에 나타냈다. 도 6에서 (a)는 실시예 2-1, (b)는 2-2, (c)는 2-3 및 (d)는 2-4의 TEM 이미지를 나타내며, (a-d) 내에 있는 삽도는 크기 분포 곡선을 나타낸다.
이렇게 본 실험에 의해 각 해당 조건에서 어느 정도는 입자의 구조 및 크기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렇게 맞춤형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생물학적 적용시, 해당 신체 및 기관 부위에 맞는 맞춤형 인삼 추출물을 포함한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 실험예 3: 인삼 추출물의 내재 물질들과 금속염의 상호작용 여부 측정>
실시예 1-1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가지고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인삼 추출물에 내재된 물질들과 금속염과의 상호작용 여부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의 측정시 비교예 1-1을 활용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도 7에 나타냈으며, 이중 (a)는 비교예 1-1을 측정한 결과이며, (b)는 실시예 1-1에 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 도 7에 나타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비교예 1-1과 실시예 1-1의 경우 모두 1656-1653㎝-1 근처에서 피크를 나타냈다. 이는 진세노사이드의 C=C 결합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1-1의 경우 적외선 영역의 스펙트럼에서도 비교예 1-1의 경우와 비교하여 피크 강도와 밴드 위치 변동을 제외하면 피크 변동의 양상이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인삼 추출물의 내재 물질이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 내에서도 그대로 존재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277-3266㎝-1의 피크 범위와 2933-2929㎝-1 근처의 밴드도 유사하게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a)를 보면 비교예 1-1에서는 C-C-O 또는 C-C-OH의 밴딩 변동에 해당할 수 있는 1131㎝-1 및 1078㎝-1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피크가 관찰됨에 반하여, (b)에서와 같이 실시예 1-1의 경우에는 그다지 분명하지 않게 나타나는데 이는 인삼 추출물에 내재하는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OH기들이 금속염의 표면과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것임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인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내재물질의 OH기가 금속염과 상호작용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새로운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제조됨을 확인한 것이다.
< 실험예 4: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생체적합성 확인>
마우스 배아 섬유아 세포인 NIH-3T3의 셀라인을 37℃, 95% 실내 공기와 5% CO2 이산화탄소 조건의 가습 인큐베이터를 통해 10% 우태혈청(FBS) 및 1% 항생제 및 항진균제로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MTT 세포 생존 분석을 위해서, NIH-3T3 세포의 현탁액 200㎕을 웰당 1×104 세포 밀도로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했다. 파종 후 20시간 동안 세포를 성장시키고, 이후 실시예 1-1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포함된 용액을 성장된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때 실시예 1-1에 의해 제조된 용액의 농도를 점차 증가하면서 처리하였다. 또한 이와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1 및 비교예 2를 세포에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이때 처리후 37℃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와, 72시간 인큐베이션 한 경우로 나누어 인큐베이션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세포를 PBS(인산염 완충 식염수)로 3번 행군 후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하기 도 8에 나타냈다. 도 8에서 (a)는 실시예 1-1, 1-2, 1-3 및 1-4의 경우를 가지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b)는 비교예 1-1, 1-2, 1-3의 인삼 추출물을 물과 혼합한 용액 및 비교예 2의 고려인삼즙액을 물과 혼합한 경우를 가지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c)는 실시예 1-1, 1-2, 1-3 및 1-4의 경우를 가지고 72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d)는 비교예 1-1, 1-2, 1-3의 인삼 추출물을 물과 혼합한 용액 및 비교예 2의 고려인삼즙액을 물과 혼합한 경우를 가지고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24시간 인큐베이션 한 경우와 72시간 인큐베이션 한 경우, 즉 (a)와 (b) 모두에서 세포가 사멸하는 세포독성이 관측되는 경우는 없었으며, 100% 내외에서 세포 활성이 유지되거나, 혹은 그 이상에서 관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00㎍/㎖까지 용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 100% 이상의 활성이 측정되므로, 용량이 증가할수록 최초의 활성보다는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활성이 관측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는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보이는 것임이 확인된 것이며, 이때 용량이 증가할수록 세포의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 실험예 5: 인삼 추출물- 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환원능 측정>
실온에서 제조된 실시예 1-1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N-니트로페놀의 환원 반응시 촉매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의 측정은 용액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측정하였으며, 또한 UV-vis 분광분석을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는 도 9에 나타냈다. 도 9의 삽도는 전형적인 흡수 밴드를 나타내며, 도 9a 그래프는 4-니트로페놀의 전형적인 흡수 밴드에서 NaBH4를 첨가한 후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첨가하였을 때 어떻게 촉매로서의 활성을 보이는지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b는 육안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상기 도 9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NaBH4 첨가 후 최대 피크가 318nm에서 400nm로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첨가하면서 피크의 크기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8분이 지나고 난 후 400nm에 존재하던 피크는 소실되며, 이후 295nm 및 255nm에서 새로운 피크가 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1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4-니트로페놀의 n-아미노페놀로의 환원반응에서 환원제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또한 도 9b에 의하면 NaBH4의 첨가에 의해 황록색을 보이던 용액이 실시예 1-1의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 용액을 첨가하고 난 8분 뒤 거의 무색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서 N-니트로페놀에서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환원제 역할로 인해 N-아미노페놀이 환원됨을 보여준다. 특히 이 때 보통의 경우 강한 환원제로 작용하는 NaBH4가 본 반응에서는 아무런 환원제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실시예 1-1의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만이 환원제로서 작용함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샘플 코드로서 Au-5로 부여된 샘플은 13분의 반응 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도 9의 결과를 보인 실시예 1-1의 경우가 1.63배 빠른 반응을 보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N-니트로페놀이 N-아미노페놀로 환원됨에 있어 강력한 촉매 및 환원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6: 인삼 추출물- 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항암 활성 측정>
실시예 2-1, 2-2, 2-3 및 2-4에 의해 제조된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가 항암 활성이 있는 것인지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각각의 용액과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및 비교예 2의 인삼 추출물 및 고려홍삼즙액을 물과 혼합한 용액을 가지고 각각 항암 활성이 있는 것인지 실험하였다. 이의 실험을 위해 유방암 선암종 세포인 MCF-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상기 도 10에 나타냈다. 도 10에서 (a)는 실시예 2-1, 2-2, 2-3 및 2-4의 경우를 가지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b)는 비교예 1-1, 1-2, 1-3의 인삼 추출물을 물과 혼합한 용액 및 비교예 2의 고려인삼즙액을 물과 혼합한 경우를 가지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c)는 실시예 2-1, 2-2, 2-3 및 2-4의 경우를 가지고 72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d)는 비교예 1-1, 1-2, 1-3의 인삼 추출물을 물과 혼합한 용액 및 비교예 2의 고려인삼즙액을 물과 혼합한 경우를 가지고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처리한 후 24시간 및 72시간을 인큐베이션한 (a) 및 (c)의 경우는 (b) 및 (d)의 경우와 비교하여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MCF-7세포의 사멸 능력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4시간 인큐베이션 한 경우인 (a)는 세포 활성이 100%에서 100㎍/㎖첨가한 경우 15~25%까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급격히 떨어지는 지점은 25㎍/㎖첨가한 시점부터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72시간 인큐베이션한 (c)는 세포활성이 역시 100%에서 100㎍/㎖첨가한 경우 15~25%까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급격히 떨어지는 지점은 10㎍/㎖첨가한 시점부터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인삼 추출물만을 물과 혼합하여 투여한 경우 또는 시중에 시판되는 고려홍삼즙액만을 물과 혼합하여 처리한 (b) 및 (d)의 경우보다 현저히 높은 세포 사멸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일반 인삼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항암 활성이 현저히 뛰어나며, 특히 유방암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효과적 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험예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의 내용을 통하여 새로운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를 확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실험예 4를 통해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생체 적합성을 확인한 것이며, 실험예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새로운 촉매제 및 환원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실험예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의 유방암 특이적 항암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생체적합적이며, 새로운 촉매제와 환원제로 활용이 가능하고, 유방암에 특이한 의약적 조성물로의 제공이 가능한 새로운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추출한 인삼의 부위가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염 나노입자 복합체는 수용액 중 UV-vis 흡수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peak)가 415-430 nm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침윤성 유관암, 침윤성 소엽암, 유관 상피내암, 소엽 상피내암, 파제트병, 점액성암, 수질성암, 유두상암, 관상암, 선양낭성 양종, 분비성 암종, 아포크린 암종, 화생성 암종 및 남성 유방암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유방 내의 암세포 발현을 억제 또는 사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0.1 내지 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20105201A 2012-09-21 2012-09-21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201A KR101423935B1 (ko) 2012-09-21 2012-09-21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201A KR101423935B1 (ko) 2012-09-21 2012-09-21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954A KR20140043954A (ko) 2014-04-14
KR101423935B1 true KR101423935B1 (ko) 2014-07-28

Family

ID=5065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201A KR101423935B1 (ko) 2012-09-21 2012-09-21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2737B2 (en) 2016-01-14 2021-02-09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Nano complex comprising a nano drug delivery matrix; and a ginseng extract or a ginsenoside isolated therefrom
KR101897868B1 (ko) * 2016-06-23 2018-09-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82849B1 (ko) * 2016-10-04 2018-07-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42634B1 (ko) * 2017-01-06 2019-0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1393B1 (ko) * 2018-03-14 2019-08-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33012B1 (ko) * 2019-10-29 2022-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피도박테리움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KR102426151B1 (ko) * 2020-10-23 2022-07-27 김형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70B1 (ko) 2007-04-09 2008-06-30 박준원 나노 플래티늄 진세노사이드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70B1 (ko) 2007-04-09 2008-06-30 박준원 나노 플래티늄 진세노사이드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 Keonard et al.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2011, Vol. 82, pp. 391-396 *
K. Keonard et al.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2011, Vol. 82, pp. 391-3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954A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935B1 (ko) 인삼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Elemike et al. Green synthesis of Ag, Au and Ag-Au bimetallic nanoparticles using Stigmaphyllon ovatum leaf extract and their in vitro anticancer potential
Sathishkumar et al. Zinc oxide-quercetin nanocomposite as a smart nano-drug delivery system: Molecular-level interaction studies
Akbarian et al. Green synthesis, formulation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a novel ZnO nanocarrier loaded with paclitaxel as drug delivery system on MCF-7 cell line
Dheyab et al. Myco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by the Portabello mushroom extract, Agaricaceae, and their efficacy for decolorization of Azo dye
Sindhu et al. Curcumin conjugated gold nanoparticle synthesis and its biocompatibility
Mohammadian et al. Green and chemical synthesis of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size evaluation by UV–vis spectroscopy
KR101796370B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US11648208B2 (en) Nano complex comprising a nano drug delivery matrix; and a ginseng extract or a ginsenoside isolated therefrom
KR102187362B1 (ko) 페로토시스를 통한 암세포의 선택적 사멸을 위한 나노 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N111840549B (zh) 载铂类药物/光敏剂的蛋白纳米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Ghozali et al. ’Bio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Catharanthus roseus leaf extract and its proliferative effects on cancer cell lines. J Nanomed Nanotechnol 6: 305
Naeem et al. Punica granatum L. mesocarp-assisted rapid fabrication of gold nanoparticles and characterization of nano-crystals
Nagajyothi et al.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eco-friendly synthesized ZnO/Ag nanocomposites
Gautam et al. Biologically synthesized gold nanoparticles using Ocimum sanctum (Tulsi leaf extract) induced anti-tumor response in a T cell daltons lymphoma
Wan et al. Selenium-engineered covalent organic frameworks for high-efficiency and long-acting cancer therapy
KR20170085641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ang et al. Zinc oxide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coffee leaf extract assisted with ultrasound as nanocarriers for mangiferin
Nagaraj et al. Biosynthesis of zinc doped Aloe Vera for green nanoparticles
KR101803031B1 (ko) 혈액 순환 촉진 특성을 갖는 파우더
CN104341487A (zh) 一种葛根蛋白及其纳米颗粒制备方法
Yeşilot et al. Cytotoxic effect of green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with Salvia officinalis o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Wei et al. Calendula officinalis-based green synthesis of titanium nanoparticle: Fabrication,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KR102582150B1 (ko) 신규한 석류-산화아연 나노복합입자 및 이의 용도
KR20180030493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