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636B1 -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636B1
KR101423636B1 KR1020120146338A KR20120146338A KR101423636B1 KR 101423636 B1 KR101423636 B1 KR 101423636B1 KR 1020120146338 A KR1020120146338 A KR 1020120146338A KR 20120146338 A KR20120146338 A KR 20120146338A KR 101423636 B1 KR101423636 B1 KR 10142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ccant
tank
moisture
cradle
moistur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482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와이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와이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와이이노텍
Priority to KR102012014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6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06B3/67308Making spacer frames, e.g. by bending or assembling straight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흡습제 회수통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이동장치;와,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결합되고, 일측에 흡습제 배출구가 형성되는 흡습제 탱크;와, 일단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흡습제 회수통에 설치되어 내부에 간봉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습제 탱크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에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지면과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되는 거치대에 간봉을 적재하고 흡습제를 충진함으로써, 간봉이 거치대에 적재된 상태에서 흡습제의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간봉 표면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DESICCANT INSERTING APPARATUS FOR SPACER OF PAIR GLASS}
본 발명은 간봉에 흡습제를 투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봉의 길이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간봉이 거치되는 거치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흡습제를 충진할 수 있으며, 거치대에 진동발생수단이 형성되어 흡습제가 서로 간극이 없이 충진되도록 이루어지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pair glass)는 창호를 통해 빠져나가는 열에너지의 양을 감소시켜 단열 및 소음차단 특성을 우수하게 한 유리로서 두 장의 판유리 사이에 건조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간봉을 이용하는 유리를 가리킨다.
간봉은 복층유리의 봉합부위의 구성요소로서 두 장의 판유리 사이에 공기층을 만드는 간격을 형성하고, 판유리 사이의 공간을 건조하게 유지하여 복층유리 안쪽에 결로나 습기가 형성되지 않도록 흡습제를 채워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흡습제는 미세한 기공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는 입자로서, 기체분자를 흡착하는 성질에 의해 밀폐 공간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는 재료이다. 흡습제는 대표적으로 몰리큘라시브(molecular sieve)와 실리카겔(silica gel)로 나뉘며, 숨구멍이 형성된 간봉의 내부에 충진되어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습기를 흡수하게 된다.
종래에는, 간봉의 내부에 흡습제를 충진하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바닥면에 개구부 외측으로 쏟아지는 흡습제를 회수하기 위한 비닐을 깔고, 진공포장된 흡습제를 개봉하여 커다란 통에 담는다. 작업자는 바가지를 사용하여 간봉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흡습제를 쏟아붇는 방법으로 간봉의 내부에 흡습제를 충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작업자는 간봉에 흡습제를 충진하기 위해서 간봉의 일측을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들어올린 후 바가지를 사용하여 흡습제가 담겨있는 통에서 흡습제를 퍼서 간봉의 개구부에 쏟아붇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간봉을 들어올리기 위해 허리를 굽히고 펴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고, 또한 바가지로 흡습제를 퍼서 간봉의 내부에 쏟아붇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실제적인 충진작업에 의한 작업시간 이외의 부수적인 동작들에 의해 충진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쉽게 증가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구부가 형성된 간봉의 일측을 파지하여 비스듬하게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간봉의 타단부와 작업장의 바닥 또는 바닥에 적재된 간봉의 일측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지된 간봉의 단부 또는 적재된 간봉의 일측면에 흠집이 발생하게 되어 양측면에 씰런트를 사용하여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간봉의 접촉면에 기밀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복층유리의 내부에 결로와 습기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는 간봉의 내부에 충진되는 흡습제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서로 긴밀하게 충진되도록 간봉의 내부에 흡습제가 유입되는 동안 간봉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흔드는 동작을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긴 길이로 형성되는 간봉을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팔을 이용하여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흔드는 동작은 작업자의 체력소모가 심하여 쉽게 피로해지고, 이에 따라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흔들리는 간봉과 적재된 간봉간에 마찰이 발생하여 간봉의 접촉면에 기밀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간봉을 흔드는 동작이 부족하게 실시되는 경우에는 간극 내부에 충진된 흡습제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복층유리의 수분 흡수율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복층유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구부 외측으로 유출된 흡습제는 비닐이 깔린 바닥면에 흩어진 상태가 되고, 통에 담겨있는 흡습제가 다 소모되면 작업자는 비닐을 걷어서 통에 흡습제를 쏟아붇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시 회수하고 있었으나, 비닐을 걷고 쏟아붇는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있으며, 흡습제가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어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비닐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던 먼지가 흡습제의 표면에 달라붙은 상태에서 간봉의 내부에 충진되어 흡습제의 제습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진작업에 의한 작업시간 이외의 부수적인 과정들에 의해 충진작업의 생산시간이 지연되고, 이에 따라 충진공정의 후공정들이 반복적으로 지연되어 생산시간이 증가하며, 생산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 흡습제 투입장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간봉에 흡습제를 충진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 이외의 부수적인 과정에 의해 간봉에 흡습제를 충진하는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간봉간 또는 간봉과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간봉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흡습제가 유입되고 있는 간봉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흔들지 않아도, 흡습제가 서로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간봉의 내부에 긴밀하게 충진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흡습제의 충진작업 시에 간봉의 외부로 유출되는 흡습제가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습제가 수증기 흡착률이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층유리에 충진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흡습제 회수통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이동장치;와,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결합되고, 일측에 흡습제 배출구가 형성되는 흡습제 탱크;와, 일단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흡습제 회수통에 설치되어 내부에 간봉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습제 탱크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일단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거치되어 구름접촉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부는 상기 회수통에 힌지조립된다.
상기 수직이동장치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 탱크가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의 일단부가 구름접촉하는 구름부가 하측에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피스톤 로드가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 탱크와 배관연결되어 상기 흡습제 탱크에 흡습제를 공급하는 흡습제 저장통을 더 포함한다.
상기 흡습제 탱크는 상기 흡습제 저장통과의 차압에 의해 상기 흡습제 저장통으로부터 흡습제가 충진된다.
상기 흡습제 탱크는 진공발생장치와 배관연결되어 흡습제 충진시에 상기 흡습제 탱크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 회수통과 배관연결되어 상기 흡습제 회수통에 축적된 흡습제를 회수하는 흡습제 보조저장통을 더 포함한다.
상기 흡습제 보조저장통은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흡습제 회수통으로부터 흡습제가 충진되고, 상기 흡습제 저장통과 배관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흡습제 저장통으로 흡습제를 배출시킨다.
상기 흡습제 보조저장통은 진공발생장치와 배관연결되어 흡습제 충진시에 상기 흡습제 보조저장통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과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되는 거치대에 간봉을 적재하고 흡습제를 충진함으로써, 간봉이 거치대에 적재된 상태에서 흡습제의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간봉 표면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습제 탱크에 결합되어 흡습제가 배출되는 호스의 단부가 거치대에 거치된 간봉의 개구부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작업자의 발밑에 형성된 작동발판을 발로 누르면 호스의 상측에 형성된 게이트 밸브가 온/오프되어 흡습제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간봉에 흡습제를 충진하는 작업 이외의 부수적인 동작이 방지되어 간봉에 흡습제를 충진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키 또는 간봉의 길이에 따라 제어반을 간단하게 조정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다양한 길이의 간봉에 용이하게 흡습제를 충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대의 하측에 진동발생장치가 설치되고, 흡습제가 유출되는 호스의 게이트 밸브가 열린상태에서 진동발생장치의 전원이 공급되어 거치대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가 간봉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흔들지 않아도 간봉의 내부에 충진되는 흡습제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긴밀하게 충진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피로도가 감소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흡습제의 긴밀한 충진구조에 의해 복층유리의 수증기 흡착률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습제가 내부에 저장되는 흡습제 저장통 및 흡습제 탱크는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밀폐형성되며, 흡습제 저장통 및 흡습제 탱크의 내부에는 에어 드라이어를 통과하여 제습이 이루어진 건조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흡습제 충진과정에서 흡습제가 외부의 습한 공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수증기 흡착률이 감소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되고, 이에 따라 복층 유리의 습기 및 결로 발생에 대한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봉에 충진되는 흡습제를 배출하는 흡습제 탱크의 내부에 흡습제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에어 드라이어 및 이젝터에 의해 흡습제가 흡습제 저장통으로부터 흡습제 탱크로 자동으로 공급됨으로써 흡습제를 충진하는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이에 따라 생산효율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흡습제 회수통의 하단부가 흡습제 보조저장통과 배관연결되고, 흡습제 회수통의 내부에 흡습제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됨으로써, 흡습제 회수통에 모인 흡습제가 자동으로 흡습제 보조저장통을 통해 흡습제 저장통으로 회수되며, 이에 따라 흡습제 회수통에 모인 흡습제가 공기와 접촉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흡습제의 수증기 흡착률이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간봉에 충진되고, 따라서 복층 유리의 습기 발생에 대한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일부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일부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1)는 크게 프레임(10)과, 수직이동장치(40)와, 흡습제 탱크(50)와, 흡습제 회수통(60)과, 거치대(70)와, 진동발생장치(90)와, 흡습제 저장통(80)과, 흡습제 보조저장통(80a)과, 진공발생장치(미도시)와, 에어 드라이어(20) 및 제어반(3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흡습제 투입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수평프레임(11)은 상측에 흡습제 투입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형성하며, 후술할 거치대(70)의 길이에 대응하여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평프레임(11)의 네 모서리에는 하단이 지면을 지지하여 흡습제 투입장치(1)의 수평을 조정하는 높이조절나사(111)가 설치된다.
수직프레임(12)은 수평프레임(11)의 일측에 상향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수직이동장치(40)가 결합된다.
에어 드라이어(20)는 수평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작업장의 일측에 설치된 컴프레서(미도시)에서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습한 압축공기를 제습하여 제어반(30)의 제어에 의해 흡습제 저장통(80), 수직이동장치(40) 및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건조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에어 드라이어(20)의 흡입구측에는 컴프레서(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강하시에 압축공기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에어보조탱크(21)가 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반(30)은 수평프레임(11)에 설치되고, 흡습제 투입장치(1)에 공급되는 전원과 에어 드라이어(20), 수직이동장치(40), 흡습제 저장통(80), 흡습제 탱크(50), 흡습제 보조저장통(80A) 및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설치된 센서(미도시) 및 밸브(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반(30) 및 에어 드라이어(2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흡습제 투입장치(1)의 작동상태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진공발생장치(미도시)는 흡습제 저장통(80)에 저장된 흡습제(100)가 차압에 의해 흡습제 탱크(50)로 유입되고, 흡습제 회수통(60)에 축적된 흡습제(100)가 차압에 의해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으로 유입되도록 흡습제 탱크(50) 및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며, 컴프레서(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진공을 생성할 수 있는 이젝터(미도시)(ejector, 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젝터(미도시)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흡습제 탱크(5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532) 및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의 공기배출구(83A)에 각각 배관연결되어 제어반(30)의 신호에 의해 동작한다.
수직이동장치(40)는 후술할 거치대(70)의 작업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수직프레임(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직프레임(1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41)과,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흡습제 탱크(50)와 거치대(70)의 일단부가 설치되는 브래킷(42)과, 수직프레임(12)에 형성되어 브래킷(42)을 상,하 이동시키는 작동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레일(41)은 수직프레임(12)에 결합되어 브래킷(42)이 상,하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수직프레임(12)의 전면에 결합되는 레일(411)과, 레일(411)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412)로 구성된다. 레일(411)과 슬라이더(412)는 후술할 브래킷(42)과, 흡습제 탱크(50) 및 거치대(70)의 하중을 후술할 작동부(43)와 함께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하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411)은 수직프레임(12)의 전면에 볼트결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홀(413)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슬라이더(412)가 끼움조립되어 이동하는 레일홈(414)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결합홀(413)은 결합되는 볼트의 머리가 레일(411)의 표면에 완전히 묻히도록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작업을 하여 레일(411)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412)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다. 수직프레임(12)에는 결합홀(413)에 대응하는 볼트홀(121)이 형성된다.
슬라이더(412)의 전면에는 후술할 브래킷(42)이 결합되고, 슬라이더(412)가 레일(411)을 따라 상,하 이동함에 따라 브래킷(42)의 높이가 조정된다. 슬라이더(412)는 하중으로 인한 모멘트를 지지하도록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브래킷(42)이 결합되는 볼트홀(415)이 모서리마다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더(412)의 후면에는 레일(411)의 전면과 레일홈(414)의 형상에 대응되는 레일결합홈(416)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더(412)는 레일(41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삽입되어 레일(4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브래킷(42)은 흡습제 탱크(50)와 거치대(70)의 일측이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거치대(70)의 각도를 조정한다. 그 구성으로는, 후면이 슬라이더(412)에 결합되고 상면에 흡습제 탱크(50)가 결합되는 상부브래킷(421)과, 상부브래킷(421)의 하측에 형성되어 거치대(70)의 일단부가 설치되는 하부브래킷(4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브래킷(421)은 상면에 흡습제 탱크(50)가 결합되고, 중간이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절곡형성된 아랫면에 한 쌍의 슬라이더(412)의 전면이 결합된다. 상부브래킷(421)의 절곡형성된 아랫면에는 슬라이더(412)의 볼트홀(415)에 대응되는 결합홀(423)이 형성되어 슬라이더(412)와 볼트조립되고, 일측에는 후술할 하부브래킷(422)이 볼트조립되는 볼트홀(424)이 형성된다.
상부브래킷(421)의 상면에는 흡습제 탱크(50)가 결합되는 볼트홀(424)과 흡습제 탱크(50)의 하단면에 형성된 흡습제 배출구(533)에 대응되는 관통공(425)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브래킷(421)의 일측 가장자리는 연장형성되어 후술할 작동부(43)가 결합되는 체결홀(426)이 형성된다.
하부브래킷(422)은 상부브래킷(421)에 결합되는 결합홀(427)이 형성되고, 하측에 후술할 거치대(70)의 일단부가 거치되어 구름접촉하는 구름부(44)가 형성된다.
구름부(44)는 하부브래킷(422)의 하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샤프트홀(441)과, 한 쌍의 롤러(442)가 결합되어 샤프트홀(441)에 결합되는 샤프트(443)와, 샤프트(443)의 양단에 결합되는 볼베어링(444)이 삽입되어 하부브래킷(422)의 양측에 결합되는 베어링홀더(445)와, 샤프트(443)와 볼베어링(444) 사이에 결합되는 이음고리(446)로 구성된다.
작동부(43)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공압실린더(43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프레임(12)의 측면에 결합되며, 피스톤로드(432)가 상술한 상부브래킷(421)의 체결홀(426)에 결합되어 브래킷(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공압실린더(431)는 컴프레서(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작동되며, 공압실린더(431)의 작동은 제어반(30)에서 제어된다.
흡습제 탱크(50)는 내부에 흡습제(100)를 저장하며, 하측에 형성된 흡습제 배출구(533)를 통해 흡습제(100)를 배출한다. 그 구성은, 원통관(51)와, 원통관(51)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단을 밀폐하는 오링(52) 및 커버(53a,53b)와, 흡습제 탱크(50)를 상부브래킷(421)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54), 스크류(55) 및 너트(56)와, 상측 커버(53a)에 형성되는 흡습제 유입구(531) 및 공기배출구(532)와, 하측 커버(53b)에 형성되는 흡습제 배출구(533)로 구성된다.
원통관(5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흡습제 탱크(50)의 측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흡습제(100)의 양이 외부에서 관찰되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관(51)이 조립되는 흡습제 탱크(50)는 진공상태에서 흡습제(100)가 유입되고 대기압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이 반복되므로 원통관(5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는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통관(51)은 반복 응력에 의한 피로파괴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원통관(51)의 파손시에 작업자가 보호되도록 원통관(51)의 하부 테두리에는 원통형 보호구(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플레이트(54)와 스크류(55) 및 너트(56)는 상부브래킷(421)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되어 흡습제 탱크(50)를 고정한다.
공기배출구(532)는 진공발생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흡습제 탱크(5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며, 흡습제 유입구(531)는 흡습제 저장통(80)과 배관연결되어 흡습제 저장통(80)으로부터 흡습제(100)가 유입된다. 공기배출구(532) 및 흡습제 유입구(531)의 작동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흡습제 배출구(533)에는 게이트밸브(G)가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한 온/오프 제어에 의해 게이트밸브(G)가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흡습제(100)가 배출된다. 수평프레임(11)에는 제어반(30)을 통해 게이트밸브(G)와 연결되는 작동발판(57)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동발판(57)을 발로 누르면 게이트밸브(G)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게이트밸브(G)의 하측에는 탄력적인 재질의 호스(534)가 결합되어 간봉(200)의 개구부에 흡습제(100)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흡습제(100)는 간봉(200)의 내부에 빈 공간이 없이 완전히 충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흡습제(100)가 유입되는 간봉(200)의 개구부를 부드러운 헝겁 등으로 감싼 상태에서 흡습제(100)를 과다 주입하고, 충진이 완료되면 간봉(200) 내부의 흡습제(100) 충진용량을 초과하여 배출된 흡습제(100)는 거치대(70)를 따라 미끄러져서 흡습제 회수(60)통에 회수된다.
흡습제 회수통(60)은 거치대(70)를 통해 미끄러져 내려오는 흡습제(100)를 회수하도록 수평프레임(11)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프레임(112)에 결합되어 거치대(70)의 타단부와 조립된다. 흡습제 회수통(60)과 거치대(70)는 한 쌍의 핀(61)과 스냅링(62)에 의해 힌지조립된다.
흡습제 회수통(60)의 상부는 그 내측면에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거치대(70)가 힌지조립되도록 거치대(70)측 면과 상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흡습제 회수통(60)의 하부는 거치대(70)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된 역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습제(100)는 흡습제 회수통(60)의 하단부까지 미끄러져서 축적된다. 흡습제 회수통(60)의 하단부에는 배출홀(64)이 형성되어 흡습제 보조저장통(80A)과 배관연결된다.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은 흡습제 회수통(60)에 축적된 흡습제(100)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흡습제 저장통(80)에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며, 진공발생장치(미도시)와 배관연결되어 제어반(30)의 신호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83A)와, 흡습제 회수통(60)의 배출홀(64)과 배관연결되어 차압에 의해 흡습제 회수통(60)에 축적된 흡습제(100)가 유입되는 흡습제 유입구(81A)와,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의 하단에 형성되어 흡습제 유입구(81A)를 통해 유입된 흡습제(100)를 흡습제 저장통(80)으로 배출하는 흡습제 배출구(82A)가 형성된다.
거치대(7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파이프 형성로 형성되어 내부에 간봉(200)이 거치되며, 일단부는 상술한 브래킷(42)에 형성되는 구름부(44) 즉 한 쌍의 롤러(442)에 안착되어 구름접촉되고, 타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습제 회수통(60)과 힌지조립된다. 즉, 거치대(70)의 일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정되는 브래킷(42)에 구름접촉하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정되고, 타단부는 흡습제 회수통(60)과 힌지조립되어 일단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각도가 조정된다.
복층유리는 두 장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습기에 의한 결로 등이 형성되지 않아야 하며, 이를 위하여 흡습제(100)는 간봉(200)의 내부에 간극 없이 충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간봉(200)에 흡습제(100)를 충진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전수검사되고 있으며, 작업자는 흡습제(100)가 간봉(200)에 유입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흡습제(100)의 충진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1)는 간봉(200)의 길이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흡습제 탱크(50)의 높이와 간봉(200)이 거치되는 거치대(7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상승하여 간봉(200)의 내부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흡습제(100)를 충진할 수 있게 된다.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1)과 거치대(70) 사이의 각도는 대략 12도(도 3a)에서 22도(도 3b) 사이에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정각도에 의한 거치대(70) 일단부의 높이차이는 대략 50 센티미터이며, 이에 따라 신장이 작은 작업자와 신장이 큰 작업자가 본인의 신장에 맞게 거치대(7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여 흡습제 충진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거치대(70)의 각도 조정은 작업자가 제어반(30)을 조작하여 이루어진다.
진동발생장치(90)는 거치대(70)의 하측에 형성되어 거치대(7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층유리는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높은 밀폐성과 수증기 흡착률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따라서 간봉(200)에 충진되는 흡습제(100)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긴밀한 형태로 충진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흡습제(100)가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충진되도록 작업자가 간봉(200)을 파지하고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흔들어야 했으나, 작업자는 쉽게 피로도가 상승하였고,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으며, 흔들리는 간봉(200)과 적재된 간봉(200)간의 마찰에 의해 간봉(200)의 접촉면에 기밀성이 떨어지게 되고, 간봉(200)을 흔드는 동작이 부족하게 실시되는 경우에는 흡습제(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복층유리의 수분 흡수율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복층유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흡습제 투입장치는 거치대(70)의 하측에 진동발생장치(90)를 결합하여 간봉(200)에 흡습제(100)가 충진되는 동안 거치대(7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거치대(70)에 거치된 간봉(200)에 균일하고 연속적인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간봉(200)에 충진되는 흡습제(100)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고 긴밀한 충진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진동발생장치(90)는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질량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진동발생장치(90)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흡습제 저장통(80)은 수평프레임(11)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습제 탱크(50)로 공급되는 흡습제(100)를 저장하며, 상부에는 공기유입구(81), 흡습제 배출구(82) 및 흡습제 유입구(83)가 형성된다.
흡습제 배출구(82)는 흡습제 탱크(50)와 배관연결되어 흡습제(100)를 배출하며, 공기유입구(81)는 흡습제 저장통(80) 내부의 압력이 음압으로 떨어졌을 경우에 에어 드라이어(20)로부터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흡습제 저장통(8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또는 그 이상으로 상승시킨다.
흡습제 유입구(83)는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의 흡습제 배출구(82A)와 배관연결되어 흡습제 회수통(60)으로부터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에 유입된 흡습제가 흡습제 저장통(80)으로 회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본인의 키에 따른 작업높이 즉 호스(534)의 단부가 작업자의 가슴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거치대(70)의 각도를 조정한다. 거치대(70)의 각도조정은 제어반(30)의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거치대(70)에 복수의 간봉(200)을 거치하여 충진작업 준비를 완료한다.
작업자는 한 손으로 간봉(200)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호스(534)를 파지하여 간봉(200)의 개구부에 호스(534)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발판(57)을 누르면 진동발생장치(90)가 동작하여 거치대(70)가 진동함과 동시에 호스(534)를 통해 흡습제(100)가 배출되어 간봉(200)의 내부에 채워지게 되며, 충진이 완료되면 작동발판(57)을 눌러서 진동발생장치(90)가 정지되면서 흡습제(100)의 배출이 차단되고, 간봉(200)의 개구부에 마감구를 결합하여 이동카트 등에 적재하게 된다.
작업자가 제어반(30)에 연결된 작동발판(57)을 누르면 제어반(30)은 게이트밸브(G) 및 진동발생장치(90)에 온/오프 작동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흡습제(100)는 호스(534)를 따라 배출되어 거나 배출이 정지된다.
흡습제 탱크(50)의 내부에는 흡습제(100)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흡습제(100)가 일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제어반(30)에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제어반(30)은 컴프레서(미도시)와 배관으로 연결된 에어 드라이어(20)를 가동시키며, 에어 드라이어(20)의 배기관측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면 이젝터(미도시)와 배관연결된 공기배출구(532)를 통해 흡습제 탱크(5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서 흡습제 탱크(50)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한다.
흡습제 탱크(5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제어반(30)은 흡습제 탱크(50)와 흡습제 저장통(80)을 연결하는 배관을 개방하여 흡습제 탱크(50)에 흡습제(100)를 충진시킨다.
흡습제 저장통(80)으로부터 흡습제 탱크(50)로의 흡습제(100)의 이동은 흡습제 저장통(80)과 흡습제 탱크(50)의 차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공기배출구(532)를 통해 흡습제 탱크(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흡습제 탱크(50) 내부가 음압으로 형성되면 흡습제 저장통(80)과 흡습제 탱크(50)에 차압이 형성되어 흡습제(100)는 흡습제 저장통(80)의 내부공기와 함께 흡습제 탱크(5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흡습제 탱크(50) 내부에 흡습제(100)의 충진이 완료되면 제어반(30)에 의해 흡습제 탱크(50)와 흡습제 저장통(80)을 연결하는 배관에 형성된 밸브(미도시)가 닫히게 되고, 흡습제 탱크(50) 내부는 차압이 제거된 상태에서 흡습제 충진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흡습제 저장통(80) 내부의 압력은 공기와 흡습제(100)의 배출에 의해 음압 또는 대기압 상태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제어반(30)은 에어 드라이어(20)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81)를 통해 건조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서 흡습제 저장통(8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시킨다.
흡습제 탱크(50)의 내부에는 흡습제(100)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흡습제(100)가 일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제어반(30)에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제어반(30)은 컴프레서(미도시)와 배관으로 연결된 에어 드라이어(20)를 가동시키며, 에어 드라이어(20)의 배기관측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면 이젝터(미도시)와 배관연결된 공기배출구(532)를 통해 흡습제 탱크(5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서 흡습제 탱크(50)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한다.
흡습제 탱크(5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제어반(30)은 흡습제 탱크(50)와 흡습제 저장통(80)을 연결하는 배관을 개방하여 흡습제 탱크(50)에 흡습제(100)를 충진시킨다.
흡습제 저장통(80)으로부터 흡습제 탱크(50)로의 흡습제(100)의 이동은 흡습제 저장통(80)과 흡습제 탱크(50)의 차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공기배출구(532)를 통해 흡습제 탱크(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흡습제 탱크(50) 내부가 음압으로 형성되면 흡습제 저장통(80)과 흡습제 탱크(50)에 차압이 형성되어 흡습제(100)는 흡습제 저장통(80)의 내부공기와 함께 흡습제 탱크(5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흡습제 탱크(50) 내부에 흡습제(100)의 충진이 완료되면 제어반(30)에 의해 흡습제 탱크(50)와 흡습제 저장통(80)을 연결하는 배관에 형성된 밸브(미도시)가 닫히게 되고, 흡습제 탱크(50) 내부는 차압이 제거된 상태에서 흡습제 충진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흡습제 저장통(80) 내부의 압력은 공기와 흡습제(100)의 배출에 의해 음압 또는 대기압 상태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제어반(30)은 에어 드라이어(20)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81)를 통해 건조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서 흡습제 저장통(8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시킨다.
한편, 흡습제 회수통(60)의 내부에는 흡습제(100)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흡습제(100)가 일정량 이상으로 감지되면 제어반(30)에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제어반(30)은 컴프레서(미도시)와 배관으로 연결된 에어 드라이어(20)를 가동시키며, 에어 드라이어(20)의 배기관측 압력이 충분히 높아지면 이젝터(미도시)와 배관연결된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의 공기배출구(83A)를 통해 흡습제 보조저장통(80A)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서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한다.
흡습제 보조저장통(80A)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제어반(30)은 흡습제 회수통(60)과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을 연결하는 배관을 개방하여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에 흡습제(100)를 충진시킨다.
흡습제 회수통(60)으로부터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으로의 흡습제(100)의 이동은 흡습제 보조저장통(80A)과 흡습제 회수통(60)의 차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공기배출구(83A)를 통해 흡습제 보조저장통(80A)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흡습제 보조저장통(80A) 내부가 음압으로 형성되면 흡습제 보조저장통(80A)과 외부에 노출되어 대기압상태에 있는 흡습제 회수통(60)에 차압이 형성되어 흡습제 회수통(60)의 흡습제(100)는 외부공기와 함께 흡습제 보조저장통(80A)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흡습제 보조저장통(80A) 내부에 흡습제(100)의 충진이 완료되면 제어반(30)에 의해 흡습제 보조저장통(80A)과 흡습제 회수통(60)을 연결하는 배관에 형성된 밸브(미도시)가 닫히게 되고, 흡습제 보조저장통(80A) 내부는 흡습제 회수통(6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 음압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이후, 흡습제 배출구(82A)와 흡습제 저장통(80)의 흡습제 유입구(83)를 연결하는 배관이 개방되어 흡습제(100)는 흡습제 저장통(80)의 내부로 자유낙하하여 회수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 흡습제 투입장치 10 : 프레임
20 : 에어 드라이어 30 : 제어반
40 : 수직이동장치 50 : 흡습제 탱크
60 : 흡습제 회수통 70 : 거치대
80 : 흡습제 저장통 80A : 흡습제 보조저장통
90 : 진동발생장치 11 : 수평프레임
21 : 에어보조탱크 12 : 수직프레임
41 : 가이드 레일 51 : 원통관
42 : 브래킷 52 : 오링
43 : 작동부 53a,53b : 커버
44 : 구름부 54 : 고정플레이트
61 : 핀 55 : 스크류
62 : 스냅링 56 : 너트
63 : 마개 81 : 공기유입구
64 : 배출홀 82 : 흡습제 배출구
81A : 흡습제 유입구
82A : 흡습제 배출구
83A : 공기 유입구

Claims (11)

  1. 일측에 흡습제 회수통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이동장치;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결합되고, 일측에 흡습제 배출구가 형성되는 흡습제 탱크;
    일단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흡습제 회수통에 설치되어 내부에 간봉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습제 탱크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일단부는 상기 수직이동장치에 거치되어 구름접촉하고,
    상기 거치대의 타단부는 상기 회수통에 힌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장치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 탱크가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의 일단부가 구름접촉하는 구름부가 하측에 형성되는 브래킷;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피스톤 로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 탱크와 배관연결되어 상기 흡습제 탱크에 흡습제를 공급하는 흡습제 저장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 탱크는 상기 흡습제 저장통과의 차압에 의해 상기 흡습제 저장통으로부터 흡습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 탱크는 진공발생장치와 배관연결되어 흡습제 충진시에 상기 흡습제 탱크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습제 회수통과 배관연결되어 상기 흡습제 회수통에 축적된 흡습제를 회수하는 흡습제 보조저장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 보조저장통은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흡습제 회수통으로부터 흡습제가 충진되고, 상기 흡습제 저장통과 배관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흡습제 저장통으로 흡습제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 보조저장통은 진공발생장치와 배관연결되어 흡습제 충진시에 상기 흡습제 보조저장통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KR1020120146338A 2012-12-14 2012-12-14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KR10142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338A KR101423636B1 (ko) 2012-12-14 2012-12-14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338A KR101423636B1 (ko) 2012-12-14 2012-12-14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482A KR20140077482A (ko) 2014-06-24
KR101423636B1 true KR101423636B1 (ko) 2014-08-01

Family

ID=5112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338A KR101423636B1 (ko) 2012-12-14 2012-12-14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368B1 (ko) * 2022-04-07 2023-05-02 주식회사 현글라스 간봉의 흡습제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502A (ja) * 1992-02-20 1993-09-07 Mita Ind Co Ltd 粉体充填装置
JP2001233301A (ja) 2000-02-23 2001-08-28 Central Glass Co Ltd 中空長尺部材内への粒状体の充填装置
JP3865559B2 (ja) * 2000-02-14 2007-01-1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中空長尺部材内への粒状体の充填装置
KR100994926B1 (ko) 2008-10-22 2010-11-19 주식회사 이강테크 간봉흡습제 충진용 타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502A (ja) * 1992-02-20 1993-09-07 Mita Ind Co Ltd 粉体充填装置
JP3865559B2 (ja) * 2000-02-14 2007-01-1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中空長尺部材内への粒状体の充填装置
JP2001233301A (ja) 2000-02-23 2001-08-28 Central Glass Co Ltd 中空長尺部材内への粒状体の充填装置
KR100994926B1 (ko) 2008-10-22 2010-11-19 주식회사 이강테크 간봉흡습제 충진용 타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482A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359B1 (ko) 시트 마스크 패킹장치
CN110589093A (zh) 一种能够自动上袋的面膜灌浆装袋机
KR101423636B1 (ko) 복층유리용 간봉의 흡습제 투입장치
CN206013482U (zh) 一种药剂科用配药防潮储存设备
CN212760113U (zh) 一种吸气剂压片设备的清洁装置
CN209267653U (zh) 一种车载和家用自动吸盘式手机支架
CN109250167B (zh) 阀口袋真空灌装装置
CN206453345U (zh) 一种水密性检测器
CN205376632U (zh) 密封注液机
CN205928546U (zh) 一种自适应工件尺寸的双面真空吸附装置和吸附系统
CN211770253U (zh) 一种硅胶生产用灌装封瓶一体化装置
CN113426349A (zh) 一种用于实验室分析测试的试管往复摆动式震荡装置
KR100994926B1 (ko) 간봉흡습제 충진용 타격장치
CN212255353U (zh) 一种温度可控的免疫组化湿盒
CN211365389U (zh) 一种三轴加速度计传感器的放置柜
CN210077018U (zh) 一种自动除湿的档案柜
CN207377148U (zh) 一种脚踢板安装预处理装置
CN216889653U (zh) 一种海绵吸具
CN219289359U (zh) 一种环保型建筑物表面清洁器具
CN205650030U (zh) 吸附器
CN114835075B (zh) 一种制冷设备用快速灌注装置
CN220157840U (zh) 篮球鞋护理装置
CN218186929U (zh) 医用手套穿戴辅助装置
CN111017389B (zh) 一种智能家居的智能除尘设备用收纳装置
CN114132579B (zh) 一种应用于药学用品防潮储存包装封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