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310B1 -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310B1
KR101423310B1 KR1020120132032A KR20120132032A KR101423310B1 KR 101423310 B1 KR101423310 B1 KR 101423310B1 KR 1020120132032 A KR1020120132032 A KR 1020120132032A KR 20120132032 A KR20120132032 A KR 20120132032A KR 101423310 B1 KR101423310 B1 KR 101423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line
signal
movement
poul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578A (ko
Inventor
유용희
최동윤
조성백
박규현
양승학
정광화
최선호
황옥화
곽정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3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2Drink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 내 형성된 깔짚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급수라인의 이동 시기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급수라인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축사에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히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는, 상기 급수라인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축사 바닥에 형성된 깔짚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수분 함량 측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습도 센서; 상기 습도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급수라인의 이동시기를 판단하여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 상기 급수라인과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이동시키는 리프트바와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바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바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Moving control and device of water supply line for Poultry house}
본 발명은 축사 내의 급수라인의 이동시기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급수라인을 이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 오리와 가금류를 사육하기 위한 축사 내에는 가금(poultry)들에게 식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 라인이 설치된다.
오리는 물을 좋아하는 가축으로 항상 쉽게 접근하여 깨끗한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된다. 신선한 기후에서 1일 1마리당 1.5리터 물이 필요하나, 더운 기온 하에서는 5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또한, 육계의 경우 온도를 21도 기준 하였을 경우 10도 내려가면 약 80% 음수량이 감소 하지만 32도로 온도가 올라가면 체온조절을 위해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약 2배에 가까운 물을 더 섭취한다. 마찬가지로 오리의 경우 더욱 더위에 민감하며 많은 물을 섭취하게 되어 깔짚 바닥이 더욱 질퍽거리는 현상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급수라인은 수도꼭지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를 통해서 사육장에 식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그러나 식수가 과량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가금에게서 배출되는 오폐물이 범람하는 식수와 혼합되어서 사육장의 환경을 불결하게 하고 심지어는 주변 환경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수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1810호에는 가금용 니플(nipple)형 급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파이프의 구멍에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돌기가 상부에 제공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개방형 관형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선택적으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밸브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중공형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갖고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삽입공간에는 상부에 머리부를 갖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관통하는 원통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원통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배출구가 머리부에 의해서 폐쇄되고 상방으로 이동하면 배출구가 개방되어 파이프의 구멍을 통해서 삽입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용 니플(nipple)형 급수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가금용 니플(nipple)형 급수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니플(nipple)의 출구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식수가 공급되지 않으나, 식수를 취식하기 위해 오리나 닭이 니플 하부에 노출된 레버를 부리로 들어올릴 때 니플은 출구가 개방되어 가금에게 식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니플(nipple)형 급수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오리나 닭이 식수를 취식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물이 떨어져 항상 적어 있게 된다.
오리사 바닥은 오리가 배설된 분이 왕겨와 혼합되도록 하여 동물복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오리 출하 후 배설된 분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부분 흙바닥으로 왕겨를 바닥기준 3cm ~ 5cm 정도 초기에 깔아주고 있다.
이와 같이 축사의 바닥면은 톱밥이나 왕겨 짚으로 깔짚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가금용 니플(nipple)형 급수장치는 급수라인이 고정되어 있어, 배출되거나 누수된 식수에 의해 급수장치의 하측 바닥면은 항상 젖어있게 되므로, 그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쉽게 부패되어 사육장 내부를 비위생적인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렇게 깔짚에 질어지게 되면 젖은 깔짚 때문에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 시에는 증가된 습도에 의해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높아져서 가금류뿐만 아니라 관리자에게까지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급수라인은 오리 축사의 경우 40 ~ 80m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어서 관리자가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데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기계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가금류 들이 식수를 취식하는 시기 및 바닥 깔짚이 적게 되는 상태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양호한 깔짚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깔짚 상태를 점검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1810호 가금용 니플(nipple)형 급수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 내 형성된 깔짚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급수라인의 이동 시기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급수라인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축사에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금류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니플이 부착된 급수라인; 상기 급수라인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축사 바닥에 형성된 깔짚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수분 함량 측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습도 센서; 상기 습도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급수라인의 이동시기를 판단하여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 상기 급수라인과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이동시키는 리프트바와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바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바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수분 함량 측정 신호를 각각 평균하여 상기 깔짚의 수분함량을 산출하며, 상기 깔짚의 수분 함량이 45 ~ 50%를 초과한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이동부에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급수라인을 일정 구간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금류의 사육일시 경과에 대한 가금류의 평균 신장과 상기 평균 신장에 대한 급수라인의 적정 높이가 저장된 사육 일정에 대한 신장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주기별로 상기 신장 데이터로부터 일정별 적정 높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수직 이동부에 가금류 신장에 맞는 급수라인의 높이를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금류의 급수로 인한 바닥에 흘려진 수분 오염도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급수라인의 이동시기 및 이동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깔짚 바닥이 항상 적정 수분함량을 유지하고 깔짚의 이용 기간이 연장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깔짚의 청소가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른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여 적정 환기시기 및 가동시간을 자동화함으로써, 항상 암모니아 농도를 일정 범위 이하로 유지할 수 있으며 환풍에 따른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라인의 높이가 오리의 성장 속도에 따라 항상 자동으로 적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높이 조정에 다른 인건비를 절약하고 오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급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에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라인 이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라인의 1차 동작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라인의 2차 동작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라인의 3차 동작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에 설치된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급수라인 이동장치는 축사의 면적에 따라 일측에 설치되거나 도 1과 같이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축사(10)의 양측에 설치된 리프트 장치(11, 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라인 이동장치인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는 가금류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니플이 부착된 급수라인(41)과 상기 급수라인(41)에 장착되어 상기 급수라인(41)을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 및 상기 리프트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장치에는 하부로 연장된 센서 가이드(29)의 단부에 장착되어 축사 바닥에 형성된 깔짚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수분 함량 측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습도 센서(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습도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급수라인(41)의 이동시기를 판단하여 리프트장치에 이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리프트장치는 제어장치의 이동 신호에 따라 급수라인(41)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라인을 좌, 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를 포함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오리 축사의 경우는 급수라인이 최소 40m에서 80m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라인(41)이 늘어지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들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입구측, 출구측 및 중간에 급수라인(41)을 들어서 상하, 좌우로 이동시킬수 있는 복수 개의 리트프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모터의 구동장치(22)에 연결되어 급수라인을 상하로 이동키는 리프트바(30 스틸와이어)가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바(30)의 일단에는 급수라인(41, 급수관)을 감싸서 잡는 급수관 홀더(31)가 장착되고 타단은 상하 리프트 동작을 위한 상하 와인더 풀리(28) 연결된다.
한편, 상기 리프트 장치는 수직프레임(51)과 수평프레임(5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52)에는 상하 와인더 풀리(28)가 장착된 수평롤러(27)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레일(53)을 포함한다.
수직프레임(21)에는 구동장치인 브레이크 타입의 서버모터(21)와 벨트에 의해 좌우 와인더(24)에 연결된 이동벨트 풀리(23)가 장착된다. 구동장치(21)에 의해 좌우 와인더(24)가 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것에 따라 벨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수평롤러(27)가 좌, 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같이 연결된 리프트바(30)가 좌, 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급수라인(41) 역시 좌, 우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바(30)는 상하, 구동장치(22)의 상하 와인더(28)를 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리프트바(30)를 올리거나 풀어주게 되어 상기 급수라인(41)을 상, 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우 와인더(24) 및 상하 와인더(28)는 제어장치(미도시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길이만큼 상, 하, 좌, 우로 상기 급수라인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축사의 넓이 또는 상기 리프트의 수평프레임(52)의 길이를 감안하여 리프트장치를 축사의 일측 공간 또는 축사(10)의 양측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와인더(28)의 일측에 하부의 깔짚까지 연장되는 하부 가이드(29)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가이드(29)의 일단부에는 깔짚의 수분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43)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리프트장치에 설치되는 대신 상기 급수라인(41)의 급수관 지지봉(42)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수 라인(41)의 일정 간격마다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가이드(미도시됨)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가이드의 일 단부에는 깔짚의 수분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는 습도 센서는 10m 간격으로 하부 가이드와 습도 센서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 가이드는 센서들을 장착하면서 한편으로는 상기 급수라인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급수라인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하부 가이드를 상기 리프트 장치에 연동하여 상기 급수라인이 상, 하로 작동하는 거리만큼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하여 항상 일단이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깔짚에 살포하는 왕겨의 수분함량은 너무 건조한 경우 먼지 발생으로 인한 호흡기 발생이 우려됨으로 적정 수분함량은 약 30~40% 정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41)은 통상의 축사의 경우 80m에 이르기 때문에 간혹 다른 부분은 건조한 데 습도센서부위만 물이 흘러서 수분함량이 높게 측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의 연산부에서 각 하부 가이드에 설치된 습도 센서의 신호를 각각 전송받아서 일정 범위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센서 값은 제외하고 나머지를 평균하여 깔짚의 평균 수분함량을 산출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깔짚의 평균 수분 함량이 45 ~ 50%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장치에서 리프트 장치에 이동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리프트의 이동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처음 깔짚을 깔고 급수를 시작할 때는 도 3과 같이 수직 프레임에 인접한 위치인 기준 장소에서 급수를 시작하게 된다.
이후 제어장치에서 수집한 수분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이동신호를 보내게 되는데 이때는 도 4와 같이 가장 먼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장 먼 곳의 이동거리를 3m로 하였다.
도 4의 위치에서 다시 깔짚 습도가 설정해놓은 습도를 초과하게 되면 급수관이 자동으로 움직이는 위치는 도 5와 같이 중간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수라인(41)을 이동하는 순서는 기준 장소에서 수평프레임(52)이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가장 먼 장소로 이동하게 되며, 다음은 기준 장소와 가장 먼 장소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는 순서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언급된 정방향의 작동 기능과 동일하게 역방향 이동시에도 자동으로 수분 함량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또한, 제어장치에는 이동 알고리즘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선택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수동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관리자가 오리사 바닥 깔짚의 상태에 따라 임의 조작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10)의 길이방향으로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프트 장치(101, 102, 103, 104)를 길이방향으로 4개를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개수는 축사(10)의 길이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가로 연결된 센서는 암모니아 감지센서,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서 값을 제어장치가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장치는 오리사 내부 공기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깔짚에서 증발된 수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수신된 센서 값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설치된 환기 팬을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축사 내의 환경에 따라 환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가이드 일측에는 상기 깔짚의 외부 공간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온 습도측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공간의 온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는 상기 깔짚의 상부 공간을 측정하여야 하므로, 상기 깔짚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센서보다 상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습도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온도와 습도가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축사 내의 환풍장치에 대해, 가동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온도와 습도가 일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환풍장치에 대한 정지신호를 발생하여 환풍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온습도센서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상기 온습도 측정센서가 장착되는 위치에 암모니아 검출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암모니아 검출센서는 깔짚의 외부 공간의 암모니아가 일정 함량 이상(에를 들면 25ppm)일 경우 암모니아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계사나 오리사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 수준은 10ppm 정도이며 25ppm 이상에서는 ND, IB, ILT, CRD, CCRD 등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지고 사료섭취 감소에 따른 출하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50ppm 이상에서는 상당한 생산성 저하와 음수량의 증가 폐사율이 급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장치가 상기 암모니아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축사 내의 환풍장치에 대한 가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축사의 암모니아 환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급수기 급수라인은 오리가 성장함에 따라 급수기 급수라인 설치높이도 어린 오리부터 성오리 까지 오리의 성장을 보면서 자동으로 상, 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오리가 물을 최대한 편안하게 음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깔짚(지면)으로부터 급수 라인(41)의 설치높이가 일정할 경우 어느 한 시기까지는 오리가 물을 섭취함에 있어 지장이 없이 잘 물을 먹을 수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급수기 라인(41) 설치높이가 낮은 경우 어린 오리는 물을 잘 마실 수 있으나, 중오리, 성오리의 경우 물을 잘 마실 수 없으며, 이와 반대로 급수라인(41)에 포함된 급수기 설치높이가 높은 경우 성오리는 물을 잘 마실 수 있으나, 중오리, 어린 오리의 경우 물을 잘 마실 수 없게 된다.
또한, 물을 마실 수 없을 경우 사료섭취량이 떨어져 오리의 출하 일령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오리 등 가금류 사육의 경우는 한 축사 내에 동일한 일령을 가지는 가금류를 투입하여 성오리가 되면 일률적으로 출하하고 있으므로 오리의 성장 시기는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오리의 경우 어린 오리로부터 성오리로 출하하기 가지 통상 45일 정도 걸리게 되며, 오리가 성장함에 따라 급수라인의 높이도 이에 맞게 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한 실험 예는 어린 오리는 약 15cm, 중오리는 약 30cm 성오리는 약 65cm가 오리가 편안하게 급수할 수 있는 위치로 측정되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리 또는 닭의 신장에 따라 상기 급수라인(41)의 급수 높이를 자동으로 적정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채용하였다.
오리 축사 경영 형태를 보면, 어린 오리와 성오리를 함께 사육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어린 오리를 입사하여 사육하고 성오리가 되면 일제히 출하를 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어린 오리서부터 성오리까지 주기별로 성장 높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면 일정 주기별로 현재의 축사에서 사육하고 있는 오리의 평균 신장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오리가 성장함에 따라 급수기 급수라인 높이도 어린 오리부터 성오리까지 오리의 성장에 맞추어 자동으로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오리가 물을 최대한 편안하게 음수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장치에 가금류의 사육일시 경과에 대한 가금류의 평균 신장과 상기 평균 신장에 대한 급수라인의 적정 높이가 저장된 사육 일정에 대한 신장데이터를 더 포함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신장데이터로부터 주기별(일 실시예에서는 3일 간격으로)로 적정 급수라인의 높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수직 이동부에 가금류 신장에 맞는 급수라인의 높이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금류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신장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였다. 이에 따라 성장에 따른 가금류의 신장을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발생시켜서 상기 환경 제어장치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상기 신장 측정장치는 적외선 센서 및 광센서, 기계적 센서 등 대상체의 상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라인(41)의 일정구간에 설치된 하부 가이드 일측에 수평으로 신장 측정바(미도시됨)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신장 측정바는 가이드에 설치된 신장 측정홈을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물을 먹기 위하여 지나가는 가금류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측정바가 홈부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링과 톱니가 상측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하고 하측으로는 스프링이 톱니에 걸려서 상측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다시 사용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이동시에는 스프링을 톱니와 이격시킴으로써 강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측정바는 지나가는 오리의 최상부를 항상 가르키게 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걸쳐진 측정바의 결합부의 높이 위치에서 높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어장치는 가금류의 신장 정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평균 신장에 대한 급수라인의 적정 높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정 급수라인의 높이를 산정하고, 상기 수직 이동부에 가금류 신장에 맞는 급수라인의 높이를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라인(41)은 오리가 급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항상 적정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10: 축사
11, 12: 리프트 장치
21, 22: 구동장치
23, 24, 28; 풀리
25, 26: 벨트
27: 이동 롤러
29: 센서 가이드
30: 리프트바
31: 급수관 홀더
51, 52: 프레임
53: 이동레일

Claims (8)

  1. 가금류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니플이 부착된 급수라인;
    상기 급수라인의 일정 간격마다 하부로 연장되는 급수라인의 하부가이드가 장착되며, 상기 급수라인의 하부가이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축사 바닥에 형성된 깔짚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수분 함량 측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습도 센서;
    상기 습도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급수라인의 이동시기를 판단하여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
    상기 급수라인과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이동시키는 리프트바와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바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바를 좌, 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수분 함량 측정 신호를 각각 평균하여 상기 깔짚의 수분함량을 산출하며, 상기 깔짚의 수분 함량이 45 ~ 50%를 초과한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이동부에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급수라인을 일정 구간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급수라인을 수평으로 이동하는 순서는 제1차 기준 장소에서 이동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수평프레임이 이동할 수 있는 가장 먼 장소로 이동하고, 그 다음 이동 신호에서는 기준 장소와 가장 먼 장소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수직 이동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가금류의 사육일시 경과에 대한 가금류의 평균 신장과 상기 평균 신장에 대한 급수라인의 적정 높이가 저장된 사육 일정에 대한 신장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주기별로 상기 신장 데이터로부터 일정별 적정 높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수직 이동부에 가금류 신장에 맞는 급수라인의 높이를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의 하부 가이드의 일측에 가금류의 신장을 감지하여 가금류의 신장 정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금류 신장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가금류의 신장 정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수직 이동부에 가금류 신장에 맞는 급수라인의 높이를 상,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의 하부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깔짚의 외부 공간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온습도측정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온습도측정신호를 수신하여 온도와 습도가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축사 내의 환풍장치에 대한 가동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온도와 습도가 일정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환풍장치에 대한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의 하부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깔짚의 외부 공간의 암모니아가 일정 함량 이상일 경우 암모니아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암모니아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암모니아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축사 내의 환풍장치의 가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KR1020120132032A 2012-11-20 2012-11-20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KR10142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32A KR101423310B1 (ko) 2012-11-20 2012-11-20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032A KR101423310B1 (ko) 2012-11-20 2012-11-20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78A KR20140064578A (ko) 2014-05-28
KR101423310B1 true KR101423310B1 (ko) 2014-08-14

Family

ID=5089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032A KR101423310B1 (ko) 2012-11-20 2012-11-20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790B (zh) * 2019-07-19 2022-01-11 东华大学 一种自动家猫喂养系统
KR102590147B1 (ko) 2020-12-09 2023-10-16 최수남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고 순환되는 축사용 급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956U (ja) * 1984-06-16 1986-01-18 株式会社 増田製作所 飼育用給水栓
KR950030772A (ko) * 1994-05-25 1995-12-18 마우린 노톤 클레바노브 특히 양계장에 유용한 물 공급 시스템
WO2010133411A1 (en) 2009-05-21 2010-11-25 Teknometal Otomat Metal Sanayi Ve Ticaret Ltd.Sti. Water supply assembly for poultry
KR20110021594A (ko) * 2009-08-26 2011-03-04 송영갑 가금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956U (ja) * 1984-06-16 1986-01-18 株式会社 増田製作所 飼育用給水栓
KR950030772A (ko) * 1994-05-25 1995-12-18 마우린 노톤 클레바노브 특히 양계장에 유용한 물 공급 시스템
WO2010133411A1 (en) 2009-05-21 2010-11-25 Teknometal Otomat Metal Sanayi Ve Ticaret Ltd.Sti. Water supply assembly for poultry
KR20110021594A (ko) * 2009-08-26 2011-03-04 송영갑 가금용 급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78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372B2 (en) Height adjustable feeding trough
EA024463B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хлевах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KR20090116574A (ko) 축사용 자동냉온수 급수기
CN205389864U (zh) 多功能版纳微型猪近交系仔猪猪舍
US20170127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ultry house floor
CN204047564U (zh) 适合农村蛋鸡养殖专业户的网床式圈舍
KR101423310B1 (ko) 축사 급수라인 이동제어 및 이동장치
EP3248458B1 (en) Mobile piggery installation
JP3110491U (ja) トンネル換気式牛舎構造
CN107466900B (zh) 一种立体栖架散养鸡舍
KR101889407B1 (ko) 가축용 사료 급이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가축용 사료 급이 시스템
CN205912711U (zh) 一种智能化育蝇房
CN111699985A (zh) 一种动物饲养房车
CN112544451A (zh) 一种牲畜养殖场保育系统
US6973895B2 (en) Animal feeding and watering apparatus
CN106577321A (zh) 一种能自动喂养的竹鼠养殖笼
CN107926718B (zh) 一种智能的高架床猪舍
CN212993699U (zh) 一种动物饲养房车
KR102097968B1 (ko) 애완동물용 먹이공급장치
CN208850419U (zh) 设有喂水系统的鸡舍
RU174935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репродукторный свинарник
US20110073044A1 (en) Bird drinker assembly with a triangular supply line
CN205902669U (zh) 一种新型育蝇房
Allen The impact of housing on mastitis
CN212813562U (zh) 一种防病效果好的鸡舍保温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