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254B1 -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254B1
KR101423254B1 KR1020120046472A KR20120046472A KR101423254B1 KR 101423254 B1 KR101423254 B1 KR 101423254B1 KR 1020120046472 A KR1020120046472 A KR 1020120046472A KR 20120046472 A KR20120046472 A KR 20120046472A KR 101423254 B1 KR101423254 B1 KR 10142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keyword
contents
wo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206A (ko
Inventor
옥성수
Original Assignee
옥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성수 filed Critical 옥성수
Priority to KR102012004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2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은, 작가로부터 텍스트 목차를 입력받는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 상기 텍스트 목차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텍스트 목차 분류모듈; 상기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텍스트 목차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키워드로 설정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 사전 기능을 구비한 언어 라이브러리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분석하는 키워드 의미 분석 모듈; 상기 키워드를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수록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분석된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시키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모듈; 추출된 상기 이미지와 텍스트 목차를 함께 편집하여 목차를 완성하는 목차 구성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에 의하면, 텍스트에 연관된 이미지를 통하여 독자가 목차를 보다 쉽게 이해하거나 암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SYSTEM FOR EDITING IMAGE INDEX FOR MEMORIZING INDEX OF BOOKS}
본 발명은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목차에서 핵심적인 의미를 가지는 키워드를 추출한 다음 이 키워드의 의미를 지칭하거나 연상되도록 하는 이미지를 목차에 삽입하여 독자가 이미지 연상기법에 의해 목차를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목차는 출판물의 본문의 주요 구성부분을 순서대로 또는 그 중요도의 순으로 열거하여 찾아보기 쉽도록 해 놓은 것으로, 흔히 차례라고도 한다.
모든 출판물에 반드시 목차를 붙여야 하는 것은 아닌데, 사전류 등에서는 목차를 흔히 생략하기도 한다.
잡지에서는 그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하기보다는 기사의 중요도순으로 꾸미기도 하지만, 그 순서야 어떻든간에 목차는 서적이나 잡지 등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으로 검색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사항들이 한눈에 들어 오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목차는 검색의 역할 및 본문의 중요한 흐름을 간단 명료하게 정리하여 독자로 하여금 본문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개략적으로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본문의 내용을 숙지하거나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에게는 이러한 목차가 하나의 암기 대상이 되는 경우도 많은바, 목차를 이해해야 체계적인 순서대로 본문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공지의 도서, 책자에서의 목차는 텍스트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용이 딱딱하고 정형적이라 독자가 이를 잘 암기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고, 목차의 첫자를 따서 일명 두문자 암기 방식으로 목차를 암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두문자 자체가 특정 의미를 갖지 않는 이상 두문자도 어려워 잘 암기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따른다.
한국 특허 제 238030호인 '자동 목차 작성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특허를 참조하면, 문서를 스캔하여 기준에 따라 목차 제목을 추출하여 목차를 자동으로 작성함으로써 목차 작성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에 의하면, 목차 작성의 편의성을 제공할지는 몰라도 공지의 도서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텍스트 문자로 이루어져 있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에는 역부족하다.
따라서 텍스트 문자로만 구성되던 공지의 목차 작성 방식을 탈피하여 텍스트 문자에서 핵심이 되거나 작가가 지정한 단어를 이미지로 화체하여 해당 이미지를 텍스트 목차와 함께 목차의 일부 구성으로 작성함으로써 목차 암기 및 이해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목차 작성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목차의 특정 단어를 기준으로 해당 단어의 의미를 지칭하거나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목차의 일부 구성으로 생성하여 독자로 하여금 목차의 중요 단어 내지 핵심 단어를 보다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목차 작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가에게 목차를 분류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분류 별로 키워드를 입력 환경을 통해 입력하도록 하여 작가의 의도가 충분히 반영이 된 키워드를 통해 이미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상 명사 내지 비유체물을 표현한 단어가 키워드로 선정되었을 때 이를 특정 유체물을 연상할 수 있는 단어로 대체하여 이미지화하는데 편의성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자동으로 텍스트에서 특정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기준과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은, 작가로부터 텍스트 목차를 입력받는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 상기 텍스트 목차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텍스트 목차 분류모듈; 상기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텍스트 목차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키워드로 설정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 사전 기능을 구비한 언어 라이브러리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분석하는 키워드 의미 분석 모듈; 상기 키워드를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수록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분석된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시키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모듈; 추출된 상기 이미지와 텍스트 목차를 함께 편집하여 목차를 완성하는 목차 구성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상 단어를 수록한 연상 단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은, 상기 키워드 중 명사를 추출하는 명사 파악부와, 추출된 상기 명사 중 유체물과 비유체물의 의미로 분류하는 유체물 여부 파악부 및, 상기 명사가 유체물인 경우 상기 키워드로 지정하고, 상기 명사가 유체물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연상 단어 DB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해당 유체물이 아닌 명사를 연상 단어로 교체하여 키워드로 지정하는 키워드 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상 단어를 수록한 연상 단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의미 분석모듈은, 상기 키워드를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와 비교 판단을 하여 유체물 해당 의미를 갖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비유체물 의미를 가진 키워드를 상기 연상 단어 DB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연상 단어로 교체하는 자동 분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이미지 수집부와, 해당 이미지의 제목을 나타내는 표제어를 해당 이미지에 부여하여 상기 표제어를 해당 이미지와 같이 저장하는 표제어 생성부 및, 해당 이미지에 대한 의미를 단어 내지 어구로서 표현한 연상어를 해당 이미지에 부여하여 해당 이미지와 같이 저장하는 연상어 생성부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 구성 모듈;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추출 모듈은, 상기 키워드와 상기 표제어 및 연상어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상 단어를 수록한 연상 단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목차 구성 모듈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와 상기 연상 단어와 같은 의미를 갖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와, 독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이미지 선택부 및,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된 이미지로 교체하는 이미지 교체부를 포함하는 독자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에 의하면,
1) 텍스트에 연관된 이미지를 통하여 독자가 목차를 보다 쉽게 이해하거나 암기할 수 있고,
2) 작가가 목차를 작성한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여 독자에게 핵심적인 단어의 의미를 이미지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작가의 목적을 상징적이자 직접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3) 키워드를 자동 생성하고 이에 맞는 이미지를 역시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하여 목차 작성의 편의성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포함한 목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주로 학습서, 참고서, 소설, 성경 등의 종이로 이루어진 책자(도서)는 물론 전자매체를 이용한 이북(e-book)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작가로부터 텍스트 목차를 받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이 목차를 분석 및 편집하여 목차와 의미에 있어 연관이 있는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에서 추출하여 텍스트 목차와 함께 전체적인 목차를 구성 및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후술할 세부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여 출판사 또는 이북 제작 업체에서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작가용 프로그램으로 개발이 되어 작가가 직접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까지 완성된 목차를 생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독자용 프로그램까지 제공하여 독자 스스로 자신의 특성에 알맞는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110), 텍스트 목차 분류 모듈(120), 키워드 추출 모듈(130), 키워드 의미 분석모듈(140), 연상 단어 설정모듈(140), 이미지 데이터 구성 모듈(150), 이미지 추출 모듈(160), 목차 구성 모듈(17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포함한 목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110)은 작가에 의해 기본적으로 작성된 텍스트 목차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책자, 이북 등의 초기 페이지에는 목차가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목차는 주로 단어의 조합, 문장 형식의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텍스트 목차는 주로 작가가 직접 작성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110)은 작가의 클라이언트 서버(주로 PC 또는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목차 서버(10)에 업로딩을 하거나 아니면 텍스트 목차가 작성된 문서를 스캐닝하여 OCR 프로그램에 의해 문자 판독을 한 다음 목차 서버(1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목차 서버(10)라 함은 주로 출판사에 구비된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즉,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로 구현)과 연동될 수 있고, 작가가 작성한 어문 저작물(소설 등의 집필본)을 입력 및 저장하는 기능은 물론 텍스트 목차 및 후술할 키워드 등을 작가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후술하겠지만 편집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하여 작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110)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이미지를 포함한 목차를 작성하기 위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작가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 목차를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텍스트 목차 분류 모듈(120)은 상기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110)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 목차를 이미지 생성 및 구성을 위하여 특정 분류 방식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즉 전체적인 텍스트 목차에서 이미지가 생성될 위치와 텍스트 의미에 대한 균형적인 배열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텍스트 목차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텍스트 목차 분류 모듈(120)은 구체적으로 문단 기준 분류부(121), 작가 기준 분류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문단 기준 분류부(121)는 텍스트 목차의 전체 문단 개수를 파악하여 문단을 기준으로 텍스트 목차를 일명 '블록'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목차가 I...II... 또는 1,2...와 같이 중/소분류로서 분류되어 있을 때 이러한 넘버가 하나의 문단(줄 바꿈 처리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할 것인데, 예를 들어 전체 문단이 10개인 경우 후술할 목차 구성모듈(170)의 페이지 설정부(171)에 의하여 설정된 페이지가 3페이지인 경우 1-4, 5-7,8-10과 같이 3 내지 4개의 문단으로 블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문단 기준 분류부(121)는 텍스트 목차를 이루는 전체 문단의 개수와 페이지 수를 함께 판단한 다음 이를 통해 페이지 수를 기준으로 블록을 설정하거나 아니면 전체목차/n(여기서, n은 이미지의 개수 내지 페이지 수 또는 키워드의 개수에 따라 다변화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n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기보다 텍스트 목차를 특정 개수로 분류한다는 의미가 더욱 중요하다)으로 블록화하여 분류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가 기준 분류부(122)는 작가의 클라이언트 서버를 이용하여 작가가 직접 텍스트 목차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신이 작성한 텍스트 목차를 목차 서버(10)에 각 블록별로 붙여 넣기 등의 방식으로 업로딩을 하여 목차 서버(10)에서 텍스트 목차의 블록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는 텍스트 목차를 작성한 작가가 목차의 흐름이나 의미를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에 상기 문단 기준 분류부(121)와 같이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식을 추구하지 않고 작가가 직접 분류를 하도록 하여, 목차의 의미와 흐름을 독자가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텍스트 목차 분류 모듈(120)에 의하면, 후술할 이미지를 추출/삽입하기 이전에 이미지가 배열될 수 있는 형식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이미지가 복수 개로 분류된 블록의 어느 한 곳에 치우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시 말해 텍스트 목차에서 분류된 하나의 블록 당 하나의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생성에 대한 형식적 기준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키워드 추출모듈(130)은 상기 텍스트 목차 분류 모듈(120)에서 분류한 블록을 1개 단위로서 각 블록당 특정 단어, 즉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키워드라 함은 텍스트 목차에서 분류된 블록 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어 중에서 가장 대표가 되거나 상징적인 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목차에 삽입될 이미지를 화체하는 의미를 제공하는 단어이다.
이러한 키워드는 목차를 작성한 작가 스스로 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바, 키워드 추출모듈(130)은 작가가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대표적인 단어로 여기는 단어를 특정하여 이를 각 블록 별로 목차 서버(10)에 업로딩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작가가 직접 키워드를 정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키워드 추출모듈(130)은 자동 추출부(131)에 의하여 자동으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동 추출부(131)는 시스템 차원에서 텍스트 목차의 각 블록 별로 특정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 내지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명사 파악부(131a), 유체물 여부 파악부(131b), 키워드 선정부(131c)로 구성되어 있다.
명사 파악부(131a)는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어 중에서 명사에 해당하는 단어를 1차적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동사, 형용사의 경우 명사보다 이미지로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인바 명사를 우선적으로 키워드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미지 표현의 직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유체물 여부 파악부(131b)는 상기 명사 파악부(131a)에서 파악된 명사 중 유체물에 해당되는 단어를 언어 라이브러리(50)에 수록된 단어와 비교 판단하여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역시 명사 중 추상 명사와 같은 명사는 이미지로 화체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제외하고 유형적인 이미지로서 화체하기 편리한 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추출하도록 하고, 이 때 해당 명사가 유체물인지 여부는 후술할 언어 라이브러리(50)에 수록된 단어와의 비교 판단에 의하여 구현하도록 한다.
키워드 선정부(131c)는 명사 파악부(131a)에서 파악된 명사 중 유체물의 의미를 가진 단어를 최종적으로 키워드르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만일 해당 블록 내에서 유체물에 해당되는 단어가 없을 경우에는 해당 단어 중 어느 하나를 후술할 연상 단어로 대체하여 그 연상 단어를 최종적으로 키워드로서 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때, 연상 단어라 함은 후술하겠지만 추상 명사와 같이 유형적인 이미지로서 표현하기 힘든 단어를 유형적인 단어로 대체하는 대체어를 의미하는바, 예를 들어 시집 목차에서 '기다림'이라는 추상 명사의 경우 '초초하게 서 있는 사람의 모습'과 같은 연상 단어로 대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키워드 추출모듈(130)에 의하면, 이미지로 표현될 핵심 단어인 키워드를 작가에 의한 직접 선정 방식으로 추출하거나 아니면 유체물에 해당하는 명사 위주로 자동 선별하여 이미지 생성 기능에 필요한 전제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키워드 의미 분석 모듈(140)은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130)에서 추출된 키워드의 의미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키워드와 의미가 연관된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전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키워드 의미 분석모듈(140)은 구체적으로 언어 라이브러리(50) 및 자동 분석부(141)와 작가 의미 부여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 라이브러리(50)는 국어사전 또는 영어 사전을 이루는 수많은 단어를 그 의미(동의어, 반의어, 예문 등 포함 가능)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로서 수록한 것으로, 연상 단어 DB(55)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언어 라이브러리(50)는 키워드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사전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데, 호랑이/비누와 같은 유체물을 표시하는 단어는 충분히 해당 사자, 비누라는 객체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이미지가 연상될 수 있지만, 감정 표현 단어(좋다, 싫다 등), 추상 명사에 해당하는 단어(관계, 태동), 동사(움직이다, 발견하다)와 같은 단어로 이루어진 키워드는 특정 이미지를 연상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관 지을 수 있도록 연상 단어 DB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한다.
연상 단어 DB(55)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어구 가능)들을 수록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가령 감정을 표현한 키워드인 설레임은 '흐뭇한 미소를 짓고 있는 여자의 얼굴 표정'과 같은 얼굴 표정이라는 유형적 상태를 풀어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연상 단어 DB(55)는 수많은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일일이 유체물과 같은 의미로서 대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친 많은 인력에 의한 수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는 있으나, DB 구축을 하게 되면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따른다.
즉 본 발명에서 연상 단어 DB(55)는 비유체물의 단어를 유체물로 표현 가능한 의미를 가지거나 특정 유체물을 연상할 수 있도록 재해석한 새로운 개념의 언어 사전 데이터베이스로 이해할 수 있다.
자동 분석부(141)는 키워드를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50)에 수록된 단어 내지 의미와 비교 판단을 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이용한 감정 분석 또는 비유체물 분석을 통해 유체물 단어는 그대로 승인 처리를 하고 비유체물 단어는 연상 단어로 대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자동 분석부(141)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키워드가 '데이터'라는 비유체물 명사인 경우 언어 라이브러리(50)에 수록된 의미와 1차 비교 판단을 하여 일단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임을 인식하고, 연상 단어 DB(55)에서 데이터를 찾은 다음 해당 '데이터'라는 키워드를 연상 단어 DB(55)에 수록되어 있는 연상 단어로 자동으로 대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작가 의미 부여부(142)는 키워드에 대하여 작가가 직접 해석한 단어를 목차 서버에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 즉 작가로부터 키워드의 의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작가는 키워드에 대한 의미를 역시 추상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특정 유체물을 연상할 수 있거나 해당 유체물을 지칭할 수 있는 단어를 포함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가 의미 부여부(142)는 작가 스스로 키워드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보다 본질적이자 핵심적인 의미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기준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인 키워드 의미 분석모듈(140)에 의하여 키워드가 유체물, 비유체물, 추상단어, 명사 이외의 단어일 경우에도 특정 유체물을 연상하거나 지칭할 수 있는 단어로 치환하거나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기준늘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 구성 모듈(150)은 상기 키워드에 연관된 이미지를 수록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는 특정 단어를 특정 유체물로 표현하거나 연상 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사진, 스킬 컷을 총괄하는 이미지를 수록한 것으로서, 이미지 데이터 구성 모듈(150)에 의하여 각각의 이미지 별로 표제어 내지 연상어가 부여되어 있다.
표제어는 해당 이미지의 제목을 나타내는 단어를 의미하고, 연상어는 상기 연상 단어 자체이거나 연상 단어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 내지 어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데이터 구성 모듈(150)은 다양한 키워드를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목차 서버(10) 내에 수집 및 저장하고 지속적인 갱신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수집부(151)와, 해당 이미지의 제목을 나타내는 표제어를 이미지에 부여하여 목차 서버(10)에 이미지와 같이 저장하는 표제어 생성부(152) 및, 해당 이미지를 보았을 때 연상되는 의미를 단어 내지 어구로서 표현한 연상어를 이미지에 부여하여 목차 서버(10)에 역시 이미지와 같이 저장하는 연상어 생성부(15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에 수록된 각각의 이미지는 표제어와 연상어를 포함하고 표제어가 유체물인 경우에는 연상어가 생략될 수 있거나 표제어와 같은 단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 역시 연상 단어 DB(55)와 마찬가지로 초기 제적에 많은 노력과 인력이 소요될 수 있으나 일단 생성이 되면 본 발명의 목적을 추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구성 모듈(150)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를 생성하되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제목 내지 이미지가 표현하려는 의미 내지 연상시키는 의미를 파일 헤더에 코드를 부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해당 이미지에 부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미지 추출모듈(160)은 상기 키워드 및 연상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이미지의 표제어 및 연상어 중 어느 하나와 비교 처리하여 일치되는 이미지를 최종적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키워드는 이미지의 표제어와 이미지의 연상어를 순차적으로 비교 판단하여 일치되는 이미지를 추출하게 되고, 연상 단어는 이미지의 연상어와 비교 판단을 하여 연상 단어와 연상어의 일치 여부에 의해 해당 연상어가 부여된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미지 추출 모듈(160)은 시스템 차원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나,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작가 스스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를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특정 키워드 또는 연상 단어와 가장 적합하게 어울리거나 의미의 일체성을 가진 이미지를 직접 추출하여 추출된 이미지를 목차 서버(10)에 업로딩하거나 등록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이미지 추출 모듈(160)은 텍스트 목차의 각 블록 별 키워드를 연상시키거나 의미에서 서로 통하는 이미지를 최종적으로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이 때 추출된 이미지는 블록의 개수와 같다. 다만, 하나의 블록에서 복수 개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예를 들어 1개 블록 당 2개의 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을 허용하여 해당 2개의 키워드에 매칭된 이미지 역시 2개로서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차 구성 모듈(170)은 블록 처리된 텍스트 목차와 각 블록 별로 이미지를 합성 내지 배열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페이지 설정부(171), 이미지 배열 설정부(172), 목차 편집부(173)로 이루어져 있다.
페이지 설정부(171)는 도서에서 목차가 차지하는 페이지 수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텍스트 목차 분류 모듈(120)과 연동이 되어 블록의 개수와 페이지 수가 상호 연관되어 블록의 개수 내지 페이지 수를 결정하도록 한다. 더불어, 책자의 전체 페이지를 감안하여 목차 페이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미지 개수는 상기 텍스트 목차 분류모듈(120)에 의해 분류된 블록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를 가지는 것이 기본이지만, 페이지 설정부(171)는 추가적으로 블록의 개수보다 많거나 적게 이미지 개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페이지 설정부(171)는 반드시 키워드 또는 블록 1개당 1개의 이미지로 정형화되지 시키지 않고 작가의 설정에 의하여 그와 다른 개수로 이미지 개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바, 작가의 클라이언트 서버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에 수록된 이미지들을 작가에게 디스플레이하면서 작가가 이러한 이미지를 참고하여 이미지 개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지 배열 설정부(172)는 작가의 조작 내지 기준 템플릿을 통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의 사이즈 및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동 조작 방식은, 작가의 클라이언트 서버에 조작창을 제공하여 조작창 내에서 잘 알려진 '미리보기' 기능과 같이 목차 내에 이미지를 삽입한 다음 이미지의 위치와 사이즈를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조작하거나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스마트폰)에서의 터치 스크린일 경우에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미지 배열 설정부(172)에서의 수동 수단은 조작창을 통하여 텍스트 목차 내에서 이미지의 크기와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미지 배열 설정부(172)에서 자동 설정 수단은 미리 준비된 기준 템플릿을 통하여 이미지의 사이즈 및 위치를 자동 결정하도록 하는바, 구체적으로는 목차 페이지 수와 이미지의 개수라는 수치를 통해 이 수치와 일치하는 기준 템플릿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추출하고 이러한 검색 결과 중 어느 하나의 템플릿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사이즈와 위치를 이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기준 템플릿은 미리 페이지의 구성을 설정한 레이 아웃과 같은 것으로서, 페이지 개수와 이미지 개수라는 수치를 함께 포함한 상태에서 DB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기능에 의해 결정된 이미지/목차 페이지 수와 비교 검색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기준 템플릿을 선정할 수 있다.
목차 편집부(173)는 상기 이미지 배열 설정부(172)에서 결정된 이미지 사이즈/위치에 따라 텍스트 목차와 함께 이미지를 편집하여 최종적으로 목차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텍스트 목차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 일 측, 또는 텍스트 목차는 왼쪽 페이지, 이미지는 오른쪽 페이지에 위치하는 방식 등으로 이미지를 삽입하여 전체적으로 이미지에 의하여 디자인 처리가 된 목차를 제공하여 목차의 신선함과 세련됨을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미지가 텍스트 목차에서 특정 단어를 형상화한 것이기 때문에 독자가 이러한 이미지를 보고 보다 목차를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여 책자의 전체적인 줄거리나 핵심적인 흐름을 보다 알기 쉽고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20)는 특히 이북에 유용하게작용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이 가능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작가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30)과 독자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작가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30)의 경우, 상술한 입력부 내지 입력수단을 통해 목차/본문, 목차를 분류한 블록, 각 블록당 키워드 선정은 물론 이미지 데이터베이스(60)를 직접 작가가 확인하여 작가의 의도에 맞는 이미지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포함한 목차를 작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제공 형태를 변형하였을 뿐 상술한 기능 및 작용과 유사하다 할 것이다.
독자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40)는 독자 스스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독특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북 형태로 제공된 도서의 목차를 독자의 취향에 맞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키워드 자체는 작가가 직접 설정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키워드 자체까지 독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해당 키워드에 독자 스스로 연관성이 강한 이미지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존재할 때 초기에 제공된 이미지와 별개로서 해당 키워드를 연상할 수 있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독자의 개인적 취향을 부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독자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40)는 이북 리더 기능을 포함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내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미지 제공부(41), 이미지 선택부(42), 이미지 교체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제공부(41)는 연상 단어 DB(55)와 연동되어, 각각의 키워드에 연관되는 연상어를 갖는 다수의 이미지를 독자에게 디스플레이 화면(컴퓨터 모니터 또는 스마트폰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미지 제공부(41)는 이미 작가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를 독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물론 다른 이미지 역시 작가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연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령, '설레임'에 대한 키워드에서 작가가 결정하는 방식 등으로 독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된 이미지가 '가슴에 손을 얹고 먼 곳을 응시하는 여자'였다면 이미지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다른 이미지는 '해맑게 웃고 있는 남자' 또는 '기도하면서 눈을 감고 있는 아이'와 같이,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 방식을 가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미지 선택부(42)는 상기 이미지 제공부에서 제공한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독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미지 교체부(43)는 선택된 이미지를 신규 이미지로 인식하여 원래 이미지에서 선택된 이미지로 교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원칙적으로 교체 전 이미지와 교체 후 이미지의 위치나 크기는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독자의 의도에 따라 사이즈/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20)에 의하여, 목차를 작성하는 작가와 목차를 재편집할 수 있는 독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목차 서버 20: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
30: 작가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 40: 독자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
41: 이미지 제공부 42: 이미지 선택부
43: 이미지 교체부 50: 언어 라이브러리
55: 연상 단어 DB 60: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110: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 120: 텍스트 목차 분류모듈
121: 문단 기준 분류부 122: 작가 기준 분류부
130: 키워드 추출모듈 131: 자동 추출부
131a: 명사 파악부 131b: 유체물 여부 파악부
131c: 키워드 선정부 140: 키워드 의미 분석모듈
141: 자동 분석부 142: 작가 의미 부여부
150: 이미지 데이터 구성모듈 151: 이미지 수집부
152: 표제어 생성부 152: 연상어 생성부
160: 이미지 추출모듈 170: 목차 구성모듈
171: 페이지 설정부 172: 이미지 배열 설정부
173: 목차 편집부

Claims (7)

  1.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으로서,
    작가로부터 텍스트 목차를 입력받는 텍스트 목차 입력모듈;
    상기 텍스트 목차를 복수 개의 블록으로 분류하는 텍스트 목차 분류모듈;
    상기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텍스트 목차를 이루는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키워드로 설정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
    사전 기능을 구비한 언어 라이브러리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분석하는 키워드 의미 분석 모듈;
    상기 키워드를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를 수록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분석된 상기 키워드의 의미를 연상시키거나 지칭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모듈;
    추출된 상기 이미지와 텍스트 목차를 함께 편집하여 목차를 완성하는 목차 구성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은,
    작가로부터 각 블록 별 키워드를 입력받아 키워드를 결정하는 작가 의미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상 단어를 수록한 연상 단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추출모듈은,
    상기 키워드 중 명사를 추출하는 명사 파악부와,
    추출된 상기 명사 중 유체물과 비유체물의 의미로 분류하는 유체물 여부 파악부 및,
    상기 명사가 유체물인 경우 상기 키워드로 지정하고, 상기 명사가 유체물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연상 단어 DB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해당 유체물이 아닌 명사를 연상 단어로 교체하여 키워드로 지정하는 키워드 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상 단어를 수록한 연상 단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의미 분석모듈은,
    상기 키워드를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와 비교 판단을 하여 유체물 해당 의미를 갖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비유체물 의미를 가진 키워드를 상기 연상 단어 DB와의 비교 판단을 통해 상기 연상 단어로 교체하는 자동 분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이미지 수집부와,
    해당 이미지의 제목을 나타내는 표제어를 해당 이미지에 부여하여 상기 표제어를 해당 이미지와 같이 저장하는 표제어 생성부 및,
    해당 이미지에 대한 의미를 단어 내지 어구로서 표현한 연상어를 해당 이미지에 부여하여 해당 이미지와 같이 저장하는 연상어 생성부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 구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추출 모듈은,
    상기 키워드와 상기 표제어 및 연상어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차 구성 모듈은,
    목차의 페이지 수를 결정하는 페이지 설정부와,
    상기 이미지의 사이즈와 배열 위치를 설정하는 이미지 배열 설정부 및,
    상기 이미지 배열 설정부에서 결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상기 텍스트 목차와 함께 편집 구성하는 목차 편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라이브러리는,
    비유체물에 해당하는 단어를 특정 이미지로 연상할 수 있도록 의미를 재설정한 단어 및 어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상 단어를 수록한 연상 단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목차 구성 모듈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와 상기 연상 단어와 같은 의미를 갖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화면에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와,
    독자의 조작에 의해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이미지 선택부 및,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된 이미지로 기존 이미지를 교체하는 이미지 교체부를 포함하는 독자용 목차 편집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목차의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KR1020120046472A 2012-05-02 2012-05-02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KR10142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472A KR101423254B1 (ko) 2012-05-02 2012-05-02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472A KR101423254B1 (ko) 2012-05-02 2012-05-02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06A KR20130123206A (ko) 2013-11-12
KR101423254B1 true KR101423254B1 (ko) 2014-07-24

Family

ID=4985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472A KR101423254B1 (ko) 2012-05-02 2012-05-02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112A (ko) * 2019-01-08 2020-07-16 옥성수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583B1 (ko) * 2018-01-23 2018-05-31 주식회사 뮤엠교육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스마트 책장 시스템
KR102243919B1 (ko) * 2019-03-29 2021-04-2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전자 문서에 삽입된 개체의 병합을 통해 요약 이미지의 생성이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162639A (zh) * 2019-04-16 2019-08-23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识图知意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578955A (zh) * 2019-09-30 2021-03-30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节目编辑方法、装置及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42268B1 (ko) * 2021-08-23 2023-06-12 옥성수 키워드 이미지 대입을 이용한 목차 암기 학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327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자동 목차 작성 장치 및 방법
KR20100103001A (ko) * 2009-03-12 2010-09-27 조정열 이슈 분석 시스템 및 이슈 분석을 위한 이슈 분석 데이터를생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327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자동 목차 작성 장치 및 방법
KR20100103001A (ko) * 2009-03-12 2010-09-27 조정열 이슈 분석 시스템 및 이슈 분석을 위한 이슈 분석 데이터를생성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112A (ko) * 2019-01-08 2020-07-16 옥성수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KR102170573B1 (ko) 2019-01-08 2020-10-27 옥성수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06A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dhlund et al. NVivo 12 essentials
US202401190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and assisted patent claim mapping and expense planning
US202100655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isual learning environment for creation, presentation, sharing, organizing and analysis of knowledge on subject matter
Mahlberg et al. CLiC Dickens: Novel uses of concordances for the integration of corpus stylistics and cognitive poetics
Edhlund et al. Nvivo 11 essentials
KR101423254B1 (ko) 도서의 목차 암기를 위한 이미지 목차 편집 시스템
GB2556174A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from electronic documents
CN102165437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Costa et al. A comparative user evaluation of terminology management tools for interpreters
CN102165438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CN109271492A (zh) 一种语料正则表达式的自动生成方法及系统
Crasborn et al. From corpus to lexicon: the creation of ID-glosses for the Corpus NGT
JP3899414B2 (ja) 教師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言語解析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90572A (ko) 작품 이미지와 텍스트를 매칭하여 도서를 제작하는 도서 제작 시스템
Edhlund et al. NVivo for Mac essentials
CN114692655A (zh) 翻译系统及文本翻译、下载、质量检查和编辑方法
Vierros Linguistic annotation of the digital papyrological Corpus: Sematia
Okinina et al. Transc&Anno: A graphical tool for the transcription and on-the-fly annotation of handwritten documents
JP2007323238A (ja) 強調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70573B1 (ko) 도서표지에 이미지를 적용한 목차 주제 암기 학습 시스템
JP3122417B2 (ja)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Tyrkkö et al. Semi-automatic discovery of multilingual elements in English historical corpora: Methods and challenges
Edhlund et al. NVivo 12 for Mac Essentials
JP2008171164A (ja) 分類付与支援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42268B1 (ko) 키워드 이미지 대입을 이용한 목차 암기 학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