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897B1 -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897B1
KR101422897B1 KR1020110132497A KR20110132497A KR101422897B1 KR 101422897 B1 KR101422897 B1 KR 101422897B1 KR 1020110132497 A KR1020110132497 A KR 1020110132497A KR 20110132497 A KR20110132497 A KR 20110132497A KR 101422897 B1 KR101422897 B1 KR 10142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message
information
ca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897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13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8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04M3/4365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e.g. priority or su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가입자로부터의 설정에 따라 해당 착신 단말로 발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인증하고 그 인증 결과에 따라 해당 호 또는 메시지를 정상 처리하거나 차단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는,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설정부; 상기 착신 단말로의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판단부;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시 불규칙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그 인증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해당 인증 번호가 입력되어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호/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통신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Server,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communicating call/message based on call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발신자에 대한 인증을 기반으로 발신 호 또는 메시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호/메시지'라 칭함)를 착신자에게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 PCS, PDA, DMB 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개인의 편의성 및 사생활 침해 보호 측면에서 발신자번호표시(CID)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부재 중 착신 호에 대하여 상대방의 정보를 남겨 답답함을 없애줌과 동시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알려주어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별정 통신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데, 별정 통신 사업은 기간 통신 사업자로부터 전기 통신 설비를 빌리거나 일부를 직접 설치해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통화 연결 과정에 효과음이 발생하는 필링 또는 컬러링 서비스, 인터넷폰을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는 인터넷 폰 서비스, 광고, 운세, 오락 및 생활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060, 080, 700 음성 정보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별정 통신 사업자는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팸 문자 및/또는 스팸 전화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화 광고 등과 같은 스팸(Spam)은 대부분의 경우 수신인이 원하지도 않고 관심도 없는 메시지이며, 아주 적은 비용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상품을 광고하거나 특정인, 특정 상품 또는 특정 기업을 비방할 목적으로 유무선 인터넷을 악용하는 행위로 취급 받는다.
실제로,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신고된 스팸 전화만도 수십만여 건에 달하며, 신고되지 않은 건을 포함하면 스팸에 의한 피해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060 서비스의 경우 1~2회의 페이징 신호만 전달한 후 호를 종료(일명 '원링콜' 이라 칭함)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전화를 시도하도록 유도하고 있고, 700 음성 정보 서비스 등은 대부분 자동응답시스템(ARS) 등을 이용하여 사람이 아닌 시스템에서 자동 발신(일명 '시스템 발신 콜' 이라 칭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스팸성 원링콜이나 시스템 발신 콜 등은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발송되기 때문에 더욱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불법 전화 광고는 녹음하지 않는 한 증거를 찾기 어려워 처벌이 매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스팸 메시지 또는 전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스팸 전화 송출자의 규제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7806호(2008.07.22. 공개)
본 발명은 착신 단말로 발신되는 호/메시지를 인증하고 그 인증 결과에 따라 해당 호 또는 메시지를 정상 처리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는,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설정부; 상기 착신 단말로의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판단부;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시 불규칙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그 인증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해당 인증 번호가 입력되어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호/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통신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차단 정보에 따라 특정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메시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 정보는 차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예외 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예외 대상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 그 주소록 중 선택된 대상자, 또는 별도로 입력된 대상자에 대해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호 발생 시마다 인증하도록 하는 제1정보 또는 1회 인증 후 일정 기간 또는 횟수 동안 인증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모든 발신자 또는 선택된 발신자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인증부는 상기 착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인증 실패 내역(즉, 발신 호/메시지 차단 내역)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정보 설정부는 상기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연결부는 상기 인증 실패 내역을 기초로 한 착신 단말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기 차단된 발신 호/메시지를 복원(즉, 기 차단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기 차단된 발신 호의 발신 단말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정보 설정부는 상기 복원된 발신 호/메시지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 왑(WAP), 웹(WEB), 또는 앱(APP)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과 통신하여 전술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착신 단말은,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설정 또는 갱신하고, 그 설정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와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설정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호/메시지 차단 내역을 수신하는 차단 내역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호/메시지 차단 내역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차단된 발신 호/메시지를 복원(즉,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차단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차단된 발신 호의 발신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차단 호/메시지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예외 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예외 대상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 그 주소록 중 선택된 대상자, 또는 별도로 입력된 대상자에 대해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호/메시지 발생 시마다 인증하도록 하는 제1정보 및 1회 인증 후 일정 기간이나 횟수 동안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모든 발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신자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특정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메시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단 정보는 차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 설정부는 상기 수신된 호/메시지 차단 내역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의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정보 설정부는 상기 차단 호/메시지 복원부를 통해 복원된 발신 호/메시지의 발신 단말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의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로 발신된 호/메시지에 따라 서비스 서버로부터 불규칙한 인증 번호 및 그 인증 번호에 대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인증요청 수신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인증정보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신된 호/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와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발신 단말은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 왑(WAP), 웹(WEB), 또는 앱(APP)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은,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단말로의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불규칙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그 인증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해당 인증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의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호/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e)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차단 정보에 따라 특정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메시지를 차단하는 단계; (f)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인증 실패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g) 상기 단계 (f)에서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의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 (f)에서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을 기초로 착신 단말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계 (d)에서 차단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달하거나 상기 단계 (d)에서 차단된 발신 호의 발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 정보는 차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h)에서 착신 단말로 전달된 발신 메시지의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과 통신한 발신 단말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예외 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예외 대상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 그 주소록 중 선택된 대상자, 또는 별도로 입력된 대상자에 대해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호/메시지 발생 시마다 인증하도록 하는 제1정보 또는 1회 인증 후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인증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모든 발신자 또는 선택된 발신자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신은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 왑(WAP), 웹(WEB), 및 앱(APP)을 이용한 통신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은, 착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설정 또는 갱신하고, 그 설정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와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인증 실패 내역(즉, 호/메시지 차단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인증 실패 내역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차단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차단된 발신 호의 발신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예외 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예외 대상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 그 주소록 중 선택된 대상자, 또는 별도로 입력된 대상자에 대해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호/메시지 발생 시마다 인증하도록 하는 제1정보 및 1회 인증 후 일정 기간이나 횟수 동안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모든 발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신자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특정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메시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단 정보는 차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수신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의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단계 (c)에서 수신된 발신 메시지의 발신 단말 또는 상기 단계 (c)에서 통신한 발신 단말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은, 발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착신 단말로 호/메시지를 발신하고, 그 발신된 호/메시지에 따라 서비스 서버로부터 불규칙한 인증 번호 및 그 인증 번호에 대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신된 호/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와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발신 단말은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 왑(WAP), 웹(WEB), 또는 앱(APP)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 착신 단말, 또는 발신 단말에서 수행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착신 가입자로부터의 설정에 따라 해당 착신 단말로 발신되는 호/메시지를 발신 단말로부터의 수동적인 번호 입력 동작을 통해 인증토록 하고 그 인증 결과에 따라 해당 호 또는 메시지를 정상 처리하거나 차단하도록 하여, 대부분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발송되는 스팸성의 원링콜, 시스템 발신 콜 및 기타 광고/영업 전화 등을 통신망에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당한 사용자의 발신으로 인한 통신망과 착신 단말간의 통신 자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착신 가입자의 상황에 따라 인증을 위한 대상, 기간, 횟수 등을 자유롭게 설계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하는 발신 호 또는 메시지를 정상 처리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므로 착신 가입자의 통신 만족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착신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발신 단말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0)과, 그 통신망(100)을 매개로 상호 통신할 수 있는 서비스 서버(200),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서비스 서버(200),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망(100)과 연계하여 착신 단말(300)로부터 동기화되어 설정/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 단말(400)로부터 착신 단말(300)로 발신되는 호 또는 메시지를 인증하고 그 인증 결과에 따라 해당 호 또는 메시지를 정상 처리하거나 차단하도록 하고, 착신 단말(300)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실패 내역(또는 호/메시지 차단 내역이라 칭함)을 제공하는 등,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은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및/또는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에 대해서는 각각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서비스 서버(200)의 세부 구성도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 인증 판단부(230), 인증부(250), 통신 연결부(270), 및 차단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는 착신 단말(300)로부터 설정된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그 착신 단말(300)과 동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착신 단말(300)로부터 서비스 설정 정보가 전달되면 그 전달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예외 대상 정보, 인증 유효 기간 정보, 차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예외 대상 정보는, 일 예로 착신 단말(300)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를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설정한 정보이거나, 다른 예로 착신 단말(300)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자를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설정한 정보이거나, 또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입력된 대상자에 대해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인증 예외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일 예로 착신 단말(300)에 대한 발신 호/메시지 발생 시마다 인증하도록 하는 제1정보일 수 있고, 다른 예로 착신 단말(300)에 대한 동일 발신자로부터의 발신 호/메시지에 대해 최초 1회 인증 후 일정 기간 또는 횟수 동안 인증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모든 발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신자를 대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적어도 해당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판단부(230)는 착신 단말(300)로의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를 통해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발신 단말(400)에 대하여 인증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발신 단말(400)이 인증 예외 대상이 아니고 인증 유효 기간/횟수를 경과하였으면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부(250)는, 인증 판단부(230)에서 발신 단말(400)에 대하여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불규칙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발신 단말(400)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그 인증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발신 단말(400)로부터 해당 인증 번호가 입력되어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부(250)는, 예를 들어,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 왑(WAP), 웹(WEB), 또는 앱(APP)을 통한 발신 단말(400)과의 통신으로 전술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부(250)는 발신 호/메시지 차단 내역을 포함하는 인증 실패 내역을 저장할 수 있고, 착신 단말(300)로부터 인증 실패 내역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실패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는 인증부(250)로부터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착신 단말(300)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인증 예외 대상 정보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연결부(270)는 인증부(250)로부터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착신 단말(300)로부터 선택된 대상의 해당 호/메시지를 복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증 실패 내역을 기초로 한 착신 단말(300)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이전에 차단시킨 해당 메시지(또는 '발신 차단 메시지'라 칭함)를 착신 단말(300)로 전달하거나, 이전에 차단시킨 해당 호(또는 '발신 차단 호'라 칭함)의 발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신 차단 호 또는 발신 차단 메시지의 복원 시,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는 그 복원된 호/메시지의 해당 발신 단말(400)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자동 또는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연결부(270)는 인증부(250)를 통한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해당 발신 단말(400)의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착신 단말(300)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290)는 착신 단말(300)로부터 설정된 서비스 설정 정보 중 하나로서의 차단 정보에 따라 해당 발신 단말(400)로부터 발신된 호/메시지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차단 정보가 설정된 발신자에 대해서는 다른 어떤 서비스 설정 정보를 무시하고 해당 호/메시지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차단 정보는 차단 기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착신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착신 단말(300)의 세부 구성도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정보 설정부(310), 차단 내역 수신부(330), 및 차단 호/메시지 복원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정보 설정부(310)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설정 또는 갱신하고, 그 설정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와 동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정보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로부터 선택 또는 입력된 메뉴의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 내역 수신부(33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인증 실패 내역(호/메시지 차단 내역)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에게 인증 실패 내역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대한 답변으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 호/메시지 복원부(350)는, 차단 내역 수신부(330)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되어 표시된 인증 실패 내역을 기초로 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기 차단된 발신 호/메시지(즉 '발신 차단 호/메시지')를 복원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차단 내역 수신부(330)를 통해 표시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에 대한 해당 발신 차단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거나, 해당 발신 차단 호에 대한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정보 설정부(300)는 차단 내역 수신부(330)를 통해 표시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의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고, 차단 호/메시지 복원부(350)를 통해 복원된 호/메시지 즉, 차단 발신 메시지 또는 상기 차단 발신 호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을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의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발신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발신 단말(400)의 세부 구성도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요청 수신부(410) 및 인증정보 전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요청 수신부(410)는 착신 단말(300)을 대상으로 발신된 호/메시지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불규칙한 인증 번호 및 그 인증 번호에 대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정보 전달부(430)는 인증요청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인증 번호 및 입력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번호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 단말(400)로부터 착신 단말(300)에게로 발신된 발신 호/메시지는 인증요청 수신부(410)에서 수신된 인증 번호와 인증정보 전달부(430)를 통해 입력되어 서비스서버(200)로 전달된 인증 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정상 처리되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도 4의 발신 단말(400)은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 왑(WAP), 웹(WEB), 또는 앱(APP)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여 전술한 인증 과정 즉,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의 수신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번호의 전송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므로 그 시스템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착신 단말(3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각종 서비스 정보가 설정되면(S501) 해당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S503) 서비스 서버(200)로 전달하고(S505), 서비스 서버(200)는 단계 S505에서 착신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S507).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설정 정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 발신 단말(400)로부터 착신 단말(300)를 대상으로 하는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되면(S509), 통신망(100)은 그 발신 호/메시지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300)의 사용자가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또는 해당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 해당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조회하고(S511),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인증 요청 정보와 함께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환한다(S513).
이어, 서비스 서버(200)는 단계 S513에서 전환된 해당 발신 호/메시지 및 인증 요청 정보가 인지되면, 그 해당 발신 호/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및 착신자 정보 즉, 발신 단말(400)의 정보 및 착신 단말(300)이 정보를 기초로 단계 S507에서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조회하고(S515), 그 조회된 서비스 설정 정보에 따라 발신자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불규칙한 인증 번호를 생성한 다음(S517), 그 생성된 인증 번호가 포함된 인증 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발신 단말(400)로 전송한다(S519).
이어, 발신 단말(4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번호 입력 요청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해당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인증 번호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달한다(S521).
이어, 서비스 서버(200)는 단계 S521에서 발신 단말(400)로부터 전달된 인증 번호와 단계 S517에서 생성된 인증 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S523), 인증이 성공하면 그 인증 성공 정보와 함께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통신망(100)으로 전환하고(S525), 이에 따라 통신망(100)은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착신 단말(300)로 전달한다(S527).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단계 S523에서 인증이 실패하면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차단하도록 하고(S529), 해당 발신 호/메시지에 대한 인증 실패 내역(또는 호/메시지 차단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착신 단말(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그 저장된 인증 실패 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2의 서비스 서버(200)에 적용되므로 그 서비스 서버(20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는 착신 단말(300)로부터 서비스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S601) 그 수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S603).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설정 정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 인증 판단부(230)는 통신망(100)을 통하여 착신 단말(300)을 대상으로 발신된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605), 그 판단 결과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단계 S603에서 착신 단말(300)에 대해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S607), 그 확인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발신 호/메시지의 발신자에 대해 인증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9).
이어, 인증부(250)는 단계 S609에서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불규칙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고(S611), 그 생성된 인증 번호가 포함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발신자의 발신 단말(400)로 전송한 다음(S613), 그 전송된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발신 단말(400)로부터 인증 번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인증 번호와 단계 S611에서 생성된 인증 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615).
이어, 통신 연결부(270)는 단계 S615에서 인증이 성공하면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통신망(100)을 통해 착신 단말(300)에게 전달하여 정상 처리하고(S617), 단계 S615에서 인증이 실패하면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차단하도록 한다(S619).
한편, 인증부(250)는 단계 S619에서 차단된 발신 호/메시지에 대한 차단 내역(또는 인증 실패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착신 단말(300)로부터 해당 차단 내역에 대한 정보가 요청되면(S621), 그 해당 차단 내역을 착신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S623).
또 한편,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는 단계 S623에서 제공된 차단 내역을 기초로 착신 단말(300)로부터 해당 차단 내역 중 하나 이상의 대상이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선택되면, 그 선택된 대상의 발신자를 단계 S603에서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에 포함하여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설정한다(S625).
또 한편, 통신 연결부(270)는 단계 S623에서 제공된 차단 내역을 기초로 착신 단말(300)로부터 해당 차단 내역 중 하나 이상의 대상이 복원 대상으로 선택되면(S627), 그 선택된 대상의 해당 발신 차단 호/메시지를 복원하여 정상 처리하고(S629), 서비스 정보 설정부(210)는 그 복원된 호/메시지의 대상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S631).
또 한편, 차단부(290)는 단계 S607에서 서비스 설정 정보를 확인한 결과 해당 발신 호/메시지의 발신자에 대해 차단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면 그 해당 발신 호/메시지를 즉시 차단하도록 한다(S64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3의 착신 단말(300)에 적용되므로 그 착신 단말(30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정보 설정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정보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해당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설정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701), 해당 사용자로부터 그 메뉴 화면을 통해 특정 서비스 메뉴의 선택 또는 입력이 있으면 그 선택 또는 입력된 메뉴에 해당하는 서비스 설정 정보를 저장한 다음(S703), 그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전달한다(S705). 단계 S701~S705의 수행에 따른 서비스 설정 정보에 따라 상대방 발신자로부터 발신된 발신 호/메시지가 착신 단말(300)로 정상 수신되거나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통신망(100)에서 차단된다(S707).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설정 정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차단 내역 수신부(3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단 내역 요청을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해당 사용자로부터 차단 내역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711), 해당 사용자로부터 차단 내역 요청이 있으면 차단 내역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여 해당 차단 내역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차단 내역을 수신하여 표시한다(S713).
또 한편, 서비스 정보 설정부(310)는 단계 S713에서 수신되어 표시된 차단 내역을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해당 차단 내역 중 하나 이상의 대상이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선택되면, 그 선택된 대상의 발신자를 단계 S703에서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에 포함하여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설정한다(S715).
또 한편, 차단 호/메시지 복원부(350)는 단계 S713에서 표시된 차단 내역을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해당 차단 내역 중 하나 이상의 대상이 복원 대상으로 선택되면(S717), 그 선택된 대상의 해당 발신 차단 호/메시지를 복원하여 정상 처리하고(S719), 서비스 정보 설정부(310)는 그 복원된 호/메시지의 대상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S72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4의 발신 단말(400)에 적용되므로 그 발신 단말(40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발신 단말(400)로부터 착신 단말(400)로 호/메시지를 발신한 상태에서(S801), 인증요청 수신부(41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03).
이어, 인증정보 전달부(430)는 단계 S803에서 인증요청 수신부(410)를 통해 인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인증 번호 및 인증 요청 메시지(즉, 수신된 인증 번호를 확인하고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수신 방식에 따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인증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음(S805), 사용자로부터 인증 번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인증 번호를 서비스 서버(200)에게 전달한다(S807). 단계 S801~S807의 수행에 따른 인증 성공 여부 따라 단계 S801에서 발신된 발신 호/메시지가 해당 착신 단말(300)로 정상 수신되거나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통신망(100)에서 차단된다(S809).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서비스 서버, 착신단말 및 발신 단말에서의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은 각각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서비스 서버
210: 서비스 정보 설정부
230: 인증 판단부
250: 인증부
270: 통신 연결부
290: 차단부
300: 착신 단말
310: 서비스 정보 설정부
330: 차단 내역 수신부
350: 차단 호/메시지 복원부
400: 발신 단말
410: 인증 요청 수신부
430: 인증 정보 전달부

Claims (57)

  1. 착신 단말로의 발신 호 또는 메시지(이하, '호/메시지'라 칭함)가 발생하면 발신 단말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호/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통신 연결부;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정보 설정부; 및
    상기 착신 단말로의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인증 판단부의 인증 필요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요청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그 인증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해당 인증 번호가 입력되어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착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발신 호/메시지 차단 내역을 포함하는 인증 실패 내역을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 설정부는 상기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번호는 불규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예외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예외 대상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 그 주소록 중 선택된 대상자, 또는 별도로 입력된 대상자에 대해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호 발생 시마다 인증하도록 하는 제1정보 또는 1회 인증 후 일정 기간 또는 횟수 동안 인증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모든 발신자 또는 선택된 발신자를 대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차단 정보에 따라 특정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메시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정보는 차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부는 상기 인증 실패 내역을 기초로 착신 단말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기 차단된 발신 호/메시지를 복원하여 기 차단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기 차단된 발신 호의 발신 단말과 통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설정부는 상기 복원된 발신 호/메시지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를 포함하는 메시지, 왑(WAP), 웹(WEB), 또는 앱(APP)을 통한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신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착신 단말로의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발신 단말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호/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또는 갱신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상기 착신 단말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로의 발신 호/메시지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된 서비스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해당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 여부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인증 필요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그 인증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해당 인증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인증 실패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 중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선택된 대상을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로서의 인증 예외 대상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0. 삭제
  31. 삭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번호는 불규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예외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예외 대상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모든 대상자, 그 주소록 중 선택된 대상자, 또는 별도로 입력된 대상자에 대해 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설정 정보는 인증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호/메시지 발생 시마다 인증하도록 하는 제1정보 또는 1회 인증 후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인증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유효 기간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모든 발신자 또는 선택된 발신자를 대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8. 제29항에 있어서,
    착신 단말로부터 설정된 차단 정보에 따라 특정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된 호/메시지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정보는 차단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40. 삭제
  41. 삭제
  4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인증 실패 내역을 기초로 착신 단말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상기 차단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달하거나 상기 차단된 발신 호의 발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된 발신 메시지의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과 통신한 발신 단말을 인증 예외 대상으로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4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신은 자동 응답 서비스(ARS), TCP/IP,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ssage Service)를 포함하는 메시지, 왑(WAP), 웹(WEB), 및 앱(APP)을 이용한 통신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제29항, 제32항 내지 제39항, 및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132497A 2011-12-12 2011-12-12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42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97A KR101422897B1 (ko) 2011-12-12 2011-12-12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97A KR101422897B1 (ko) 2011-12-12 2011-12-12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009A Division KR101797793B1 (ko) 2013-08-16 2013-08-16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897A KR20130065897A (ko) 2013-06-20
KR101422897B1 true KR101422897B1 (ko) 2014-07-23

Family

ID=4886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497A KR101422897B1 (ko) 2011-12-12 2011-12-12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8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180A (ko) * 2004-10-14 2006-04-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수신통화 제한방법
KR20060044494A (ko) * 2004-03-24 2006-05-16 엑서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인증 서버와 연동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네트워크관리 서버
JP2008048020A (ja) 2006-08-11 2008-0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信者認証方法および発信者認証システム
KR20110017123A (ko) * 2009-08-13 2011-02-21 (주)컨피테크 스팸 차단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스팸 인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494A (ko) * 2004-03-24 2006-05-16 엑서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인증 서버와 연동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네트워크관리 서버
KR20060033180A (ko) * 2004-10-14 2006-04-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수신통화 제한방법
JP2008048020A (ja) 2006-08-11 2008-0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信者認証方法および発信者認証システム
KR20110017123A (ko) * 2009-08-13 2011-02-21 (주)컨피테크 스팸 차단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스팸 인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897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336B2 (en) Managing spoofed calls to mobile devices
EP19568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telephone connection
CN105393523B (zh) 隐私保护的方法、装置和用户终端
US8331963B1 (en) Enabling retrieval of a mobile messaging service message from multiple devices associated with a single mobile directory number
KR20150091406A (ko) 전화 호출의 음성-텍스트 전사를 위한 언어 결정 방법 및 디바이스들
JP4499166B2 (ja) 加入者識別符号通知装置
KR20110017123A (ko) 스팸 차단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스팸 인증 장치
KR101422897B1 (ko)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97793B1 (ko) 발신자 인증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819234B1 (ko) 비밀 번호 기반 호/메시지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90005671A (ko) 이동단말의 통화 종료후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333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비밀 번호 기반 호/메시지 발/수신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00033565A (ko) 스팸 전화번호의 등록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19267A (ko) 문자메시지 인증 방법,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468431B1 (ko)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171473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8346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정보 관리 방법, 사생활 보호 설정 방법 및 사생활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JP2017017476A (ja) 発呼停止方法、電話補助器、電話機、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7007802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통화 및문자전송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42515B1 (ko) 멀티 로그인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243275B1 (ko)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JP2008048120A (ja) 携帯電話を用いた広告システム
KR2008010093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알림 필터링서비스방법
KR101618976B1 (ko) 문자 메시지 발송을 위한 중계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