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789B1 - Prefabricated Korean Hous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Korean Hous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2789B1 KR101422789B1 KR1020130166449A KR20130166449A KR101422789B1 KR 101422789 B1 KR101422789 B1 KR 101422789B1 KR 1020130166449 A KR1020130166449 A KR 1020130166449A KR 20130166449 A KR20130166449 A KR 20130166449A KR 101422789 B1 KR101422789 B1 KR 101422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welded
- vertical side
- steel
- trenc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01700046094 ELOA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700047924 ELOB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700018613 ELOC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2100002635 ELOC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1700040343 SKP1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1080929 Zeugopterus punctatus Species 0.000 abstract 2
- 230000000051 modify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356 Skeleto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59 Ear, Midd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38 T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0—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옥 전문가의 도움없이 모듈화 및 부품화된 한옥부재를 이용하여 한옥을 쉽게 지을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which can easily build a hanok using modularized and componentized hanok members without the assistance of a hanok expert.
일반적으로 한옥 시공방법은 집터를 조성하고, 그 터에 초석을 세우고, 그 초석 위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기둥 위에는 대들보와 중간보를 종횡으로 교차시키는 상태로 골조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한다.Generally, in the hanok construction method, a foundation is formed, a foundation stone is placed on the foundation, a column is built on the foundation stone, and a frame is formed by installing a beam and a middle beam on the column.
이때, 상기 공간에서 초석과 기둥 사이에 마루 및 온돌로 이루어진 방바닥을 형성하고, 기둥과 기둥 그리고 중간보 사이를 흙벽돌 또는 창문틀로 막아 벽을 형성하여 방을 형성하거나, 마루 등을 구획하며, 대들보와 중간보위에는 서까래를 설치하고, 기와를 얹어 지붕을 형성한다.At this time, a floor formed of a floor and an ondol is formed between the cornerstone and the pillars in the space, a wall is formed between the pillars and the pillars and the window frame by a soil brick or a window frame to form a room, A beam is installed on the beam and the intermediate bow, and a roof is formed by placing a tile.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종래의 한옥 건축시에는 현장에서 용도에 맞게 목재를 가공하여 한옥부재를 설치함으로 한옥의 최종건축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of the hanok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t takes a long time until the final construction of the hanok is completed because the hanok is installed by processing the wood in accordance with the use in the field.
또한, 한옥부재가 모듈화 및 부품화가 되어 있지 않아 한옥부재를 건축현장에서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므로 정밀도와 취급성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ok is not modularized and parts are used, the hanok is directly process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precision and handling are very low.
즉, 한옥의 건축부재가 규격화되지 못하여 현장에서 재료를 현장의 규격에 맞도록 가공하므로 시간과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당연히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building members of the hanok can not be standardized, the materials are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site in the field, so that the time and the work flow are increased, and the accuracy is reduced.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9-0046140호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refabricated hanok consisting of the unit structure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09-0046140 has been proposed.
상기한 종래의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한옥에 있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메인프레임(10)이 가로·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구조체(100, 200)와, As shown in FIG. 1, a prefabricated traditional hanok constructed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unit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단위구조체(100, 2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연결프레임(12)과, 상기 단위구조체(100, 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직연결프레임(14)과 경사프레임(15) 및 외곽프레임(16)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 12, 14, 15, 16)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외면에 목재부(20)가 결합되고, 각 프레임(10, 12, 14, 15, 16)와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패널(2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은 이동과 구조적 강도 및 변형 등으로 인하여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The prefabricated hanok made of the conventional unit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problem of warping due to movement, structural strength, and deforma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옥 전문가의 도움없이 모듈화 및 부품화된 한옥부재를 이용하여 한옥을 쉽게 지을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hanok fram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hanok frame by using modularized and partly- It has its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는 기단형강을 종횡으로 용접하여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단과; 상기 기단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과; 상기 초석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와; 상기 도리 상에 대들보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prefabricated hano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end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eld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 foundation ston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end by screwing; A column fixedly installed on the foundation stone; A column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irder fixedly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girder; And a rafter fixed to the gird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gird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 건축방법은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조립식 한옥골조를 시공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기단형강을 종횡으로 연결하여 기단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기단형강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초석에 기둥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Ⅲ); 상기 기둥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도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Ⅳ);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에 대들보의 가운데를 끼워서 대들보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Ⅴ); 상기 도리 상에 서까래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Ⅵ)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for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the steps of: (S I); (SII) fixing and mounting a corner sto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steel; Fixing the column to the cornerstone (SIII); A step (SIV) of fixing the dowels on the column by using a brace connection hardware; A step (S V) of fixing the girder by inserting the center of the girder into the bracket connecting hardware; And a step (S VI) of fixing the rafters on the trowel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전문가의 도움없이 기성 부재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한옥을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a hanok can be constructed by assembling an existing member without the help of an expert.
둘째, 본 발명은 기단을 철골로 구성함으로써, 한옥의 이동과 구조적 강도 및 변형 등을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minimizing movement, structural strength, and deformation of hanok by constituting the base end of a steel frame.
셋째, 본 발명은 기둥과 도리 및 대들보 등을 모듈화하여 부재로 만들고, 표준형의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간단히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lumn, the torsion bar, the girder, etc. are modularized to form a member and can be easily assembled by using a standard type connecting hardware.
셋째, 본 발명은 기둥과 도리 및 대들보의 크기를 표준화하고, 연결철물의 종류를 최소화함으로써 부재 제작단가와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tandardizing the sizes of the columns, the dorsal and the girder, and minimizing the kinds of connecting hardwar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construction cost.
넷째, 본 발명의 한옥골조를 구성하면 나머지 마감은 구조에 관계없이 개인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when the hano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he remaining finishing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fre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taste regardless of the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의 골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기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기단형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구획형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연결철물을 도시한 사시도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연결철물을 도시한 사시도 2,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연결철물을 도시한 사시도 3,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기둥과 대들보 간의 접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기둥과 대들보 간의 접합상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서까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서까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4a∼14k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of a prefabricated hanok constructed of a conventional unit struct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assembl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end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steel section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tion steel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hardware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hardware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hardware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state between a column and a girder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 joint state between a column and a girder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fter of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rafter of the assembled hano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K are process drawings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A)는 기단형강(110)을 종횡으로 용접하여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단(100)과; 상기 기단(100)의 소정의 위치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초석(200)과; 상기 초석(2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300)과;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도리(400)와; 상기 도리(400)에 직각으로 고정 설치되는 대들보(500)와; 상기 도리(400) 상에 대들보(500)와 동일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서까래(6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refabricated hanok skelet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A)는 기단(100), 초석(200), 기둥(300), 도리(400), 대들보(500) 및 서까래(6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That is, the prefabricated hanok skelet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기단(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형강(110)을 종횡으로 용접하여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특히, 상기 기단형강(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플랜지(122, 124)와 웨브(126)로 이루어진 Z형강(120)과; 상기 Z형강(120)의 양단부 하부플랜지(124)에 용접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막이철물(130)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상기 기단형강(110)의 고막이철물(130) 간에 구획형강(140)이 기단(100)의 길이방향으로 용접 설치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구획형강(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평강(142)과; 상기 평강(142)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 설치되는 전단볼트(144)와; 상기 평강(142)의 양단에 용접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막이철물(14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즉, 상기 기단(100)은 한옥의 이동과 구조적 강도 및 변형의 최소화 등의 기타조건을 고려하여 철골로 구성하고, 건물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배치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기단(100)의 기단형강(110)과 구획형강(140)의 일정부분에는 고막이철물(130, 146)을 설치하여 초석(200)을 놓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상기 기단형강(110)의 높이는 초석(200) 높이와 기단(100) 마감높이를 더한 높이인 부재를 사용하며, 초석(200)과 초석(200) 사이의 입면은 메탈라스 등을 사용하여 간단하고 변형 없는 고막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elevation angle of the
그리고 상기 초석(200)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체(210)와; 상기 구조체(210)의 가운데에 천공형성된 볼트공(220)으로 구성되어, 기단(100)의 고막이철물(130, 146) 상에 볼트를 매개로 설치된다. The
또한, 상기 기둥(300)은 하단부 일정부분이 내측 상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이 초석(200) 상에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도리(400)는 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가운데에 연결봉(710)이 용접된 받침철물(70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철물(700)의 연결봉(710) 상에 일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일측의 반턱진 도리(400)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이 끼워지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 상에 타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 설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810)과; 상기 수직측판(810)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820)과; 상기 수직측판(810)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830)으로 구성된다.Here, the above-mentioned
특히, 상기 수평판(820)은 수직측판(810)의 중간에 배치되거나, 일측 수직측판(810)의 상단부 내측과 타측 수직측판(810)의 상단에 배치되거나, 수직측판(810) 간의 상단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Particularly, the
또한, 상기 도리(400)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설치되되, 일측의 도리(400)와 타측의 도리(400)가 상투걸이 연결철물(800)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삽입설치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810)과; 상기 수직측판(810)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820)과; 상기 수직측판(810)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830)으로 구성된다.Here, the above-mentioned
특히, 상기 수평판(820)은 수직측판(810)의 중간에 배치되거나, 일측 수직측판(810)의 상단부 내측과 타측 수직측판(810)의 상단에 배치되거나, 수직측판(810) 간의 상단부 내측에 배치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Particularly,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기둥(300)과 도리(400) 및 대들보(500)는 모듈화하여 부재로 제작하고, 표준형의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을 사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The
즉, 상기 기둥(300) 상부에는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을 설치하여 도리(400)를 반턱이음지게 하고, 대들보(500)는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의 날개판(830)에 대들보(500) 양쪽에서 결구될 수 있도록 한다.The
한편, 상기 서까래(600)는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610)과; 상기 형강(61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용접 설치되는 삽입봉(630)과; 상기 삽입봉(630)이 삽입되는 서까래목재(660)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한 서까래(600)는 형강(610)과 삽입봉(630) 및 서까래목재(66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형강(610)은 L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형강(6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 바닥에 다수개의 천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형강(610)의 일정한 간격마다 내측에 삼각판이 다수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삼각판에 다수개의 천공홀이 형성된 구조이다.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bottom at regular intervals of the
또한, 상기 삽입봉(630)은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봉(630)의 선단에는 화살형상의 미늘(634)이 설치된 구조이다.The
즉, 상기 미늘(634)은 서까래목재(660)의 요홈에 삽입 후 탄성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서까래목재(660)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서까래목재(660)는 서까래(600)를 구성하는 주요부재로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의 절반 지점의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요홈이 형성된 구조이다.The
즉, 상기 요홈에 미늘(634)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미늘(634)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That is,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a∼14k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14A to 14K are process drawings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은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조립식 한옥골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반에 기단형강(110)을 종횡으로 연결하여 기단(100)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기단형강(110)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2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초석(200)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Ⅲ); 상기 기둥(300)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을 이용하여 도리(4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Ⅳ);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에 대들보(500)의 가운데를 끼워서 대들보(5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Ⅴ); 상기 도리(400) 상에 서까래(6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Ⅵ)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a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은 기단(100) 설치단계(S Ⅰ), 초석(200) 설치단계(S Ⅱ), 기둥(300) 설치단계(S Ⅲ), 도리(400) 설치단계(S Ⅳ), 대들보(500) 설치단계(S Ⅴ) 및 서까래(600) 설치단계(S Ⅵ)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한옥골조를 시공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the base 100 (S I), installing the base stone 200 (S II), installing the base 300 (S III)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construct the hanok frame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step (S IV), the girder (500) installation step (S V), and the rafter (600) installation step (S VI).
여기서, 상기 기단(100) 설치단계(S Ⅰ)는 지반에 기단형강(110)을 종횡으로 연결하여 사각형의 기단(100)을 설치한다.Here, the
즉, 상기 기단형강(110)은 상, 하부플랜지(122, 124)와 웨브(126)로 이루어진 Z형강(120)과; 상기 Z형강(120)의 양단부 하부플랜지(124)에 용접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막이철물(130)로 구성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은 기단(100)의 기본부재인 기단형강(110)을 종횡으로 다수 개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기단형강(110)의 고막이철물(130)을 용접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는 기단(100)을 구성한다.A plurality of base-
그리고 상기 기단(100)의 내부를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해서, 기단형강(110)의 고막이철물(130) 간에 기단(100)의 길이방향으로 구획형강(140)이 용접 설치된다.In order to divide the inside of the base 100 into a space of a certain size, the
이와 같은 구획형강(140)은 사각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평강(142)과; 상기 평강(142)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접 설치되는 전단볼트(144)와; 상기 평강(142)의 양단에 용접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막이철물(146)로 구성된다.The
이어서, 상기 초석(200) 설치단계(S Ⅱ)는 기단형강(110)의 고막이철물(130) 상에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체(210)와; 상기 구조체(210)의 가운데에 천공형성된 볼트공(220)으로 구성된 초석(200)을 볼트로 고정 설치한다.Next, the step of installing the foundation stone 200 (SII) comprises a
상기 초석(200)이 설치되는 고막이철물(130)은 Z형강(120)의 하부플랜지(124)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 상부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고막이철물(130) 상에 초석(200)을 배치한 상태에서 고막이철물(130)의 하부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초석(200)을 고정할 수가 있다.Since the
즉, 상기 고막이철물(130)의 위치가 일정높이가 Z형강(120)의 하부플랜지(124)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고막이철물(130)의 하부에 볼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초석(20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이어서, 상기 기둥(300) 설치단계(S Ⅲ)는 초석(200)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한다.Then, the
즉, 초석(200)이 고막이철물(13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초석(200)의 가운데 볼트공(220)을 통해 돌출된 볼트에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기둥(300)을 끼워서 설치한다.That is, a
이어서, 상기 도리(400) 설치단계(S Ⅳ)는 기둥(300) 상단에 가운데에 연결봉(710)이 용접된 받침철물(70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받침철물(700)의 연결봉(710) 상에 일측의 도리(400)를 반턱진 형상을 한 상태로 삽입하고, 상기 일측의 반턱진 도리(400)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810)과, 상기 수직측판(810)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820)과, 상기 수직측판(810)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830)으로 구성된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을 상기 일측의 반턱진 도리(400)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 상으로 돌출된 연결봉(710)에 타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형상으로 한 상태로 삽입하여 설치한다.The supporting
이어서, 상기 대들보(500) 설치단계(S Ⅴ)는 도리(400) 상에 설치된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에 대들보(500)의 가운데를 끼워서 대들보(500)를 고정 설치한다.The step of installing the
즉, 상기 도리(400) 상에 설치된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을 이용하여 대들보(5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의 날개판(830)에 대들보(500)의 양단에 칼집을 낸 상태로 하여 상기 대들보(500)를 일측의 날개판(830)에 끼워서 대들보(500)를 일측의 날개판(830)에 고정하며, 상기 날개판(830)의 타측은 마감재(510)를 끼우도록 한다.That is, the
이어서, 상기 서까래(600) 설치단계(S Ⅵ)는 도리(400) 상에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610)과; 상기 형강(61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용접 설치되는 삽입봉(630)과; 상기 삽입봉(630)이 삽입되는 서까래목재(660)로 구성된 서까래(600)를 고정 설치한다.Next, the step (S VI) of installing the
즉, 도리(400) 위에 고정되는 L형강(610)에 서까래(600) 간격으로 강봉을 부착하고, 여기에 서까래목재(660)를 끼워 고정하고, 강봉의 단부에는 화살형상의 미늘(634)을 부착하여, 탄성에 의해 미늘(634)이 벌어지도록 하여 고정 후에, 서까래목재(660)가 빠지지 못하도록 하여 설치한다.That is, the steel rods are attached to the L-shaped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은 전문가의 도움없이 기성 부재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한옥을 시공할 수 있고, 기단(100)을 철골로 구성함으로써, 한옥의 이동과 구조적 강도 및 변형 등을 최소화시키며, 기둥(300)과 도리(400) 및 대들보(500) 등을 모듈화하여 부재로 만들고, 표준형의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을 사용하여 간단히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기둥(300)과 도리(400) 및 대들보(500)의 크기를 표준화하고, 연결철물의 종류를 최소화함으로써 부재 제작단가와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eps as described above can construct the hanok by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members without the help of experts,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식 한옥골조를 시공한 후, 필요에 따라 나머지 마감은 구조에 관계없이 개인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Furthe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refabricated hanok skelet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maining finishing can be freely deformed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taste regardless of the structure.
100: 기단 110: 기단형강
120: Z형강 122: 상부플랜지
124: 하부플랜지 126: 웨브
130: 고막이철물 140: 구획형강
142: 평강 144: 전단볼트
146: 고막이철물 200: 초석
210: 구조체 220: 볼트공
300: 기둥 400: 도리
500: 대들보 600: 서까래
610: 형강 630: 삽입봉
634: 미늘 660: 서까래목재
670: 요홈 700: 받침철물
710: 연결봉 800: 상투걸이 연결철물
810: 수직측판 820: 수평판
830: 날개판 A: 조립식 한옥골조 100: base 110: base steel
120: Z-shaped steel 122: Upper flange
124: Lower flange 126:
130: tympanic steel 140: section steel
142: flat steel 144: shear bolt
146: Hard iron hardware 200: Cornerstone
210: Structure 220: Bolt hole
300: Column 400:
500: girder 600: rafter
610: Shape 630: Insertion rod
634: barb 660: rafter wood
670: Groove 700: Support hardware
710: connecting rod 800: hanger hook connection hardware
810: vertical side plate 820: horizontal plate
830: Wing plate A: Prefabricated house frame
Claims (26)
상기 초석(200)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체(210)와; 상기 구조체(210)의 가운데에 천공형성된 볼트공(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rnerstone 200 includes a structure 210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as a whole; And a bolt hole (2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ructure (210).
상기 기둥(300)은 하단부 일정부분이 내측 상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umn (300)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a certain portion inwardly upward.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도리(400)가 설치되되,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가운데에 연결봉(710)이 용접된 받침철물(70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철물(700)의 연결봉(710) 상에 일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일측의 반턱진 도리(400)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이 끼워지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 상에 타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300 and a support hardware 700 welded with a connecting rod 71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0, The tongue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s inserted on the connecting tongue 710 and the tongue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s inserted on the tongue tongue 400 on one side, And a trench (400) of the other side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a tilt state.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810)과; 상기 수직측판(810)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820)과; 상기 수직측판(810)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8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구조.8.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ncludes a vertical side plate 810 having rectangular steel plates vertically arranged on left and right sides at regular intervals; A horizontal plate 820 welded between the vertical side plates 810 and having a rectangular steel plate horizontally arranged; And a wing plate (830) weld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side plate (810) and made of a rectangular steel plate.
상기 도리(400)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설치되되, 일측의 도리와 타측의 도리가 상투걸이 연결철물(800)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irder 500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trench 400 and one side of the trench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ench and the other side of the trench is fixed to the side of the tie hook connecting hardware 800, ) Is inserted and installed.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810)과; 상기 수직측판(810)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820)과; 상기 수직측판(810)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8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구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upper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ncludes a vertical side plate 810 having rectangular steel plates vertically arranged on left and right sides at regular intervals; A horizontal plate 820 welded between the vertical side plates 810 and having a rectangular steel plate horizontally arranged; And a wing plate (830) weld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side plate (810) and made of a rectangular steel plate.
상기 수평판(820)은 수직측판(810)의 중간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구조.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0,
Wherein the horizontal plate (820)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side plate (810).
상기 수평판(820)은 일측 수직측판(810)의 상단부 내측과 타측 수직측판(810)의 상단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구조.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0,
Wherein the horizontal plate (820) is disposed on an inner side of an upper end of the one vertical side plate (810) and an upper end of the other side vertical side plate (810).
상기 수평판(820)은 수직측판(810) 간의 상단부 내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구조.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0,
And the horizontal plate (820)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end portion between the vertical side plates (810).
지반에 기단형강(110)을 종횡으로 연결하여 기단(100)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기단형강(110)의 소정의 위치에 초석(2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Ⅱ);
상기 초석(200)에 기둥(30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Ⅲ);
상기 기둥(300)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을 이용하여 도리(4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Ⅳ);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에 대들보(500)의 가운데를 끼워서 대들보(5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Ⅴ);
상기 도리(400) 상에 서까래(60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Ⅵ)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A base end 100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elded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to the base end portion 110; A foundation stone (20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100) by screwing; A column 300 fixedly installed on the cornerstone 200; A trench 400 fixed to the top of the column 300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irder 500 fixed at right angles to the trench 400; And a rafter 600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trench 4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girder 500. The tapered section 110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flanges 122 and 124 and a web 126 A section steel (120); Shaped steel material 130 welded to the lower flanges 124 at both ends of the Z-shaped steel 120 and formed as a whole in the shape of a letter "A" 140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section steel 140 includes a flat steel plate 142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 shear bolt 144 welded to the surface of the flat steel 14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to weld a prefabricated hanok framework welded to both ends of the flat steel and composed of a "h"
A step (S I) of installing the base 100 by connecting the base steel bars 110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to the ground;
(SII) fixing and installing a cornerstone (2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steel (110);
A step (SIII) of fixing the column (300) to the foundation stone (200);
A step (SIV) of fixing the torii (400) on the column (300) by using the negotiating connection hardware (800);
A step (S V) of fixing the girder (500) by fixing the center of the girder (500) to the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And a step (S VI) of fixing the rafter (600) on the trench (400).
상기 초석(200)은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체(210)와; 상기 구조체(210)의 가운데에 천공형성된 볼트공(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rnerstone 200 includes a structure 210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as a whole; And a bolt hole (2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ructure (210).
상기 기둥(300)은 하단부 일정부분이 내측 상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illar (300)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in a predetermined portion inwardly and upwardly.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도리(400)가 설치되되, 상기 기둥(300)의 상단에 가운데에 연결봉(710)이 용접된 받침철물(70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철물(700)의 연결봉(710) 상에 일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일측의 반턱진 도리(400)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이 끼워지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 상에 타측의 도리(400)가 반턱진 상태로 삽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A suppor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300 and a support hardware 700 welded with a connecting rod 71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0, The tongue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s inserted on the connecting tongue 710 and the tongue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s inserted on the tongue tongue 40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rench (400) is inserted in a tilted state.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810)과; 상기 수직측판(810)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820)과; 상기 수직측판(810)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8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upper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ncludes a vertical side plate 810 having rectangular steel plates vertically arranged on left and right sides at regular intervals; A horizontal plate 820 welded between the vertical side plates 810 and having a rectangular steel plate horizontally arranged; And a wing plate (830) weld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side plate (810) and made of a rectangular steel plate.
상기 도리(400)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설치되되, 일측의 도리(400)와 타측의 도리(400)가 상투걸이 연결철물(800)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의 측면에 대들보(500)가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A bracket 500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trench 400 and one side trench 400 and the other side trench 400 are fixed by a bracket connection hardware 800 and the bracket connection hardware 800, And a girder (500) is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girder frame.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8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에 사각형 강판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측판(810)과; 상기 수직측판(810) 간에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820)과; 상기 수직측판(810)에 직각으로 용접 설치되며, 사각형 강판으로 이루어진 날개판(8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upper hanging connection hardware 800 includes a vertical side plate 810 having rectangular steel plates vertically arranged on left and right sides at regular intervals; A horizontal plate 820 welded between the vertical side plates 810 and having a rectangular steel plate horizontally arranged; And a wing plate (830) weld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side plate (810) and made of a rectangular steel plate.
상기 수평판(820)은 수직측판(810)의 중간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24. The method of claim 21 or 23,
Wherein the horizontal plate (820)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side plate (810).
상기 수평판(820)은 일측 수직측판(810)의 상단부 내측과 타측 수직측판(810)의 상단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24. The method of claim 21 or 23,
Wherein the horizontal plate (820) is disposed on an inner side of an upper end of the one vertical side plate (810) and an upper end of the other vertical side plate (810).
상기 수평판(820)은 수직측판(810) 간의 상단부 내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한옥골조 시공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1 or 23,
Wherein the horizontal plate (820)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end portion between the vertical side plates (8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6449A KR101422789B1 (en) | 2013-12-30 | 2013-12-30 | Prefabricated Korean Hous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6449A KR101422789B1 (en) | 2013-12-30 | 2013-12-30 | Prefabricated Korean Hous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2789B1 true KR101422789B1 (en) | 2014-07-28 |
Family
ID=5174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6449A KR101422789B1 (en) | 2013-12-30 | 2013-12-30 | Prefabricated Korean Hous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278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518B1 (en) | 2014-09-12 | 2015-04-13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Hanok side door and it's prod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625134B1 (en) | 2015-02-27 | 2016-05-30 | (주)용성제재소 | Roofing ti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8892B1 (en) * | 2011-04-07 | 2012-12-06 | 곽재동 | Prefabricated pavilion |
-
2013
- 2013-12-30 KR KR1020130166449A patent/KR10142278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8892B1 (en) * | 2011-04-07 | 2012-12-06 | 곽재동 | Prefabricated pavil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518B1 (en) | 2014-09-12 | 2015-04-13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Hanok side door and it's prod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625134B1 (en) | 2015-02-27 | 2016-05-30 | (주)용성제재소 | Roofing ti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19474B2 (en) | Load bearing building panel | |
KR101422789B1 (en) | Prefabricated Korean Hous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
KR102402790B1 (en) | Stiffeners for metallic logs structures | |
JP2010159543A (en) | Aseismatic reinforcing structure | |
JP3811489B2 (en) | Structure of open wall in steel house | |
KR101508518B1 (en) | Hanok side door and it's prod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08138493A (en) | Aseismatic reinforcing metal fittings for wooden building | |
JP2017066846A (en) | Column-beam frame | |
US20190177975A1 (en) | Structural element | |
JP2007303105A (en) | Aseismatic reinforcing structure | |
JP5629195B2 (en) | building | |
JP6893151B2 (en) | Gate typ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6357303B2 (en) | Reinforced concrete wall | |
JP5643141B2 (en) | Mixed structur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structure building | |
WO2017105296A3 (en) | Metal frame for a cast-in-situ reinforced concrete column | |
KR102289243B1 (en) |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assembled bar column, U-shaped beam, Corrugated deck | |
JP2000328664A (en) | Building unit and unit type building | |
KR200164231Y1 (en) | bracket equipped long bar for construction work of ceiling part of concrete structure | |
JP4724791B2 (en) | Support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s, wooden buildings and metal bundles | |
KR20080006638U (en) | Bracket for roof structure | |
JP2642101B2 (en) | Structure of mounting part of cantilever floor panel | |
JP3130488B2 (en) | Seismic retrofitting of existing buildings | |
KR101209408B1 (en) | A prefabricated house construction device | |
JP2020133231A (en) | Wooden building structure | |
AU2002234421B2 (en) | A load bearing building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