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3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2038B1 KR101422038B1 KR1020120123039A KR20120123039A KR101422038B1 KR 101422038 B1 KR101422038 B1 KR 101422038B1 KR 1020120123039 A KR1020120123039 A KR 1020120123039A KR 20120123039 A KR20120123039 A KR 20120123039A KR 101422038 B1 KR101422038 B1 KR 1014220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ket
- fixing
- door
- mode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케이스,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도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프레임, 복수의 배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바스켓은,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 됨에 따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모드, 그리고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회동 바스켓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사용자 환경에 따라 복수의 바스켓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이에 더불어 도어의 내측면 상의 공간이 부족하면 회동 바스켓을 접어서 공간을 사용 가능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으로 나뉘어진다.
한편, 냉장고의 내부 공간은 한정적이므로, 냉장실 및 냉동실 외에도 추가적인 수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내측면에 바스켓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바스켓이 음식물 기타 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경우에도 바스켓이 계속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불어,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바스켓들 간에 호환성이 없어 바스켓들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는 바, 사용자 환경에 맞추어 바스켓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호환성을 가지는 복수의 바스켓을 도어의 내측면 상에 설치하되, 그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 환경에 따라 도어의 내측면 상에 설치된 바스켓을 설치 형태를 조정하여, 바스켓의 설치에 따른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케이스,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도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프레임, 복수의 배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바스켓은,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 됨에 따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모드, 그리고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회동 바스켓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케이스, 저장실을 개폐하며, 그 내측면이 함몰되어 전면부,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를 형성하는 도어,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고정부 및 복수의 배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바스켓은,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 바스켓, 그리고 고정부에 고정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바스켓을 각각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면에 동일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복수의 고정부와 배치공간이 마련되고, 이에 더불어 서로 호환성을 가지는 복수의 바스켓이 마련되어, 사용자 환경에 따라 복수의 바스켓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스켓을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내측면 상의 공간이 부족하면 바스켓을 접어서 공간을 사용 가능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구성을 도어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회동 바스켓 및 수납 바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회동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수납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회동 바스켓 및 수납 바스켓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회동 바스켓이 제1 배치 공간에 배치되고, 수납 바스켓이 제2 배치 공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회동 바스켓이 제2 배치 공간에 배치되고, 수납 바스켓이 제1 배치 공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회동 바스켓이 도어를 향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선반을 부가하여 활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어의 내측면에 선반이 설치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회동 바스켓을 접은 상태에서 선반에 긴 물품을 수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에 바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회동 바스켓 및 수납 바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회동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수납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회동 바스켓 및 수납 바스켓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회동 바스켓이 제1 배치 공간에 배치되고, 수납 바스켓이 제2 배치 공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회동 바스켓이 제2 배치 공간에 배치되고, 수납 바스켓이 제1 배치 공간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회동 바스켓이 도어를 향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선반을 부가하여 활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어의 내측면에 선반이 설치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회동 바스켓을 접은 상태에서 선반에 긴 물품을 수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에 바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케이스(100),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20),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공간을 구획하는 고정부(320)를 포함하며, 도어(12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프레임(300), 복수의 배치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고정부(320)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스켓(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바스켓(200)은, 고정부(3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 됨에 따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모드, 그리고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회동 바스켓(21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프레임(300), 고정부(320) 기타 냉장고(1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저장실이 마련된다. 여기서, 저장실은 케이스(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냉장실, 케이스(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냉동실, 냉장실과 냉동실의 사이에 마련되는 야채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장실이 케이스 상측, 냉동실 케이스 하측에 배치되는 bottom-freezer 방식의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냉장고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어(120)는 저장실을 개폐하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장실 도어는 냉장실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장실을 개폐하며, 냉동실 도어는 냉동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동실을 개폐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장실 도어의 내측면에 바스켓(200)을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명명하는 도어(120)는 냉장실 도어(120)를 의미하는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일 실시예는 냉동실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120)의 내측면 상에는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므로, 도어(120)의 내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스켓(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20)의 내측면에는 바스켓(20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300)이 마련된다. 여기서, 프레임(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의 내측면 상에 복수의 바스켓(200)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스(310) 및 고정부(3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의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며, 프레임(300)의 몸체를 구성한다.
고정부(320)는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 공간 (350, 360)을 구획 형성하며, 바스켓(200)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310)로부터 저장실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로부터 냉장실을 연장 형성되는데, 그 형성위치에 따라 2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20)는 베이스(3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고정부(330), 그리고 베이스(310)의 양측 단부 사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부(340)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20)의 갯수가 문제되는데, 고정부(320)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120)의 내측면 상에 설치하고자 하는 바스켓(200)의 갯수에 맞추어 고정부(320)도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320)를 통해 2개의 바스켓(200)을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의 양측 단부에 한 쌍의 제1 고정부(330)와, 베이스(310)의 양측 단부 사이에 1개의 제2 고정부(340)가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320)가 형성되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고정부(320) 사이에 바스켓(200)이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고정부(320)가 짝을 이루어 바스켓(200)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파악해 보면, 고정부(320)는 바스켓(200)을 고정설치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도어(120)의 내측면이 제공하는 공간을 바스켓(200)이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배치 공간 (350, 360)으로 구획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제1 고정부(330)와 제2 고정부(340) 사이의 공간을 제1 배치 공간(350)으로, 우측의 제1 고정부(330)와 제2 고정부(340) 사이의 공간을 제2 배치 공간(360)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그런데, 제1 배치 공간(350) 및 제2 배치 공간(3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340)를 베이스(31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함으로써 서로 동일한 폭(a)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치 공간(350) 및 제2 배치 공간(360)과 동일한 폭(a)을 가지는 바스켓(200)을 제1 배치 공간(350) 또는 제2 배치 공간(36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 바스켓(200)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고정부(320)가 짝을 이루어 배치 공간 (350, 360)에 배치되는 바스켓(200)을 고정 설치하는바, 이를 위하여 고정부(320)에는 걸림홈(332, 34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332, 342)은 고정부(320)의 측면에 형성되되, 고정부의 종류에 따라 고정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330)는 그 일측면에만 걸림홈(332, 342)이 형성되며, 제2 고정부(340)는 그 양측면에 각각 걸림홈(332, 342)이 형성된다. 물론 제2 고정부(340)의 경우에도 일측에만 걸림홈(332, 3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홈(332, 3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20)의 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형성되되, 고정부의(320)의 측면 상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걸림홈은 고정부의 (320)의 측면 방향뿐만 아니라 상면방향 쪽으로도 함께 개방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을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바스켓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걸림홈의 하단부까지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걸림홈의 상단부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걸림부는 그 하단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회동 바스켓(210)의 힌지 돌기(212)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걸림부의 내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돌기(212)의 이탈를 방지하지 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이탈 방지 돌기(34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걸림홈을 고정부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고정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바스켓이 적용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적용례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걸림홈(332, 342)을 이용하여 바스켓(200)을 고정할 수 있으나, 바스켓(200)의 하중에 의해 걸림홈(332, 342)이 파손되거나 바스켓(200)의 형태나 사용 태양에 따라 바스켓(200)이 걸림홈(332, 342)만으로는 바스켓(200)을 유동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부(320)는 고정부(32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바스켓(2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34, 344), 그리고 고정부(320) 측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336, 346)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34, 3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20)의 하단부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고정부(320)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200)이 고정부(32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에 지지부(334, 344)가 바스켓(200)의 저면을 지지하여, 바스켓(200)의 하중이 지지부(334, 344)에 분산된다.
스토퍼 홈(336, 34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20) 측면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 홈(336, 346)에는 후술할 회동 바스켓(210)을 도어(120)의 내측면을 향해서 접는 경우에 회동 바스켓(210)의 스토퍼 돌기(214)가 삽입되어 회동 바스켓(210)을 고정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회동 바스켓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수납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3b를 참조하여,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서는 저장실 외에도 또 다른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120)의 내측면에 바스켓(200)을 고정 설치한다. 그런데, 도어(120)의 내측면이 제공하는 공간은 저장실에 비해 한정적이다. 따라서, 바스켓(200)을 단순히 수납 공간만을 형성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다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바스켓(200)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320)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바스켓(200)은,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회동 바스켓(210)은 고정부(3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를 위하여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힌지 돌기(212) 및 스토퍼 돌기(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회동 바스켓(210)은 제1 배치 공간(350) 및 제2 배치 공간(360)과 동일한 폭(a)을 가져 제1 배치 공간(350) 또는 제2 배치 공간(36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돌기(212)는 회동 바스켓(210)의 양측면의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며, 걸림홈(332, 342)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힌지 돌기(212)는 걸림홈(332, 342)의 하단부까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런데, 걸림홈(332, 342)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이탈 방지 돌기(348)가 형성되는바, 힌지 돌기(212)로 이탈 방지 돌기(348)를 소정의 힘으로 밀어서 탄성 변형시키면서 걸림홈(332, 342)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물론, 회동 바스켓(210)을 고정부(32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도, 힌지 돌기(21)로 이탈 방지 돌기(348)를 소정의 힘으로 밀어서 탄성 변형 시키면서 걸림홈(332, 34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 바스켓(210)은 회동될 수 있어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토퍼 돌기(214)는 회동 바스켓(210)의 양측면의 상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고정부(320)의 스토퍼 홈(336, 346)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회동 바스켓(210)을 도어(120)의 내측면을 향하여 회동시키는 경우에 스토퍼 돌기(214)가 스토퍼 홈(336, 346)에 삽입되어 회동 바스켓(210)을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 바스켓(220)은 고정부(320)에 고정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바스켓(220)은 회동 바스켓(210)과 마찬가지로 제1 배치 공간(350) 및 제2 배치공간과 동일한 폭(a)을 가져 제1 배치 공간(350) 또는 제2 배치 공간(36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납 바스켓(220)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바스켓(210)과는 달리 유동되지 않게 설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용도만을 가진다.
이와 같이 수납 바스켓(220)을 유동되지 않게 설치하기 위하여, 수납 바스켓(220)은 그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222) 및 고정 돌기(22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턱(22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22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바스켓(220)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걸림홈(332, 342)에 삽입 가능한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지지턱(224)은 고정 돌기(222)로부터 전후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고정부(32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수납 바스켓(220)을 고정부(320)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는, 고정 돌기(222)가 걸림홈(332, 342)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지지턱(224)의 바닥면이 고정부(32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 결과, 수납 바스켓(220)은 고정 돌기(222) 및 지지턱(224)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회동 바스켓 및 수납 바스켓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회동 바스켓이 도어를 향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의 선택적인 배치와, 그리고 회동 바스켓(210)을 다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서는 제1 배치 공간(350) 및 제2 배치 공간(360)이 서로 동일한 폭(a)을 가지며, 제1 고정부(330) 및 제2 고정부(340)에 마련되는 걸림홈(332, 342), 지지부(334, 344), 스토퍼 홈(336, 346) 또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제1 고정부(330) 및 제2 고정부(340)와 제 1 배치 공간 및 제2 배치 공간(360)은 바스켓(20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동일한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대응하여,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은 제1 배치 공간(350) 및 제2 배치 공간(360)과 동일한 폭(a)을 가지며, 회동 바스켓(210)의 힌지 돌기(212)와 수납 바스켓(220)의 고정 돌기(222) 모두 걸림홈(332, 342)에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즉,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은 서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서는 고정부(320) 및 바스켓(200)의 배치 공간 (350, 360)이 복수로 마련되어 동일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 이에 더불어 바스켓(200)은 그 용도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가지되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도 5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스켓(210)을 제1 배치 공간(350)에 배치하고 수납 바스켓(220)을 제2 배치 공간(360)에 배치하거나, 이와 반대로 회동 바스켓(210)을 제2 배치공간에 배치하고 수납 바스켓(220)을 제2 배치 공간(360)을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회동 바스켓(210)을 마련하여 이를 각각 제1 배치 공간(350) 및 제2 배치 공간(360)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동 바스켓(210)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 공간의 형성 외에 다른 용도로도 활용되는바, 바스켓(200)의 설치 시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 바스켓(2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복수의 고정부(320) 및 배치공간과, 서로 호환성을 가지는 복수의 바스켓(200)이 마련되는바 사용자 환경에 따라 바스켓(200)의 배치 위치 및 설치 갯수를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다. 즉, 바스켓(200)의 설치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layout을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지금까지는,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의 선택적인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회동 바스켓(210)의 회동 가능한 특성을 이용하여 다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 바스켓(210)은 회동 됨에 따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모드, 그리고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제1 모드는 회동 바스켓(210)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공되며, 그리고 제2 모드는 회동 바스켓(210)이 도어(120)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서 제공된다.
제1 모드는 회동 바스켓(210)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모드이다. 회동 바스켓(210)은 통상적으로는 회동 바스켓(210)을 제1 모드로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회동 바스켓(210)이 제1 모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회동 바스켓(210)의 저면이 고정부(320)의 지지부(334, 344)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회동 바스켓(21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의 내측면 쪽으로 접히도록 회동되어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모드이다. 수납 바스켓(220)은 도어(120)의 내측면 상에 제공되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제2 모드로 배치되어 개방 공간을 형성한다.
회동 바스켓(210)이 제1 모드로 배치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스켓(210)이 전후 폭 만큼 냉장실 쪽으로 돌출되나, 제2 모드로 배치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스켓(210)의 상하 높이(b) 만큼만 냉장실 쪽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회동 바스켓(210)을 제2 모드로 배치하면 회동 바스켓(210)의 전후 폭과 상하 높이(b)의 차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도어(120)의 내측면 상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개방 공간이란 회동 바스켓(210)을 제2 모드로 배치함에 따라 제1 모드로 배치하여 경우에 비하여 도어(120)의 내측면 상에 추가로 확보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회동 바스켓(210)의 제2 모드로 배치하는 경우에 개방 공간을 좀 더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회동 바스켓(210)은 그 상하 높이(b)가 그 전후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동 바스켓(210)을 도어(120)의 내측면을 향해서 회동시키면 회동 바스켓(210)의 스토퍼 돌기(214)가 고정부(320)의 스토퍼 홈(336, 346)에 삽입됨으로써, 회동 바스켓(210)이 도어(120)의 내측면 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접힌 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 돌기(214) 및 스토퍼 홈(336, 346)을 형성하지 않고, 회동 바스켓(210)의 전단부가 도어(12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형태로 회동 바스켓(21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회동 바스켓(210)을 포함함에 따라, 물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거나 냉장고(10) 내부의 공간이 부족하면 회동 바스켓(210)을 접어서 공간을 확장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선반을 부가하여 활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어(120)의 내측면에 바스켓(200) 외에 선반(40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20)의 내측면에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을 설치하여 수납 공간을 형성하나, 이와 별도로 추가적인 수납 공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서는 도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바스켓(200)에서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반(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바스켓(210)을 제2 모드로 배치하여 개방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선반(400)과 바스켓(200) 사이의 소정거리보다 긴 물품을 선반(400)에 수납 가능하다.
선반(40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보다 소정거리 하측에 위치하도록 도어(12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선반(400)은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와는 별도로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어(120)의 내측면 상에 제공되는 공간은 저장실에 비하여 한정적이므로, 회동 바스켓(210) 및 수납 바스켓(220)과 선반(400) 사이의 거리 또한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페트병과 같이 길이가 긴 물품을 선반(400)에 보관하는데 한계가 따르므로, 결국 페트병을 저장실에 눕혀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 바스켓(210)은 도어(120)의 내측면 쪽으로 접혀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바스켓(210)을 제2 모드로 배치하여 개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400)과 회동 바스켓(210) 사이의 소정거리보다 길이가 긴 페트병(500) 기타 물품을 선반(400)에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바스켓(200)과는 별도로 도어(120)의 내측면에 선반(400)을 설치하여 수납 공간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회동 바스켓(210)을 제2 모드로 배치함으로써 길이가 긴 물품을 선반(400)에 수납할 수 있어 냉장고(10)의 공간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구성하는 고정부에 바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케이스(1100), 저장실을 개폐하며, 그 내측면이 함몰되어 전면부,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를 형성하는 도어(1120), 도어(1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 공간 (1350, 1360)을 구획 형성하는 고정부(1320) 및 복수의 배치 공간(1350, 136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고정부(1320)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스켓(1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바스켓(1200)은, 고정부(13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 바스켓(1210), 그리고 고정부(1320)에 고정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바스켓(1220)을 각각 하나 이상씩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는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고정부(1320)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일 실시예와 서로 차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최소화하고,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1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의 전면에 마련되어 냉장실을 개폐하며, 그 내측면이 함몰되어, 전면부,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1120)의 내측면 상에는 도어(1120)의 전면부,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둘러싸인 소정의 공간이 제공된다.
고정부(1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에 바스켓(1200)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부(1320)는 제1 고정부(1330) 및 제2 고정부(1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고정부(1330)는 도어(1120)의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2 고정부(1340)는 도어(1120)의 전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13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20)의 내측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2 고정부(1340)는 도어(1120)의 내측면의 전면부로부터 냉장실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즉, 고정부(1320)는 도어(1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 형성되는바, 도어(1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320)와 도어(1120)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고정부(1320)와 도어(1120)를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줄이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어(11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1320)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2개의 바스켓(1200)을 설치하기 위하여 도어(1120) 내측면의 양 측면부에 각각 하나의 제1 고정부(1330)를 형성하고, 제2 고정부(1340)를 제1 고정부(1330) 사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의 제1 고정부(1330)와 제2 고정부(1340) 사이, 그리고 우측의 제1 고정부(1330)와 제2 고정부(1340) 사이에는 서로 동일한 폭(a)을 가지는 제1 배치 공간(1350) 및 제2 배치 공간(136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 고정부(1330) 및 제2 고정부(1340)에는 바스켓(12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걸림홈(1332, 1342), 지지부(1334, 1344) 및 스토퍼 홈(336, 3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에서는, 도어(1120)와 고정부(1320)가 일체로 형성되는 점 이외에는, 고정부(1320)와 바스켓(1200) 간에 동일한 결합구조가 적용된다. 따라서, 서로 호환성을 가지는 복수의 바스켓(1200),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스켓(1210) 및 수납 바스켓(1220)을 제1 배치 공간(1350) 및 제2 배치 공간(1360)에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장고(10, 2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1100 : 케이스 120, 1120 : 도어
200, 1200 : 바스켓 210, 1210 : 회동 바스켓
212 : 힌지 돌기 214 : 스토퍼 돌기
220, 1220 : 수납 바스켓 222 : 고정 돌기
300 : 프레임 310 : 베이스
320, 1320 : 고정부 330, 1330 : 제1 고정부
340, 1340 : 제2 고정부 332, 342, 1332, 1342 : 걸림홈
334, 344, 1334, 1344 : 지지부 336, 346, 1336, 1346 : 스토퍼 홈
200, 1200 : 바스켓 210, 1210 : 회동 바스켓
212 : 힌지 돌기 214 : 스토퍼 돌기
220, 1220 : 수납 바스켓 222 : 고정 돌기
300 : 프레임 310 : 베이스
320, 1320 : 고정부 330, 1330 : 제1 고정부
340, 1340 : 제2 고정부 332, 342, 1332, 1342 : 걸림홈
334, 344, 1334, 1344 : 지지부 336, 346, 1336, 1346 : 스토퍼 홈
Claims (19)
-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복수의 배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 됨에 따라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모드, 그리고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회동 바스켓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냉장고.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회동 바스켓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회동 바스켓이 상기 도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서 제공되는 냉장고.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치 공간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냉장고. - 제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바스켓은,
서로 호환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배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냉장고.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저장실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냉장고.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스켓은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힌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 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걸림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고정부의 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서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고정부의 측면 방향 및 상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냉장고.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스켓은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 바스켓이 상기 제2 모드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스토퍼 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바스켓에서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반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스켓을 상기 제2 모드로 배치하여 상기 개방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선반과 상기 바스켓 사이의 소정거리보다 긴 물품을 상기 선반에 수납 가능한 냉장고. -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그 내측면이 함몰되어 전면부,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를 형성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치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복수의 배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 바스켓,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바스켓을 각각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냉장고.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스켓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모드, 그리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서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냉장고.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상기 저장실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스켓은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힌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바스켓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상기 힌지 돌기 및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을 각각 포함하는 냉장고.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냉장고.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돌기는 상기 걸림홈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걸림홈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3039A KR101422038B1 (ko) | 2012-11-01 | 2012-11-01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3039A KR101422038B1 (ko) | 2012-11-01 | 2012-11-01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760A KR20140055760A (ko) | 2014-05-09 |
KR101422038B1 true KR101422038B1 (ko) | 2014-08-13 |
Family
ID=5088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3039A KR101422038B1 (ko) | 2012-11-01 | 2012-11-01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20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8288B1 (ko) * | 2019-01-25 | 2024-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8347Y1 (ko) * | 1988-10-08 | 1992-11-20 | 대우전자 주식회사 | 다용도 포켓 |
JPH11101570A (ja) * | 1997-09-29 | 1999-04-13 | Sanyo Electric Co Ltd | 冷蔵庫の扉装置 |
US6799818B2 (en) * | 2001-10-31 | 2004-10-05 | General Electric Company | Tiltable storage module for refrigerator |
US20100175414A1 (en) * | 2009-01-15 | 2010-07-15 | Kim Seong Wook | Container elevating apparatus in a door refrigerator |
-
2012
- 2012-11-01 KR KR1020120123039A patent/KR1014220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8347Y1 (ko) * | 1988-10-08 | 1992-11-20 | 대우전자 주식회사 | 다용도 포켓 |
JPH11101570A (ja) * | 1997-09-29 | 1999-04-13 | Sanyo Electric Co Ltd | 冷蔵庫の扉装置 |
US6799818B2 (en) * | 2001-10-31 | 2004-10-05 | General Electric Company | Tiltable storage module for refrigerator |
US20100175414A1 (en) * | 2009-01-15 | 2010-07-15 | Kim Seong Wook | Container elevating apparatus in a door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760A (ko) | 2014-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18814B1 (en) | Refrigerator | |
EP1903288B1 (en) | Drawer Type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2629953B1 (ko) | 냉장고 | |
KR101622008B1 (ko) | 냉장고용 중앙 격벽 밀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
KR102174511B1 (ko) |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
US9709316B2 (en) |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ator | |
US20050046319A1 (en) |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 |
KR20120015246A (ko) | 냉장고 | |
KR20120015249A (ko) | 냉장고 | |
US9310126B2 (en) | Refrigerator | |
US9939191B2 (en) | Horizontal flipper mullion incorporated within a false mullion of an appliance | |
KR20120015248A (ko) | 냉장고 | |
US8721014B2 (en) | Refrigerator | |
US20180087828A1 (en) | Refrigerator | |
KR20170135440A (ko) | 냉장고 | |
KR20140134865A (ko) | 냉장고 | |
KR101422038B1 (ko) | 냉장고 | |
CN113272606B (zh) | 冰箱 | |
JP2014052107A (ja) | 冷蔵庫 | |
KR20090066778A (ko) | 냉장고용 선반 | |
KR102719444B1 (ko) | 냉장고 | |
EP2588820B1 (en) | Refrigerator | |
EP4296596A1 (en) | Refrigerator | |
KR100575222B1 (ko) | 냉장고 | |
KR102163918B1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