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02B1 -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002B1
KR101422002B1 KR1020070032450A KR20070032450A KR101422002B1 KR 101422002 B1 KR101422002 B1 KR 101422002B1 KR 1020070032450 A KR1020070032450 A KR 1020070032450A KR 20070032450 A KR20070032450 A KR 20070032450A KR 101422002 B1 KR101422002 B1 KR 10142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tored
indicator
output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817A (ko
Inventor
심진선
황수연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로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단계; 상기 방송 출력 단계를 수행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하는 저장 방송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구현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시청 상태에서 저장 방송 출력 상태로 또는 상기 저장 방송 출력 상태에서 상기 방송 시청 상태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방송 채널, 저장 방송, 방송 리스트

Description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of controlling broadcast output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의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송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송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의 출력 제어 과정을 도시한 단말기의 상태도.
본 발명은,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방송 수신 가능한 단말기는,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방송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응하는 다른 방송 채널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현재 수신되는 방송의 출력 중에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된 방송을 출력하기 위하여, 방송 시청 상태를 종료시킨 후 저장 방송 출력 상태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저장 방송 출력 상태에 진입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는, 방송 시청 상태에서 저장 방송 출력 상태로 또는 저장 방송 출력 상태에서 방송 시청 상태로 바로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방송 시청 상태에서 저장 방송 출력 상태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방송 시청 상태를 종료시킨 후에야 비로소 상기 저장 방송 출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송 출력 모드에서 저장 방송 출력 모드로 또는 저장 방송 출력 모드에서 방송 출력 모드로의 간편 이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구현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제어 방법은, 단 말기로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단계; 상기 방송 출력 단계를 수행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하는 저장 방송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저장된 저장 방송을 출력하는 저장 방송 출력 단계; 상기 저장 방송 출력 단계를 수행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는,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이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출력을 제어하 는 단말기는,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이하 '저장 방송')을 출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의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마이크(120), 방송 수신부(130), 통신 모듈(140), 저장부(150),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출력부(160)는, 비디오 출력부(162) 및 오디오 출력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마이크(12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인다. 상기 방송 수신부(130)는, 방송 채널로부터 방송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방송은, 오디오 방송, 비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통신 모듈(140)은,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호 신호, 메시지 신호,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단말기(10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방송 수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특히, 상기 출력부(160)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비디오 출력부(162)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오디오 출력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 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이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가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흐름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수신부(130)를 통하여 방송을 수신한다(S210). 여기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 또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방송 채널로부터, 상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은, 오디오 방송, 비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방송은, 오디오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방송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방송은 데이터 신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방송은, 상기 오디오 방송 또는 상기 비디오 방송에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출력부(160)를 통하여 상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한다(S220).
상기 방송이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동기화된 후에, 상기 비디오 신호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162)를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164)를 통하여 출력된다.
또는, 상기 방송이 오디오 신호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164)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배경 화면(예를 들어, 이퀄라이저 화면)을 상기 비디오 출력부(162)를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방송이 데이터 신호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비디오 출력부(164)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164)를 통하여 출력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텍스트 형태, 오디오 형태, 비디오 형태, 이미지 형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30).
여기에서, 상기 방송 검색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검색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 (이하 '방송 리스트')를 표시한다(S240).
여기에서, 상기 방송 채널은, 현재 단말기(100)에서 선택 가능한 방송 채널 또는 이용 가능한 방송 채널을 의미한다. 상기 저장 방송은, 상기 방송 수신부(130)를 통하여 기존에 수신된 방송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방송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은, 상기 방송 리스트 상에서 상단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은 상기 방송 리스트 상에서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는, 서로 다른 배경 색상, 배경 무늬, 글씨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수신되는 방송의 형태에 따라서, 방송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비디오 방송인 경우에, 비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비디 오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오디오 방송인 경우에,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오디오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데이터 방송인 경우에,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데이터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수신되는 방송의 형태에 관계없이, 선택 가능한(또는, 수신 가능한) 모든 방송 채널 및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든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방송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수신되는 방송의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방송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방송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이용 빈도, 시청 시간, 접속 횟수, 시간대별 이용 빈도 등)에 따라 지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송 리스트 중에서 저장 방송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이하 '제 1 동작')과 방송 채널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이하 '제 2 동작')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을 선택한다(S250).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210 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과 상기 S250 단계에서 선택된 저장 방송에 대한 동시 출력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6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시 출력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고,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한다(S270).
또한, 상기 수신되는 방송 및 상기 저장 방송 중 어느 하나에 비디오 신호가 없는 경우라면, 상기 단말기(100)는, 비디오 신호가 존재하는 방송 또는 저장 방송의 비디오 신호를 전체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되는 방송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의 오디오 신호가 충돌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시 출력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220 단계에서의 방송 출력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한다(S280).
상기 제 2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한다(S290).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220 단계에서의 방송 출력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한다(S295).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분 표시 영역에 상기 S220 단계에서의 방송을 출력하고,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S295 단계에서의 방송을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송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방송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송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상태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수신되는 방송을 화면상에 출력하고, 화면의 일부 영역, 특히, 화면의 하단 우측 영역에,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에 대한 검색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하 '검색 영역')(312)을 표시한다(310). 상기 검색 영역(312)은, 소프트 키를 이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검색 영역(312)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310 상태에서 출력되고 있는 방송을 그대로 출력하면서, 화면의 소정 영역에 방송 리스트(322)를 표시한다(320).
예를 들어, 상기 방송 리스트는, 팝 업(pop-up) 방식, OSD(On Screen Display) 방식,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송 리스트는, 일정 시간 동안 방송 채널 또는 저장 방송에 대한 선택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화면에서 자동으로 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리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20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은 상기 방송 리스트(322)의 상단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은 상기 방송 리스트(322)의 하단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송 리스트(322) 상에서의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 각각의 바탕 색상, 글씨체, 글씨 색상, 바탕 무늬 등을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리스트(322)는, 선택 가능한(또는,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310 상태에서 출력되고 있는 방송이 비디오 방송인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비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저장 비디오 방송으로 구성되는 방송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의 타입에 따라, 예를 들어, 비디오 방송, 오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인지에 따라, 상기 방송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을 달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방송이 비디오 방송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방송 리스트(322) 중에서 저장 방송인 'MBC_070301'(322-1)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 및 상기 선택된 저장 비디오 방송을 동시 출력할 것인지 묻는 창(332)을 표시한다(330).
상기 사용자에 의해 'Yes'(332-1)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화면을 2개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하나의 표시 영 역(342)에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저장 비디오 방송을 다른 하나의 표시 영역(344)에 출력한다(340). 이때, 상기 현재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선택된 저장 비디오 방송의 오디오 신호가 충돌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해 'No'(332-2)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현재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저장 비디오 방송을 화면상에 출력한다(350).
또는, 상기 방송 리스트(322) 중에서 방송 채널인 'KBS'(322-2)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인 'KBS'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방송을 화면상에 출력한다(360).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흐름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을 출력한다(S41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20).
여기에서, 상기 방송 검색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검색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 (이하 '방송 리스트')를 표시한다(S43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의 형태에 따라서, 방송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이 비디오 방송인 경우에, 비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비디오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이 오디오 방송인 경우에,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오디오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이 데이터 방송인 경우에,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데이터 방송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의 형태에 관계없이, 선택 가능한(또는, 수신 가능한) 모든 방송 채널 및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든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방송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의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방송 리스트를 표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방송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이용 빈도, 시청 시간, 접속 횟수, 시간대별 이용 빈도 등)에 따라 지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송 리스트 중에서 방송 채널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이하 '제 3 동작')과 저장 방송이 선택된 경우의 동작(이하 '제 4 동작')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상기 제 3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한다(S440).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410 단계에서 출력되는 저장 방송과 상기 S440 단계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의 방송에 대한 동시 출력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5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시 출력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저장 방송을 출력하고,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의 방송을 출력한다(S460).
또한, 상기 저장 방송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충돌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시 출력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410 단계에서의 저장 방송 출력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한다(S470).
상기 제 4 동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을 선택한다(S480).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410 단계에서의 저장 방송 출력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한다(S490).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S410 단계에서의 저장 방송을 출력하고,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S480 단계에서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방송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송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상태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저장 방송을 화면상에 출력하고, 화면의 일부 영역에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에 대한 검색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하 '검색 영역')(512)을 표시한다(510).
상기 검색 영역(512)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510 상태에서 출력되고 있는 저장 방송을 그대로 출력하면서, 화면의 소정 영역에 방송 리스트(522)를 표시한다(520).
상기 방송 리스트의 표시 방식에 대하여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 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522) 상에서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20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리스트 상에서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 각각의 배경 무늬 또는 배경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522) 상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저장 방송을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저장 방송이 저장 비디오 방송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방송 리스트(522) 중에서 방송 채널인 'MBC'(522-1)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저장 비디오 방송 및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방송을 동시 출력할 것인지 묻는 창(532)을 표시한다(530).
상기 사용자에 의해 'Yes'(532-1)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화면을 2개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저장 비디오 방송을 하나의 표시 영역(542)에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방송을 다른 하나의 표시 영역(544)에 출력한다(540).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해 'No'(532-2)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저장 비디오 방송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의 비디오 방송을 화면상에 출력한다(550).
또는, 상기 방송 리스트(522) 중에서 저장 방송인 'CNN_070301'(522-2)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화면상에 출력한다(56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의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오디오 방송 출력 제어 과정에 따른 단말기의 상태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수신되는 오디오 방송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방송 채널로부터의 오디오 방송을 출력중임을 표시한다(610).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화면의 하단 영역에 상기 오디오 방송을 통하여 현재 출력중인 음악의 명칭을 표시함과 아울러 이전에 출력된 음악 및 앞으로 출력될 음악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바(6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화면의 하단 우측 영역에,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 채널 및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대한 검색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하 '검색 영역')(612)을 표시한다.
상기 검색 영역(612)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화면의 일정 영역에 방송 리스트(622)를 표시한다(620).
상기 방송 리스트의 표시 방식에 대하여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방송 리스트(622)는, 선택 가능한(또는,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방송 채널 및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오디오 파일은, 기존에 오디오 방송으로부터 저장된 오디오 파일이거나, 상기 단말기(100)에 기 저장된 오디오 파일이거나, 외부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파일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오디오 파일은, 기존에 저장된 저장 오디오 방송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620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방송 리스트(622) 상에서 방송 채널 및 오디오 파일을 식별되게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방송 리스트(622)의 상단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표시하고, 상기 방송 리스트(622)의 하단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리스트(622) 중에서 오디오 파일인 '사랑해.mp3'(622-1)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방송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방송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선택된 '사랑해.mp3'를 출력한다(630).
한편, 상기 방송 리스트(622) 중에서 방송 채널인 'SBS 음악-1'(622-2)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SBS 음악-1'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방송을 출력한다(6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에 의 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출력 중에,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방송 리스트를 통하여 저장 방송을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방송 출력 모드에서 저장 방송 출력 모드로 간단하게 이동할 수 있다.
둘째, 단말기를 이용한 저장 방송 출력 중에,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으로 구성된 방송 리스트를 통하여 방송 채널을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저장 방송 출력 모드에서 방송 출력 모드로 간단하게 이동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방송 리스트를 방송 타입별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방송 리스트 상에서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을 서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방송 채널 및 저장 방송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Claims (19)

  1. 단말기로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의 출력 중에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하면,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 단계; 및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 지시자가 지시하는 저장 방송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출력하는 저장 방송 출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는 서로 식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은,
    오디오 방송, 비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방송 출력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표시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오디오 방송인 경우에,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오디오 방송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오디오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송 출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표시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비디오 방송인 경우에, 비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비디오 방송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비디오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표시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데이터 방송인 경우에,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데이터 방송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데이터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 지시자가 지시하는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방송 출력 단계는,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면서,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 지시자가 지시하는 저장 방송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출력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9.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저장 방송을 출력하는 저장 방송 출력 단계;
    상기 저장 방송의 출력 중에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하면,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지시하는 저장 방송 지시자를 조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 단계; 및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 지시자가 지시하는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는 서로 식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 지시자가 지시하는 저장 방송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출력하는 저장 방송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출력 단계는,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저장 방송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출력하면서,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지시자가 지시하는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제어 방법.
  12.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면서,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이하 '저장 방송')을 지시하는 저장 방송 지시자를 조합할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 지시자가 지시하는 저장 방송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출력하는 출력하며,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는 서로 식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오디오 방송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오디오 방송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오디오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비디오 방송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비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비디오 방송을 지시하는 저장 비디오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신되는 방송이 데이터 방송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데이터 방송을 지시하는 저장 데이터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하는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고,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저장 방송 지시자가 지시하는 저장 방송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출력하는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8.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이하 '저장 방송')을 출력하면서, 방송 검색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지시하는 방송 채널 지시자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을 지시하는 저장 방송 지시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송 리스트로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 지시자가 지시하는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며, 상기 하나의 방송 리스트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지시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방송 지시자는 서로 식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저장 방송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출력하고, 다른 일부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 지시자가 지시하는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KR1020070032450A 2007-04-02 2007-04-02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KR10142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50A KR101422002B1 (ko) 2007-04-02 2007-04-02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50A KR101422002B1 (ko) 2007-04-02 2007-04-02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17A KR20080089817A (ko) 2008-10-08
KR101422002B1 true KR101422002B1 (ko) 2014-07-23

Family

ID=4015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450A KR101422002B1 (ko) 2007-04-02 2007-04-02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179A (ko) * 2005-06-09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선호채널 목록 및 프로그램 목록이 포함된시작화면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20070000839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리스트 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179A (ko) * 2005-06-09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선호채널 목록 및 프로그램 목록이 포함된시작화면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방법
KR20070000839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리스트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17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70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30077939A1 (en) Captioned Video Playback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00385925C (zh) 具有便利的频道设置过程的图像显示器及其方法
US8631435B2 (en) Method for providing program image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KR101422002B1 (ko) 방송 출력 제어 방법 및 방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기
KR101387482B1 (ko) 네트워크 서버 접속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및방송을 이용한 정보 저장 방법
KR20100040409A (ko) 사용자 선호 채널 기반의 자동 프리셋 기능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JP4505728B2 (ja) 端末装置および端末処理プログラム
CN111984221B (zh) 音频输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63084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980010689A (ko)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768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27304A (ko) 로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8103981A (ja) 放送受信再生装置
KR101265592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화면 전환 방법
KR10119985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출력방법
JP2004248140A (ja) 二画面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584891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806392B1 (ko) 특정채널의 그룹지정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및채널선택방법
CN112752126A (zh) 机顶盒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14606B1 (ko)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표시 방법
JP2006254018A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JP2007281567A (ja) 選局装置、テレビおよび選局モード設定方法
KR20080009977A (ko) 통신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JP2000333095A (ja) 多画面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