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541B1 -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541B1
KR101421541B1 KR1020070137639A KR20070137639A KR101421541B1 KR 101421541 B1 KR101421541 B1 KR 101421541B1 KR 1020070137639 A KR1020070137639 A KR 1020070137639A KR 20070137639 A KR20070137639 A KR 20070137639A KR 101421541 B1 KR101421541 B1 KR 10142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modulation
virtual
nonlinear
pa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831A (ko
Inventor
신용식
오세현
임종태
안종국
이병석
김경준
전성훈
고현모
김진율
최원훈
이선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541B1/ko
Priority to PCT/KR2008/005713 priority patent/WO2009082084A1/en
Publication of KR2009006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2001/1072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by tuning the receive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장비에 구비된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입력받아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마다 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며, 제 3 신호와 상호변조 신호가 포함된 제 4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신호로부터 상기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한 통신 장비 내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여 신호 검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통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수동소자, 상호변조, 비선형, 통신장비

Description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utus for Removing Intermodulation Generated at Passive Devices}
본 발명은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한 통신 장비 내 수동소자에서 발생하게 되어 신호를 왜곡시키는 복잡한 비선형적인 상호변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여 신호 검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통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계속해서 다양화되고 있으며, 가입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는 멀티밴드 주파수를 확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동일한 이동통신 방식에서의 복수개의 주파수 밴드를 확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복수의 이동통신 방식이 중첩되도록 통신망을 구성하여 각 이동통신 방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주파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은 이동통신 사업자에게는 신규 시장을 개척하는 기회가 제공되기는 하지만, 망 구축에 필요한 비용이 부담으로 작 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절감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및 중계기 등의 통신장비에서의 비선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데 따른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원하는 신호를 왜곡시키는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진 상호변조(Intermodulation, '혼변조'라고도 함)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통신장비 내 구비된 안테나, 급전선 및 분배기 등의 수동소자(Passive Device)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로 인하여 인접 주파수 대역에 잡음을 발생시켜 신호대 잡음비를 저하시킴으로써, 서비스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한 통신 장비 내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여 신호 검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통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통신장비에 구비된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입력받아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마다 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며, 제 3 신호와 상호변조 신호가 포함된 제 4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신호로부터 상기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통신장비에 구비된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입력받아 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 단계; (b)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마다 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는 비선형 신호 생성 단계; (c) 기 설정된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상호변조 신호 추정 단계; 및 (d) 제 3 신호와 상호변조 신호를 포함하는 제 4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신호로부터 상기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상호변조 신호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한 통신 장비 내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여 신호 검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통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 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우선, 위에서 언급된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는 통신장비 내 구비된 수동소자(Passive Device)들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Intermodulation) 신호를 의미하며, 인접 주파수 대역에 잡음을 발생시켜 신호대 잡음비를 저하시키는 신호로서 본 발명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이하에서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를 간단히 "상호변조 신호"로 기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 내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100)는 제 1 신호(10) 및 제 2 신호(20)를 입력받아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 및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입력받고, 가상 상호변조 신호마다 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며, 제 3 신호와 상호변조 신호가 포함된 제 4 신 호(30)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제 4 신호(30)로부터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는 제 1 주파수(f1) 성분의 제 1 신호(10) 및 제 2 주파수(f2) 성분의 제 2 신호(20)를 입력받아서,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의 하모닉(HarMonic) 주파수들끼리의 합과 차로 조합된 주파수 성분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가상 상호변조 신호는 2f1-f2 및 2f2-f1 등의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는 능동소자 및/또는 수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된 가상 상호변조 신호로부터 특정 차수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차수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로부터입력되어진 하나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에 대하여 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고자 한다면, 신호차수 변경부는 1차 비선형 신호로부터 K차 비선형 신호까지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다. 따라서,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에서 생성된 K개의 비선형 신호는 1차 비선형 신호로부터 K차 비선형 신호까지를 포함한다.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는 필터 계수를 제어(조절)하여 설정함으로써, (M×K)개의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제거하고자하는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데,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 부(12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 내 결합부에서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 계수 설정은 다양한 방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는 추정 상호변조 신호 및 제 4 신호(30)를 입력받아, 제 4 신호(30)에 포함된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호변조 신호 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제거부는, 실제로 수신하고자 하는 제 3 신호와 제 3 신호를 왜곡시켜서 검파 성능을 떨어뜨리는 상호변조 신호가 포함된 제 4 신호(30)에서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하다고 추정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뺌으로써 상호변조 신호가 제거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의 개수인 M 및 비선형 신호의 차수인 K는, 제 3 신호의 검파 성능 결과에 따라 조절되어 설정되며, 이러한 M과 K를 다르게 설정함에 따라서, 다른 구조의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수동소자(Passive Device) 및/또는 능동소자(Active Device) 등의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100)는 복수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 및 신호차수 변경 및 신호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를 포함함으로써, 복수(M개)의 가상 상호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양한 차수의 비선형 신호로 변경하여 결합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호변조 제거 장치(100)는 복잡하고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비선형 특성의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호변조 제거 장치가 포함되는 중계기 및 기지국 등의 통신장비에서의 신호 검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에 대한 상세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100)는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입력받아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 및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120)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x1, x2, ... , xM)를 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특정 차수의 비선형 신호로 변경 생성하는 신호차수 변경부(121), 신호차수 변경부(121)로부터 비선형 신호를 전달받아 결합하여 제거하고자하는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y')를 생성하는 결합부(122) 및 생성된 추 정 상호변조 신호(y')를 이용하여 제 4 신호(y)에 포함된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제거부(123)를 포함한다.
신호차수 변경부(121)는 입력받은 가상 신호변조 신호마다 특정 차수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하나의 가상 신호변조 신호에 대하여 1차 부터 K차 까지의 비선형 신호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첫번째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가상 상호변조 신호(x1)로부터 1차 비선형 신호(x1 1), 2차 비선형 신호(x1 2), ... 및 K차 비선형 신호(x1 K)를 생성할 수 있으며, 두번째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가상 상호변조 신호(x2)로부터 1차 비선형 신호(x2 1), 2차 비선형 신호(x2 2), ... 및 K차 비선형 신호(x2 K)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된 모든 가상 상호변소 신호(x1, x2, ... , xM)를 변경하여 (M×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M과 K는 양의 정수이다.
결합부(122)는 필터 계수를 제어(조절)하여 설정함으로써, (M×K)개의 비선형 신호를 신호차수 변경부(121)로부터 전달받아 결합하여 제거하고자하는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데,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 계수 설정은 다양한 방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 다.
제거부(123)는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결합부(122)로부터 전달받아, 입력된 제 4 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한다. 이러한 제거부(123)는 실제로 수신하고자 하는 제 3 신호와 제거하고자하는 상호변조 신호가 포함된 제 4 신호에서 제거하고자하는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하다고 추정되어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결합부(122)로부터 전달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뺌으로써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의 개수인 M 및 비선형 신호의 차수인 K는, 제 3 신호의 검파 성능 결과에 따라 조절되어 설정되며, 이러한 M과 K를 다르게 설정함에 따라서, 다른 구조의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입력받아 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 단계(S300), 가상 상호변조 신호 마다 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는 비선형 신호 생성 단계(S302), 설정된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상호변조 신호 추정 단계(S304) 및 제 3 신호와 상호변조 신호를 포함하는 제 4 신호가 입력되면, 생성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제 4 신호로부터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상호변조 신호 제거 단계(S306)를 포함한다.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 단계(S300)에서의 입력된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는 각기 제 1 주파수(f1)와 제 2 주파수(f2) 성분의 신호이다.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 단계(S300)에서 생성된 가상 상호변조 신호는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의 하모닉(HarMonic) 주파수들끼리의 합과 차로 조합된 주파수 성분의 신호이다. 이러한 가상 상호변조 신호는 2f1-f2 및 2f2-f1 등의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선형 신호 생성 단계(S302)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 단계(S300)에서 생성되어 입력된 가상 상호변조 신호로부터 특정 차수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하나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에 대하여 K개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선형 신호는 1차 비선형 신호로부터 K차 비선형 신호까지의 비선형 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다.
상호변조 신호 추정 단계(S304)에서는, 필터 계수를 제어(조절)하여 설정함으로써, (M×K)개의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제거하고자하는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상호변조 신호 제거 단계(S306)는 추정 상호변조 신호 및 제 4 신호를 입력받아, 제 4 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실제로 수신하고자 하는 제 3 신호와 제 3 신호를 왜곡시켜서 검파 성능을 떨어뜨리는 상호변조 신호가 포함된 제 4 신호에서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하다고 추정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뺌으로써 상호변조 신호가 제거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110)의 개수인 M 및 비선형 신호의 차수인 K를 조절함으로써, 다른 구조의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 3 신호의 검파 성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호변조 제거 방법은 복수(M개)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다양한 차수의 비선형 신호로 변경하여 결합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한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복잡하고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비선형 특성의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호변조 제거 장치가 포함되는 중계기 및 기지국 등의 통신장비에서의 신호 검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장비 내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 호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에 적용되어,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한 통신 장비에 구비된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신호 왜곡을 방지하여 신호 검파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통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에 대한 상세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110: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
120: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
121: 신호차수 변경부
122: 결합부
123: 제거부

Claims (10)

  1.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주파수(f1) 성분의 제 1 신호 및 제 2 주파수(f2) 성분의 제 2 신호를 입력받아 M개(M은 2이상의 자연수)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마다 K개(K는 양의 정수)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며, 수신 신호인 제 4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신호에 포함된 장비 내 구비된 수동소자(Passive Device)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한 제 3 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의 하모닉(HarMonic) 주파수들끼리의 합과 차로 조합된 주파수 성분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는,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로부터 특정 차수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차수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K개(K는 양의 정수)의 상기 비선형 신호는,
    1차 비선형 신호로부터 K차 비선형 신호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는,
    필터 계수의 제어를 이용하여, (M×K)개의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고, 상기 상호변조 신호와 유사한 상기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는,
    상기 제 4 신호로부터 상기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차감함으로써, 상기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M은 2이상의 자연수) 및 상기 K(K는 양의 정수)는 상기 제 3 신호의 검파 성능 결과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관리부에서의 상기 상호변조 신호에 대한 제거 기능은 비선형 필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장치.
  9. 신호 제거 장치가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주파수(f1) 성분의 제 1 신호 및 제 2 주파수(f2) 성분의 제 2 신호를 입력받아 M개(M은 2이상의 자연수)의 가상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가상 상호변조 신호 생성 과정;
    상기 가상 상호변조 신호마다 K개(K는 양의 정수)의 비선형 신호를 생성하는 비선형 신호 생성 과정;
    기 설정된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비선형 신호를 결합하여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상호변조 신호 추정 과정; 및
    수신 신호인 제 4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추정 상호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4 신호에 포함된 장비 내 구비된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한 제 3 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하는 상호변조 신호 제거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K개(K는 양의 정수)의 상기 비선형 신호는,
    1차 비선형 신호로부터 K차 비선형 신호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KR1020070137639A 2007-12-26 2007-12-26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42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39A KR101421541B1 (ko) 2007-12-26 2007-12-26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PCT/KR2008/005713 WO2009082084A1 (en) 2007-12-26 2008-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ntermodulation generated at passiv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39A KR101421541B1 (ko) 2007-12-26 2007-12-26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31A KR20090069831A (ko) 2009-07-01
KR101421541B1 true KR101421541B1 (ko) 2014-07-24

Family

ID=4132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639A KR101421541B1 (ko) 2007-12-26 2007-12-26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385A (en) 1996-07-08 2000-08-22 Silicon Wireles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in digital wideband transmission systems
US6757338B1 (en) 2000-05-24 2004-06-29 Postech Foundation Predistortion linearizer using even 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US20060181344A1 (en) 2005-02-15 2006-08-17 Ksienski David A Multiple signal intermodulation reduction system
KR20060120361A (ko) * 2005-05-19 2006-11-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수동소자 상호변조 왜곡신호 측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385A (en) 1996-07-08 2000-08-22 Silicon Wireles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in digital wideband transmission systems
US6757338B1 (en) 2000-05-24 2004-06-29 Postech Foundation Predistortion linearizer using even order intermodulation components
US20060181344A1 (en) 2005-02-15 2006-08-17 Ksienski David A Multiple signal intermodulation reduction system
KR20060120361A (ko) * 2005-05-19 2006-11-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수동소자 상호변조 왜곡신호 측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31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233B2 (en) Full duplex radio
US8912848B2 (en) Digital pre-distortion device and method for a broadband power amplifier
WO2009082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ntermodulation generated at passive devices
Anttila et al. Frequency-selective I/Q mismatch calibration of wideband direct-conversion transmitters
Prasad et al. In-band full duplex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s
US20120140685A1 (en) Simplified adaptive filter algorithm for the cancellation of tx-induced even order intermodulation products
US10158445B2 (en) Compensating for unwanted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WO2014015711A1 (zh) 收发信机和干扰对消方法
KR101395331B1 (ko)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를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463441B1 (ja) マルチ受話端のエコー除去方法及びシステム
Korpi et al. Feasibility of in-band full-duplex radio transceivers with imperfect RF components: Analysis and enhanced cancellation algorithms
EP2856656B1 (en) Method, base station and apparatus in a base station for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Debaillie et al. Calibration of direct-conversion transceivers
KR101421541B1 (ko)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Kiayani et al. Active RF cancellation of nonlinear TX leakage in FDD transceivers
JP201409358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2001136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surrounding coupled noise
US8085887B2 (en) Method and receiver circuit for reducing RFI interference
CN109951236B (zh) 一种宽带自动波动校准方法及装置
KR101172293B1 (ko) 수동소자 상호변조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CN114391223B (zh) 收发器装置中的干扰消除的概念
KR102652957B1 (ko) 수동 상호 변조 왜곡 제거용 라인 필터
KR100456759B1 (ko) 무선주파수노이즈소거기
JP4246925B2 (ja) マルチキャリア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CN112398507B (zh) 一种噪声信号处理装置和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