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728B1 -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 결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728B1
KR101420728B1 KR1020127030630A KR20127030630A KR101420728B1 KR 101420728 B1 KR101420728 B1 KR 101420728B1 KR 1020127030630 A KR1020127030630 A KR 1020127030630A KR 20127030630 A KR20127030630 A KR 20127030630A KR 101420728 B1 KR101420728 B1 KR 101420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odes
network environment
environment data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918A (ko
Inventor
이제키엘 크룩릭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2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2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c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잠재적 이상 노드를 다루는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개시된다.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에서 구현되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동작 정보는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수신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을 결정하는 단계 -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됨 -; 및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 결정{DETERMINING OPTIMUM DELIVERY CONDITIONS ASSOCIATED WITH A RESTORATION PLAN IN A COMMUNICATION NETWORK}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회복 시스템(self-healing system)이 결함 있는 노드(failing node) 또는 고장난 노드(failed node)를 수리(repair)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자기 회복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와 함께 이용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자기 회복 시스템은 네트워크 라우팅 비용 테이블(network routing cost table)을 포함할 수 있는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포맷과 함께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자기 회복 시스템은 결함 있는 노드 또는 고장난 노드를 수리하는데 이용될 경우에 네트워크 환경(network condition)을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을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에서 구현된 복구 방안(restoration plan)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의 다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operational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정보는 잠재적 이상 노드(potentially troubled node)의 징후(indic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수신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repair data package)와 연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의 고장 이전에,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에 인접한 선택한 정상 노드(non-troubled node)로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공은 결정된 최적의 전송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에서 구현된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의 다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정보는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수신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요약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태양, 실시예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의 태양, 실시예 및 특징들은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청구된 대상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 사항에 따라 다양한 예시를 제시한다. 청구된 대상은 여기에서 개시된 구체적인 세부 사항 중 일부나 그 이상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일부 상황에서는, 널리 알려진 방법, 절차, 시스템, 컴포넌트 및/또는 회로가 청구된 대상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여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문맥에서 다른 지시가 없다면,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여기에 제시된 대상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태양들이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 대체, 조합 및 설계될 수 있음과, 이 모두가 명백히 고려되고 본 개시의 일부가 됨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그 중에서도, 잠재적 이상 노드를 다루는 복구 방안과 연관되어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방법, 장치, 시스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련된다.
이하에서 논의된 것은 설계에서 네트워크 라우팅 코스트를 이용하는 개념과 수리 계획(repair strategy)의 구현이다. 일부 예시에서는, 고정 대역폭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가능한 한 잦은 수리 배치(repair deployment)의 효과가 고려되었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에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자기 수리를 위하여 설계된 복구 방안과 연관될 수 있는 속도 및 자원 요구에 대한 고려 사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감소된 통신 네트워크 스트레스(communication network stress) 및 더 빠른 수리가 모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논의된 일부 계획은 자기 회복이 빠르게 일어나고 다른 프로세스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복구 방안을 개발 및/또는 최적화하는 것에 있어서 동적 및/또는 정적 통신 네트워크 제한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전용 기반 시설 없이 기능할 수 있는 고정 대역폭의 무선 유비컴형(ubicomp-type) 네트워크(예컨대, 지그비형(Zigbee-type) 통신 네트워크 등)일 수 있으나,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예시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고정 대역폭을 가지지 않을 수 있거나, 무선이 아닐 수 있거나(예컨대, 송전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 전용 기반 시설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유비컴형 네트워크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유비컴형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일상적으로 다수의 다양한 규모로 분산될 수 있는 다수의 소형 및/또는 저렴한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메시형(mesh-type) 네트워크, 애드혹형 네트워크 등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잠재적 이상 노드(예컨대, 고장났거나 고장나려고 하거나 고장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노드) 및 복구 방안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복구 방안"이라는 용어는 검사 방안(예컨대, 하나 이상의 검사 단계) 및/또는 수리 방안(예컨대, 메모리 수리 이미지(memory repair image)와 같은,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노드로 로드(load)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진행 중인 기능에 대한 중단(disruption)을 최소화하기 위한, 그러한 검사를 수행하는 상이한 방식 및/또는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전달하는 상이한 방식에 대한 네트워크 비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수리 데이터 패키지는 곧 고장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는 잠재적 이상 노드에 근접하여 미리 로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특정한 잠재적 이상 노드에 대한 수리는, 특정한 잠재적 이상 노드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예컨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 등)이 제2 노드에 의해 이중으로 지원되는 경우 및/또는 버퍼(buffer)가 어플리케이션을 잠깐 동안 유지(sustain)시켜 더 느린 수리 전달을 하도록 하는 경우에, 그 우선 순위가 떨어질(deprioritized)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1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서로 통신하도록 배열된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와 같은 다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의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는 서로 통신하도록 배열(예컨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개별의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는 일대일 직접 통신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기반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고/거나 개별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중계하는 간접 통신으로 서로 통신하도록 배열(예컨대, 결합)될 수 있다. 개별의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는 센서(예컨대, 지그비형 장치), 휴대 전화,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PDA)),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무선 웹워치 장치(wireless web-watch device), 개인용 헤드셋 장치, 특수 용도 장치(application specific device) 등 및/또는 그들의 조합과 같은 휴대용(또는 모바일)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개별의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의 각각은 (제어 노드(102 및 104)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노드 또는 (검사 노드(106 및 108)로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 노드로 지정될 수 있고, (정상 노드(110 및 112)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 노드 또는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 116)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잠재적 이상 노드 둘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복구 방안을 포함할 수 있는 자기 회복 계획을 구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자기 회복 계획은 단일 제어 노드(예컨대, 제어 노드(102) 또는 제어 노드(104) 중 하나) 상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다수의 제어 노드(예컨대, 제어 노드(102 및 104)) 상에서의 구현을 위하여 임의의 수의 모듈에 분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그러한 복구 방안은 검사 방안(예컨대, 하나 이상의 검사 단계) 및/또는 수리 방안(예컨대, 메모리 수리 이미지와 같은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노드로 로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개별의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 중 하나 이상을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 지정하여 복구 방안 중 그러한 검사 방안 컴포넌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통신 네트워크(100)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는 통신 네트워크(100)를 모니터링하여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동작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는 그러한 동작 정보를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예시에서,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될 수 있는 복구 방안의 수리 방안 컴포넌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부터 통신되는 동작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러한 수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정상 노드(110 및 112)와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 116) 사이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떠한 노드가 기능을 회복하도록 수리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그래왔던 것처럼, 고장난 요소의 검출을 위하여 무엇을 검사할지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많은 일반적인 경우에 해결되어 왔다. 예컨대, 그러한 검사는 각각의 노드 내에서의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방법은 여유 메모리(free memory)(및 그 변동율), 버퍼, 캐시 호출(cache call) 등을 감시(watch)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및/또는 수리할 노드가 무엇인지 결정하는 것에 관련된 복구 방안(예컨대, 검사 방안 컴포넌트 및/또는 수리 방안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는 복구 방안)의 개별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이러한 알고리즘은 여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검사 및/또는 수리할 노드가 무엇인지 결정하는 것에 관련된 복구 방안의 개별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그러한 알고리즘의 일부 예시는, 예컨대, 에스. 스리니바스(S. Srinivas) 저, "독립적 컴포넌트 장애가 있는 시스템에서의 최적의 수리 계획을 연산하기 위한 다항 알고리즘(A polynomial algorithm for computing the optimal repair strategy in a system with independent component failures)", 인공 지능의 불확실성에 대한 11차 연례 회의의 회의록(proceedings),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1995년, 512-522; 엠. 모우브(M. Mauve), 에이. 위드머(A. Widmer) 및 에이치. 하텐슈타인(H. Hartenstein) 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기반 라우팅에 관한 연구(A survey on position-based rout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IEEE 네트워크 15, no. 6, 2001년, 30-39; 피. 코르케(P. Corke) 외 저,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자동 배치 및 수리(Autonomous deployment and repair of a sensor network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로봇 공학 및 자동화에 대한 2004 IEEE 국제 회의, 2004년, 회의록 ICRA'04, vol. 4, 2004; 디. 고쉬(D. Ghosh) 외 저, "자기 회복 시스템-조사 및 합성(Self-healing systems-survey and synthesis)", 결정 지원 시스템 42, no. 4, 2007년, 2164-2185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프로세스(200) 및 여기에서 기술된 기타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처리 단계, 기능적인 동작, 사건 및/또는 작용 등으로 설명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적인 블록 또는 작용을 제시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에 비추어 도 2에서 도시되는 기능적인 블록에 대한 많은 대안들이 다양한 구현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200)는 블록 또는 작용의 하나의 특정 순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블록 또는 작용들이 나타나는 순서는 청구된 대상을 임의의 특정한 순서로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청구된 대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은 중간에 오는 작용 및/또는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작용이 사용될 수 있고/거나 도 2에서 도시된 작용 중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프로세스(200)는 예시적인 동작(202, 204, 206 및/또는 208)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은 기능적인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200)는 통신 네트워크(100)(도 1)와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통신 네트워크의 다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블록(202)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의 다수의 노드와 연관된 동작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잠재적 이상 노드는 외부적 원인(예컨대, 바이러스 등) 및/또는 내부적 원인(예컨대, 메모리 손상(memory corruption), 레이스 컨디션(race condition), 무효 포인터 또는 어드레스, 오지 않는 데이터에 대한 대기 등)으로 인한 저조한 동작(poor operation)으로 추측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그러한 동작 정보는 검사 노드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먼저 검출될 수 있고 이후 제어 노드 중 하나 이상으로 통신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동작 정보는 잠재적 이상 노드의 각각의 상대적인 건강(health)의 징후(예컨대, 고장률, 고장에 예상되는 시간 등)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202)에서 "복구 방안을 결정"하는 블록(204)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구 방안이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복구 방안은 검사 방안(예컨대, 하나 이상의 검사 단계) 및/또는 수리 방안(예컨대, 메모리 수리 이미지와 같은,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노드로 로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정상 노드 및 잠재적 이상 노드 사이를 구별할 수 있으며 수신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잠재적 이상 노드에 대한 그러한 복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초과의 제어 노드가 활용될 수 있다(예컨대, 첫번째 제어 노드는 메모리 사안을 알리고 수리할 수 있는 한편 다른 제어 노드는 무효 어드레스 테이블을 수리할 수 있음). 일부 예시에서, 그러한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복구 데이터 패키지(예컨대, 메모리 수리 이미지 등)를 잠재적 이상 노드와 연관시킬 수 있으며, 수리 데이터 패키지는 그러한 노드가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잠재적 이상 노드를 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주목한 바와 같이, 어떠한 노드를 검사 및/또는 수리할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복구 방안의 개별적인 요소를 유도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많은 일반적인 경우에 해결되어 왔고(예컨대, 검사 방안 컴포넌트 및/또는 수리 방안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복구 방안), 여기에서는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세스는 블록(204)에서 "복구 방안에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블록(206)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잠재적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여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제공에 대한 순서를 조직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두 개 이상의 잠재적 이상 노드는, 잠재적 이상 노드의 각각의 상대적인 건강의 징후를 제공할 수 있는 연관된 동작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러한 우선 순위와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우선 순위는 비교적 가장 문제가 되는 잠재적 이상 노드들에 우선 순위를 둘 수 있으나, 노드의 건강을 고려하는 것만으로는 최적의 전송 환경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정된 최적의 전송 환경은, 도 3에 관하여 아래 논의된 예시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잠재적 이상 노드와 연관된 그러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블록(206)에서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의 고장 이전에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에 인접한 선택한 정상 노드에 제공"하는 블록(208)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의 고장 이전에 수리 데이터 패키지가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에 인접한 선택한 정상 노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결정된 최적의 전송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의 고장 이전에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 정상 노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된 "인접한"이란 용어는 물리적 인접성 및/또는 네트워크 홉 인접성(network hop adjacency)을 반드시 요구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트래픽의 관점에서, 제어 노드가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에 대하여 있는 것보다 더 가까이 있는 선택한 정상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인접성"은 유사한 유형의 노드가 또한 고장나려고 하지만 아직은 검출되지 않았을 수 있는 경우에,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다루고 전달하기 위한 여분의 자원을 고려하는 기준(criteria) 및/또는 다이버시티(diversity)(예컨대, 주어진 다수의 옵션은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이상 있는 것과는 상이한 유형(예컨대, OS 유형, 칩셋 유형 등)의 노드로 전송하는데 유리할 수 있음)를 고려하는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어떠한 노드가 잠재적으로 이상이 있는지 결정하는 것과 이러한 잠재적 이상 노드에 대하여 의도된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선택은 블록(204)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다. 예컨대, 동작에서, 프로세스(200)를 실행하는 제어 노드는 수리가 필요한 여러 개의 잠재적 이상 노드에서의 실제적인 고장의 수초 전에 가능한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고장 예측 알고리즘은 시간 윈도우(time window) 내에서 고장률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러한 확률의 변동률은 시간 대 고장 추정(time-to-failure estimate)을 개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200)를 실행하는 제어 노드는, (이하에서 도 3에 관하여 더 상세히 논의될)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로부터, 고장 나는 시각에 높은 우선 순위로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전송하는 것은 통신 네트워크 상에 추가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대신 수리가 활성화되면 수리가 필요한 이러한 잠재적 이상 노드가 통신 네트워크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건강하고, 근접한, 정상 노드로부터 빠르게 수신하도록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여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리가 필요한 잠재적 이상 노드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정상 노드(예컨대, 건강한 노드)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는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기능에 비교적 덜 영향을 주면서 비교적 더 빠른 수리를 허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프로세스(300)는 동작(302, 304, 308, 310, 314, 316, 320, 324, 326, 328, 330, 332 및/또는 334)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은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도 2의 프로세스(200)의 구현의 하나 이상의 예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300)는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는 동작(302)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컨대,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는 개별의 노드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하는 것과 같이, 통신 네트워크(1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는 통신 네트워크(100)의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 또는 기타 노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한 모니터링은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모을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02)에서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304)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0)의 다수의 노드(예컨대,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와 연관된 동작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100)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는 외부적 원인(예컨대, 바이러스 등) 및/또는 내부적 원인(예컨대, 오지 않는 데이터에 대한 대기 등)로 인한 저조한 동작으로 추측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그러한 동작 정보(예컨대,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는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먼저 검출될 수 있으며 이후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중 하나 이상으로 통신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그러한 동작 정보는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 자기 수리 모듈(306)로 통신될 수 있다. 자기 수리 모듈(306)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중 단 하나 상에 구현될 수 있거나 다수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상에서의 구현을 위하여 임의의 수의 모듈에 분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와 연관된 자기 수리 모듈(306)은 복구 방안을 포함할 수 있는 자기 회복 계획을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04)에서 "복구 방안을 결정"하는 동작(308)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구 방안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와 연관된 자기 수리 모듈(306)은 수신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러한 복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복구 방안은 검사 방안(예컨대, 하나 이상의 검사 단계) 및/또는 수리 방안(예컨대, 메모리 수리 이미지와 같은,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노드로 로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와 연관된 자기 수리 모듈(306)은 개별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 116) 중 하나 이상을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 지정하여 복구 방안의 그러한 검사 방안 컴포넌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통신 네트워크(1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예시에서,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와 연관된 자기 수리 모듈(306)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될 수 있는, 복구 방안 중 수리 방안 컴포넌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그러한 수리 데이터 패키지는 그러한 노드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도록 잠재적 이상 노드를 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수리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부터 통신되는 동작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리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정상 노드(110 및 112) 및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 116) 사이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08)에서 "복구 방안을 수신"하는 동작(310)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구 방안은 자기 수리 모듈(306)로부터 전송 최적화기 모듈(delivery optimizer module)(312)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되어 복구 방안을 자기 수리 모듈(3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동작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에 의해 수신된 복구 방안과 연관될 수 있거나 포함될 수 있다.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중 단 하나 상에 구현될 수 있거나, 다수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상에서의 구현을 위하여 임의의 수의 모듈에 분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 및 자기 수리 모듈(306)이 별도의 모듈로 도시되었으나, 대신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 및 자기 수리 모듈(306)의 다양한 동작이 하나 이상의 모듈로 재조직 및/또는 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복구 방안을 수신"하는 동작(310)은 복구 방안 중 전부 또는 일부의 검사 방안 부분을 자기 수리 모듈(306)로부터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동작(310)에서 논의된 복구 방안은 검사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복구 방안 중 검사 방안 부분은 수신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공되었을 수 있다. 그러한 검사 방안은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8)의 적어도 일부를 조사(probe)하도록 의도된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서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동작(330-334)에 관하여, 복구 방안 중 검사 방안 부분은 결정된 최적의 검사 조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10)에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인 동작(314)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가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에 의하여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러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에 의해 먼저 모아지지 않고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또는 116)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라는 용어는 요구(demand), 정체(congestion) 등 및/또는 그들의 조합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관측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라우팅 테이블과 연관된 관측된 홉 카운트, 관측된 맵 지연 시간, 기존의 트래픽으로부터의 관측된 정체 환경 등 또는 그들의 조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한 대안적으로, 동작(320)에 관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그러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하나 초과의 노드 중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이중적인 지원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버퍼 상태(buffer status)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는 동작(310)에서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인 동작(316)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가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에 의하여 네트워크 비용 맵(318)(또는 통신 네트워크(100)와 연관된 비 동적 환경(non-dynamic condition)의 기타 저장소(repository))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된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라는 용어는 비 동적 네트워크 환경에 관련된 미리 정해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대역폭 용량형 네트워크 비용 맵(bandwidth capacity-type network cost map) 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16)에서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동작(320)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이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320)은 동작(302), 동작(304), 동작(310), 동작(314) 및 동작(316)의 순차적인 발생 이후에 일어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동작(302, 304, 310, 314 및/또는 316)은 일부 다른 순서로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복구 방안은 추가적인 테스트 또는 구체적인 모니터링 작용(예컨대,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를 통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예시에서, 복구 방안은, 예컨대 가설을 확인하도록 더 많은 테스트 데이터를 먼저 요구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은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여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 및/또는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제공 순서를 조직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우선 순위는 비교적 가장 문제가 있는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에 우선 순위를 두었을 수 있으나, 노드의 건강을 고려하는 것만으로는 최적의 전송 환경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결정된 최적의 전송 환경은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 및/또는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와 연관된 그러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예컨대,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또는 116) 중 임의의 것)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제2 노드(예컨대,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또는 116) 중 다른 임의의 것)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의 결정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제2 노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잠재적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예컨대,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또는 116) 중 임의의 것)와 연관된 버퍼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의 결정은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와 연관된 버퍼 상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잠재적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세스는 동작(320)으로부터 "최적의 전송 환경을 전송"하는 동작(322)으로 계속될 수 있고, 여기서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은 전달 최적화기 모듈(312)로부터 자기 수리 모듈(306)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22)에서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제공"하는 동작(324)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는 선택한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최적의 전송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동작(324)에 관하여, 프로세스(300)는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미리 제공"하는 동작(326)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수리 데이터 패키지는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의 고장 이전에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에 인접한 선택한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26)으로부터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전송"하는 동작(328)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선택한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는 미리 제공된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된 최적의 전송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의 고장 이전에 선택한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로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로의 전송은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에서의 증가된 고장률 또는 고장에 의하여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스(300)는 주어진 고장률(예컨대, 80 퍼센트의 고장률, 단 10 퍼센트의 고장률 또는 단 1 퍼센트의 고장률)을 가지는 임의의 노드 근방에서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준비하고 지급(disburse)할 수 있으며 이후 고장이 발생하거나 고장이 더 확실해지면(예컨대, 90 퍼센트의 고장률) 선택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로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전송을 트리거 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그러한 미리 제공된 수리 데이터 패키지는 이들을 사용하지 않고 버릴 수 있지만, 요구될 수 있는 수리가 낮은 영향의 트래픽 속도를 이용해 미리 제공되었을 수 있다는 점에서 통신 네트워크(100)로의 이득은 순 이득(net gain)일 수 있다.
동작에서,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100)는 수리가 필요한 여러 개의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에서의 실제 고장의 수초 이전에 가능한 고장을 검출했을 수 있다.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은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314) 및/또는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316)로부터, 고장 나는 시각에 높은 우선 순위로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전송하는 것은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추가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대신 전송 최적화기 모듈(312)은 최적의 전송 환경(320)을 결정하여, 수리가 활성화되면 수리가 필요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가 통신 네트워크(100)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건강하고, 근접한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로부터 수리 데이터 패키지를 빠르게 수신하도록, 수리가 필요한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6)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로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통신 네트워크(100)의 다른 기능에 비교적 덜 영향을 주면서 비교적 빠른 수리를 허용할 수 있다.
동작(320 내지 328)에 더하여 또는 동작(320 내지 328)에 대안적으로, 프로세스(300)는 "최적의 검사 조건을 결정"하는 동작(330)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구 방안 중 검사 방안 부분과 연관된 최적의 검사 조건이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동작(310)에서 논의된 복구 방안은 검사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복구 방안 중 검사 방안 부분은 수신된 잠재적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공되었을 수 있다. 그러한 검사 방안은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8)의 적어도 일부를 조사하도록 의도된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서의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의 적어도 일부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310)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복구 방안 중 전부 또는 일부의 검사 방안 부분의 전송이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동작(330 내지 334)이 동작(320 내지 328) 이후에 일어나는 것으로 도시되나, 동작(330 내지 334)은 동작(320 내지 328)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거나 그 전에 일어날 수 있다(예컨대, 동작(330 내지 334)은 동작(310)과 연관된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의 전부 또는 일부의 검사 방안의 전송에 대하여 대체될 수 있음).
도시된 예시에서, 복구 방안 중 검사 방안 부분과 연관된 최적의 검사 조건은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 및/또는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잠재적 이상 노드(114 및/또는 118) 중 적어도 일부를 조사하도록 의도된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로서의 정상 노드(110 및/또는 112)의 적어도 일부의 선택은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예컨대, 라우팅 테이블과 연관된 관측된 홉 카운트, 관측된 맵 지연 시간, 기존의 트래픽으로부터 관측된 정체 환경 등 또는 그들의 조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30)으로부터 "최적의 검사 조건을 전송"하는 동작(332)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검사 조건이 전달 최적화기 모듈(312)로부터 자기 수리 모듈(306)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동작(332)에서 "검사 노드의 분배를 변경"하는 동작(334)으로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서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의 분배는 통신 네트워크(100)의 노드(예컨대, 노드(102, 104, 106, 108, 110, 112, 114 및/또는 116) 중 임의의 것) 중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변경됨에 따라,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는 (동작(302)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는, 변경됨에 따라, 복구 방안 중 검사 방안 컴포넌트와 연관된 결정된 최적의 검사 조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적인 변수가 검사 노드(106 및/또는 108)를 통하여 감시되어 종전에 관측된 고장 유형에 대한 더 나은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예시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400)을 도시한다. 프로그램 제품(400)은 신호 베어링 매체(40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베어링 매체(4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가 도 2 및/또는 도 3에 대하여 상술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동작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 가능 명령(40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 1의 시스템을 참조하면,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 중 하나 이상은 매체(402)에 의하여 전달되는 명령(404)에 응답하여 도 2 및/또는 도 3에서 도시되는 작용 중 하나 이상을 착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40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 디지털 테이프,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40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402)는 메모리, 읽기/쓰기(R/W) CD, R/W DVD 등과 같은 기록 가능 매체(40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베어링 매체(402)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컨대,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waveguide),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통신 매체(41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 일 예시적인 구성(501)에서,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및 시스템 메모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버스(530)는 프로세서(510) 및 시스템 메모리(520)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μP), 마이크로 컨트롤러(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510)는 레벨 1 캐시(511), 레벨 2 캐시(5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레벨(level)의 캐시(cache), 프로세서 코어(513), 및 레지스터(5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코어(513)는 산술 논리 연산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 부동 소수점 장치(floating point unit; FPU), 디지털 신호 처리 코어(DSP Core),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515)는 또한 프로세서(5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 컨트롤러(515)는 프로세서(510)의 내적인 일부일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5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스템 메모리(520)는 운영 체제(521),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522), 및 프로그램 데이터(52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522)은 도 2의 프로세스(200) 및/또는 도 3의 프로세스(300)에 관하여 기술된 기능 블록 및/또는 작용을 포함하여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최적의 전송 환경 알고리즘(52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524)는, 최적의 전송 환경 알고리즘(523)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525), 예컨대, 정적 네트워크 환경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522)은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구현이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521) 상에서 프로그램 데이터(524)로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노드(102 및/또는 104)는 컴퓨팅 장치(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구현이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52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된 기초적인 구성은 도 5에서 파선(501) 내의 그 구성요소들에 의해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500)는 기초적인 구성(501) 및 임의의 요구되는 장치 및 인터페이스(interface)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추가적인 특징 또는 기능, 및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540)는 저장 인터페이스 버스(541)를 통한 기초적인 구성(501)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장치(55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550)는 이동식 저장 장치(551), 고정식 저장 장치(552),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이동식 저장 장치 및 고정식 저장 장치의 예를 몇 가지 들자면,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flexible disk drive)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장치, 컴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SSD), 및 테이프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program module),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에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520), 이동식 저장 장치(551) 및 고정식 저장 장치(552)는 모두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5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그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5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또한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542)를 통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예컨대, 출력 인터페이스, 주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기초적인 구성(501)으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스(5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출력 인터페이스(560)는 그래픽 처리 유닛(561) 및 오디오 처리 유닛(5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A/V 포트(56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주변 인터페이스(560)는 직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571)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5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I/O 포트(573)를 통하여 입력 장치(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 또는 기타 주변 장치(예컨대, 프린터, 스캐너 등)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인터페이스(58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581)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582)를 통한 네트워크 통신 상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590)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통신 연결은 통신 매체의 일 예시이다.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기타 수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에서의 기타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연결(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라디오 주파수(RF), 적외선(IR) 및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휴대 전화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개인 미디어 재생 장치, 무선 웹워치 장치, 개인 헤드셋 장치, 특정 용도 장치, 또는 상기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융합 장치와 같은 소형 폼팩터 휴대용(모바일) 전자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또한 랩탑 컴퓨터나 랩탑이 아닌 컴퓨터 구성 둘 다를 포함하는 개인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500)는 무선 기지국 또는 기타 무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의 일부분은 컴퓨터 메모리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 비트 또는 이진 디지털 신호 상에서의 동작의 알고리즘 또는 기호적 표현의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적인 설명 또는 표현은 데이터 프로세싱 분야의 당업자가 그들 연구의 실체를 다른 당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의 예시이다. 여기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은 요구되는 결과로 이끄는 일관된 일련의 동작이나 유사한 프로세싱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작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량의 물리적 조작을 수반한다. 보통,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양은 저장, 전송, 조합, 비교 또는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주로 통상적인 사용의 이유에서, 비트, 데이터, 값, 요소, 심볼, 문자, 용어, 숫자 또는 번호 등으로 그러한 신호를 지칭하는 것이 때때로 편리함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들 및 유사한 용어 모두는 적절한 물리량과 연관될 것이고, 단지 편리한 라벨(label)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면, 이하의 논의로부터 분명하게 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논의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기타 정보 저장 장치, 전송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물리적인 전자적 또는 자기적 양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변환하는 컴퓨팅 장치의 작용이나 프로세스와 관련 있음이 인정된다.
청구된 대상은 여기에서 기술된 특정 구현예로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부 구현예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하드웨어로 있을 수 있는 반면, 예컨대, 다른 구현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구된 대상은 이러한 점에서 범위가 제한되지 않지만, 일부 구현예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이러한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면, 예컨대, 앞서 설명된 구현예 중 하나와 같은 청구된 대상에 따라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의 양상들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 사이에는 구별이 거의 없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어떤 맥락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이의 선택이 중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design choice)이다. 본 개시에서 기재된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들이 영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vehicles)(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는 한, 당업자라면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또는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의 넓은 범위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라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mechanism)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신호 베어링 매체의 예는,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CD, DVD, 디지털 테이프, 컴퓨터 메모리 등과 같은 기록 가능 유형의 매체,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를 들어, 섬유 광학 케이블, 도파관,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전송 유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여기서 설명된 형식으로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를 기술하고, 이후, 공학 실무를 사용하여 그러한 기술된 장치(예를 들면, 전송기, 수신기, 컴퓨팅 플랫폼, 컴퓨팅 장치 등) 및/또는 방법을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한다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는 일반적이란 것을 인식할 것이다. 즉, 여기서 기술된 장치 및/또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합당한 실험량을 통해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시스템 유닛 하우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같은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같은 프로세서, 운영 체제, 드라이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 엔티티(computational entities), 터치 패드 또는 스크린 같은 하나 이상의 상호작용 장치, 및/또는 피드백 루프 및 제어 모터(예를 들면, 위치 및/또는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컴포넌트 및/또는 양(quantities)을 이동하고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전형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컴퓨팅/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컴퓨팅/통신 시스템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대상은 때때로 상이한 다른 컴포넌트 내에 포함되거나 접속된 상이한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시된 그러한 아키텍처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고,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다른 많은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념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컴포넌트의 임의의 배치는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유효하게 "연관"된다.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여기서 결합된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아키텍처 또는 중간 컴포넌트와는 무관하게,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연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관된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와 같이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두 개의 컴포넌트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작적으로 연결 가능하다는 것의 특정 예는 물리적으로 양립가능(mateable)하고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의 용어의 사용에 대하여, 당업자는 맥락 및/또는 응용에 적절하도록, 복수를 단수로 및/또는 단수를 복수로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의 치환은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사용되며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들이 일반적으로 "개방적(open)" 용어(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용어 "갖는"는 "적어도 갖는"으로, 용어 "포함하다"는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함)로 의도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입된 청구항의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그러한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 청구범위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등의 도입 구절의 사용을 포함하여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절의 사용이,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기재사항의 도입이, 그러한 하나의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실시예로,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특정 청구항을 제한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절인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a" 또는 "an")과 같은 부정관사(예를 들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야 함)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정관사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라면 그러한 기재가 일반적으로 적어도 기재된 수(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가 없는 "두개의 기재사항"을 단순히 기재한 것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기재사항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재사항을 의미함)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또한 당업자라면, 실질적으로 어떠한 이접 접속어(disjunctive word) 및/또는 두 개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들을 나타내는 구절은, 그것이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그 용어들 중의 하나, 그 용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용어들 두 개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구절은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에서 "구현예", "일 구현예", "일부 구현예", 또는 "기타 구현예"에 대한 참조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일부의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모든 구현예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의 설명에서, "구현예", "일 구현예" 또는 "일부 구현예"의 다양한 등장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구현예를 지칭할 필요가 없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기타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대체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Claims (21)

  1.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동작 정보는 이상 노드(troubled node)의 징후(indic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노드는 고장(failure)의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고장 나지 않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를 포함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restoration plan)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되고, 상기 복구 방안은 상기 이상 노드를 수리하도록 상기 이상 노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optimum delivery condi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선택한 이상 노드의 고장 이전에 상기 선택한 이상 노드에 인접한 선택된 정상 노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전송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제공의 순서(sequence)를 조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과 연관된 관측된 홉 카운트(observed hop count), 관측된 맵 지연 시간, 또는 기존의 트래픽(traffic)으로부터 관측된 정체 환경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네트워크 비용 맵(network cost map)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제2 노드에 관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상기 제2 노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와 연관된 버퍼 상태(buffer status)에 관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상기 제1 노드와 연관된 상기 버퍼 상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사 방안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검사 방안은 상기 이상 노드의 적어도 일부를 조사하도록 의도된 검사 노드로서의 상기 정상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포함함 -; 및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검사 방안과 연관된 검사 환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동작 정보는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노드는 고장의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은 고장나지 않았음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되고, 상기 복구 방안은 상기 이상 노드를 수리하도록 상기 이상 노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전송의 순서를 조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라우팅 테이블과 연관된 관측된 홉 카운트, 관측된 맵 지연 시간 또는 기존의 트래픽으로부터 관측된 정체 환경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네트워크 비용 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제2 노드에 관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상기 제2 노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와 연관된 버퍼 상태에 관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상기 제1 노드와 연관된 상기 버퍼 상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통신 네트워크로서,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동작 정보는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노드는 고장의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고장나지 않았음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을 결정하고 - 상기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되고 상기 복구 방안은 상기 이상 노드를 수리하도록 상기 이상 노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을 결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선택한 이상 노드의 고장 이전에, 상기 선택한 이상 노드에 인접한 선택한 정상 노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전송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통신 네트워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의 전송의 순서를 조직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우팅 테이블과 연관된 관측된 홉 카운트, 관측된 맵 지연 시간 또는 기존의 트래픽으로부터 관측된 정체 환경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비용 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 및 상기 정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통신 네트워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제2 노드에 관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중으로 지원하는 상기 제2 노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제1 노드와 연관된 버퍼 상태에 관한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에 대한 상기 결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상기 제1 노드와 연관된 상기 버퍼 상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이상 노드와 연관된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신된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사 방안을 제공하고 - 상기 검사 방안은 상기 이상 노드의 적어도 일부를 조사하도록 의도된 검사 노드로서의 상기 정상 노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포함함 -;
    상기 동적 네트워크 환경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검사 방안과 연관된 검사 환경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
  21.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와 연관된 복수의 노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기 위한 물품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것 - 상기 동작 정보는 이상 노드의 징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노드는 고장의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고장나지는 않았음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이상 노드의 징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복구 방안을 결정하는 것 - 상기 복구 방안은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와 연관되고 상기 복구 방안은 상기 이상 노드를 수리하도록 상기 이상 노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상기 복구 방안과 연관된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를 통하여, 선택한 이상 노드의 고장 이전에, 상기 선택한 이상 노드에 인접한 선택한 정상 노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 - 상기 하나 이상의 수리 데이터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전송 환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
    을 동작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머신 판독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신호 베어링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KR1020127030630A 2010-09-30 2011-01-28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 결정 KR101420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95,666 US8254250B2 (en) 2010-09-30 2010-09-30 Determining optimum delivery conditions associated with a restoration pla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2/895,666 2010-09-30
PCT/US2011/023039 WO2012044357A1 (en) 2010-09-30 2011-01-28 Determining optimum delivery conditions associated with a restoration plan in a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918A KR20130024918A (ko) 2013-03-08
KR101420728B1 true KR101420728B1 (ko) 2014-07-17

Family

ID=4588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630A KR101420728B1 (ko) 2010-09-30 2011-01-28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 결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54250B2 (ko)
JP (1) JP5512899B2 (ko)
KR (1) KR101420728B1 (ko)
CN (1) CN102893583B (ko)
WO (1) WO2012044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9991B2 (en) * 2010-12-10 2014-02-25 Cisco Technology, Inc. Minimizing the number of not-via addresses
US10361907B2 (en) * 2015-04-27 2019-07-23 Northeastern University System for networking and analyzing geospatial data, human infrastructure, and natural elements
US11625821B2 (en) * 2020-10-14 2023-04-11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Automated inspection-plan based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990A (ko) * 2002-07-31 2004-02-11 류덕호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80003896A (ko) * 2005-04-29 2008-01-08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sim 카드에 의한 주변 장치의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주변 장치
KR20080113640A (ko) * 2007-06-25 2008-12-3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기종 무선네트워크에서 수직적 핸드오프의 혼잡제어단말장치 및 운용방법
KR20100005132A (ko) * 2007-04-17 2010-01-13 노키아 코포레이션 피드백 기반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2125A (en) 1995-06-07 1999-01-19 Mci Communication Corporation Automated restoration of unrestored link and nodal failures
US6327669B1 (en) * 1996-12-31 2001-12-04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Centralized restoration of a network using preferred routing tables to dynamically build an available preferred restoral route
US6134671A (en) * 1997-07-31 2000-10-17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restoration routes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111201B2 (en) 2000-05-19 2006-09-19 Self Repairing Computers, Inc. Self repairing computer detecting need for repair and having switched protected storage
WO2002099946A1 (en) 2001-06-05 2002-12-12 Stern Thomas E A system and method of fault restor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7330440B1 (en) 2003-05-20 2008-02-1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transition route in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7835271B2 (en) 2005-12-29 2010-11-16 Alcatel-Lucent Usa Inc. Signaling protocol for p-cycle restoration
US8248916B2 (en) 2005-12-30 2012-08-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overy methods for restoring service in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US8422379B2 (en) * 2009-12-15 2013-04-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of simple and efficient failure resilient load balanc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990A (ko) * 2002-07-31 2004-02-11 류덕호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80003896A (ko) * 2005-04-29 2008-01-08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sim 카드에 의한 주변 장치의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주변 장치
KR20100005132A (ko) * 2007-04-17 2010-01-13 노키아 코포레이션 피드백 기반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KR20080113640A (ko) * 2007-06-25 2008-12-3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기종 무선네트워크에서 수직적 핸드오프의 혼잡제어단말장치 및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918A (ko) 2013-03-08
US8254250B2 (en) 2012-08-28
WO2012044357A1 (en) 2012-04-05
CN102893583A (zh) 2013-01-23
CN102893583B (zh) 2015-08-26
JP5512899B2 (ja) 2014-06-04
US20120082027A1 (en) 2012-04-05
JP2013539639A (ja)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5666B2 (en) Prioritized repair of data storage failures
JP7237151B2 (ja) ハザード警告装置のネットワークのテスト
US10073742B2 (en) Manageability redundancy for micro server and clustered system-on-a-chip deployments
US20200117554A1 (en) Ips soc pll monitoring and error reporting
US20110173504A1 (en)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program thereof
KR101420728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구 방안과 연관된 최적의 전송 환경 결정
US9798625B2 (en) Agentless and/or pre-boot support, and field replaceable unit (FRU) isolation
US9900085B2 (en) Sparing configurations and protocols for parallel fiber optics
JP2015526022A (ja) 決定論的ネットワーク障害検出
US20080304417A1 (en) Method, network apparatus, and tangible machine-readable medium thereof for detecting a looping network packet
US11277342B2 (en) Lossless data traffic deadlock management system
JP2019128755A (ja) 情報処理装置、状態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7274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condition in a multi-node communication system
JP2018194336A (ja) 異常検知装置および異常検知方法
US201901556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1121951B2 (en) Network resiliency through memory health monitoring and proactive management
EP3544235B1 (en) A method, a network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setting a packet processing component to an operational state
JP2010206394A (ja) 安全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安全ネットワーク
JP2018133766A (ja) 処理装置、二重化システム、処理方法、および処理プログラム
US9935836B2 (en) Exclusive IP zone support systems and method
JP2010183196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転送方法
JP2016058835A (ja)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2013011987A (ja) 異常状態検知装置及び異常状態検知方法
US20240154910A1 (en) Selective and diverse traffic replication
JP5860659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