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86B1 -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 Google Patents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386B1
KR101420386B1 KR1020120051968A KR20120051968A KR101420386B1 KR 101420386 B1 KR101420386 B1 KR 101420386B1 KR 1020120051968 A KR1020120051968 A KR 1020120051968A KR 20120051968 A KR20120051968 A KR 20120051968A KR 101420386 B1 KR101420386 B1 KR 10142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lightning
corrosion
security fenc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137A (ko
Inventor
박찬수
박연우
Original Assignee
도아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아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아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3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방재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보안펜스에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 및 낙뢰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보안펜스의 고장과 파손을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방범방책을 하기 위한 그물망과, 가시철선 및 윤형 철조망으로 설치되는 보안펜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안펜스에 설치되어 낙뢰와 같이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이상 전류를 지중으로 유도하는 낙뢰방지수단; 및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P)에 설치된 보안펜스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낙뢰방지수단과 부식방지수단을 하나로 연결함과 아울러, 금속구조물의 전류 흐름에 대해서 상기 보안펜스의 지주 상단에서부터 지중 방향으로 접지라인을 이루는 것이므로,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낙뢰 및 부식 피해로부터 벗어나 보안펜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Security fence having corrosion and lightning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방범방재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보안펜스에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 및 낙뢰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보안펜스의 고장과 파손을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펜스는 주요 구조물의 외곽 경계를 차단하도록 철망 구조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보안펜스는 감시시스템과 같은 주요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안펜스는 그 특수성을 감안할 때, 고장 발생을 장시간 방치할 경우 방범방재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등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보안펜스의 고장 원인은 눈, 비, 바람과 같은 자연조건에 그대로 노출되어 부식이 쉽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낙뢰나 서지전압 등 감시시스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여러 악조건에 방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후 변화에 따른 보안펜스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는 보안펜스는 물론, 보안펜스를 지탱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까지 부식이 발생되어 보안펜스 전체 파손을 초래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철근 콘크리트의 부식의 경우는 중성화, 동결융해작용, 염화물작용 및 황산염의 에트린과이트화 등을 통해서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가 균열됨으로써 열화(劣化)된다.
여기서 콘크리트중의 철근이 콘크리트에 의해 보호되는 것은 그 내부가 철근의 부동태화를 촉진하는 고알카리성 환경이고 콘크리트가 철근의 부식에 필요한 산소와 물의 침입에 대해서 물리적장벽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철근콘크리트가 긴 세월동안 대기중에 노출되면 콘크리트중의 알카리성 성분이 서서히 공기중의 탄소가스와 반응하므로 콘크리트 pH가 떨어져서 중성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콘크리트는 급격한 온도변화로 팽창과 수축이 반복될 때나 건습(乾濕)의 반복으로 수분이 출입해서 콘크리트의 가용성분이 용출 할 때도 열화되지만 동결융해작용(凍結融解作用)에 의한 열화가 더 심하다.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작용은 물이 동결할 때의 팽창압이 아직 얼음으로 화하지 않은 물에 수압으로 전달되고, 이것이 콘크리트 조직 전체에 파급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일부가 동결하면 그것에 미세균열(hair crack)이 생기고 얼음이 녹으면 그 균열부가 충수되므로 또 동결할 때 콘크리트가 더 팽창되기 때문에 균열이 더욱 커진다.
또한 콘크리트에는 경화촉진제나 동결방지제로서 염화갈슘을 시멘트량의 1~2%정도 첨가하는 예가 많다. 염화물작용에 의한 일반 철근콘크리트에 대해서는 별 문제가 없으나, PS콘크리트의 경우 단면적이 적은 고장력강재를 철근으로 사용하므로 약간만 부식해도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응력부식의 문제까지도 있기 때문에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또한 황산염을 함유하는 토양이나 지하수에 의해 철근콘크리트의 구조물이 손상을 입는 예가 적지 않다. 이것은 황산염이 콘크리트중에 다량으로 있는 수산화칼슘과 반응해서 석고(石膏)를 만들고, 이것이 다시 칼슘알루미네이트와 반응해서 용적이 큰 에트린과이트(ettringite)를 형성하며, 이때의 결정압이 대단이 높기 때문에 그 콘크리트가 파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구조물들이 수중 또는 지중에 위치하게 되면, 주로 전해질로서 작용할 수 있는 기체 또는 액체와 같은 부식성 물질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금속 재질의 구조물이 부식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방식(Anticorrosion)이라 한다.
이에 철근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요건으로 철근콘크리트중의 철근(鐵筋)은 일반적으로 그 콘크리트 자체에 의해서 방식된다. 그러나 콘크리트에는 미세균열이 생기기도 하고 중성화(中性化)하기도 하고 수분이나 부식성물질이 침입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용 환경이 가혹한 경우는 그 내부의 철근이 심히 부식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구조물의 수명이 심히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는 사용 환경이 가혹할 때는 방식해야 한다. 그 방식법으로는 철근 표면에 환경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아연도금법, 에폭시수지 분체도장법과, 콘크리트 표면층에서 환경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왁시콘크리트 사용법, 폴리머 함침법과, 콘크리트표면에서 환경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도장 혹은 라이닝하는 방법, 콘크리트 폴리머복합재를 합재하는 방법 및 철근의 전기방식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보안펜스에서 낙뢰나 서지전압 등 감시시스템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경우는, 보안펜스의 철조망 까지 설치된 접지라인에 의해 지중으로 연장된 낙뢰 접지봉을 통해서 낙뢰 등에 서지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고 있다.
일반적인 낙뢰는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정전기와 같이 대전되어 발생된 엄청난 전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이다. 지구는 거대한 용량의 콘덴서와 같기 때문에 낙뢰와 같은 전류가 충전된다하여도 이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전위상승과 같은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낙뢰는 엄청난 파괴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을 시공할 때에는 반드시 접지시설을 갖추어 낙뢰를 받았을 때 전류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시킴으로써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다.
접지란 전기설비 시스템과 낙뢰설비의 접지를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접지는 장비와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장비에 작용하는 과부하나 낙뢰 등에 의한 서지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 장비가 과부하 및 서지전압으로부터 손상되어 오동작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접지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고, 전기차단기가 정확하게 동작하지 못할 경우에는 장비 누전으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접지는 보안펜스에 낙뢰가 맞았을 경우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출시키는 피뢰기 혹은 피뢰침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낙뢰용 방호기기 등은 지중 매설된 접지봉과 연결되어 있어 가공지선이나 피뢰기에 낙뢰가 떨어지는 경우 보안펜스를 따라 형성되는 접지선을 통해 지중 매설 상태의 접지봉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낙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지봉은 토양의 물리적 및 화학적인 면에서 불균일한 경우가 많고 이들이 같다고 하더라도 지면 상태나 매설깊이 등이 다르기 때문에 통기나 습기가 접지봉의 부분에 따라서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부분 부식이나 전체부식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지봉과 접지선의 연결방법이 미흡하여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흐르게 될 경우 접지선이 대지에 매설된 접지봉에서 분리되어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분리된 접지선을 접지봉에 재연결하기 위하여 보수작업이 시행되어야 했으며 이에 따라 유지비 상승 및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접지장치 및 접지봉의 내부에 충진되는 접지저감제의 구체적인 소재를 제시하지 않고, 단순히 외적인 구성만 제시함에 따라 접지장치의 소재로 인한 접지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이나 낙뢰 피해로부터 벗어나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펜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안펜스에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제공하여 보안펜스에서 설비장비의 고정과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보안펜스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방범방책을 하기 위한 그물망과, 가시철선 및 윤형 철조망으로 설치되는 보안펜스로 이루어지며,상기 보안펜스는 낙뢰와 같이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이상 전류를 지중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낙뢰방지수단과; 상기 낙뢰방지수단을 보호하고 낙뢰에 의한 전류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하도록 설치되는 접지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라인이 상기 보안펜스의 가시철선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지주를 따라 지중으로 매설되는 접지봉까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낙뢰방지수단은 상기 지주가 매설되는 지주 하단 주위에 연계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과; 상기 접지봉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지주의 외측을 따라 수직으로 지주 상단까지 연결되는 접지선과; 상기 접지선을 상기 지주의 외둘레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램프와; 상기 지주 상단까지 진출한 상기 접지선을 상기 가시철선에 각각 접지시키는 접지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기 지주의 외둘레부를 감싸도록 반호형으로 형성된 밀착지지판과; 상기 밀착지지판의 양측 모서리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클램프를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밴드와; 상기 밀착지지판의 중앙부 일측에 수직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선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홀더는 상기 가시철선에 접지되고, 상기 접지홀더의 중심부에 상기 접지선이 수직으로 연결 관통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기 보안펜스를 접지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주 하단 주위에 연계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아연 또는 황동으로 형성되는 접지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방범방책을 하기 위한 그물망과, 가시철선 및 윤형 철조망으로 설치되는 보안펜스로 이루어지며,상기 보안펜스는 낙뢰와 같이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이상 전류를 지중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낙뢰방지수단과; 상기 낙뢰방지수단을 보호하고 낙뢰에 의한 전류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하도록 설치되는 접지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라인이 상기 보안펜스의 가시철선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지주를 따라 지중으로 매설되는 접지봉까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낙뢰 및 부식 피해로부터 벗어나 보안펜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식방지수단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기 보안펜스를 접지라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주 하단의 주변 지중에 매설되는 아연 또는 황동으로 형성되는 접지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보안펜스에 설치되는 낙뢰방지수단의 부식을 방지하여 보안펜스에서 설비장비의 고정과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를 보인 전체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보안펜스에 따른 낙뢰방지수단을 보인 "A"부분을 확대한 상태도,
도 3은 도 1의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에 따른 고정클램프와 접지선의 연결을 보인 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에 따른 고정클램프와 접지선이 지주에 설치된 것을 보인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보안펜스에 따른 부식방지수단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도 1의 보안펜스에 따른 부식방지수단을 보인 "B"부분 확대한 상태도,
도 7은 도 1의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에 따른 접지봉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는 보안펜스(100)와; 상기 보안펜스(10)의 낙뢰를 방지하기 위한 낙뢰방지수단과; 상기 낙뢰방지수단의 부식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낙뢰방지수단을 지중으로 매설하여 연결하는 접지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안펜스(100)는,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P)에 설치되는 지주(110)(110A)와, 상기 지주(110)(110A) 사이에 설치되어 방범방책을 하기 위한 그물망(120)과, 가시철선(130) 및 윤형 철조망(140)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낙뢰방지수단은 상기 보안펜스(100)에 설치되어 낙뢰와 같이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이상 전류를 지중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100)가 매설되는 지주(100) 하단의 주변 지중에 매설되어 접지를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도록 형성된 접지봉(210)과; 상기 접지봉(210)의 상단에 용접되어 상기 지주(100)의 외측을 따라 수직으로 지주(100) 상단 접지부 까지 연장 연결되는 접지선(220)과; 상기 접지선(220)을 상기 지주(100)의 외둘레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램프(230)와; 상기 지주(100) 상단까지 진출한 상기 접지선(220)을 상기 가시철선(130)에 각각 접지시키는 접지클립(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봉(210)은 산화를 방지하도록 내부식성을 갖는 동(구리)을 이용한 환봉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구리는 전연성이 뛰어나 비교적 가공하기가 쉽고 적당한 강도가 있으며, 열 및 전기전도율은 은 다음으로 금속 중에서 두 번째로 커서 전선이나 열선의 주재료로 쓰이며, 그 자체로도 널리 이용되지만 아연을 첨가한 황동, 주석을 첨가한 청동, 주석과 알루미늄을 첨가한 알루미늄청동 등 합금으로도 많이 쓰인다. 특히 구리선은 높은 전도성이 있어 전선에 많이 쓰이며, 일반적으로 접지선이 동선으로 형성되므로 접지선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전위차가 있는 금속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하고, 접지선의 서지 전압이 보다 신속하게 유입되고 이동하여 접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봉(210)은 상단 둘레부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일측으로 경사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접지봉(210)이 지중에 잘 박히도록 안내하는 경사 돌기부(2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 돌기부(211)에 의해 접지봉(210)을 지중에서 이동되거나 한쪽으로 쏠림이 없이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지선(220)은 가시철망(130)의 접지부에 연결되어 보안펜스(100)의 상단에서 낙뢰 타격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신속하게 지면에 매설된 접지봉(210)에 흘려보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클램프(230)는 상기 지주(100)의 외둘레부를 감싸면서 밀착하도록 반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의 외측에 밀착하도록 형성된 밀착지지판과(23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밀착지지판(231)의 양측 모서리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클램프(230)를 상기 지주(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밴드(232)와; 상기 밀착지지판(231)의 중앙부 일측에 수직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선(22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홈(233); 및 상기 밀착지지판(231)의 일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고정밴드(232)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체결하기 위한 고정볼트(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클립(240)은 다수로 제공되어 상기 가시철선(13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시철선(130)에 접지되면서 상기 접지클립(250)의 중심부에 상기 접지선(220)이 수직으로 관통 결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안펜스(100)는 상기 낙뢰방지수단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지라인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에 설치된 상기 보안펜스(100)의 접지라인을 구성하는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상기 접지봉(21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지봉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재(250)와; 상기 부식방지재(250)의 상측면에 용접되어 상기 지주(100)를 따라 수직 상승하여 상기 지주(100) 상단을 가로지르는 가시철망(130)까지 설치되는 접지선(220A)과; 상기 접지선(220A)을 상기 지주(100)의 외둘레부에 일정간격마다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램프(230)와; 상기 지주(100) 상단까지 진출한 상기 접지선(220A)을 상기 가시철선(130)에 각각 접지시키는 접지클립(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식방지재(25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로 원형 봉 형태이나 원형 고리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산화를 방지하도록 내부식성을 갖는 아연으로 제작되는 것이 비람직하다.
부연 설명하면, 접지는 장비와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장비에 작용하는 과부하나 낙뢰 등에 의한 서지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 장비가 과부하 및 서지전압으로부터 손상되어 오동작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접지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고, 전기차단기가 정확하게 동작하지 못할 경우에는 장비 누전으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는 보안펜스에 낙뢰가 맞았을 경우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출시키는 피뢰기 혹은 피뢰침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낙뢰용 방호기기 등은 지중 매설된 접지봉과 연결되어 있어 가공지선이나 피뢰기에 낙뢰가 떨어지는 경우 보안펜스를 따라 형성되는 접지선을 통해 지중 매설 상태의 접지봉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낙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의 접지봉에서 제기되었던 토양의 물리적 및 화학적인 면에서 불균일한 경우가 많고 이들이 같다고 하더라도 지면 상태나 매설깊이 등이 다르기 때문에 통기나 습기가 접지봉의 부분에 따라서 불균일하게 작용하여 접지봉의 부분 부식이나 전체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접지봉에 부식방지재를 추가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식방지재(250)는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봉(210)의 상단에 돌출된 경사 돌기부(211)의 상단에 끼움 안착하도록 상기 접지봉(210)과 함께 지중에 매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면에서 지중으로 20cm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접지클립(250)은 다수개로 제공되어 상기 가시철선(13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시철선(130)에 접지되면서 상기 접지클립(250)의 중심부에 상기 접지선(220A)이 수직으로 관통 결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연으로 제작되는 부식방지재(250)에 의해 상기 보안펜스(100)에 설치되는 낙뢰방지수단인 접지봉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보안펜스(100)의 낙뢰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접지봉의 부식을 미리 방지하여 낙뢰 피해에 대한 접지력을 효율적으로 유지케 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P)의 낙뢰 피해에 따른 파손에 의해 철근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궁극적으로는 낙뢰 파손에 따른 보안펜스 구조물의 외부 노출에 의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철근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보안펜스가 지중에 위치하게 되면, 주로 전해질로서 작용할 수 있는 기체 또는 액체와 같은 부식성 물질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금속 재질의 구조물이 부식되지 않도록 아연을 이용한 방식(Anticorrosion)으로 가능하다.
이에 철근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요건으로 철근콘크리트중의 철근(鐵筋)은 일반적으로 그 콘크리트 자체에 의해서 방식된다. 그러나 콘크리트에는 미세균열이 생기기도 하고 중성화(中性化)하기도 하고 수분이나 부식성물질이 침입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용 환경이 가혹한 경우는 그 내부의 철근이 심히 부식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 구조물의 수명이 심히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는 사용 환경이 가혹할 때는 방식해야 한다. 그 방식법의 하나로 철근 구조물과 접지되는 아연을 이용하여 철근 표면에 환경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낙뢰방지수단과 접지라인을 연결하는 접지선(2200(220A)은 상기 가시철망(130) 까지 접지되는 병렬로 연결되는 이중의 접지라인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지의 흐름을 더 빠르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보안펜스 110(110A) : 지주
120 : 그물망 130 : 가시철선
140 : 윤형 철조망 210 : 접지봉
211 : 경사 돌기부 220, 220A : 접지선
230 : 고정클램프 231 : 밀착지지판
232 : 고정밴드 233 : 케이블 연결홈
234 : 고정볼트 240 : 접지클립
250 : 부식방지재

Claims (6)

  1.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P)에 설치되는 지주(110)(110A)와, 상기 지주(110)(110A) 사이에 설치되어 방범방책을 하기 위한 그물망(120)과, 가시철선(130) 및 윤형 철조망(140)으로 설치되는 보안펜스(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안펜스(100)는 낙뢰와 같이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이상 전류를 지중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낙뢰방지수단과;
    상기 낙뢰방지수단을 보호하고 낙뢰에 의한 전류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하도록 설치되는 접지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라인이 상기 보안펜스(100)의 가시철선(13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지주(100)를 따라 지중으로 매설되는 접지봉(210)까지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방지수단은 상기 지주(100)의 하단 주변의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210)과;
    상기 접지봉(210)의 상단에 용접되어 상기 지주(100)를 따라 수직 상승하여 지주(100) 상단까지 설치되는 접지선(220)과;
    상기 접지선(220)을 상기 지주(100)의 외둘레부에 일정간격마다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램프(230)와;
    상기 지주(100) 상단까지 진출한 상기 접지선(220)을 상기 가시철선(130)에 각각 접지시키는 접지클립(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210)은 동 재질의 환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봉(210)의 상단 주변부에 돌출 형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210)의 이동이나 한쪽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경사 돌기부(211)를 더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230)는 상기 지주(100)의 외둘레부를 감싸도록 반호형으로 형성되는 밀착지지판과(231)과;
    상기 밀착지지판(231)의 양측 모서리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클램프(230)를 상기 지주(100)에 고정하는 고정밴드(232)와;
    상기 밀착지지판(231)의 중앙부 일측에 수직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선(220)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홈(233); 및
    상기 밀착지지판(231)의 일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고정밴드(232)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체결하기 위한 고정볼트(2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라인은 지중에 매설되어 상기 낙뢰방지수단의 접지봉(21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지봉(21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재(250)와;
    상기 부식방지재(250)의 상측에 접지되도록 용접되어 상기 지주(100)를 따라 수직 상승하여 상기 지주(100) 상단을 가로지르는 가시철망(130)까지 설치되는 접지선(220A)과;
    상기 접지선(220A)을 상기 지주(100)의 외둘레부에 일정간격마다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램프(230)와;
    상기 지주(100) 상단까지 진출한 상기 접지선(220A)을 상기 가시철선(130)에 각각 접지시키는 접지클립(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재(250)는 아연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KR1020120051968A 2012-05-16 2012-05-16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KR10142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68A KR101420386B1 (ko) 2012-05-16 2012-05-16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68A KR101420386B1 (ko) 2012-05-16 2012-05-16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37A KR20130128137A (ko) 2013-11-26
KR101420386B1 true KR101420386B1 (ko) 2014-07-17

Family

ID=4985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968A KR101420386B1 (ko) 2012-05-16 2012-05-16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3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023U (ko) * 1995-11-21 1997-06-20 황진득 전주의 접지선 측정장치
KR19990046090A (ko) * 1999-03-18 1999-06-25 윤병호 접지봉
JP2005163524A (ja) 2003-11-14 2005-06-23 Corenet Tohoku:Kk 電線入りフェンス
JP2008308978A (ja) 2007-05-16 2008-12-25 Yasuo Kakizaki 腐食を防いで支柱を固定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023U (ko) * 1995-11-21 1997-06-20 황진득 전주의 접지선 측정장치
KR19990046090A (ko) * 1999-03-18 1999-06-25 윤병호 접지봉
JP2005163524A (ja) 2003-11-14 2005-06-23 Corenet Tohoku:Kk 電線入りフェンス
JP2008308978A (ja) 2007-05-16 2008-12-25 Yasuo Kakizaki 腐食を防いで支柱を固定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37A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77062B2 (en) Guy anchor reinforcement
Lim et al. Electrical earthing in troubled environment
CA2880235C (en) Galvanic anode and method of corrosion protection
US10352018B2 (en) Guy anchor remediation apparatus
CN106760870B (zh) 一种输电塔塔脚防腐蚀方法
KR101420386B1 (ko) 낙뢰 및 부식 방지수단을 갖는 보안펜스
CA2803811C (en) Modular guy anchor
CN203475926U (zh) 扩展型杆塔绝缘横担组合体
KR20090090868A (ko) 접지장치
RU2331737C2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и защиты стар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фундаментов, свай и стоек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к от воздействия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US20190390353A1 (en) Anode assembly for selective corrosion protection of metal parts in concrete
CN201781076U (zh) 一种防腐降阻的电解接地装置
CN109457256A (zh) 海底管线阴极保护修复用地毯式牺牲阳极装置
KR100866933B1 (ko) 나선 스크류가 형성된 기초부를 갖는 접지봉
RU125581U1 (ru) Анодный заземлитель
CN104538750B (zh) 一种石墨型接地降阻模块
CN210915064U (zh) 一种防雷击塔式起重机
KR200430715Y1 (ko) 역서지 방전수단이 구비된 접지장치
KR100828661B1 (ko) 역서지 방전수단이 구비된 접지장치
RU2794250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заземляющих проводников круглого сечен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конструкциях (варианты)
KR20050093459A (ko)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JP6648222B2 (ja) 漂流物捕捉柵
JP2023068252A (ja) 電柱を支える支線の埋設支線構造及び埋設支線の敷設方法
RU2621507C1 (ru) Поверхностный анодный заземлитель
KR200377186Y1 (ko)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