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132B1 -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 Google Patents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132B1
KR101420132B1 KR1020140056218A KR20140056218A KR101420132B1 KR 101420132 B1 KR101420132 B1 KR 101420132B1 KR 1020140056218 A KR1020140056218 A KR 1020140056218A KR 20140056218 A KR20140056218 A KR 20140056218A KR 101420132 B1 KR101420132 B1 KR 10142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ound
roller frame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훈
Original Assignee
(주) 진양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양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 진양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4005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2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mechanical means
    • B65H2301/414227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mechanical means rotatable grippers for coreless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4Wound packages
    • B65H2701/1842Wound packages of webs
    • B65H2701/18422Coreles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한 형태로 된 합성수지 제품등을 권취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권취대상물의 공급위치에 대응하여 고정시켜 권취이 가능하고 대상물이 모두 감긴 후에 장력조절을 하여 감긴 권취대상물을 탈착시킬 수 있는 권취 장치이다.

Description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Omitted}
본 발명은 편평한 물체를 원통형태로 감는 권취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특히 두터운 합성수지재로 된 판상의 권취대상물에 대하여도 매우 용이하게 권취가 가능하고 탈착도 매우 쉽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 권취장치라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편평한 형태로 된 합성수지 제품등을 권취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권취대상물의 공급방향에 대응하여 고정시켜 권취이 가능하고 대상물이 모두 감긴 후에 장력조절을 하여 감긴 권취대상물을 탈찰시킬 수 있는 권취 장치이다.
편평한 형태를 가진 합성수지 제품을 감을 경우, 제품의 특성상 탄성이 크고 잘 굽혀지거나 감겨지지 않는 성질이 크기 때문에 감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탄성이 큰 판상의 제품을 감기 위하여 수공으로 제품 단부를 쥐고 롤링시켜서 감는 원시적인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원하는 크기로 줄여서 컴팩트하게 감기가 힘들었고 이에 따른 운송비 부담이 매우 큰 실정이었다.
즉 가로 세로폭이 큰 판상의 합성수지 제품은 감았을 때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이동, 취급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동반되었지만, 이를 해결할 만한 기술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특정 크기의 원통형 물체를 가운데 두고 장력을 줘서 감았다 하더라도 장력을 주면서 모두 감은 이후에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원통형 물체를 빼내는 작업도 매우 번거로운 공정중의 하나였었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탄성이 크고 두께가 두터운 합성수지 제품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감을 수 있으며, 권취 종료후에도 용이하게 기기장치로부터 감겨 있는 제품을 탈착하기 쉽도록 하는 기능을 갖춘 기술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등록특허공보 10-0361253호
본 발명에서는 편평한 판상의 권취대상물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고, 이를 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권취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다소 두터운 합성수지재로 된 판상의 권취대상물에 대하여도 매우 용이하게 권취가 가능하고 탈착도 매우 쉽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 권취장치를 제시한다.
베이스(150);
상기 베이스와 경사를 이루고 결합되는 경사조절아암(170);
판상의 권취대상물(10)가 안착되어 공급되는 공급부(400);
경사조절아암(170)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권취대상물(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판상의 물체의 좌우폭에 대응된 거리만큼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롤러프레임(100,101);
상기 롤러프레임과 결합되어 롤러프레임이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160);
하측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측은 경사조절아암(170)에 결합되어, 롤러프레임(160) 높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실린더(190,191);
롤러프레임(160)에 장착되고,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서 권취대상물(10)이 감기는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
제1,2 권취부(110a, 110b)가 서로 이웃하는 위치(제1,2권취부의 단부)에 형서되고 제1,2권취부 안쪽면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간격(G1, G2)를 두고 형성되는 압착쿠션(115a,115b);
상기 압착쿠션들이 각각 제1,2권취부 안쪽표면으로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동작을 하도록 작동시키는 압착쿠션조절실린더(112a, 112b);
제1,2권취부 몸체와 각각 결합되고, 내부로 나사부(119)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부(119)단부에 형성된 권취부조절나사(118)을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17);
권취대상물을 모두 감은 이후에 이를 제1,2,3권취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하여, 이동체(117)와 권취부조절나사(118)와 나사부(119)와 이동체에 연결된 각 권취부(110a, 110b, 110c)를 포함한 동시이동물체그룹(A)을, 레일(230,231) 위에서 전후 동작시키는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121b)를 포함하는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은 편평한 형태로 된 합성수지 제품등을 권취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권취대상물의 공급위치에 대응하여 고정시켜 권취이 가능하고 대상물이 모두 감긴 후에 장력조절을 하여 감긴 권취대상물을 탈착시킬 수 있는 권취 장치이다.
특히, 두터운 합성수지재로 된 판상의 권취대상물에 대하여도 매우 용이하게 권취가 가능하고 탈착도 매우 쉽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 권취장치라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권취장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권취장치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공급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경사조절암(17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롤러프레임(160) 및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2권취부(110b) 및 그에 연결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 121b)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정면도
도 12는 권취대상물(10)을 압착쿠션(115a)를 이용하여 고정한 뒤, P2 방향으로 롤러프레임(160)을 돌려서 권취대상물을 제1,2,3 권취부 주위로 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권취대상물을 다른 방향으로 감는 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두터운 권취대상물 및 이를 감고 있는 장면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베이스(150);
상기 베이스와 경사를 이루고 결합되는 경사조절아암(170);
판상의 권취대상물(10)가 안착되어 공급되는 공급부(400);
경사조절아암(170)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권취대상물(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판상의 물체의 좌우폭에 대응된 거리만큼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롤러프레임(100,101);
상기 롤러프레임과 결합되어 롤러프레임이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160);
하측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측은 경사조절아암(170)에 결합되어, 롤러프레임(160) 높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실린더(190,191);
롤러프레임(160)에 장착되고,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서 권취대상물(10)이 감기는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
제1,2 권취부(110a, 110b)가 서로 이웃하는 위치(제1,2권취부의 단부)에 형서되고 제1,2권취부 안쪽면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간격(G1, G2)를 두고 형성되는 압착쿠션(115a,115b);
상기 압착쿠션들이 각각 제1,2권취부 안쪽표면으로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동작을 하도록 작동시키는 압착쿠션조절실린더(112a, 112b);
제1,2권취부 몸체와 각각 결합되고, 내부로 나사부(119)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부(119)단부에 형성된 권취부조절나사(118)을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17);
권취대상물을 모두 감은 이후에 이를 제1,2,3권취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하여, 이동체(117)와 권취부조절나사(118)와 나사부(119)와 이동체에 연결된 각 권취부(110a, 110b, 110c)를 포함한 동시이동물체그룹(A)을, 레일(230,231) 위에서 전후 동작시키는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121b)를 포함하는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가 제시된다.
도 1은 권취장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권취장치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공급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경사조절암(17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롤러프레임(160) 및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2권취부(110b) 및 그에 연결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 121b)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7의 정면도, 도 12는 권취대상물(10)을 압착쿠션(115a)를 이용하여 고정한 뒤, P2 방향으로 롤러프레임(160)을 돌려서 권취대상물을 제1,2,3 권취부 주위로 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전체적인 장치 형태는 네모 형태로 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 좌우 위치에 원반 형태의 롤러프레임(160)을 포함하는 권취장치 (100,10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프레임의 권취부(110a, 110b, 110c)에는 판형태의 권취대상물(10, 도 12)이 감기게 된다.
도 14, 도 15와 같이 권취대상물은 주로 두터운 두께를 가진 합성수지재를 주 대상으로 하지만, 기타 재료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권취대상물(10)로서는 편평한 형태를 가진 각종 합성수지 기타 금속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원판 형태의 롤러프레임(160)에 장착된 세개의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 도 11 참조)의 호 형태로 된 몸체 주위로 권취대상물(10)이 권취되는 장면을 보이고 있다.
권취대상물(10)은 도 1의 장치 뒤쪽에서 공급되며,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진 공급부(400) 위로 권취대상물이 공급되어 진다. 권취대상물의 공급은 도 12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공급되는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P2 방향으로 롤러프레임 (160)을 회전함에 의하여 권취대상물(10)이 감기게 된다.
롤러프레임은 양쪽에 각각 1개씩, 한쌍이 구비되어 있으며, 판 형태의 권취대상물의 좌우 폭에 대응하여 한쌍의 롤러프레임 사이 간격이 조절되어야 한다.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권취장치(100,101)은 롤러프레임(160)과, 롤러프레임에 장착된 여러 부품들(도 11 참조)를 모두 포함한 용어로 사용한다.
한편, 도 1의 이송대차(500)는 권취대상물을 모두 감은 후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도구이며, 조작패널(200)은 본 발명의 권취 장치의 각종 동작을 콘트롤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는 롤러프레임(160)이 경사조절아암(17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사조절아암은 고정된 베이스(150)의 경사회전축(155)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50)의 하측에는 상방으로 비스듬히 각도조절실린더(190)이 가 형성되어 있어서, 롤러프레임(1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서 롤러프레임장착부(180)에는 롤러프레임이 장착되어진다.
도 5에서는 도 1에서의 우측에 위치한 각도조절실린더(191)를 도시하고 있고 그에 의하여 R1, R2 방향으로 경사조절아암(170)이 회전 가능하다.
만약 이송대차(500) 높이로 내릴 경우에는, 각도조절실린더(190)를 밖으로 인출시켜서 롤러프레임(160)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공급부(400)에서 전방으로 권취대상물이 공급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공급부조절실린더(420)에 의하여 가능하다. 즉 공급부조절실린더 (420)의 실린더 부분을 밖으로 인출시키면 공급부(400)의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기울어지게 되므로, 공급부 위에 얹혀 공급되는 판 형태의 권취 대상물이 낮은 높이에서 공급되게 된다.
판 형태의 권취대상물(10)이 감기는 동작을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추가 설명한다. 세개의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는 120도 각도마다 이격설치되며 곡면 형상의 호 형태로 되어 있다. 제1권취부(110a) 단부로부터 근접된 위치에 소정의 간격(G1)을 두고 제1 압착쿠션(115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압착쿠션(115a)와 같이 권취대상물(10) 단부를 G1 간격 부분에 삽입한 뒤, 압착쿠션조절실린더(112a)를 D 방향(도 12)으로 작동시켜서 권취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압착쿠션이라는 명칭은, 편평한 형태의 권취대상물(10)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압착쿠션의 역할은 권취대상물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제1압착쿠션은 회전축(115c)를 중심으로 하여, 압착쿠션조절실린더(112a)의 동작에 따라 회전된다.(D 방향)
권취대상물이 고정된 이후에는 P2 방향으로 롤러프레임(160)을 회전시킴으로써, 권취대상물(10)을 감게 된다.
한편, 제2권취부(110b)에 근접하여서도 또다른 제2 압착쿠션(115b)이 형성되며, 이는 제1권취부 근처에 형성된 제1 압착쿠션(115a)와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권취대상물의 단부를 G2(도 13참조) 공간에 넣은 뒤, 제2 압착쿠션(115b)로써 눌러 고정하며, 이어서 P1 방향(도 11)으로 롤러프레임을 돌림으로써 권취대상물을 감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롤러프레임을 180도 각도 돌려서 낮은 높이에서 권취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면이다.
한편, 도 13과 같이 권취대상물 공급을 낮은 위치에서 할 경우에는 제2권취부(110b)에서 가능하며,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공급부조절실린더(420)를 동작시켜서 그 위에 놓이게 되는 편평한 권취대상물을 낮은 위치(도 12, 도 13의 공급위치 비교 참조)에서 G2 위치로 물리도록 한뒤, 롤러프레임(160)을 감으면 된다.
요약하면, 제1권취부와 제2 권취부의 근처에는 압착쿠션(115a, 115b)가 각각 형성되어, 권취대상물이 공급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권취대상물을 감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롤러프레임(160) 및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제2권취부(110b) 및 그에 연결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 (121a, 121b)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일부품들을 일부씩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를 아래 방향으로 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서 가려진 부분의 부품들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권취대상물(10)을 제1,2,3 권취부에 감기 위해서는 우선 제1,2,3권취부들의 외주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 즉, 권취대상물이 감길 최초지름이 결정되어야 한다.
도 8의 제2 권취부(110b)를 C 방향 혹은 K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권취부조절나사(118)를 회전시켜서 제2 권취부를 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다른 권취부들도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권취부조절나사(118)의 머리부분을 돌리면 나사부(119) 몸체가 회전하게 되고, 나사부(119)몸체가 관통되어 있는 이동체(117)가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체(117)의 하측에는 제2권취부(110b)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와 제2권취부가 함께 C 또는 K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제1,2,3권취부(110a, 110b,110c)의 위치를 세팅한 후에는 도 12와 같이, 권취대상물(10)의 단부를 압착쿠션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그 다음 롤러프레임(160)을 회전시켜 권취대상물을 제1,2,3권취부 외주면에 감게 된다.
한편, 권취대상물을 모두 감은 후에는 감겨진 권취대상물이 제1,2,3 권취부로부터 잘 빠져나오지 않는다. 왜냐하면, 권취대상물이 스파이럴(spiral) 모양으로, 제1,2,3 권취부 주위에 압력을 가하면서 감겨있기 때문이다.
이때, 쉽게 완전히 권취된 상태의 권취대상물을 쉽게 제1,2,3 권취부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장치를 이하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의 일부분을 확대한 그림이며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구성요소들은 두개의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 121b)에 의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점선 표시 부분 내의 구성요소들은 도 9에 도시된 것으로서, 이동체(117)와 이동체를 수용하고 있는 나사부(119)와 권취조절부나사(118)를 포함한 '동시이동 물체그룹' (A)이다.
제1 권취부 또는 제2 권취부와 같이 압착쿠션이 각각 인접하게 장착된 구성요소의 경우에는, 동시이동물체그룹(A)에, 권취부(110a,110b)와 압착쿠션조절실린더(112a, 112b)와, 권취부조절나사(118)와, 이동체(117) 및 압착쿠션을 포함될 수 있다.(도 10, A로 표시됨)
그 이유는 이들 물체들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서, 도 10과 같이 한꺼번에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121b)를 이용하여 도 10의 점선 내에 있는 구성요소들(동시이동물체그룹)을 변위(變位) 시킬 수 있다.
물론 도 11에서 3개의 제1,2,3권취부(110a,110b,110c) 중에서 제3권취부(110c)에는 압착쿠션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바, 도 10의 A 로 표시된 '동시이동물체그룹' 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에서, 압착쿠션 및 이를 동작시키는 압착쿠션조절실린더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10의 동시이동물체그룹(A)의 구성요소들은 레일(230,231)을 따라서 앞뒤방향(C 또는 K 방향) 으로 이동가능하며, 감겨진 권취대상물이 쉽게 빠지게 하기 위해서는 도 8의 C 방향(롤러프레임의 중심부 위치 방향)으로, 동시이동물체그룸 (A)이 이동되어야 한다.
즉 A 부분의 요소들은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121b) 한쌍에 의하여 레일(230,231b) 위에서 전후로 움직이게 되는데, 도 8의 위치에서 C 방향으로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121a, 121b)가 동작하게 되면, 스파이럴 형태로 완전히 감긴 권취대상물을 손쉽게 제1,2,3 권취부로부터 탈착시킬 수가 있으며, 이어서 이송대차(500)에 실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두터운 합성수지재로 된 판상의 권취대상물에 대하여도 매우 용이하게 권취가 가능하고 탈착도 매우 쉽도록 하는 구성을 갖춘 특징이 있다.
10:권취대상물 100,101:권취장치
110:권취부 115a, 115b:압착쿠션
110a, 110b, 110c:제1,2,3 권취부
112a, 112b:압착쿠션조절실린더
115a, 115b: 압착쿠션
115c:회전축 117:이동체
118: 권취부조절나사 119:나사부
121a, 121b: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
125:회전축 150:베이스
160:롤러프레임 155:경사회전축
170:경사조절아암 180:롤러프레임장착부
190,191:각도조절실린더
200:조작패널 230, 231:레일
400:공급부 420:공급부조절실린더
500:이송대차

Claims (3)

  1. 베이스(150);
    상기 베이스와 경사를 이루고 결합되는 경사조절아암(170);
    판상의 권취대상물(10)이 안착되어 공급되는 공급부(400);
    경사조절아암(170)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권취대상물(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판상의 물체의 좌우폭에 대응된 거리만큼 이격설치되는 한쌍의 롤러프레임(100,101);
    상기 롤러프레임과 결합되어 롤러프레임이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160);
    하측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측은 경사조절아암(170)에 결합되어, 롤러프레임(160) 높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실린더(190,191);

    롤러프레임(160)에 장착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서 권취대상물(10)이 감기는 제1,2,3 권취부(110a, 110b, 110c);
    제1,2 권취부(110a, 110b)가 서로 이웃하는 위치(제1,2권취부의 단부)에 형서되고 제1,2권취부 안쪽면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간격(G1, G2)를 두고 형성되는 압착쿠션(115a,115b);
    상기 압착쿠션들이 각각 제1,2권취부 안쪽표면으로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동작을 하도록 작동시키는 압착쿠션조절실린더(112a, 112b);
    제1,2권취부 몸체와 각각 결합되고, 내부로 나사부(119)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부(119) 단부에 형성된 권취부조절나사(118)을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117);
    권취대상물을 모두 감은 이후에 상기 제1,2,3권취부를 롤러프레임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권취대상물이 탈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체(117)와 이동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권취부조절나사(118)와, 권취부조절나사에 연결된 나사부(119)와, 이동체에 연결된 권취부를 포함한 동시이동물체그룹(A)을, 레일(230,231) 위에서 전후 동작시키는 권취대상물압착조절실린더 (121a,121b);
    를 포함하는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쿠션은 회전축(115c)를 중심으로 하여, 압착쿠션조절실린더(112a)의 동작에 따라 회전(D 방향)되는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3 권취부 중심부는 롤러프레임을 중심으로 하여 120도 각도씩 이격되어 형성된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권취 장치.



KR1020140056218A 2014-05-12 2014-05-12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KR10142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18A KR101420132B1 (ko) 2014-05-12 2014-05-12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18A KR101420132B1 (ko) 2014-05-12 2014-05-12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132B1 true KR101420132B1 (ko) 2014-07-17

Family

ID=5174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218A KR101420132B1 (ko) 2014-05-12 2014-05-12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1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53B1 (ko) * 1993-09-07 2002-11-2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권취 장치 및 테이프 권취 방법
KR100898056B1 (ko) * 2008-10-17 2009-05-19 영신산업(주) 원형 베일러 결속 네트 및 그 제조장치
KR101074255B1 (ko) * 2009-05-25 2011-10-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화 조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253B1 (ko) * 1993-09-07 2002-11-2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권취 장치 및 테이프 권취 방법
KR100898056B1 (ko) * 2008-10-17 2009-05-19 영신산업(주) 원형 베일러 결속 네트 및 그 제조장치
KR101074255B1 (ko) * 2009-05-25 2011-10-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화 조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544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sheet winding method
US20170064933A1 (en) Fishing Line Winder
JP6444001B2 (ja) 角度調節可能な圧接ローラ又は挟持ローラ
JP2016224430A5 (ko)
JP2009061721A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2007145608A (ja) ウェブ張力付与装置
CA2668706A1 (en) Coil spring forming apparatus and coil spring formed thereby
CN111847033A (zh) 一种塑料薄膜收卷机
KR101420132B1 (ko) 판상의 물체를 감기 위한 귄취장치
CN206955271U (zh) 用于在辊子上卷绕扁平材料和/或薄膜材料的保持和开卷设备和容器打包设备
EP3728092B1 (en) Low tension application coiler
CN101388288B (zh) 拼箔式线圈绕线方法及绕线机
JP4515322B2 (ja) 電圧変成器コイルの巻線装置
KR101865807B1 (ko) 인쇄물 포장장치
CN203877574U (zh) 用于连续薄膜卷材收放卷调节装置
CN203806766U (zh) 一种放卷机
CN203938272U (zh) 连续挤压机蚊香盘在线收卷装置
JP2007133960A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CN202296487U (zh) 薄膜被动放卷装置
JP4367942B2 (ja) 未加硫ゴムシート材料の巻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US20210237334A1 (en) Filament winding device
JP2000326942A (ja) ラベル貼付装置
CN205230851U (zh) 电解电容卷机送铝箔的送箔台
JP5312871B2 (ja) 気泡シートのラミネート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ラミネートフィルム供給装置。
KR101528166B1 (ko) 스트립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