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737B1 - Sub-step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Sub-step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737B1
KR101419737B1 KR1020120100196A KR20120100196A KR101419737B1 KR 101419737 B1 KR101419737 B1 KR 101419737B1 KR 1020120100196 A KR1020120100196 A KR 1020120100196A KR 20120100196 A KR20120100196 A KR 20120100196A KR 101419737 B1 KR101419737 B1 KR 10141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otrest
pulley
driven pulle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3823A (en
Inventor
허재원
함헌주
Original Assignee
함헌주
허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헌주, 허재원 filed Critical 함헌주
Priority to KR102012010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737B1/en
Publication of KR2014003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2013/046Foo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대칭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피동풀리에 구동풀리가 연접하여 회전하고, 이 구동풀리의 회전으로 각각의 피동풀리에 연결되는 링크부가 상호 대칭되게 폴딩과 확장을 교번하면서 발판부의 안정적인 전,후방 슬라이드 동작을 구현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은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풀리와 링크부의 견고한 구성을 채택하여 제작단가의 감소와 내구성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호 대칭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피동풀리가 기어물림으로 밀착되고, 하나의 피동풀리에 구동풀리가 기어물림으로 연접하여 회전하고, 이렇게 한 쌍의 피동풀리와 구동풀리가 상호 견고하게 연접된 상태에서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피동풀리에 연결된 링크부에 효율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iving pulley is connected to a pair of driven pulleys rotating symmetrically to rotate, and a link portion connected to each driven pulley is symmetrically rotated by rotation of the driving pulley, , A technique for a vehicle-mounted auxiliary footrest that implements a rearward sliding operation. The auxiliary footrest for vehicle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olid structure of the pulley and the link portion for realizing the sliding action of the footrest por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driven pulleys rotating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gear engagement, and the drive pulley is connected to the one driven pulley by gear engagement so as to rotate, and the pair of driven pulleys and the drive pulley The drive force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link portion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riven pulleys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pulley.

Description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SUB-STEP FOR VEHICLES}{SUB-STE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상호 대칭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피동풀리에 구동풀리가 연접하여 회전하고, 이 구동풀리의 회전으로 각각의 피동풀리에 연결되는 링크부가 상호 대칭되게 폴딩과 확장을 교번하면서 발판부의 안정적인 전,후방 슬라이드 동작을 구현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iving pulley is connected to a pair of driven pulleys rotating symmetrically to rotate, and a link portion connected to each driven pulley is symmetrically rotated by rotation of the driving pulley, , A technique for a vehicle-mounted auxiliary footrest that implements a rearward slid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승합차 등의 차량은 객실의 바닥이 지면보다 많이 높기 때문에 안전한 승하차를 돕기 위해 차량의 측면 도어 부분에 슬라이드 동작으로 출몰하는 방식의 보조발판을 장착하게 된다.Generally, since the floor of the cabin is much higher than the floor of the cabin, the side door portion of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n auxiliary footrest which can slide in and out of the cabin to assist safe boarding and getting off.

그런데 종래 보조발판의 일례는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에 있어서 비대칭적인 구동력을 인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However, 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auxiliary footrest is a cause of frequent failure due to an asymmetrical driving force in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footrest.

그리고 종래 보조발판의 다른 예는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간의 연동 과정이 조잡하여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auxiliary scaffolding is that the interlocking process between the components for realizing the slide operation process of the scaffolding portion is coarse, causing frequent failures.

종래 보조발판의 또다른 예는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 과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를 채용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제작단가가 높고 슬라이드 동작의 반응성이 느린 단점이 있었다.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auxiliary footrest has adopted a hydraulic cylinder for realizing the slide operation process of the footrest, which has a disadvantage of high manufacturing cost and slow response of the slide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풀리와 링크부의 견고한 구성을 채택하여 제작단가의 감소와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mounting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durability by adopting a solid structure of a pulley and a link portion for realizing sliding action of a footrest portion. And an auxiliary footres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은 차량의 출입문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전,후방 출몰 운동을 하고,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부; 발판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확장과 폴딩을 번갈아 하면서 발판부의 전,후방 출몰을 유도하는 제 1 링크부; 발판부의 후단부에 제 1 링크부와 상호 마주하여 연결되고, 제 1 링크부와 대칭되게 확장과 폴딩을 함으로써 발판부가 출몰시 일측으로 쏠림이 없이 전,후방의 일직선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하는 제 2 링크부; 제 1 링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링크부의 확장과 폴딩을 위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 1 피동풀리; 제 2 링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제 1 피동풀리와 맞물린 상태로 제 1 피동풀리의 구동력에 의해 제 1 피동풀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링크부의 확장과 폴딩을 위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 2 피동풀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제 1 피동풀리와 맞물린 상태로 제 1 피동풀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풀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풀리의 상부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구동풀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footrest for a vehicle, comprising: a footrest part for supporting a load from an upper part in a protruded state, A first link portion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of the foot portion and guiding the front and rear foot portions of the foot portion while alternating between expansion and folding; A second link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part by mutually facing each other and that extends and folds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linking part to guide the footrests to slide in a straight line in front and rear, part; A first driven pulley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link portion and applying a driving force for expanding and folding the first link portion while rotating in a constant direction; A first driven pulle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link portion and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riven pulley by a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en pulley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Two driven pulleys; A drive pulley that rotates by a drive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driven pulley in a state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And a motor pulley that rotates by a driv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pulley while rotating in a state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 pulley.

본 발명에서 제 1 링크부는 바 형태의 제 1 플레이트와, 바 형태의 제 2 플레이트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링크부는 제 1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태의 제 3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태의 제 4 플레이트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제 1 링크부가 확장 또는 폴딩되는 형태와, 제 3 플레이트와 제 4 플레이트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제 2 링크부가 확장 또는 폴딩되는 형태는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portion includes a bar-shaped first plate and a bar-shaped second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link portion includes a third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link part is extended or folded on the basis of the connecting part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connecting part between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in which the second link portion is extended or folded is symmetrical.

본 발명은 발판부의 양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고, 차량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 pair of guide frames for guiding front and rear slides of the footrest in a state where both end portions of the footrest are fitted; And a support frame that interconnects and supports a pair of guide frames and is connected to the vehicle.

본 발명의 가이드 프레임에는 내측벽의 상,하부에 나란히 돌출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발판부의 측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상,하부 절곡판이 형성된다.The guid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upper and lower bent plates which are projected side by sid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side wall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uide the front and rear slides of the foot plate in a state where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foot plate are fitted.

본 발명의 발판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 발판부의 마찰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2단으로 구부러져 상부 절곡판의 저면과,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벽과, 하부 절곡판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밀착되는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며, 발판부는 가이드 브라켓에 끼워져 밀착됨과 동시에 가이드 프레임과 들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area of the foot plate when the foo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guide plate is bent in two stages and is guided by a guide which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ent plate, the inner side wall of the guide frame, A plurality of brackets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footrests are fitted to the guide brackets and closely contact with the guide frames and are maintained in the excited state.

본 발명은 상부지지 브라켓과 하부지지 브라켓을 더 구비하며, 상부지지 브라켓은 상부 절곡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절곡판의 상면에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은 상부가 개구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부 절곡판의 수평을 유지하고, 하부지지 브라켓은 하부 절곡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절곡판의 하면에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은 하부가 개구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하부 절곡판의 수평을 유지한다.The upper support bracke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nd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And the lower support bracke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end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ending plate and has a cross section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an opened lower portion, Thereby mainta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ower bending plate.

본 발명의 발판부 하부에는 발판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자속센서가 복수 개 배치되고, 발판부의 하면에는 자속센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장착되며, 발판부가 전,후방 슬라이드되는 경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복수 개의 자속센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당 패턴대로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 운동이 제어된다.
A plurality of magnetic flux sensors are dispos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directions of the foot plat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oot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oot plat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si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flux sensor is mounted on the bottom face of the foot plate When the footrest is slid forward and backward,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s of the footrest are controlled according to a preset pattern according to a plurality of magnetic flux sensors sens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은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풀리와 링크부의 견고한 구성을 채택하여 제작단가의 감소와 내구성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The auxiliary footrest for vehicle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olid structure of the pulley and the link portion for realizing the sliding action of the footrest por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상호 대칭되게 회전하는 한 쌍의 피동풀리가 기어물림으로 밀착되고, 하나의 피동풀리에 구동풀리가 기어물림으로 연접하여 회전하고, 이렇게 한 쌍의 피동풀리와 구동풀리가 상호 견고하게 연접된 상태에서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피동풀리에 연결된 링크부에 효율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driven pulleys rotating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gear engagement, and the drive pulley is connected to the one driven pulley by gear engagement so as to rotate, and the pair of driven pulleys and the drive pulley The drive force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link portion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riven pulleys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pulley.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에 가이드 브라켓을 구비하여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시 발판부의 마찰면적을 감소시킴에 따라 발판부의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을 유도할 수 있고, 마찰면적은 감소로 인한 가이드 프레임과 발판부의 내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bracket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to reduce the friction area of the foot plate during the slide operation of the foot plate, smooth slide operation of the foot plate can be induced, The durability of the foot par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 절곡판과 하부 절곡판에 각각 지지 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발판부의 슬라이드 동작을 유도하는 가이드 프레임의 쳐짐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bracket is provided on the upper bent plate and the lower bent plate of the guide fr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uide frame from slapping and warping, which induces the slide operation of the footre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확장되기 되기 위한 풀리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폴딩되기 위한 풀리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foot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footrest for vehicle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auxiliary footrest for vehicle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showing an auxiliary footrest for vehicle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k is f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pulley for expanding a lin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pulley for folding a lin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frame and a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uide frame and a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을 도시한 저면도를 나타낸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foot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foot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bottom view showing an auxiliary footrest for vehicle mou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은 발판부(10), 제 1 링크부(20), 제 2 링크부(30), 제 1 피동풀리(40), 제 2 피동풀리(50), 구동풀리(60), 모터풀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vehicle-mounted auxiliary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portion 10, a first link portion 20, a second link portion 30, a first driven pulley (not shown) 40, a second driven pulley 50, a drive pulley 60, and a motor pulley 70.

발판부(10)는 차량의 출입문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전,후방 출몰 운동을 하고,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한다. 발판부(10)는 바람직하게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바(bar) 형태의 플레이트를 나란히 연접한 후 테두리부를 프레임으로 마무리한다. 재질은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발판부(10)의 상면을 밟는 승객의 하중을 고려하여 휘어짐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공업용 등급 순도로 채택됨이 바람직하다.The footrest (10) is sli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doorway of a vehicle and performs forward and rearward projecting and retracting movements, and supports the load from the top in a protruded state. The pedestal portion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bar-shaped plate is connected side by side, and then the frame portion is finished with a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made of light aluminum and is adopted as an industrial grade purity having durability against warping considering the load of a passenger stepp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portion 10. [

제 1 링크부(20)는 발판부(1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확장과 폴딩을 번갈아 하면서 발판부(10)의 전,후방 출몰을 유도한다.The first link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ootrest portion 10, and guides the footrest portion 10 back and forth while alternating between expansion and folding.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 1 링크부(20)는 바 형태의 제 1 플레이트(21)와, 바 형태의 제 2 플레이트(22)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플레이트(21)의 후단부가 제 1 피동풀리(40)에 연결되어 제 1 피동풀리(40)의 회전으로부터 폴딩과 확장의 구동력을 인가받으며, 제 1 플레이트(21)의 전단부에 제 2 플레이트(22)의 후단부가 연결되고 제 2 플레이트(22)의 전단부는 발판부(1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link portion 20 includes a bar-shaped first plate 21 and a bar-shaped second plate 22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ear end of the first plate 21 The rear end of the second plate 22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late 21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driven pulley 40 and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folding and expansion from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en pulley 40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late (22)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10).

제 2 링크부(30)는 발판부(10)의 후단부에 제 1 링크부(20)와 상호 마주하여 연결되고, 제 1 링크부(20)와 대칭되게 확장과 폴딩을 함으로써 발판부(10)가 출몰시 일측으로 쏠림이 없이 전,후방의 일직선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한다.The second link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ootrest portion 10 by facing the first link portion 20 and extends and fold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portion 20, ) Are guided to slide in a straight line in front and rear without leaning toward one side when they protrude and retract.

상세하게 제 2 링크부(30)는 제 1 플레이트(21)와 동일한 형태의 제 3 플레이트(31)와, 제 2 플레이트(22)와 동일한 형태의 제 4 플레이트(32)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3 플레이트(31)의 후단부가 제 2 피동풀리(50)에 연결되어 제 2 피동풀리(50)의 회전으로부터 폴딩과 확장의 구동력을 인가받으며, 제 3 플레이트(31)의 전단부에 제 4 플레이트(32)의 후단부가 연결되고 제 4 플레이트(32)의 전단부는 발판부(1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The second link portion 30 includes a third plate 3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late 21 and a fourth plate 3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plate 22, And the rear end of the third plate 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n pulley 50 to receive a driving force of folding and expansion from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en pulley 50, The rear end of the fourth plate 32 is connected and the front end of the fourth plate 32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oot plate 10. [

이때, 제 1 플레이트(21)와 제 2 플레이트(22)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제 1 링크부(20)가 확장 또는 폴딩되는 형태와, 제 3 플레이트(31)와 제 4 플레이트(32)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제 2 링크부(30)가 확장 또는 폴딩되는 형태는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 1 링크부(20)와 제 2 링크부(30)가 상호 대칭적으로 확장과 폴딩이 이루어짐으로써 각 링크부(20,30)에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드 동작을 하는 발판부(10)가 측방으로 쏠리지 않게 되어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link portion 20 is expanded or folded on the basis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late 21 and the second plate 22,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s of the second link portions 30 extending or folding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s are symmetrical. The first link portion 20 and the second link portion 30 are symmetrically expanded and folded so that the foot portion 10 that is sli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s 20 and 30 is positioned at the side So that frequent failures can be prevented.

제 1 피동풀리(40)는 제 1 링크부(2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링크부(20)의 확장과 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 1 링크부(20)에 인가한다. 상세하게 제 1 피동풀리(40)는 외주벽에 톱니 형태의 기어 이가 형성되어 제 2 피동풀리(50)와 기어물림으로 연접된다.The first driven pulley 4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link portion 20 and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ransmit a driving force for expanding and folding the first link portion 20 to the first link portion 20 . Specifically, the first driven pulley 40 is formed with a toothed gear on its outer peripheral wall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n pulley 50 by gear engagement.

그리고 제 1 피동풀리(40)의 중앙부에는 회동축인 샤프트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 샤프트의 하단부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하우징(C1)을 관통하여 끼워지며, 하우징(C1)을 관통한 샤프트의 하단부는 제 1 링크부(20)인 제 1 플레이트(21)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이 샤프트는 제 1 피동풀리(40)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제 1 피동풀리(40)의 회전으로 인한 구동력을 제 1 링크부(20)인 제 1 플레이트(21)에 전달하게 된다.A shaft, which is a rotary shaft, is fitted and fix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riven pulley 40. The lower end of the shaft penetrates through the housing C1 and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sse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irst plate 21 as the first link portion 20 And this shaft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40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en pulley 40 to the first plate 21 as the first link portion 20.

제 2 피동풀리(50)는 제 2 링크부(3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제 1 피동풀리(40)와 맞물린 상태로 제 1 피동풀리(40)의 구동력에 의해 제 1 피동풀리(4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링크부(30)의 확장과 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 2 링크부(30)에 인가한다. 상세하게 제 2 피동풀리(50)는 외주벽에 톱니 형태의 기어 이가 형성되어 제 1 피동풀리(40)와 기어물림으로 연접된다.The second driven pulley 5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link portion 30 and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en pulley 40 while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40, The driving force for expanding and folding the second link portion 30 is applied to the second link portion 30. [ Specifically, the second driven pulley 50 is formed with a toothed gear on the outer peripheral wall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n pulley 40 by gear engagement.

그리고 제 2 피동풀리(50)의 중앙부에는 회동축인 샤프트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 샤프트의 하단부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하우징(C1)을 관통하여 끼워지며, 하우징(C1)을 관통한 샤프트의 하단부는 제 2 링크부(30)인 제 3 플레이트(31)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이 샤프트는 제 2 피동풀리(50)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제 2 피동풀리(50)의 회전으로 인한 구동력을 제 2 링크부(30)인 제 3 플레이트(31)에 전달하게 된다.A shaft, which is a rotary shaft, is fitted and fix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driven pulley 50. The lower end of the shaft penetrates through the housing C1 and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sse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third plate 31 as the second link portion 30 And the shaft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driven pulley 50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en pulley 50 to the third plate 31 as the second link portion 30. [

구동풀리(6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제 1 피동풀리(40)와 맞물린 상태로 제 1 피동풀리(40)에 회전력을 인가한다.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구동풀리(60)는 외주벽에 톱니 형태의 기어 이가 형성되어 제 1 피동풀리(40)와 기어물림으로 연접된다. 또한 구동풀리(60)의 상면에는 모터풀리(70)의 하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에 모터풀리(70)의 하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모터풀리(70)의 회전이 있는 경우 모터풀리(70)와 구동풀리(60)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The driving pulley 60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driven pulley 40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40. In more detail, the drive pulley 60 is formed with a toothed gear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en pulley 40 by gear engage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pulley 60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pulley 70 is fitte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pulley 70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The motor pulley 70 and the drive pulley 60 rotate integrally.

그리고 구동풀리(60)의 하부 중앙부에는 회동축인 샤프트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 샤프트의 하단부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하우징(C1)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A shaft, which is a rotary shaft, is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drive pulley 60. The lower end of the shaft is rotatably fix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through a housing (C1) of a hexahedron whose one surface is opened.

모터풀리(7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풀리(60)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맞물린 상태로 구동풀리(6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구동풀리(60)에 회전력을 인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모터풀리(70)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소형의 모터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도면부호 C2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하우징을 나타내며, 후방지지 프레임(91)의 상면에 안착되어 모터풀리(70)를 커버한 상태로 후방지지 프레임(91)에 결합된다.
The motor pulley 70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ing pulley 60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ulley 60 to rotate the driving pulley 60 . Also preferably, the motor pulley 7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a small moto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Reference numeral C2 in Fig. 1 denotes a housing having a hexahedron with one side opened,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frame 91,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pport frame 91 in a state covering the motor pulley 70.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80), 지지프레임(91,92,9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frame 80 and support frames 91, 92, and 93.

가이드 프레임(80)은 내측벽에 발판부(10)의 양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발판부(10)의 전,후방 슬라이드를 안내하며, 서로 나란히 한 쌍으로 배치된다.The guide frame 80 guides the front and rear slides of the foot plate 10 in a state in which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foot plate 10 are fitted on the inner wall, and is arranged in a pai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지지프레임은 후방지지 프레임(91), 전방지지 프레임(92), 하부 지지프레임(93)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80)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고, 차량에 연결된다.The support frame is constituted by a rear support frame 91, a front support frame 92 and a lower support frame 93. The pair of guide frames 80 are interconnected and supported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후방지지 프레임(91)은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80)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가이드 프레임(80)의 후단부를 지지하며, 후방지지 프레임(91)의 하면에는 제 1 피동풀리(40), 제 2 피동풀리(50), 구동풀리(60)를 커버한 하우징(C1)이 체결되고, 후방지지 프레임(91)의 상면에는 모터풀리(70)를 커버한 하우징(C2)이 체결된다. 모터풀리(70)의 하부에 대응하는 후방지지 프레임(91)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으로 모터풀리(70)의 하부가 관통된 상태로 제 1 피동풀리(40)의 상면과 맞물려 연결된다.The rear support frame 91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pair of guide frames 80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guide frame 8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frame 91, A housing C2 covering the motor pulley 7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frame 91. The housing C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frame 91, Respectivel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ar support frame 91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pulley 70 and is engaged with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riven pulley 40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pulley 7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

전방지지 프레임(92)은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80)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가이드 프레임(80)의 전단부를 지지하며, 전방지지 프레임(92)의 중앙부에는 발판부(10)가 끼워진 상태로 출몰하는 슬롯부가 형성된다.The front support frame 92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guide frames 80 and supports the front end of the guide frame 80. The front support frame 92 has a stepped portion 10 And a slot portion is formed.

하부 지지프레임(93)은 하나의 가이드 프레임(80) 하부에 체결되며, 하부 지지프레임(93)의 상면에는 발판부(10)의 전,후방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자속센서(111,112,113)가 장착된다.A plurality of magnetic flux sensors 111, 112, and 113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frame 93 along the front and rear slide directions of the foot plate 10, do.

이상과 같이 지지프레임(91,92,9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차량에 보조발판을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지지프레임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s 91, 92, and 93 have been specifically describe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other types of support frames may be added to securely fasten the vehicle to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발판부(10)의 하부에는 발판부(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발판부(10)의 전,후방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하부 지지프레임(93)의 상면에 복수 개의 자속센서(111,112,113)가 일렬로 배치된다. 이 자속센서(111,112,113)에 대응하는 위치의 발판부(10) 하면에는 자속센서(111,112,113)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20)가 장착된다. 그리고, 발판부(1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에는 위치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복수 개의 자속센서(111,112,113)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당 패턴에 따라 발판부(10)의 전,후방 슬라이드 운동이 제어된다.1, a lower portion of the foot frame 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frame 93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directions of the foot plate 10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oot plate 10 A plurality of magnetic flux sensors (111, 112, 113) are arranged in a row. A position sensing sensor 120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flux sensors 111, 112 and 113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lux sensors 111, 112 and 113. When the foot part 10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foot part 10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a preset pattern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magnetic flux sensors 111, 112 and 113 sens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20 The slide motion is controlled.

상세하게 발판부(10)가 삽입된 상태로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판부(10)가 돌출되는 슬라이드 동작의 시작 단계에서 발판부(10)의 하부에 장착된 위치감지센서(120)는 가이드 프레임(80)의 최후방에 위치한 자속센서(111)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2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plate 10 at the beginning of the slide operation in which the foot plate 10 protrudes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control signal in a state where the foot plate 10 is inserted in detail, And is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magnetic flux sensor 111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rame 80.

위치감지센서(120) 최후방에 위치한 자속센서(111)를 감지하면 발판부(1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하도록 설정되고, 위치감지센서(120) 최전방에 위치한 자속센서(112)를 감지하면 발판부(1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하도록 설정되며, 위치감지센서(120)가 최전방에 위치한 자속센서(112)를 감지한 후 이어서 중간에 위치한 자속센서(113)를 감지하면 발판부(10)의 후방 슬라이드 동작 속도를 낮추도록 미리 설정된다.When the magnetic flux sensor 111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20 is sensed, the pedestal portion 10 is set to slide forward, and when the magnetic flux sensor 112 positioned at the frontmost position of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20 is sensed When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20 detects the magnetic flux sensor 112 located at the frontmost position and then detects the magnetic flux sensor 113 located at the middle position, the footrest portion 10 The rear sliding operation speed of the backward sliding operation is lowered.

위치감지센서(120)가 최전방에 위치한 자속센서(112)를 감지한 후 이어서 중간에 위치한 자속센서(113)를 감지하는 경우 발판부(10)의 후방 슬라이드 동작 속도를 낮추는 이유는 링크부(20,30)가 폴딩되는 과정에서 연결 부분에 무리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중간에 위치한 자속센서(113)는 최전방에 위치한 자속센서(112)에 대해 최후방에 위치한 자속센서(111)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reason why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20 senses the flux sensor 112 positioned at the foremost position and then detects the magnetic sensor 113 located at the middle position is to lower the speed of the back sliding operation of the footrest portion 10, , 30) is fol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flux sensor 113 positioned at the middl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lux sensor 112 located at the forefront i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sensor 111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확장되기 되기 위한 풀리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폴딩되기 위한 풀리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link is f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pulley for extending a lin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pulley for folding a lin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발판부(10)가 전,후방 슬라이드 동작을 하는 과정에서 피동풀리(40,50)와 구동풀리(60)와 링크부(20,30)가 동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riven pulleys 40 and 50, the drive pulley 60 and the link portions 20 and 30 ar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ing operation of the footrest portion 10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도 5]는 발판부(10)가 삽입된 상태로서 제 1 링크부(20)와 제 2 링크부(30)가 상호 대칭되게 폴딩된 상태이다. 이때 [도 6]과 같이 발판부(10)가 돌출되도록 외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모터풀리(70)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풀리(60)에 인가되면, 구동풀리(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 구동풀리(60)와 맞물린 제 1 피동풀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 1 풀레이트(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링크부(20)가 [도 7]과 같이 확장된다.5 is a state in which the foot part 10 is inserted and the first link part 20 and the second link part 30 are fol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pulley 70 according to the control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o the driving pulley 60 so that the foot part 10 protrudes as shown in FIG. 6, the driving pulley 60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first driven pulley 40 engaged with the drive pulley 6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rst full rate 21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link portion 20 ].

또한 구동풀리(60)와 맞물린 제 1 피동풀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1 피동풀리(40)에 맞물린 제 2 피동풀리(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 3 플레이트(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링크부(30)가 [도 7]과 같이 확장된다.The first driven pulley 40 engaged with the drive pulley 6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driven pulley 50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40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econd link portion 30 is extended as shown in Fig. 7 while the second link portion 3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도 7]은 발판부(10)가 돌출된 상태로서 제 1 링크부(20)와 제 2 링크부(30)가 상호 대칭되게 확장된 상태이다. 이때 [도 8]과 같이 발판부(10)가 삽입되도록 외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른 모터풀리(70)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풀리(60)에 인가되면, 구동풀리(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 구동풀리(60)와 맞물린 제 1 피동풀리(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 1 풀레이트(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링크부(20)가 [도 5]와 같이 폴딩된다.[7] FIG. 7 is a state in which the foot plate portion 10 is protruded, and the first link portion 20 and the second link portion 30 are symmetrically extended. Whe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pulley 70 according to the control from the outside is applied to the driving pulley 60 to insert the foot part 10 as shown in FIG. 8, the driving pulley 60 rotates clockwise The first driven pulley 40 engaged with the drive pulley 60 rotates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first pull rate 21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link portion 20 rotates counterclockwise, 5].

또한 구동풀리(60)와 맞물린 제 1 피동풀리(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1 피동풀리(40)에 맞물린 제 2 피동풀리(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 3 플레이트(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링크부(30)가 [도 5]와 같이 폴딩된다.
The first driven pulley 40 engaged with the drive pulley 6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driven pulley 50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link portion 30 is folded as shown in Fig. 5 while the second link portion 31 rotates clockwis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브라켓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uide frame and a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frame and a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80)에는 내측벽의 상,하부에 나란히 돌출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하부 절곡판(81,82)이 형성되며, 상,하부 절곡판(81,82) 사이에 발판부(10)의 측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발판부(10)의 전,후방 슬라이드를 안내한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guide frame 80 is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bent plates 81 and 82 projecting side by sid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wall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uide the front and rear slides of the foot plate 10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foot plate 10 are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folding plates 81 and 82. [

그리고 상부 절곡판(81)의 저면과, 가이드 프레임(80)의 내측벽과, 하부 절곡판(82)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밀착되도록 2단으로 구부러진 가이드 브라켓(100)이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며, 발판부(10)는 가이드 브라켓(100)에 끼워져 밀착됨과 동시에 가이드 프레임(80)과 들뜬 상태를 유지하여 발판부(1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 발판부(10)의 마찰 면적이 감소된다.The guide bracket 100 bent in two stages so as to be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ending plate 81, the inner side wall of the guide frame 8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ending plate 82, The footrest 10 is closely fitted to the guide bracket 100 and is kept in a hovering state with the guide frame 80. When the footrest 10 is sli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10 is reduced.

또한 상부 절곡판(81)의 상면에는 상부지지 브라켓(81a)이 형성되는데, 이 상부지지 브라켓(81a)은 상부 절곡판(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절곡판(81)의 상면에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은 상부가 개구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91,92)에 연결되어 상부 절곡판(81)의 수평을 유지한다.An upper support bracket 8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nding plate 81. The upper support bracket 81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nding plate 8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81 And has a cross-section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an open top,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s 91 and 92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upper bending plate 81.

그리고 하부 절곡판(82)의 하면에는 하부지지 브라켓(82a)이 형성되는데, 이 하부지지 브라켓(82a)은 하부 절곡판(8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절곡판(82)의 하면에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은 하부가 개구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91,92)에 연결되어 하부 절곡판(82)의 수평을 유지한다.A lower support bracket 82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ending plate 82. The lower support bracket 82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ending plate 8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ending plate 82 And has a cross-section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an open bottom,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s 91 and 92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lower bend plate 82.

상부지지 브라켓(81a)과 하부지지 브라켓(82a)은 발판부(10)의 하중으로부터 상부 절곡판(81)과 하부 절곡판(82)의 휘어짐을 방지하며, 단면이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지지프레임(91,92)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91,92)을 관통하는 조임볼트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support bracket 81a and the lower support bracket 82a prevent warping of the upper bent plate 81 and the lower bent plate 82 from the load of the foot plate 10 and have a cross- A fastening bol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frames 91 and 92 can be fitte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frames 91 and 92. [

10 : 발판부 20 : 제 1 링크부
21 : 제 1 플레이트 22 : 제 2 플레이트
30 : 제 2 링크부 31 : 제 3 플레이트
32 : 제 4 플레이트 40 : 제 1 피동풀리
50 : 제 2 피동풀리 60 : 구동풀리
70 : 모터풀리 80 : 가이드 프레임
81 : 상부 절곡판 82 : 하부 절곡판
81a : 상부지지 브라켓 82a : 하부지지 브라켓
91 : 후방지지 프레임 92 : 전방지지 프레임
93 : 하부 지지프레임 100 : 가이드 브라켓
111,112,113 : 자속센서 120 : 위치감지센서
C1,C2 : 하우징
10: foot part 20: first link part
21: first plate 22: second plate
30: second link portion 31: third plate
32: fourth plate 40: first driven pulley
50: second driven pulley 60: driving pulley
70: motor pulley 80: guide frame
81: upper bend plate 82: lower bend plate
81a: upper support bracket 82a: lower support bracket
91: rear support frame 92: front support frame
93: lower support frame 100: guide bracket
111, 112, 113 magnetic flux sensor 120 position sensor
C1, C2: Housing

Claims (8)

차량의 출입문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전,후방 출몰 운동을 하고,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판부(10);
바 형태의 제 1 플레이트(21)와 바 형태의 제 2 플레이트(22)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발판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확장과 폴딩을 번갈아 하면서 상기 발판부의 전,후방 출몰을 유도하는 제 1 링크부(20);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태의 제 3 플레이트(31)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태의 제 4 플레이트(32)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발판부의 후단부에 상기 제 1 링크부와 상호 마주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 1,2 플레이트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링크부가 확장 또는 폴딩되는 형태와 대칭되게 상기 제 3,4 플레이트의 연결부분을 기준으로 확장과 폴딩을 함으로써 상기 발판부가 출몰시 일측으로 쏠림이 없이 전,후방의 일직선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하는 제 2 링크부(30);
상기 제 1 링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링크부의 확장과 폴딩을 위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 1 피동풀리(40);
상기 제 2 링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피동풀리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제 1 피동풀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 1 피동풀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링크부의 확장과 폴딩을 위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 2 피동풀리(50);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 1 피동풀리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제 1 피동풀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풀리(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A pedal part (10) which slides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lower part of a doorway of a vehicle and performs forward and backward projecting and outward movement and supports a load from an upper part in a protruded state;
A bar-shaped first plate (21) and a bar-shaped second plate (22)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portion so as to b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first link portion (20) for guiding the front and rear foot portions of the foot portion alternately while expanding and folding alternately;
A third plate 31 of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late and a fourth plate 32 of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plate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extended and folded with respect to a connecting portion of the third and fourth plates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shape in which the first link portion is expanded or folded with reference to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 second link portion (30) for guiding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to slide in a straight line without deviating to one side at the time of attachment and retraction;
A first driven pulley (40)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link portion and applying a driving force for expanding and folding the first link portion while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econd driven pulley that is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k portion and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riven pulley due to a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en pulley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A second driven pulley (50)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A drive pulley (60) rotating by a drive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driven pulley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pulley;
And an auxiliary stool for mounting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상부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풀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풀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tor pulley (70) rotating by a driving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pulley while being rotated in an engaged state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ulley.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양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80);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고, 차량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91,92,9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The method of claim 2,
A pair of guide frames (80) for guiding the front and rear slides of the footrest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footrest are fitted;
Supporting frames (91, 92, 93) connected to and supporting the pair of guide frames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ootrest mounted on the vehic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80)에는 내측벽의 상,하부에 나란히 돌출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발판부의 측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상,하부 절곡판(81,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The method of claim 4,
The guide frame 80 is provided with an upper and a lower bent plate 8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jecting side by side on the inner side wall and guiding the front and rear slides of the foot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oot plate is fitted , 82)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hic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곡판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벽과, 상기 하부 절곡판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밀착되도록 2단으로 구부러진 가이드 브라켓(10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발판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100)에 끼워져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들뜬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발판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 상기 발판부의 마찰 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guide brackets 100 bent in two stages so as to be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ending plate, the inner side wall of the guide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ending plate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Wherein the footrest portion is closely fitted to the guide bracket and is kept in a hover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guide frame so that the friction area of the footrest portion is reduced when the footrest portion is sli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caffold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곡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절곡판의 상면에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은 상부가 개구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절곡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상부지지 브라켓(81a); 및
상기 하부 절곡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절곡판의 하면에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은 하부가 개구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절곡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하부지지 브라켓(82a);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The method of claim 6,
And an upper support bracket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which maintains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and a lower support bracket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nding plat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bending plate, (81a); And
And a lower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of the lower bend plate, the lower support bracket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82a);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ootrest mounted on the vehic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하부에는 상기 발판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자속센서(111,112,113)가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발판부의 하면에는 상기 자속센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20)가 장착되며, 상기 발판부가 전,후방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복수 개의 자속센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당 패턴대로 상기 발판부의 전,후방 슬라이드 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보조발판.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magnetic flux sensors (111, 112, 113) are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sliding directions of the footrest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ootrest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portion. When the foot plate is slid back and forth,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s of the foot plate are controlled according to a preset pattern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magnetic flux sensors sens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Features an auxiliary footrest for vehicle mounting.
KR1020120100196A 2012-09-10 2012-09-10 Sub-step for vehicles KR101419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196A KR101419737B1 (en) 2012-09-10 2012-09-10 Sub-step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196A KR101419737B1 (en) 2012-09-10 2012-09-10 Sub-step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823A KR20140033823A (en) 2014-03-19
KR101419737B1 true KR101419737B1 (en) 2014-07-17

Family

ID=5064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196A KR101419737B1 (en) 2012-09-10 2012-09-10 Sub-step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7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29B1 (en) * 2018-09-17 2020-03-17 황성공업 주식회사 Motor driven sidestep device
KR102498171B1 (en) 2022-06-30 2023-02-10 조범종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that blocks the transmission of forces other than its own driving force, and auxiliary footres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03B1 (en) * 2014-11-03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p device for vehicle
KR102319433B1 (en) * 2015-07-17 2021-10-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cradle
CN108515913A (en) * 2018-05-14 2018-09-11 贵州大学 A kind of rapid sorting fixed point transport trolley
KR102391372B1 (en) * 2020-08-31 2022-04-27 (주)대한솔루션 Luggage board rotation apparatus for vehicle
EP4212391A1 (en) * 2022-01-17 2023-07-19 Volvo Truck Corporation Collapsible step assembly for an industrial vehicle
EP4212392A1 (en) * 2022-01-17 2023-07-19 Volvo Truck Corporation Step assembly for an industrial vehicle
EP4311725A1 (en) * 2022-07-26 2024-01-31 Bode Sud S.p.A. Automated retractable step for veh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54B1 (en) * 1996-11-15 2001-06-01 이계안 Automatic lift system of footboard for vehicle
KR100349937B1 (en) * 2000-08-22 2002-08-2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A side-step device for a disable person at an automoti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54B1 (en) * 1996-11-15 2001-06-01 이계안 Automatic lift system of footboard for vehicle
KR100349937B1 (en) * 2000-08-22 2002-08-2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A side-step device for a disable person at an automot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29B1 (en) * 2018-09-17 2020-03-17 황성공업 주식회사 Motor driven sidestep device
KR102498171B1 (en) 2022-06-30 2023-02-10 조범종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that blocks the transmission of forces other than its own driving force, and auxiliary footres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823A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737B1 (en) Sub-step for vehicles
CN1115464C (en) Roll-up door with low friction edges
US7717158B2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cable drive
CN1295089C (en) Rolling-up car window sun-shading screen with rolling compensation
JP5126880B2 (en) Conveyor device
KR102527253B1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seat
KR20090049991A (en) Roller blind arrangement having decreased friction in the drive forks
JP4993740B2 (en)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for hanging members
FI114308B (en) Gathering Attachment
JP6014470B2 (en) Lifting bicycle parking machine
KR102208824B1 (en) stroller
KR20010052160A (en) Door as well as method for assembling a door
CN104070971A (en) Slide door apparatus for vehicle
JP2008168957A (en) Car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elevator
JP6056687B2 (en) Vehicle seat
US20150203043A1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JP4194154B2 (en) Windshield adjustment device such as motorbike
US20130068406A1 (en) Electric sunshade assembly
JP2008049069A (en) Elevating mechanism and elevating chair
CN105799464B (en) The drive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of a kind of window roller blind
US20080264308A1 (en) Stand with lifting and lowering function
JPH0712161Y2 (en) Power seat slide device
CN114129383B (en) Involute toothed chain track flattened massage chair convenient for mechanical arm to walk
JP4418733B2 (en) Massage unit extrusion mechanism
KR102481448B1 (en) Rails for separating vehicle s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