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891B1 -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91B1
KR101418891B1 KR1020097005120A KR20097005120A KR101418891B1 KR 101418891 B1 KR101418891 B1 KR 101418891B1 KR 1020097005120 A KR1020097005120 A KR 1020097005120A KR 20097005120 A KR20097005120 A KR 20097005120A KR 101418891 B1 KR101418891 B1 KR 10141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battery
battery box
plate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331A (ko
Inventor
씨. 귄터 바우어
Original Assignee
아이큐 파워 라이센싱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 파워 라이센싱 아게 filed Critical 아이큐 파워 라이센싱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4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05Devices for making prima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14Arrangements for moving electrode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 선박 또는 비행기와 같은 이동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배터리 박스의 2개의 반대편 측면에서 배터리 박스(1) 내로 각각 하나의 혼합 판(5a)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박스 내에 있는 2개의 혼합 판들(5a') 사이로 전극 판 패킷(2)을 삽입하는 단계,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혼합 판들을 수평 혼합 브릿지 판(5b')과 직각으로 결합하는 결합 단계로서, 상기 수평 혼합 브릿지 판(5b')은 거의 중앙에 전해질 통과용 리세스 및 중앙을 향해 약간 아래로 경사진, 전해질용 경사면을 갖는 결합 단계.
배터리 박스, 혼합 판, 전극 판 패킷, 혼합 브릿지 판, 리세스, 경사면.

Description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 선박 또는 비행기와 같은 이동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자동차를 경량화하려는 노력에는 배터리의 중량 감소도 포함된다. 그러나, 동시에 더 큰 배터리 출력에 대한 요구도 커지는데, 그 이유는 차량을 시동하기 위한 종래의 에너지와 더불어, 파워 윈도우 리프터,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또는 시트를 전기로 가열하기 위한 서보 모터와 같은 추가 설비용 에너지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배터리 출력은 배터리 수명에 걸쳐 가능한 일정하게 높은 레벨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 기술에는 종래의 납-산-배터리의 출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조치가 공지되어 있다. 출력은 이하에서 배터리의 전류 공급력 또는 전류 소비력을 의미한다.
납-산-배터리의 특별한 문제점은 전극 면의 가능한 완전한 사용이다. 전극 표면의 영역에서 산 농도가 너무 높으면, 이는 전극 판을 부식시키고, 결국 전극 판을 파괴시킨다. 산 농도가 너무 낮으면, 배터리의 확실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해질 특성이 부족하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여러 가지 효과로 인해, 배터리 내부에서 산 밀도가 불균일하다. 이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해, 전해질 혼합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기능 및 수명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침적물의 형성도 동시에 방지된다.
공보 DE U19114909에는 압축 가스 소스로부터 가스의 도입에 의해 전해질 순환이 강제로 이루어지는 어큐뮬레이터 배터리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순환 방법은 순환 장치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차량 배터리에 제한적으로만 적합하고, 특히 추가로 압축 가스 소스가 필요하다. 선행 기술에는 또한 전해질 혼합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해질 혼합 장치는 유체 정압 펌프(hydrostatic pump)라고도 하며 그 기능은 이하에 설명된다: 차량이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면, 즉 제동되거나 가속되지 않으면, 차량 내에 사용된 배터리 내의 액체 전해질의 표면이 편평하며 수평이다. 제동 또는 가속 과정시, 전해질은 관성 때문에 이리 저리 흔들린다. 이 때 생기는 전해질 유동은 배리어 및 채널에 의해 가급적 양호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원리는 특히 US 4,963,444; US 5,096,787; US 5,032,476 및 가장 근접한 선행 기술인 독일 실용 신안 DE 297 18 004.5에 개시된다. 가장 근접한 선행 기술의 대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박스 내의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각진 혼합 장치이다.
혼합 장치가 없는 종래의 배터리 또는 혼합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의 지금까 지의 제조시, 먼저 전극 판 패킷(2)이 빈 배터리 박스 내로 삽입된다. 혼합 장치를 구비한 배터리가 구성되어야 하면, 전극 판 패킷이 배터리 박스 내에 정확히 중앙에 위치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전극 판 패킷의 수직 에지와 배터리 박스 벽 사이의 갭이 양측에서 동일한 폭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이는 보장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로봇의 사용 및 유사한 취급 기술이 너무 비싸서 무거운 전극 판 패킷의 삽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전극 판들은 플라스틱 박막(이하에서 전극 주머니라 함)으로 둘러싸인다. 전극 주머니들은 기계적으로 매우 민감하다. 후속해서 각진 혼합 판을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의 갭 내로 삽입하는 것은 전극 주머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주의깊게 이루어져야 한다. 손상된 전극 주머니는 관련 배터리 셀의 조기 고장을 일으키고, 그에 따라 배터리의 출력 감소를 일으킨다.
도 2에 도시된 경우에는 전극 판 패킷이 배터리 박스 내에서 좌측으로 너무 멀리 배치되므로, 좌측에서 전극 판 패킷의 수직 에지와 배터리 박스 벽 사이의 갭이 우측에서보다 더 좁다.
종래의 제조 방법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다른 단점을 갖는다. 전극 판 패킷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제공된 위치에 놓이지 않으면, 좌측에서 배터리 벽과 혼합 판의 수직 레그 사이에 형성된 유동 채널은 우측에서의 유동 채널보다 더 좁다. 그러나, 상기 유동 채널들은 그 폭에 있어서 최적화되므로, 폭의 변동은 혼합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도 3b에 도시된 경우에, 유동 채널들은 양측에서 동일한 폭을 가지므로, 유동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혼합 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조 기술의 특별한 단점은 배터리의 최종 제어시 전극 주머니의 손상이 검출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극 주머니의 손상은 무조건 방지되어야 한다. 동시에, 이 조립 단계의 비용이 증가하지않아야 한다. 즉, 간단하고 확실한 해결책이 찾아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선행 기술의 단점을 없애는 것이다. 특히, 전극 주머니의 손상이 방지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혼합 장치를 구비한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 배터리 박스의 2개의 반대편 벽에 수동으로 각각 하나의 혼합 판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 판들은 약간 경사지게 놓이고, 즉 선행 기술에 사용된 혼합 앵글 부재가 이 방법에서는 수직 부분 및 수평 부분으로 분할된다. 수직 부분은 이하에서 혼합 판이라 한다. 혼합 판들은 배터리 박스 내에서 약간 경사지게 놓인다. 즉, 배터리의 구성에 따라 약 10 내지 25도의 기울기를 갖는다.
- 배터리 박스 내에 배치된 2개의 혼합 판들 사이에 전극 판 패킷의 삽입 단계; 상기 혼합 판들은 수직 위치로 밀려지며, 즉 전극 판 패킷이 수동으로 배터리 박스 내로 삽입되면, 혼합 판들은 주어진 수직 위치 내로 밀려진다. 혼합 판들이 가볍고 매끄럽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전극 주머니가 손상될 위험이 없다. 또한, 센터링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혼합 판에 의해 전극 판 패킷은 수동 삽입시 정확한 위치로 밀려진다.
- 2개의 수직으로 놓인 혼합 판들 상에 수평으로 혼합 브릿지 판을 장착하는 단계.
배터리 제조시 상기 기술적 단계에 의해 후술될 장점이 얻어진다.
먼저, 분할된 혼합 장치의 수직 혼합 판들이 배터리 박스 내로 삽입된 다음, 전극 판 패킷이 혼합 판들 사이로 삽입되기 때문에, 전극 판의 민감한 측면 에지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 경우, 자동 센터링이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 센터링은 배터리 박스가 롤러 컨베이어 상에 놓이면 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전극 판이 양측으로 삽입된 혼합 판들에 의해 배터리 박스 내의 정확히 예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각각의 전극 판의 전기 단자들이 예정된 공간적 위치에 정확히 배치된다는 다른 장점을 갖는다. 후속해서, 용접 로봇에 의해 단자들이 서로 용접되고, 이로 인해 개별 배터리 셀들이 직렬로 접속된다. 전극 판들이 서로 최적으로 배치되지 않았어도 이들이 서로 용접될 수 있도록, 지금까지는 단자들이 비교적 넓게 실시되어야 했다. 본 발명에 따라 전극 판들이 서로 정확히 배치되고 그로 인해 큰 공차가 보상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자들의 축소가 가능하면서도 단자들의 정확한 용접이 가능하다. 더 작은 단자들에 의해, 배터리 당 약 200 그램 이상의 납이 절감될 수 있다.
혼합 판 및 전극 판 패킷의 삽입 후에, 혼합 브릿지 판이 수직으로 배치된 혼합 판들 상에 놓여 이것과 직각으로 연결되므로, 컴팩트한 혼합 장치가 형성된다. 상기 혼합 브릿지 판이 수직으로 배치된 혼합 판들 상에 놓이면, 상기 혼합 브릿지 판은 사출 성형시 생긴 배터리 박스의 변형을 다시 펴고 배터리 박스 전체를 보강하는데 기여한다. 선행 기술에 비한 다른 장점은 전해질 경사면으로 사용되는, 혼합 브릿지 판의 상부면이 양 단부 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예정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기울기는 혼합 브릿지 판의 조립시 및 배터리 박스 커버의 장착시 더 이상 변하지 않으며 배터리 박스의 제조 공차와 거의 무관하기 때문에, 최적의 혼합 작용이 얻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혼합 앵글 부재를 가진 납-산 배터리의 측면도.
도 2(2a-2c)는 선행 기술에 따른 제조 방법의 제조 단계.
도 3(3a, 3b)은 선행 기술과 본 발명의 기능 비교.
도 4(4a-4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단계.
도 5(5a, 5b)는 혼합 브릿지의 사시도.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설명되고, 선행 기술을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도 고려된다.
도 1은 납 전극 판(2) 및 산 충전부(3)를 가진 배터리 박스(1)를 도시한다. 기계적 휴지 상태에서, 산 충전부의 레벨은 4로 표시된다. 5a 및 5b는 각진 혼합 장치의 수직 또는 수평 레그를 나타낸다. 배터리가 예컨대 차량 내에 삽입되고, 차량이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동 과정시 수직 레그(5a)와 박스 벽 사이의 산은 상부로 이동되고 수평 레그(5b) 위로 흘러간다. 이러한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은 소정 산 혼합을 야기한다. 혼합 장치는 도 1에서 배터리 박스(1)의 한 측면에만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관련 방법 단계들이 도시된다. 빈 배터리 박스(1) 내로 먼저 납 전극 판 패킷(2)이 삽입된다. 납 전극 판 패킷(2)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중앙에 있지 않다. 다음 방법 단계에서는 양 측면 상에 혼합 앵글 부재(5a, 5b)가 삽입된다. 좌측의 납 전극 판 패킷(2)의 플라스틱 케이싱이 손상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납 전극 판 패킷(2)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박스(1)의 벽에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 전극 판의 플라스틱 케이싱의 손상은 상기 셀의 조기 고장을 일으키고, 따라서 전체 배터리의 고장을 일으킨다.
도 3은 종래의 제조 방법의 다른 단점을 나타낸다: 전극 판 패킷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주어진 위치에 있지 않으면, 각각의 배터리 벽 및 각각의 혼합 앵글 부재의 수직 레그로 형성된 2개의 유동 채널들이 상이한 폭을 갖는다. 그러나, 유동 채널들이 그 폭에 있어서 최적화되므로, 폭의 변동은 혼합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도 3b에서 양측의 유동 채널들이 동일한 폭을 갖기 때문에, 화살표로 표시된 양호한 혼합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설명된다. 3 부분, 즉 2개의 혼합 판(5a') 및 하나의 혼합 브릿지 판(5b')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혼합 장치가 사용된다. 먼저, 혼합 판들(5a')이 약간 경사지게 배터리 박스(1) 내로 삽입되고(도 4b), 그 다음에 전극 판 패킷(2)이 삽입된다(도 4c). 이러한 조치에 의해, 전극 판 패킷(2)이 배터리 박스(1) 내에 정확히 중앙에 배치된다. 도 4d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마지막 단계에서 혼합 브릿지 판이 수직으로 배치된 혼합 판들 상에 놓여 이들과 직각으로 결합된다.
도 5a 및 도 5b는 2개의 혼합 판(5a') 및 혼합 브릿지 판(5b')으로 이루어진 혼합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5a는 혼합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5b는 혼합 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컨대 화물 자동차 배터리와 같은, 상기 설명과는 다른 형태를 가진 혼합 장치를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에도 적합하다.

Claims (3)

  1. 혼합 장치를 구비한 납-산 배터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 배터리 박스(1)의 2개의 반대편 측면에서 각각 상기 배터리 박스(1) 내로 혼합 판(5a)을 약간 경사지게 삽입하는 단계,
    - 상기 배터리 박스(1) 내에 있는 2개의 혼합 판들(5a') 사이로 전극 판 패킷(2)을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 판들은 수직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전극 판 패킷의 삽입시 전극 판 패킷이 상기 배터리 박스 내에서 미리 예정된 위치에 배치되되 미리 정해진 모양의 단면을 갖는 유동 채널들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박스(1);와 상기 전극 판 패킷(2); 및 상기 혼합 판(5a');의 기하학적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판 패킷(2)의 삽입 단계,
    -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2개의 혼합 판들을 수평 혼합 브릿지 판(5b')과 직각으로 결합하는 결합 단계로서, 상기 수평 혼합 브릿지 판(5b')은 거의 중앙에 전해질 통과용 리세스 및 중앙을 향해 약간 아래로 경사진, 전해질용 경사면을 갖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브릿지 판(5b')은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2개의 혼합 판(5a') 상에 삽입되거나 클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박스는 상기 전극 판 패킷(2)의 삽입시 롤러 컨베이어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제조 방법.
KR1020097005120A 2006-08-16 2007-08-16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 KR101418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8047.9 2006-08-16
DE102006038047A DE102006038047A1 (de) 2006-08-16 2006-08-16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üssigelektrolytbatterie
PCT/DE2007/001453 WO2008019676A2 (de) 2006-08-16 2007-08-16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üssigelektrolytbatt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331A KR20090045331A (ko) 2009-05-07
KR101418891B1 true KR101418891B1 (ko) 2014-07-14

Family

ID=3895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120A KR101418891B1 (ko) 2006-08-16 2007-08-16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110314663A1 (ko)
EP (1) EP2052432B1 (ko)
JP (1) JP5419690B2 (ko)
KR (1) KR101418891B1 (ko)
CN (1) CN101536240B (ko)
BR (1) BRPI0715782B1 (ko)
CA (1) CA2696244C (ko)
DE (1) DE102006038047A1 (ko)
ES (1) ES2421452T3 (ko)
PL (1) PL2052432T3 (ko)
RU (1) RU2438213C2 (ko)
SI (1) SI2052432T1 (ko)
WO (1) WO200801967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852A (ko) 2022-09-27 2024-04-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 기반 액체전해질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동적부하 감소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9035A2 (en) * 2009-09-04 2011-03-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acid destratification
DE102010021868A1 (de) 2010-05-28 2011-12-01 Iq Power Licensing Ag Flüssigelektrolytbatterie mit Durchmischungsvorrichtung
US10290836B2 (en) 2010-10-15 2019-05-14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wall element and wall element therefor
DE102011111516A1 (de) * 2011-08-31 2013-02-28 Akkumulatorenfabrik Moll Gmbh & Co. Kg Batterie, Batteriekas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
ES2604903T3 (es) * 2012-11-28 2017-03-09 Iq Power Licensing Ag Batería con dispositivo mezclador de electrólito
DE102014100806B4 (de) 2014-01-24 2019-02-07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Mischelement und Akkumulator
CN103943810B (zh) * 2014-03-13 2016-06-29 超威电源有限公司 胶体电池自带酸循环及抽酸结构
JP2015176659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Gsユアサ 鉛蓄電池
CN109148970B (zh) * 2018-07-26 2020-08-11 天能电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液体自循环装置的富液式铅蓄电池
FR3085799B1 (fr) 2018-09-12 2021-06-18 Renault Sas Procede de fabrication d’electrodes au plomb et batterie utilisant des electrodes obtenues par ce proce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847A (en) 1979-09-04 1980-09-09 Globe-Un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battery electrolyte circulation
WO1995015586A1 (en) 1993-12-01 1995-06-08 Trojan Battery Company Battery electrolyte circulation system
WO1999019923A1 (de) 1997-10-10 1999-04-22 Iq Battery Research & Development Gmbh Flüssigelektrolytbatterie mit elektrolytumwälzung
US20050058899A1 (en) 2003-09-11 2005-03-17 Accuma S.P.A. Accumulator battery container with plate insertion system, and plate inser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1208C3 (de) * 1973-07-09 1983-05-05 Gould Inc., 60008 Rolling Meadows, Il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ockengeladenen Blei-Säure-Akkumulators
US3988165A (en) * 1974-07-08 1976-10-26 Gould Inc. Method of making a lead-acid storage battery, and cell, capable of activation by the addition of electrolyte
CA1276972C (en) * 1986-10-22 1990-11-27 David S. Strong Multi-cell metal/air battery
US4963444A (en) 1988-05-31 1990-10-16 Globe-Union Inc. Internal hydrostatic pump for a mobile vehicle battery
WO1989012325A1 (en) * 1988-05-31 1989-12-14 Globe-Union Inc. Internal hydrostatic pump for a mobile vehicle battery
US4894295A (en) * 1988-09-14 1990-01-16 Cheiky Michael C Metal-alloy air battery
US5032476A (en) 1990-07-19 1991-07-16 Globe-Union, Inc. Internal hydrostatic pump for a mobile vehicle battery
US5096787A (en) 1990-08-03 1992-03-17 Globe-Union Inc. Hydrostatic pump with static resistance for a mobile vehicle battery
DE9114909U1 (ko) 1991-11-30 1992-01-16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De
US5776208A (en) * 1994-03-16 1998-07-07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battery
DE29718004U1 (de) * 1997-10-10 1997-12-04 Iq Battery Gmbh Flüssigelektrolytbatterie
US6821669B2 (en) * 1997-10-10 2004-11-23 Iq Battery Research & Development Gmbh Liquid electrolyte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847A (en) 1979-09-04 1980-09-09 Globe-Un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battery electrolyte circulation
WO1995015586A1 (en) 1993-12-01 1995-06-08 Trojan Battery Company Battery electrolyte circulation system
WO1999019923A1 (de) 1997-10-10 1999-04-22 Iq Battery Research & Development Gmbh Flüssigelektrolytbatterie mit elektrolytumwälzung
US20050058899A1 (en) 2003-09-11 2005-03-17 Accuma S.P.A. Accumulator battery container with plate insertion system, and plate insert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852A (ko) 2022-09-27 2024-04-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화학습 기반 액체전해질을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동적부하 감소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38047A1 (de) 2008-02-21
CA2696244A1 (en) 2008-02-21
JP5419690B2 (ja) 2014-02-19
US20110314663A1 (en) 2011-12-29
CA2696244C (en) 2015-01-06
KR20090045331A (ko) 2009-05-07
BRPI0715782A2 (pt) 2013-07-16
ES2421452T3 (es) 2013-09-02
RU2009109028A (ru) 2010-09-27
US9076994B2 (en) 2015-07-07
WO2008019676A2 (de) 2008-02-21
PL2052432T3 (pl) 2013-10-31
CN101536240A (zh) 2009-09-16
JP2010500727A (ja) 2010-01-07
US20140115880A1 (en) 2014-05-01
SI2052432T1 (sl) 2013-10-30
BRPI0715782B1 (pt) 2018-04-10
EP2052432A2 (de) 2009-04-29
EP2052432B1 (de) 2013-04-17
WO2008019676A3 (de) 2008-04-17
CN101536240B (zh) 2011-08-03
RU2438213C2 (ru) 201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891B1 (ko) 액체 전해질 배터리의 제조 방법
JP6637225B1 (ja) 液式鉛蓄電池
KR101127605B1 (ko) 전지 모듈
KR101810659B1 (ko)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전극단자 용접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용접 방법
US20110064993A1 (en) Battery array with reliable low-resistance connections
EP1087451A2 (en) Electrode plate unit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407064B2 (en)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device
CN103227311A (zh) 密闭型二次电池
KR101741028B1 (ko) 전지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전지 모듈
KR101354580B1 (ko) 이종 접합 탭을 가지는 배터리
KR20140036438A (ko)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CN117136449A (zh) 用于真空料斗预填充器的加热托盘
US20200406402A1 (en) Electrode lead cutting apparatus for battery cells
US20070099075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U2020200117A1 (en) Flowing electrolyte battery separator
KR100551418B1 (ko) 자동용접장치
US10230088B1 (en) Battery electrode assembl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627940B1 (ko) 저항 용접용 메탈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저항 용접 방법
JP5375044B2 (ja) 制御弁式モノブロック型鉛蓄電池の製造方法
JPH05144427A (ja) 袋状セパレータを用いた鉛蓄電池
JP2021111556A (ja) 液式鉛蓄電池
CLARK et al. Development of Zinc/Bromine Batteries for Load-Leveling Applications: Phase 2 Final Report
KR102607707B1 (ko) 이차전지용 가스제거모듈
KR102359235B1 (ko) 버스바 조립용 리드 자동 성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리드 자동 성형방법
CN118137073A (zh) 电池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