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976B1 -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976B1
KR101417976B1 KR1020080010354A KR20080010354A KR101417976B1 KR 101417976 B1 KR101417976 B1 KR 101417976B1 KR 1020080010354 A KR1020080010354 A KR 1020080010354A KR 20080010354 A KR20080010354 A KR 20080010354A KR 101417976 B1 KR101417976 B1 KR 10141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ovable block
guide surface
guid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284A (ko
Inventor
차진환
이동식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9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의 경계는 상기 이송경로에 대응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주변에서 상기 가이드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작동하는 복수개의 가동블록; 및 상기 가이드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인접한 상기 가동블록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하고 인접한 다른 하나를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매체 이송경로를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게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게이트 장치, 고정코어, 가동블록

Description

게이트 장치{GATE DEVICE}
본 발명은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복수개의 매체 이송경로 사이에 제공되어 매체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되 캠 형상의 작동부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매체 이송경로를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무인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지폐입금장치를 일 예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표, 현금 각종 영수증 등 여러 가지 매체들을 입금할 수 있는 매체입금장치 또는 매체출금장치를 포함한 매체처리장치로 설명될 수 있다.
종래의 매체처리장치에는 입금되는 매체를 묶음 또는 스택(stack) 상태로 처리하기 위해 입금되는 매체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일시스택부가 있었다. 이 일시스택부에 매체의 묶음을 일시 저장하였다가 입금 거래가 계속 진행되면 최종적으로 입금 카세트로 매체의 묶음을 이송하였다.
만약 고객이 입금한 매체 중에 위조된 매체가 있는 경우에, 판별된 위조 매체도 먼저 일시스택부에 일시 저장된 후에 리젝트(Reject)처리하거나 반출되었다.
그러나, 진위를 판별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하게 위조된 매체의 경우에는 리젝트시키거나 고객에게 다시 반출하는 것보다도 별도로 회수하여 더 이상 통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의 매체처리장치에는 진위를 판별할 수 없을 정도로 위조된 매체를 회수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정교한 위조 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도 이러한 매체를 일단 일시스택부에 저장한 후에 다시 회수하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매체의 이송경로의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럽 등에서는 정교하게 위조된 매체의 경우에는 일시스택부에 일시 저장되지 않고 입금부에서 곧바로 회수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는 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위조 매체를 곧바로 회수할 수 있는 매체 경로를 구비한 경우에도,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 3개 이상의 매체 경로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경로 전환 게이트를 구비해야 하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 2개 이상의 경로 전환 게이트를 설치한 경우에 매체처리장치의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번거로웠으며, 매체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제조 비용도 상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경로를 단순화하고, 매체를 이송하는 장치가 대체로 한 방향으로 순환하여도 입금, 일시스택, 보관, 리젝트 등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매체처리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게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금된 매체를 각종 매체저장박스로 보내거나 매체저장박스에 저장된 매체를 출금하기 위한 매체 이송경로의 전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게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3개의 매체 이송경로 사이에 설치된 하나의 게이트만으로 3개의 매체 경로를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게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하는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의 경계는 상기 이송경로에 대응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주변에서 상기 가이드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작동하는 복수개의 가동블록; 및 상기 가이드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인접한 상기 가동블록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하고 인접한 다른 하나를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치 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게이트 장치 하나만 사용하여 3개의 이송경로로 매체를 안내할 수 있으며, 인접한 지점에 게이트를 더 설치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면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된 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매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경로 중 연결되는 2개의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매체가 상기 매체통로를 통과하도록 상기 가동블록을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작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면에 상기 가동블록을 분리 또는 밀착시킴으로써 하나의 작동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이송경로가 일정한 주기 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이송경로를 연결하는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된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주변에서 상기 가이드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작동하는 복수개의 가동블록; 및 상기 가동블록 중 선택된 하나만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경로 중 둘만을 연결하고, 나머지 가동블록은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블록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동 블록의 일측과 대응하는 상기 작동부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수용되는 폐곡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의 홈을 따라 상기 가동블록의 돌기가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송경로의 연결 또는 분리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열려야 할 매체통로와 닫혀야 할 매체통로를 한 번에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 걸림부에는 상기 가동블록 중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가동블록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홈에 돌기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가동블록은 분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작동부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 걸림부의 개수에 의해서 매체통로의 개폐가 반복되는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매체통로 중 어느 하나의 매체통로가 개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상기 홈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홈은 상기 돌기 걸림부를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작동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부를 캠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동블록의 분리 및 밀착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고정코어 및 상기 가동블록이 내부에 장착되는 중공형의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를 상기 가동블록의 외부에 제 공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동블록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통로와 연통되는 슬릿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동블록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더라도 상기 매체통로와 연통되는 상기 슬릿부를 통해 매체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매체의 이송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코어 및 상기 가동블록은 그 일부분이 상기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실린더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매체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고정코어 및 상기 가동블록의 일부가 상기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을 통해 매체가 이송되게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가 매체 이송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체를 이송하는 다수의 매체 이송경로들이 서로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매체의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하나의 게이트 장치에 개폐 가능한 다수의 매체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한 지점에 다수개의 게이트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고, 매체의 이송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 장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동블록이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이송경로의 연결 또는 분리, 매체통로의 개폐 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게이트 장치에 형성된 매체통로 중에서 하나의 매체통로만 개방함으로써 매체가 잘못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 방식의 작동부를 이용한 하나의 게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 또는 분리함으로써, 게이트의 설치 개소를 줄일 수 있고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매체처리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 (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 (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매체처리장치의 한 예로써 지폐 또는 수표 등의 종이매체를 입금하기 위한 매체입금장치에 대해 설명하겠지만, 매체입금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한 예에 불과한 것이며 매체출금장치 또는 매체입출금장치 등 다른 금융자동화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입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에 사용된 게이트 장치와 매체경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입금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각종 부품이 장착되는 하우징(110) 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매체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벨트 및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 경로는 사용자가 매체를 투입하는 매체입금부(111)와 입금된 매체 중 이상 매체를 회수하는 리젝트부(RJ; Reject Box)를 연결하는 입금순환경로(DCP; Deposit Circulating Path), 입금된 매체 중 정상 매체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스택부(ES; Escrow Box)와 입금순환경로(DCP)를 연결하는 일시순환경로(TCP; Temporary Circulating Path), 일시스택부(ES)에 일시 저장된 매체를 전달받는 매체저장부 (CA; Cassette Box)와 일시순환경로(TCP)를 연결하는 매체이송경로(MTP; Media Transferring Path)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체 중 수취되지 않는 매체를 회수하는 리트랙트부(RT; Retract Box) 또는 위조 매체를 저장하는 특수저장부(FN; Forged Note box)와 일시순환 경로(TCP)를 연결하는 특수이송경로(STP; Specific Transferring Path)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매체입금부(111)로 투입된 매체(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폐라고 가정함)는 매체입금부(111)의 출구측에 형성된 입금경로(113)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매체입금부(111)에 입금된 매체를 입금경로(113)로 보내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미도시)가 매체입금부(111)의 출구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입금경로(113)는 마주 보며 설치된 2개의 벨트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벨트와 이와 마주 보는 가이드면으로 구 성할 수도 있다.
입금경로(113)에 의해 이송된 매체는 매체인식부(112)로 보내어 진다. 매체인식부(112)는 각종 센서, 이미지 스캐너 또는 자기잉크문자인식수단(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등을 구비하여 입금된 매체가 정상적인 매체인지 비정상적 또는 위조 매체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매체인식부(112)에서 판단한 결과, 매체의 일부가 찢겨 나가거나 접혀진 등의 비정상 매체가 입금된 경우에는 입금 처리하지 않고 리젝트부(RJ)로 이송하여 리젝트 처리하며, 이를 위해 매체인식부(112)의 출구측에는 입금순환경로(DCP)가 구비되어 있고, 입금순환경로(DCP)의 일측에는 리젝트부(RJ)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리젝트부(RJ)는 입금순환경로(DCP) 상에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 리젝트부(RJ)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비정상 매체를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입금순환경로(DCP)를 형성하는 입금이송부(120)는 매체에 협지력을 제공하며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는 제1벨트(121) 및 이를 지지하고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1롤러(12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벨트(121)의 일측에는 가이드면(미도시)을 구비하여, 제1벨트와 상기 가이드면 사이에 형성된 협지력에 의해 매체가 이송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면 대신 제1벨트(121)와 마주 보는 다른 벨트를 설치하여 두 개의 벨트 사이에 형성된 협지력을 이용하여 매체를 이송할 수도 있다.
매체인식부(112)에서 정상이라고 판단된 매체는 리젝트부(RJ)를 거치지 않고 일시스택부(ES)로 이송된다. 일시이송부(130)는 한 방향으로 순환하며 일시스택부 (ES)로부터 매체를 낱장 단위로 전달하거나 전달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매체저장부(CA)에 저장되는 매체는 일시스택부(ES)에 일시 저장된 후에 매체저장부 (CA)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입금순환경로(DCP)를 통과한 매체를 일시스택부(ES)로 보내기 위해 입금순환경로(DCP)와 일시스택부(ES) 사이에 일시순환경로(TCP)를 형성할 수 있다. 일시순환경로(TCP)를 형성하는 일시이송부(130)도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제2벨트(131)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롤러(13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제2벨트(131)의 일측에 가이드면(미도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시이송부(130)는 한 방향으로 순환하며 일시스택부(ES)로부터 매체를 낱장 단위로 전달하거나 전달받는다.
일시스택부(ES)에서 일시 저장된 매체는 입금 거래를 완료하기 위해 하우징 (110)의 하부에 형성된 매체저장부(CA)로 이송된다. 매체저장부(CA)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해 일시스택부(ES)와 매체저장부(CA) 사이에는 매체이송경로(MTP)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매체이송경로(MTP)의 일측은 일시순환경로(TCP)와 연결되고 타측은 매체저장부(CA)와 연결된다. 매체이송경로(MTP)를 형성하는 매체이송부(140)는 매체에 협지력을 가하며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는 2개의 제3벨트(141) 및 이를 구동하는 복수개의 제3롤러(142)들을 포함한다.
또한, 매체인식부(112)에서 판단된 소정의 비정상 매체 중에서 위조된 매체를 저장하는 특수저장부(FN)로 이송하는 특수이송경로(STP)를 형성할 수 있다. 특 수이송경로(STP)는 일시순환경로(TCP)와 특수저장부(FN) 사이에 제공된다. 특수이송경로(STP)를 형성하는 특수이송부(150)는 매체에 협지력을 가하며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는 제4벨트(151)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4롤러(15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특수저장부(FN)는 매체저장부(CA)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수이송경로(STP)는 매체이송경로(MTP)와 특수저장부(FN)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4벨트(151)는 제3벨트(141)와 특수저장부(FN)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시스택부(ES)에 일시 저장된 매체는 고객이 입금 거래를 계속 하고자 할 경우에 매체저장부(CA)로 이송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일시스택부(ES)에 저장된 매체에 대해서 고객이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이 입금거래를 취소하지도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고객이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는 일시스택부(ES)에 저장된 매체를 고객에게 반송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일시스택부(ES)에 저장된 매체를 미수취 매체로 판단하여 별도로 회수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리트랙트부(RT)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시스택부(ES) 저장된 매체에 대해서 고객이 입금거래를 취소하여 매체입금부 (111)로 매체가 반송되었으나,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는 경우에도 리트랙트부 (RT)로 회수된다.
일시스택부(ES)에 저장된 미수취 매체를 리트랙트부(RT)로 이송하기 위해 일시순환경로(TCP)와 리트랙트부(RT) 사이에는 특수이송경로(STP)를 형성할 수 있다. 리트랙트부(RT)의 내부에 특수저장부(FN)를 형성하거나 리트랙트부(RT)와 특수저장부(FN)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양 저장부가 모두 특수이송경로(STP)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특수저장부(FN)로 이송되는 소정의 비정상 매체 중 위폐 등 위조된 매체는 리젝트부(RJ) 또는 일시스택부(ES)를 거치지 않고 매체 입금부(111) 및 매체 인식부(112)를 거친 후 곧바로 특수저장부(FN)로 이송된다. 즉, 정상적인 매체 또는 찢어지거나 접혀진 비정상 매체는 리젝트부(RJ) 또는 일시스택부(ES)를 일단 거치는 것과 달리, 비정상 매체 중 위조된 매체는 리젝트부(RJ) 또는 일시스택부(ES)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특수저장부(FN)로 갈 수 있도록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조 매체는 정상 매체 보다 그 양이 적기 때문에 특수저장부(FN)를 매체저장부(CA)나 리트랙트부(RT)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은 매체입금장치 (100)의 크기를 키우게 되어 매체입금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제약을 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수취되지 않고 리트랙트부(RT)로 이송되는 매체 또한 많지 않기 때문에 리트랙트부(RT)와 특수저장부(FN)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공간 활용성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즉, 리트랙트부(RT) 내부에 특수저장부(FN)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미수취 회수되는 매체 또는 위조 매체 보다는 정상적으로 입금처리되는 매체가 많기 때문에 매체저장부(CA)를 여러 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1에서는 매체저장부(CA)가 2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 매체이송경로(MTP)와 연결되는 제1매체저장부(CA1) 및 제1매체저장부(CA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매체저장부(CA2)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매체저장부(CA2)가 일시순환경로(TCP)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매체저장부(CA2)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해 추가이송경로(ATP; Additional Transferring Path)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이송경로(ATP)는 일시순환경로 (TCP)와 제2매체저장부(CA2)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이송경로(ATP)를 형성하는 추가이송부(160) 역시 매체에 협지력을 가하여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는 제5벨트(161′,161″)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5롤러(162′,16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저장부를 몇 개로 구성하느냐는 선택 사항으로서, 추가되는 매체저장부에 맞추어 이송경로 또한 추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내지 제5벨트(121,131,141,151,161)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매체가 잘못된 곳으로 이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입금순환경로(DCP)를 따라 이송된 매체가 일시순환경로(TCP) 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리젝트부(RJ)로 유입될 수가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매체가 리젝트부(RJ)로 이송되지 않고 매체이송경로(MTP)를 통과하여 제1매체저장부(CA1)에 유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5벨트(121,131,141,151,161)의 사이에서 매체의 경로를 전환 또는 안내해 주기 위한 경로 전환 수단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로 전환 수단의 한 예로 각각의 벨트들이 접하거나 분리되는 지점 근처에 경로들(DCP,TCP, MTP,STP)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복수개의 게이트(180,191~194)들을 형성할 수 있다.
우선 입금이송부(120)는 입금순환경로(DCP)의 제1벨트(121)와 일시순환경로 (TCP)의 제2벨트(131) 그리고, 리젝트부(RJ)의 사이에 설치되어 매체를 리젝트부 (RJ)로 안내하거나 일시순환경로(TCP)로 안내하는 게이트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장치(180)는 매체의 경로를 일시순환경로(TCP) 또는 리젝트부(RJ)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즉, 게이트 장치(181)는 입금순환경로(DCP)의 제1벨트(121)와 접하거나 일시순환경로(TCP)의 제2벨트(131)와 접하여 매체의 경로를 전환하게 된다.
한편, 일시순환경로(TCP)와 매체이송경로(MTP)의 사이에는 매체저장용 게이트(191)가 설치된다. 매체저장용 게이트(191)는 일시스택부(ES)에 일시 저장되었던 매체의 경로를 매체이송경로(MTP) 또는 추가이송경로(ATP)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매체저장용 게이트(191)의 형상은 삼각 쐐기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며, 매체저장용 게이트(191)는 제2벨트(131)과 제3벨트(141) 사이에서 피벗 운동을 한다. 이와 같은 매체저장용 게이트(191)의 피벗 운동을 위해서 솔레노이드(미도시) 또는 스테핑 모터(미도시) 등을 매체저장용 게이트(191)의 일측에 연결할 수 있다.
매체이송경로(MTP)와 특수이송경로(STP) 사이에는 특수저장용 게이트(192)를 설치할 수 있다. 특수저장용 게이트(192)는 매체이송경로(MTP)의 제3벨트(141)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매체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저장용 게이트(192)의 형상은 매체저장용 게이트(191)와 비슷하며, 제3벨트(141)와 제4벨트(151) 사이에서 피벗 운동을 한다.
또한, 특수저장부(FN)와 접하는 특수이송경로(STP)의 일단에는 위폐회수용 게이트(193)가 설치된다. 리트랙트부(RT) 내부에 특수저장부(FN)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특수이송경로(STP)와 리트랙트부(RT)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폐회수용 게이트 (193)를 설치할 수 있다. 위폐회수용 게이트(193)는 특수이송경로(STP)를 통과한 매체를 리트랙트부(RT) 또는 특수저장부(FN)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매체저장부(CA2)가 설치되는 경우에, 일시순환경로(TCP)와 추가이송경로(ATP) 사이를 통과한 매체를 제2매체저장부(CA2)로 보내거나 매체입금부 (111)로 반송하기 위한 추가이송용 게이트(19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추가이송용 게이트(194)는 일시순환경로(TCP)의 제2벨트(131)와 추가이송경로(ATP)의 제5벨트 (161′)가 접한 부분이 끝나는 지점에 설치된다.
여기서, 입금이송부(120), 일시이송부(130) 및 매체이송부(140)는 한 방향으로만 순환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이송부들의 순환방향은 항상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게이트 장치(180) 및 매체저장용 게이트(191) 등만 움직이더라도 매체의 경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매체저장용 게이트(191), 특수저장용 게이트(192), 위폐회수용 게이트(193) 및 추가이송용 게이트(194)의 형상 및 작동 메커니즘은 서로 동 일 유사하다. 그러나, 게이트 장치(180)는 다른 게이트들(191~194)과 형상 및 작동 메커니즘이 상이한 바,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게이트 장치(180)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에 사용된 게이트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180) 는 개폐 가능한 매체통로(MP; Media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매체통로(MP)는 입금순환경로(DCP), 리젝트부(RJ)의 입구측과 연결된 경로 및 일시순환경로(TCP) 중 어느 2개의 경로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게이트 장치(180)는 복수개의 이송경로 중 2개의 이송경로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 장치(180)에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매체통로(MP)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체통로(MP)만 개방되고 나머지 매체통로(MP)는 폐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매체통로(MP)의 개폐를 위한 게이트 장치(18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 장치(180)는 입금순환경로(DCP)와 일시순환경로(TCP)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181), 실린더(18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하는 가이드면(182a)을 가지는 고정코어(182), 고정코어 (182)의 가이드면(182a)에 대응하도록 제공되어 매체통로(MP)를 개폐하는 가동블록 (183) 및 가동블록(183)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린더(181)의 내면과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 사이에서 가동블록(183)을 구동시키는 작동부(184)를 포함할 수 있 다.
이 때, 상기 가동블록(183)은 복수개의 매체통로(MP)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체통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며, 가이드면(182a) 및 가동블록(183)은 연결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이송경로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작동부(184)로 매체통로(MP)를 개폐함으로써 하나의 작동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매체통로(MP)를 개폐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매체통로(MP)가 일정한 주기 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개폐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장치(180)의 실린더(181)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동블록(183)은 실린더(181) 내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가동블록(183)은 매체통로(MP)의 개수만큼 구비되며, 실린더(181)의 내면과 접하는 가동블록(183)의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가동블록(183)의 타면은 대략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블록(183)을 모두 모으면 가운데 부분에는 대략 삼각기둥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는 고정코어(182)가 장착된다. 즉,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에 가동블록(183)의 평면이 접촉할 수 있다. 가동블록(183),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 등의 개수는 매체통로(MP) 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매체 이송경로의 개수와 동일하다.
또한, 매체통로(MP)는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과 가동블록(183)의 평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과 마주 보는 가동블록(183)의 일면은 매체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블록(183)은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과 밀착 내지 접촉하였다가 분리되도록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가동블록(183)의 움직임을 위해 가동블록 (183)의 일측에 작동부(184)가 제공된다.
여기서, 가동블록(183)과 대응하는 작동부(184)의 일측에는 작동부(183)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85)가 제공된다.
구동장치(185)의 구동축(185a)이 작동부(184)에 결합되어 작동부(18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작동부(184) 또는 구동장치(185)는 실린더(181)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실린더(181)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가동블록(183)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코어(182) 및 가동블록(183)은 실린더(18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동부(184) 또는 구동장치(185)는 그러한 제한이 없다. 또한, 가동블록(183) 자체에 가동블록(183)의 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실린더(181)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작동부(184)가 회전함에 따라 매체통로(MP)가 개폐되도록 가동블록 (183)이 움직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가동블록(183)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183a)가 돌출 형성되고 작동부(184)의 일면에는 가이드 돌기(183a)가 수용되는 폐곡선 형상의 홈(184a)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184)의 홈(184a)을 따라 가동블록 (183)의 돌기(183a)가 움직이게 함으로써 매체통로(MP)의 개폐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열려야 할 매체통로와 닫혀야 할 매체통로를 한 번에 개폐할 수 있다. 즉, 캠 방식의 작동부(184)를 이용하여 가이드면(182a)으로부터 가동블록(183)을 분리하거나 밀착시킬 수 있다.
매체통로(MP)가 개방될 때의 가동블록(183)의 위치와 매체통로(MP)가 폐쇄될 때의 가동블록(183)의 위치가 구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홈(184a)에는 돌기 걸림부(184b)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돌기 걸림부(184b)는 작동부(184)의 중심에서 가장 먼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기 걸림부(184b)에는 가동블록(183) 중 매체통로(MP)를 개방시키는 가동블록(183)의 가이드 돌기(183a)가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83a)가 돌기 걸림부(184b)에 수용됨으로써 가동블록(183)은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돌기 걸림부(184b)의 개수에 따라 매체통로(MP)를 개폐하기 위해 작동부(184)를 얼마만큼 회전시켜야 하는지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작동부(184)의 홈(184a)에 4개의 돌기 걸림부(184b)가 형성된다면 작동부(184)가 30도씩 회전함에 따라 매체통로(MP)를 개폐할 수 있으며, 홈(184)에 2개의 돌기 걸림부(184b)가 형성된다면 작동부(184)가 60도씩 회전함에 따라 매체통로(MP)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부(184)의 홈(184a)에 돌기 걸림부(184b)를 형성함으로써, 개방된 매체통로(MP)는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돌기 걸림부(184b)의 개수에 의해서 매체통로(MP)의 개폐가 반복되는 주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기 걸림부(184b)는 매체통로(MP) 중 어느 하나의 매체통로(MP)가 개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돌기 걸림부(184b)를 연결하는 홈(184a)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홈(184a)은 돌기 걸림부(184b)를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다만, 매체통로(MP)가 개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매체통로(MP)가 폐쇄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작동부(184)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부분이 존재하도록 홈(18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작동부(184)의 홈(184a)에는 4개의 돌기 걸림부(184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걸림부(184b)는 작동부(184)의 중심에서 가장 먼 곳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 걸림부(184b) 양측에 있는 홈(184a)은 대략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 걸림부(184b)를 연결하는 홈(184a)의 형상은 대략 작동부(184)의 중심을 향하는 원호 형상을 가진다.
도 5는 도 3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장치(280)는 실린더(281), 실린더(281)의 내부에 장착되는 가동블록(283) 및 고정코어(282), 그리고 가동블록(283)의 일측에 제공되어 매체통로(MP)를 개폐하는 작동부(284), 작동부(284)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2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동블록(283)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283a)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부(284)의 일면에는 가이드 돌기(283a)를 수용하기 위한 홈(284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부(284)의 홈(284a) 및 돌기 걸림부(284b)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4에 도시된 게이트 장치(18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 걸림부(284b)가 2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284a)은 대략 육각형 모양이며, 작동부(284)의 중심에서 가장 먼 육각형의 한 변의 가운데에 돌기 걸림부(284b)가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돌기 걸림부(284b)는 서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린더(181)에 의해 매체통로(MP)로 유출입되는 매체의 이송이 방해받으면 안 되는데, 이를 위해 고정코어(182) 및 가동블록(183)은 그 일부분이 실린더(181) 외부로 노출되도록 실린더(181)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즉, 매체통로(MP)를 형성하는 고정코어(182) 및 가동블록(183)의 일부가 실린더(181)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을 통해 매체가 이송되게 함으로써, 실린더(181)에 의해 매체의 이송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블록(183) 또는 고정코어(182)의 높이를 H1이라고 하고 실린더(181)의 높이를 H2라고 한다. 이 때, H1을 H2 보다 길게 하면 고정코어(182) 또는 가동블록(183)의 일부가 실린더(181) 밖으로 노출되고, 이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매체통로(MP)를 통해 매체가 이송되기 때문에 실린더(181)에 의해 매체의 이송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81)에 매체통로(MP)와 연통되는 슬릿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따른 게이트 장치에 사용되는 실린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린더(181′)에 슬릿부(18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부(181a′)는 매체통로(MP)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린더(181′)의 높이(H3)와 가동블록(183)의 높이(H1)를 동일하게 하더라도, 실린더(181′)에 슬릿부(181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체의 이송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즉, 가동블록(183)이 실린더(181′)의 내부에 완전히 장착되더라도 매체통로(MP)와 연통되는 슬릿부(181a′)를 통해 매체 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181′)에 의해 매체의 이송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장치(180,280)는 매체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매체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매체통로(MP)를 통과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장치(180,280)는 입금순환경로(DCP)를 거친 매체가 올바른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매체의 모든 부분이 게이트 장치(180,280)에 형성된 매체통로(MP)를 통과할 필요는 없으며, 매체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이 매체통로(MP)를 통과할 수 있으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따른 게이트 장치(180,280)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7의 (a)에는 게이트 장치(180) 내에서 우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일시순환경로(TCP)와 리젝트부(RJ)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 참조). 리젝트부(RJ)로 제공되는 매체의 이송경로를 향하는 가이드면의 경계(B1)를 기준으로 인접한 2개의 가동블록(183)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가이드면(182a)으로부터 분리되고, 인접한 다른 하나의 가동블록(183)은 가이드면(182a)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우측 하부에 있는 가동블록(183)의 가이드 돌기(183a)는 돌기 걸림부(184b)에 위치하여 고정코어(182)의 가이드면(182a)에서 분리된다.
입금이송경로(DCP)와 일시순환경로(TCP)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장치(180) 내에서 좌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를 개방해야 한다. 상기 좌측에 있는 매체통로(MP)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7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동부(184)가 반시계 방향으로 30도 회전하면 가이드면의 경계(B2)를 기준으로 좌측 하부에 있는 가동블록(183)의 가이드 돌기(183a)가 돌기 걸림부(184b)에 걸리면서 좌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된다. 이 때, 가이드면의 경계(B2)를 기준으로 우측 하부에 있는 가동블록(183)의 가이드 돌기(183a)는 작동부(184)의 중심부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면서 우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를 폐쇄하게 된다.
입금순환경로(DCP)와 리젝트부(RJ)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있는 매체통로(M)를 개방해야 한다. 상기 상측에 있는 매체통로(MP)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7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동부(184)가 반시계 방향으로 30도 회전하면 가이드면의 경계(B3)에 대하여 상측에 있는 가동블록(183)의 가이드 돌기(183a)가 돌기 걸림부(184b)에 걸리면서 상측에 있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된다. 이 때, 좌측 하부에 있는 가동블록(183)의 가이드 돌기(183a)는 작동부(184)의 중심부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면서 좌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기 걸림부가 4개인 경우에는 작동부(184)가 30도씩 회전함에 따라 매체통로(MP)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a)를 참조하면, 게이트 장치(280) 내에서 우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일시순환경로(TCP)와 리젝트부(RJ) 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 참조). 이 때, 가이드면의 경계(B1′)에 대하여 우측 하부에 있는 가동블록(283)의 가이드 돌기(283a)는 돌기 걸림부(284b)에 위치한다.
입금이송경로(DCP)와 일시순환경로(TCP)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장치(280) 내에서 좌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를 개방해야 한다. 상기 좌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8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동부(284)가 반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하면 가이드면의 경계(B2′)에 대하여 좌측 하부에 있는 가동블록(283)의 가이드 돌기(283a)가 돌기 걸림부(284b)에 걸리면서 좌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된다. 이 때, 우측 상부에 있는 가동블록(283)의 가이드 돌기(283a)는 작동부(284)의 중심부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면서 우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를 폐쇄하게 된다.
입금순환경로(DCP)와 리젝트부(RJ)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있는 매체통로(M)를 개방해야 한다. 상기 상측에 있는 매체통로(MP)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동부(284)가 반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하면 가이드면의 경계(B3′)에 대하여 상측에 있는 가동블록(283)의 가이드 돌기(283a)가 돌기 걸림부(284b)에 걸리면서 상측에 있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된다. 이 때, 좌측 하부에 있는 가동블록(283)의 가이드 돌기(283a)는 작동부(284)의 중심부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면서 좌측 하부에 있는 매체통로(MP)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기 걸림부가 2개인 경우에는 작동부(284)가 60도씩 회전함에 따라 매체통로(MP)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입금된 매체가 정상인 경우에는 입금순환경로(DCP)와 일시순환경로(TCP)를 연결하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되고, 입금된 매체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입금순환경로(DCP)와 리젝트부(RJ)를 연결하는 매체통로(MP)가 개방되며, 일시스택부(ES)에 저장된 매체를 반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매체통로(MP)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어떤 매체통로(MP)를 개방할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매체인식부(112)와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게이트 장치(180,280)의 구동장치(185,285)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매체입금장치는 입금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매체출금장치 및 매체입출금장치를 포함한 금융자동화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입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에 사용된 게이트 장치와 매체경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매체입금장치에 사용된 게이트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따른 게이트 장치에 사용되는 실린더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매체입금장치 120:입금이송부
130:일시이송부 140: 매체이송부
150: 특수이송부 160: 추가이송부
180,280: 게이트 장치 181,281:실린더
182,282: 고정코어 183,283: 가동블록
184,284: 작동부 RJ: 리젝트부
ES: 일시스택부 CA: 매체저장부
RT: 리트랙트부 FN: 특수저장부

Claims (10)

  1.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하는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의 경계는 상기 이송경로에 대응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주변에서 상기 가이드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작동하는 복수개의 가동블록; 및
    상기 가이드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인접한 상기 가동블록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하고 인접한 다른 하나를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블록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동블록의 일측과 대응하는 상기 작동부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수용되는 폐곡선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게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과 상기 가동블록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된 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매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경로 중 연결되는 2개의 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매체가 상기 매체통로를 통과하도록 상기 가동블록을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3. 제1 내지 제3 이송경로를 연결하는 게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면이 형성된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주변에서 상기 가이드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작동하는 복수개의 가동블록; 및
    상기 가동블록 중 선택된 하나만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경로 중 둘만을 연결하고, 나머지 가동블록은 상기 가이드면에 밀착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블록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동블록의 일측과 대응하는 상기 작동부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수용되는 폐곡선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게이트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돌기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 걸림부에는 상기 가동블록 중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가동블록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작동부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작동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 및 상기 가동블록이 내부에 장착되는 중공형의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통로와 연통되는 슬릿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 및 상기 가동블록은 그 일부분이 상기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KR1020080010354A 2008-01-31 2008-01-31 게이트 장치 KR10141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54A KR101417976B1 (ko) 2008-01-31 2008-01-31 게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54A KR101417976B1 (ko) 2008-01-31 2008-01-31 게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284A KR20090084284A (ko) 2009-08-05
KR101417976B1 true KR101417976B1 (ko) 2014-07-09

Family

ID=4120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54A KR101417976B1 (ko) 2008-01-31 2008-01-31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9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031A (ko) * 2002-11-18 2002-12-05 유일반도체 주식회사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JP2004310653A (ja) 2003-04-10 2004-11-04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KR20040097168A (ko) * 2002-03-12 2004-11-17 지세케 앤드 데브리엔트 게엠베하 지폐처리장치
KR20070117588A (ko) * 2005-03-29 2007-12-12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168A (ko) * 2002-03-12 2004-11-17 지세케 앤드 데브리엔트 게엠베하 지폐처리장치
KR20020091031A (ko) * 2002-11-18 2002-12-05 유일반도체 주식회사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JP2004310653A (ja) 2003-04-10 2004-11-04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KR20070117588A (ko) * 2005-03-29 2007-12-12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취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284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547B1 (ko) 지폐처리장치
JP564228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2163704A (ja) 紙幣取扱装置
JP5950839B2 (ja) 搬送制御装置
KR101599131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250657B1 (ko) 매체카세트 및 금융기기
WO2013140451A1 (ja) 紙葉類収納庫、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5615391B2 (ja) 紙葉還流庫
KR101844994B1 (ko) 경로 전환 구조와 이를 구비한 매체 보관 장치 및 금융기기
CN109671210B (zh) 模块化钞票设备
RU2519569C2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осителей, применяемое в банкомате
KR101417976B1 (ko) 게이트 장치
KR100968299B1 (ko)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05967B2 (ja) 自動釣銭入出金機用の硬貨収納装置および自動釣銭入出金機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JP5033593B2 (ja) 硬貨処理機
JP4311309B2 (ja) 金銭処理装置、紙幣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KR100696993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의 초기화 방법
KR200374271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이중셔터구조
KR1010773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박스
KR10149835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KR20200073360A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0973872B1 (ko) 매체입금장치의 경로전환구조
KR10212096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RU25030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понирования носителе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устройств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