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767B1 -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767B1
KR101417767B1 KR1020140046424A KR20140046424A KR101417767B1 KR 101417767 B1 KR101417767 B1 KR 101417767B1 KR 1020140046424 A KR1020140046424 A KR 1020140046424A KR 20140046424 A KR20140046424 A KR 20140046424A KR 101417767 B1 KR101417767 B1 KR 101417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hitosan
raw material
powder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호
Original Assignee
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호 filed Critical 한정호
Priority to KR102014004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C08J230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6Non-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rapp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은, 1) 키토산 분말, 무기 항균제 분말을 액상 점착제에 혼합하여 교반시켜 첨가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첨가원료를 제1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한 1차 배합원료로 1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차 압출필름을 미세조각으로 절단하고 제2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하여 2차 배합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2차 배합원료를 압출하여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Antibacterial Food Packaging Film Comprising Chitosan and Inorganic Antibac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의 압출 필름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됨으로써 분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키토산과 TiO2와 같은 무기항균제가 필름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항균력이 우수하고 오래 유지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시하는 문제는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공합성 첨가물인 방부제를 식품에 직간접적으로 투입하여 식품의 저장성은 향상시켰지만,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인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식품 고유의 맛과 향에도 나쁜 영향을 미쳐 식품산업에서 방부제를 대체하여 식품의 저장성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항균 필름 포장재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균 필름 포장재는 첨가되는 항균물질의 종류와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포장재에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된 항균 물질과 필름 구조물인 고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항균효과, 지속정도 및 포장재의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항균성 필름 소재는 크게 자체 항균력을 가진 고분자와, 다른 외래 항균물질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구조물 또는 담체 역할을 하는 고분자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고, 자체 항균력을 갖는 고분자로는 대표적으로 생고분자인 키토산을 들 수 있는데, 키토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다당류의 일종으로 항균성, 중금속 흡착능, 필름형성 능력 등을 가지고 있으며, 혈압안정, 면역력 증진, 지방, 콜레스테롤 흡착 및 배설능, 보수성, 항암성 등의 기능성 물질로 식품 필름에 필요로 하는 기능성을 고루 갖추고 있어 식품 필름 소재로서 적합하다. 이와 같은 키토산의 항균 작용 메커니즘은 양전하를 가진 키토산의 아미노기가 세포벽에 작용하여 투과성을 변화시켜 세포질의 유출로 인해 사멸시키는 것으로 키토산의 항균력은 그 자체의 고분자일 때보다 적당한 크기의 분자량으로 되었을 때 높은 생리활성을 보인다.
따라서 키토산을 이용한 식품 포장용 필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에 관한 기술들이 특허로 출원된 내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7845호(2002.10.9)는 키토산과 전분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전분을 초산 수용액에 분산시켜 전분 분산액을 제조하고, 키토산과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초산 수용액에 용해시켜 키토산/PVA 용해 용액과 상기 전분 분산액을 혼합하여 이 혼합 원료액을 유리 판상에서 필름을 성형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필름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속작업을 통한 제조가 어렵기 때문에 공업적인 생산이 불가능하고, 또한 제조된 필름에 함유된 키토산이 골고루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의 모든 부위에서 균일한 항균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39219호(2004.5.10)에는 생고분자와 가소제, 항균물질의 혼합물을 통상의 합성수지 고분자 필름 위에 박막 코팅하거나 첩합하여 다층의 필름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플라스틱 복합필름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통상의 합성수지 고분자 필름이 연신력이나 인장강도의 물성이 좋은 반면에 키토산의 박막층이 연신력이나 인장강도의 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양 소재의 물리적인 성질 차이로 인하여 필름이 끊어지거나 양 소재의 층간 분리가 일어나 필름의 특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키토산을 유기산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키는 과정에서 불용성으로 가공되어 수분을 함유한 식품을 포장하였을 때 키토산이 제대로 용출되어 나오지 않음으로 인하여 항균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한 박막코팅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또한 식품 포장용 필름의 항균력을 증대시키고자 항균물질의 직접적인 첨가량을 높이면, 담체인 고분자 사슬 간의 결합력이 낮아져, 최종 성형된 항균필름의 연신력이 부족하여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도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식품 포장용 필름의 항균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키토산 분말에 무기 항균제 분말을 더 첨가하면서도, 항균물질이 필름내에 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성형된 항균 필름의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포장 필름 내에 항균제가 고루 분산, 분포되도록 하여 식품 포장시 키토산에 의하여 서서히 항균제가 용출되면서 단기적인 식품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TiO2와 같은 무기 항균제가 필름 내에 분산, 분포하도록 하여 장기적으로도 필름의 항균성을 향상시켜, 신선하게 식품을 보존할 수 있으면서, 공업적 양산성, 연신력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포장 필름과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 내에 항균제를 균일하고 일률적으로 분포시켜, 항균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포장 필름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 키토산 분말, 무기 항균제 분말을 액상 점착제에 혼합하여 교반시켜 첨가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첨가원료를 제1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한 1차 배합원료로 1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차 압출필름을 미세조각으로 절단하고 제2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하여 2차 배합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2차 배합원료를 압출하여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 30,000 내지 500,000이고, 상기 무기 항균제는 TiO2, 제올라이트계 항균제, 실리카, 은나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맥반석, 흑운모, 백옥, 청옥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점착제는 액상 폴리부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원료 중 상기 키토산 분말, 무기 항균제 분말 및 액상 점착제의 중량비는 1:1:0.5~1이고, 상기 2차 압출필름 중 상기 첨가원료는 0.01 내지 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천연 항균제인 키토산과 TiO2와 같은 무기 항균제를 포장 필름의 제조 공정 중에 필름 원료에 혼합하면서, 특히 2차례에 거쳐 항균제를 분산시킴으로써 필름 내 항균제 분포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액상 점착제를 이용하여 항균제 분말이 혼합기 벽면 등에 비산되거나 혼합기의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을 촉진시켜 1차적으로 분산시켜 1차 압출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다시 미세조각화한 다음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하였는바, 종래 항균제 분말을 단순혼합하여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분산의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항균 필름은, 필름 중에 항균제가 고르게 분포되어 항균력이 향상됨으로써 식품 포장시 미생물 번식에 의한 식품의 변질을 막을 수 있어 식품 보존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물성변화 없이 항균력의 지속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항균 필름은, 식품 포장시 키토산에 의하여 서서히 항균제가 용출되면서 단기적인 식품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TiO2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광촉매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필름의 항균력을 현저하게 지속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1차 압출필름으로 최종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압출필름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에서 필름에 융착된 키토산 항균제가 식품으로 용출되는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무기 항균제로 적용되는 TiO2의 항균작용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포장용 필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필름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 항균제인 키토산과, TiO2와 같은 무기 항균제 분말을 식품 포장용 필름 내에 고르게 분산, 분포시켜 식품의 보존시 미생물에 의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보수성 및 맛을 유지시켜 신선하게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공정 흐름 개략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은, 1) 키토산 분말, 무기 항균제 분말을 액상 점착제에 혼합하여 교반시켜 첨가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첨가원료를 제1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한 1차 배합원료로 1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차 압출필름을 미세조각으로 절단하고 제2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하여 2차 배합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2차 배합원료를 압출하여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키토산과 무기항균제 분말을 최종 생산된 압출필름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원료의 제조시 액상 점착제에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키토산 분말 및 무기항균제 분말을 점착시켜 혼합기 벽면 등에 비산되거나 혼합기의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여 1차 압출필름이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액상 점착제가 코팅된 항균제 분말이 1차적으로 분산된다. 다음으로, 상기 1차적으로 분산이 된 1차 압출 필름을 다시 미세조각으로 절단한 후 합성수지 원료를 혼합하여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미세조각화 및 압출에 의하여 2차적으로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항균제 분말은 이러한 2차 분산과정에 의하여 보다 균일하고,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되게 된다. 즉, 종래 항균제 분말을 단순혼합하여 압출필름을 제조할 경우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균제 분말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혼합기 벽면, 바닥등에 붙어 있게 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2차에 걸쳐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항균제 분말이 필름 내에 고루 분포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첨가원료의 제조에 투입되는 키토산은, 분자량이 30,000 내지 500,000이고, 무기 항균제는 TiO2, 제올라이트계 항균제, 실리카, 은나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맥반석, 흑운모, 백옥, 청옥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TiO2가 선택된다.
키토산은 천연물질로서, 필름 제조시 투입하면 제조된 필름으로 식품포장시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식품으로 용출되면서 식품의 저장기간을 늘리고 신선도 유지율을 높일 수 있다. 필름에 융착된 키토산 항균제가 식품으로 용출되는 메커니즘을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키토산은 유기산 용액에 pH가 3.0 내지 6.0이 되도록 30,000~500,000인 키토산 분말을 첨가하여 키토산 용액을 제조한 후 24 내지 72시간 냉동 건조하여 미세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산으로는 초산, 구연산, 젖산, 소르빈산, 벤조산, 아스코르빈산, 호박산 중에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항균성을 높이기 위하여 키토산 분말화 과정 중에 다른 항균성 추출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성 추출물로서 마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다. 마늘은 강한 살균작용 성분을 갖고 있어 곰팡이를 죽이고,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의 살균 효과도 있음이 실험에 의해 밝혀진 바 있는 바, 마늘 추출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항균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마늘의 항균작용은 알리신이라는 성분이 관여하는데, 그 살균력을 페니실린에 대비해 본 결과 100 : 1 이었다고 보고되었으며, 바이러스나 곰팡이, 대장균에 대한 살균효과가 뛰어나 감기, 기관지염, 소장염, 대장염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기 마늘 추출물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키토산 분말의 용해시 pH가 3.0 미만에서는 강산성을 띄므로 제조된 키토산 미세 분말을 첨가한 식품 포장용 필름을 사용할 시 식품 고유의 맛과 색을 변질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pH가 6.0 초과에서는 용해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콜로이드화하므로 항균능력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키토산 미세 분말의 크기는 4~20 ㎛ 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토산의 크기가 4 ㎛ 미만이면 필름 속에 융착되는 양이 많아지면서 표면 노출 부분이 적어 용출량이 적게 되어 항균능력이 저하되며, 20 ㎛를 초과하면 필름의 결합력을 떨어뜨려 기계적 물성인 인장력 및 연신율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키토산 분말의 분자량이 30,000 미만인 저분자 및 올리고당을 사용할 경우에는 수용성으로 유기산 용액에 녹여서 사용할 필요없이 미세 분말 그대로 사용하여도 식품 포장시 용출되어 항균력을 발휘할 수 있다.
TiO2는 필름에 융착되어 자외선에 의한 광촉매 작용으로 항균 작용을 하게 된다. TiO2는 3.2eV 이상의 에너지가 가해질 때 광촉매 반응을 하는데, 이는 파장으로 환산시 약 380 nm 이하의 자외선 영역에 해당한다. 380 nm 이하의 자외선을 받은 TiO2는 전자가 여기되어, 전자가 여기된 자리에 정공이 생기고, 정공은 원래 상태도 가기 위해 주위에 유기물이 있으면 유기물로부터 전자를 가져오려 한다. 유기물이 전자를 잃는 산화반응이나 여기된 전자가 정공에 재결합됨으로써, TiO2는 원래 상태로 복귀되어 영구적으로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이와 같은 TiO2의 항균작용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필름을 제조할 경우, 식품 포장시 키토산에 의하여 서서히 항균제가 용출되면서 단기적인 식품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TiO2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광촉매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필름의 항균력을 현저하게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첨가원료에서의 액상 점착제는 폴리부텐, 바람직하게는 식품 첨가용 액상 폴리부텐이다. 점착제인 폴리부텐은 합성수지 원료 펠렛의 매끄러운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키토산과 TiO2 분말이 펠렛에 잘 붙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폴리부텐과 같은 점착제로 코팅되지 않은 경우 혼합기의 벽면 등에 항균제 분말이 비산되거나 혼합기의 바닥으로 가라앉으며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제조된 압출필름에서도 키토산과 TiO2가 필름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게 되는바, 상기 폴리부텐에 의하여 분산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첨가원료 중 키토산, TiO2 분말, 폴리부텐의 중량비는 1:1:0.5~1이고, 최종적으로 제조된 2차 압출필름 중 첨가원료가 0.01 내지 5 중량%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키토산과 TiO2를 최종 생산된 압출필름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키토산 분말 및 TiO2 분말에 액상 폴리부텐을 넣고 교반시켜 첨가원료를 제조하고, 이를 합성수지 원료와 혼합하여 1차 혼합원료를 제조한 후, 이러한 1차 혼합원료를 압출하여 1차 압출필름을 제조한다. 1차 혼합원료로부터 1차 압출필름의 제조에는 일반적인 필름 제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종 생산된 식품 포장용 필름 내에서 키토산과 TiO2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하여 필름의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1차 압출필름을 크러셔(crusher)를 이용하여 미세조각으로 절단하고, 이를 제2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한 2차 배합원료를 압출하여 최종적인 제조물인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1차 및 2차 합성수지 원료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등의 필름 제조에 채택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부터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차 압출필름에서의 합성수지는 95.0 내지 99.09 중량%, 키토산, TiO2 분말, 폴리부텐을 포함한 첨가원료는 0.01 내지 5.0 중량%가 되도록 원료를 공급한다.
합성수지의 중량비가 상기보다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키토산 및 TiO2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제조된 식품 포장용 필름의 항균력이 저하되고, 합성수지의 함량이 95.0 중량% 미만이거나 첨가 원료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천연 및 무기 항균제 함량의 증가에 따라 식품 포장용 필름의 항균력은 향상되나 합성수지의 사슬 간의 결합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최종 성형된 식품 포장용 필름의 연신력이 부족하여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제조 단가 증가 등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미세절단된 1차 압출필름 조각과 2차 합성수지를 혼합기에 넣고 교반시키면, 정전기 현상에 의해 1차 압출필름이 2차 합성수지에 부착되므로, 폴리부텐과 같은 점착제를 첨가하지 않을 수 있다. 정전기 현상에 의해 1차 압출필름이 2차 합성수지에 부착되면서, 필름 조각들의 뭉침도 막을 수 있고 1차 압출필름 중의 키토산 및 TiO2도 자연스럽게 분산 촉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키토산과 TiO2의 2종의 항균제를 필름에 함유시키면서 2차의 압출 필름 제조 공정을 거쳐 최종 필름을 제조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양산성이 높으면서도 제조된 최종 필름에서 키토산과 TiO2와 같은 항균제가 필름에 고르게 분산되어 항균력이 우수하면서도 항균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항균성을 높이면서도 필름의 연신력과 인장강도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압출기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용 스크류를 사용했으며 압출기 규격은 55 ㎜ 압출기를 사용하였다. 필름 압출 제조 방법은 먼저 일반 원료를 일정량 투입하고, 압출조건을 맞추어 필름 폭을 26㎝, 두께를 27㎛로 조절하여 가장 안정한 조건이 되었을 때 원료투입구의 기존 원료가 거의 소진이 된 후 실시예의 원료를 호퍼에 투입했으며, 투입 후 관찰결과 2~3분 경과 후부터 필름이 압출되기 시작하여 5분 경과 후부터 정상적인 필름이 제조되었다. 이때 필름의 권취는 2겹으로 300m 권취했으며 키토산의 분산을 관찰하기 위해 엠보싱 롤러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키토산 미세 분말은 분자량이 100,000인 키토산 분말을 유기산 용액에 pH가 6.0이 되도록 첨가하여 키토산 용액을 제조한 후 24시간 냉동 건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우선, 키토산 미세 분말 0.5 g, TiO2 분말 0.5 g, 폴리부텐 0.25 g을 혼합하여 첨가원료를 제조하고, 제조된 첨가원료를 폴리에틸렌 필름 미세 조각 48.5 g에 혼합하여 합성수지 필름 압출기에 투입하여 1차 압출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1차 압출필름을 크러셔로 1~5㎜의 크기로 미세조각으로 절단하고, 미세절단된 1차 압출필름 조각 5g을 폴리에틸렌 수지 95.0g에 혼합하여 합성수지 필름 압출기에 투입하여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압출필름은 도 5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키토산 분말, 무기 항균제 분말을 액상 점착제에 혼합하여 교반시켜 첨가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첨가원료를 제1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한 1차 배합원료로 1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차 압출필름을 미세조각으로 절단하고 제2 합성수지 원료에 혼합하여 2차 배합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2차 배합원료를 압출하여 2차 압출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은 분자량 30,000 내지 500,000이고,
상기 무기 항균제는 TiO2, 제올라이트계 항균제, 실리카, 은나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맥반석, 흑운모, 백옥, 청옥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점착제는 액상 폴리부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원료 중 상기 키토산 분말, 무기 항균제 분말 및 액상 점착제의 중량비는 1:1:0.5~1이고,
상기 2차 압출필름 중 상기 첨가원료는 0.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KR1020140046424A 2014-04-18 2014-04-18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24A KR101417767B1 (ko) 2014-04-18 2014-04-18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24A KR101417767B1 (ko) 2014-04-18 2014-04-18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767B1 true KR101417767B1 (ko) 2014-07-14

Family

ID=5174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424A KR101417767B1 (ko) 2014-04-18 2014-04-18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76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86A (ko) 2015-06-26 2017-01-05 혜전대학 산학협력단 키토산계 항균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키토산 항균제
CN108102152A (zh) * 2017-12-14 2018-06-01 华南理工大学 一种食品包装用锂皂石固定化纳米银/壳聚糖抗菌复合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521465A (zh) * 2019-09-02 2019-12-03 仲恺农业工程学院 抗菌剂、抗菌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18956A (zh) * 2019-11-20 2020-02-21 浙江迈实科技有限公司 一种壳聚糖-纳米二氧化钛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11808307A (zh) * 2020-07-13 2020-10-23 福建师范大学福清分校 一种螺旋藻抗菌肽复合膜的制备方法
KR102218100B1 (ko) 2020-08-12 2021-02-19 최준영 식품 포장용 항균필름
EP3744769A3 (en) * 2019-05-31 2021-03-03 Jozef Stefan Institute Film and production method
KR20210081516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데브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8308A (ko) * 2021-04-07 2021-12-30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카드 합지용 항균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필름
WO2021261638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플라스틱 카드 제조용 항균 오버레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25357B2 (en) 2018-05-25 2022-05-10 Cryovac, Llc Method of making an antimicrobial multilayer film
CN115651245A (zh) * 2022-10-28 2023-01-31 南京农业大学 一种长效抗菌多糖基食品包装用复合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199921A (zh) * 2023-03-11 2023-06-02 华中农业大学 一种壳聚糖复合膜、复合膜液及其保鲜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563A (ja) 2000-12-06 2002-06-21 Yasumasa Morita 抗菌、防臭効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KR100478093B1 (ko) 2004-10-07 2005-03-24 한정호 키토산이 함유된 식품 포장용 필름의 제조 방법
KR20060027739A (ko) * 2004-09-23 2006-03-28 한국식품연구원 항산화 및 항균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5157A (ko) * 2008-04-01 2009-10-07 이호용 신선식품 유통용 포장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563A (ja) 2000-12-06 2002-06-21 Yasumasa Morita 抗菌、防臭効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KR20060027739A (ko) * 2004-09-23 2006-03-28 한국식품연구원 항산화 및 항균특성을 갖는 식품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478093B1 (ko) 2004-10-07 2005-03-24 한정호 키토산이 함유된 식품 포장용 필름의 제조 방법
KR20090105157A (ko) * 2008-04-01 2009-10-07 이호용 신선식품 유통용 포장지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86A (ko) 2015-06-26 2017-01-05 혜전대학 산학협력단 키토산계 항균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키토산 항균제
CN108102152B (zh) * 2017-12-14 2020-07-28 华南理工大学 一种食品包装用锂皂石固定化纳米银/壳聚糖抗菌复合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102152A (zh) * 2017-12-14 2018-06-01 华南理工大学 一种食品包装用锂皂石固定化纳米银/壳聚糖抗菌复合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11325357B2 (en) 2018-05-25 2022-05-10 Cryovac, Llc Method of making an antimicrobial multilayer film
EP3744769A3 (en) * 2019-05-31 2021-03-03 Jozef Stefan Institute Film and production method
CN110521465A (zh) * 2019-09-02 2019-12-03 仲恺农业工程学院 抗菌剂、抗菌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18956A (zh) * 2019-11-20 2020-02-21 浙江迈实科技有限公司 一种壳聚糖-纳米二氧化钛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2443077B1 (ko) * 2019-12-24 2022-09-14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1516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데브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21261638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플라스틱 카드 제조용 항균 오버레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808307A (zh) * 2020-07-13 2020-10-23 福建师范大学福清分校 一种螺旋藻抗菌肽复合膜的制备方法
KR102218100B1 (ko) 2020-08-12 2021-02-19 최준영 식품 포장용 항균필름
KR20210158308A (ko) * 2021-04-07 2021-12-30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카드 합지용 항균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필름
KR102349740B1 (ko) 2021-04-07 2022-01-11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카드 합지용 항균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필름
CN115651245A (zh) * 2022-10-28 2023-01-31 南京农业大学 一种长效抗菌多糖基食品包装用复合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651245B (zh) * 2022-10-28 2023-07-21 南京农业大学 一种长效抗菌多糖基食品包装用复合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199921A (zh) * 2023-03-11 2023-06-02 华中农业大学 一种壳聚糖复合膜、复合膜液及其保鲜应用
CN116199921B (zh) * 2023-03-11 2024-04-19 华中农业大学 一种壳聚糖复合膜、复合膜液及其保鲜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67B1 (ko) 키토산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e Azeredo Antimicrobial nanostructures in food packaging
Meira et al. A novel active packaging material based on starch-halloysite nanocomposites incorporating antimicrobial peptides
Cano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ctive films based on starch-PVA,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Arfat et al. Physico-mechan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fish protein isolate/fish skin gelatin-zinc oxide (ZnO) nanocomposite films
US20160069001A1 (en) Method of preparing antimicrobial 3d-printing filament
CN104592629B (zh) 一种Cu/ZnO 复合抗菌PP母粒的制备方法
Bendahou et al. New nanocomposite design from zeolite and poly (lactic acid)
KR101713249B1 (ko)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갖는 식품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Hammoudi et al. Preparation of active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lginate-montmorillonite/lemon essential oil nanocomposite films
KR101832204B1 (ko) 항균성을 향상시킨 바이오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83422B (zh) 一种抗菌功能的生物降解保鲜膜及其制备方法
Jeong et al. Characterization of multi-functional, biodegradable sodium metabisulfite-incorporated films based on polycarprolactone for active food packaging applications
CN109232931A (zh) 一种纳米纤维素抗菌缓释膜的制备方法
US20200031018A1 (en) Antibacterial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96074B1 (ko) 방충성 및 항균성을 향상시킨 바이오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515679A (ja) 抗真菌材料
JP2019196544A (ja) 金属ナノ粒子を含有する抗菌超吸収性高分子吸収材の製造方法
CN108822374A (zh) 一种塑料制品的抗菌高分子材料及其制备方法
Hoyos-Merlano et al. Nanoreinforcement as a strategy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composite films based on biopolymers
Navaf et al. Impact of metal and metal oxide nanoparticles on function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tarch nanocomposite film; A review
KR100478093B1 (ko) 키토산이 함유된 식품 포장용 필름의 제조 방법
Anandharamakrishnan et al. Bionanocomposite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food packaging
KR100600492B1 (ko) 나노 수산화알루미늄이 함유된 식품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Nath et al. Nanocomposites in food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