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576B1 -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576B1
KR101417576B1 KR1020130000881A KR20130000881A KR101417576B1 KR 101417576 B1 KR101417576 B1 KR 101417576B1 KR 1020130000881 A KR1020130000881 A KR 1020130000881A KR 20130000881 A KR20130000881 A KR 20130000881A KR 101417576 B1 KR101417576 B1 KR 10141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hook
connector
pip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하
도현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김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김용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진미크론
Priority to KR102013000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4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urine coll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는, 오물 탱크와 흡입력 발생장치와 세정수 공급장치와, 공기 공급장치 및 전원 공급부가 설치된 본체와, 대소변이 수용되는 오물 수용부와 비데노즐과 세정노즐과 대변분쇄노즐 및 건조노즐을 구비하는 다이아퍼와, 오물 배출관과 세정수 안내관과 공기 안내관 및 전선을 포함하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끝단에 배치되는 커플러와, 결합축과 래치부와 버튼부를 포함하고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커플러의 외측에 결합되는 후크와, 본체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는 커플러 체결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는 후크에 의해 커플러 체결부를 감싸면서 커플러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는 연결관에 구비된 오물 배출관, 세정수 안내관, 공기 안내관 및 커넥터가 원터치식으로 본체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어, 비숙련된 사용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Automatic excretion cleaner with improved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자동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물 탱크와 세정수 공급장치 등이 설치된 본체와 사용자의 사타구니에 채워지는 다이아퍼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환경과 의료 수준의 향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노인성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도시화와 환경공해로 인한 각종 사고나 질환이 증가되면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중증 심신장애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를 간병할 때 큰 어려움 중의 하나는 증상의 종류를 불문하고 환자가 용변을 보도록 환자를 부축하거나 환자가 배설한 변을 치우는 일이다. 혼자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경우 환자용 기저귀를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나, 기저귀를 이용하는 방법은 배설물이 묻은 기저귀를 즉시 갈아주지 않으면 옷이나 이불이 배설물로 오염되어 악취를 유발할 뿐 아니라 배설물이 접촉되는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간병인이 기저귀를 교체하고 오염부위를 닦아내는 등의 과정에서 환자의 체중을 감당해야하는 육체적인 어려움이 있고, 배설물로 인한 악취와 불쾌감이 간병인의 심적 부담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간병인에 의한 배설물 처리는 환자에게도 수치심을 주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배설물을 환자가 침대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배변 처리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배변 처리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72458호(2008. 10. 1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05529호(2009. 04. 22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배변 처리장치는 크게 환자의 사타구니에 채워지는 다이아퍼와 바닥에 이동 가능하게 놓이는 본체로 구성되고, 다이아퍼와 본체는 유연한 연결관으로 연결된다. 다이아퍼는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 건조노즐과 대변감지센서 및 소변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저면부에는 배설물을 진공압에 의해 수거하도록 오물관이 연결되는 오물배출구가 구비된다. 본체에는 밀폐용기형 배설물 수거부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악취 제거부와, 세정수 공급을 위한 세정수 공급부와, 밸브장치 및 제어장치가 구비된다.
배설물수거부는 오물관을 통해 다이아퍼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소변과 대변을 저장하는 밀폐형의 오물통을 포함하고 오물통은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고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흡입부는 배설물수거부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진공 탱크와 진공 펌프를 구비하고, 악취 제거부는 흡입부의 진공 탱크와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필터를 갖는다. 세정수 공급부는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탱크와, 세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저장하는 온수통과, 온수통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기저귀부의 비데노즐, 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워터펌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밸브장치는 기저귀부에 공급되는 세정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고, 진공 탱크와 진공 펌프의 연결관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로 구성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배변 처리장치는 청소나 이동 등의 이유로 다이아퍼에 연결된 연결관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이유로 연결관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관에는 배설물과 세정수의 통로가 되는 오물 배출관과, 다이아퍼의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 각각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과, 건조노즐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안내관과, 다이아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 배변 처리장치는 본체와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복수의 스크류를 이용하는 복잡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숙련된 사용자는 연결관을 본체에 결합하거나 분리하기가 어려워 사용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에 구비된 오물 배출관,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 공기 안내관 및 커넥터를 원터치식으로 본체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는, 오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물 탱크와, 상기 오물 탱크로 오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와, 세정수 공급을 위한 세정수 공급장치와, 공기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장치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가 설치된 본체와, 환자의 사타구니에 채워지고 대소변이 수용되는 오물 수용부, 비데노즐, 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 및 건조노즐을 구비하는 다이아퍼와, 상기 다이아퍼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오물 수용부와 연결되는 오물 배출관, 상기 비데노즐과 상기 세정노즐 및 상기 대변분쇄노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 상기 건조노즐에 연결되는 공기 안내관 및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을 포함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상기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오물 배출관의 끝단, 상기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 각각의 끝단, 상기 공기 안내관의 끝단 및 상기 전선의 끝단에 구비된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플러와, 중앙의 결합축을 사이에 두고 래치부와 버튼부가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의 외측에 결합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부를 상기 커플러의 중앙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오물 탱크와 연결된 오물 수거관의 끝단, 상기 세정수 공급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세정수 공급관의 끝단, 상기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의 끝단,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소켓 및 고정홈이 마련된 후크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는 커플러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오물 배출관이 상기 오물 수거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이 상기 복수의 세정수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안내관이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에 연결되도록 상기 커플러 체결부를 감싸면서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되, 상기 후크의 래치부가 상기 후크 결합부의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플러 체결부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 결합부의 일면에는 볼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커플러에는 볼 수용홈과, 상기 커플러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수용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과, 상기 볼에 대해 상기 커플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커플러가 상기 커플러 체결부에 결합될 때 상기 커플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볼의 일부분이 상기 볼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은 상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상기 후크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러의 안쪽에는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감싸는 커넥터 펜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펜스부의 개방된 전방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플러가 상기 커플러 체결부에 결합될 때 상기 후크 결합부가 상기 커버를 밀면서 상기 커넥터 펜스부의 안쪽으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후크 결합부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플러의 외면에는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 체결부의 결합 시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 결합홈 안쪽에 배치된 고정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외면에는 후크 수용홈과 이를 개폐하는 덮개를 갖는 후크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수용홈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의 래치부는 상기 커플러를 관통하여 상기 후크 수용홈과 상기 커플러의 안쪽 공간을 연결하는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커플러의 안쪽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후크의 버튼부는 상기 덮개에 형성된 버튼 삽입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는 다이아퍼와 결합된 연결관의 끝단에 구비된 커플러가 본체에 구비된 커플러 체결부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연결관에 구비된 오물 배출관,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 공기 안내관 및 커넥터가 원터치식으로 본체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비숙련된 사용자도 손쉽게 연결관을 본체에 결합하거나, 연결관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는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가 커넥터 펜스부 안쪽에 배치되고, 커넥터 펜스부의 안쪽 공간은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커넥터의 오물 배출관 연결부나, 세정수 안내관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본체에 연결관의 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커플러와 커플러 체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커플러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커플러 체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아래에서와 같이, 실시 가능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본체에 연결관의 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10)는 본체(11)와, 환자의 사타구니에 채워지는 다이아퍼(12)와, 본체(11)와 다이아퍼(12)를 연결하는 연결관(13)을 포함한다. 본체(11)는 바퀴(14)를 구비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본체(11)의 외면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15)가 설치된다.
본체(11)에는 오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물 탱크(16)와, 오물 탱크(16)로 오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17)와, 세정수 공급을 위한 세정수 공급장치(18)와, 공기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장치(19)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20)가 설치된다. 흡입력 발생장치(17)는 오물 탱크(16)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진공 탱크(21)와, 진공 탱크(21)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진공 펌프(22)를 포함한다. 진공 탱크(21)와 진공 펌프(22)의 사이에는 악취 제거를 위한 필터(23)와 밸브(24)가 설치된다.
세정수 공급장치(18)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 탱크(25)와, 세정수 탱크(25)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 탱크(26)와, 온수 탱크(26)에 저장된 세정수를 압송하기 위한 세정수 펌프(27)와, 세정수 펌프(27)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된 밸브(28)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장치(19)는 진공 펌프(22)와, 진공 펌프(22)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29)(30)(31)를 포함한다. 진공 펌프(22)는 진공 탱크(21)에 진공압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이아퍼(12)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0)는 배터리 또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적절한 전압으로 변압시키는 변압기 등 자동 배변 처리장치(10)에 구비된 전장품에 적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이아퍼(12)는 환자의 사타구니에 채워져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는 부분으로, 연결관(13)을 통해 본체(11)와 연결된다. 다이아퍼(12)에는 대소변이 수용되는 오물 수용부와, 비데노즐과, 세정노즐과, 대변분쇄노즐과, 건조노즐과, 대변감지센서와, 소변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러한 다이아퍼(12)는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이아퍼(12)는 연결관(13)을 통해 본체(11)와 연결됨으로써, 오물 수용부의 대소변이 본체(11)의 오물 탱크(16)로 수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아퍼(12)에 구비된 비데노즐과, 세정노즐과, 대변분쇄노즐은 연결관(13)을 통해 본체(11)에 설치된 세정수 공급장치(18)의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건조노즐은 연결관(13)을 통해 본체(11)의 공기 공급장치(19)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다이아퍼(12)에 설치된 각종 노즐이나 센서 등의 전장품은 연결관(13)을 통해 본체(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연결관(13)은 다이아퍼(12)의 오물 수용부와 연결되는 오물 배출관(35)과, 다이아퍼(12)의 비데노즐, 세정노즐 및 대변분쇄노즐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36)(37)(38)과, 다이아퍼(12)의 건조노즐에 연결되는 공기 안내관(39)(40)과,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41)과, 이들을 감싸는 가요성 호스(42)를 포함한다. 연결관(13)의 한쪽 끝단은 다이아퍼(12)에 결합되고, 연결관(13)의 다른 쪽 끝단에는 연결관(13)을 본체(11)에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45)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플러(45)는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46)을 구비하고, 수용공간(46)에 오물 배출관(35)의 끝단,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36)(37)(38) 각각의 끝단, 공기 안내관(39)(40)의 끝단, 전선(41)의 끝단에 구비된 커넥터(47)가 고정된다. 커넥터(47)는 수용공간(46)의 한쪽에 배치된 커넥터 펜스부(48) 안쪽에 배치된다. 커넥터 펜스부(48)는 커넥터(47)의 전방으로 개방되며, 커넥터 펜스부(48)의 개방된 전방에는 개폐부재(49)가 설치된다.
개폐부재(49)의 중간에는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커버(50)가 구비되고, 커버(50)는 후술할 본체(11)의 후크 결합부(77)의 진입에 의해 열릴 수 있다. 이렇게 전기 공급을 위한 커넥터(47)가 커넥터 펜스부(48) 내에 수용되고 커넥터 펜스부(48)는 개폐부재(49)에 의해 덮임으로써, 세정수 안내관(36)(37)(38)의 끝단에서 세정수가 커넥터(47)의 수용공간(46)으로 누출되더라도 세정수가 커넥터(47)에 접촉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개폐부재(49)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크 결합부(77)의 작용에 의해 커넥터 펜스부(48)의 안쪽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커넥터(47)의 외측에는 후크 수용홈(52)과 이를 개폐하는 덮개(53)를 갖는 후크 설치부(51)가 구비된다. 후크 수용홈(52)에는 후크(54)와, 한 쌍의 고정 볼(62)이 설치된다. 후크(54)는 결합축(55)을 사이에 두고 래치부(56)와 버튼부(57)가 양쪽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후크(54)의 결합축(55)은 후크 수용홈(52) 내에 마련된 축 결합홈(5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후크(54)는 결합축(55)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후크(54)가 결합축(5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래치부(56)와 버튼부(57)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래치부(56)는 커플러(45) 안쪽의 커넥터 펜스부(48) 안쪽 공간과 연결되도록 커넥터(47)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관통구멍(59)을 통해 커플러(45)의 중앙쪽으로 진입할 수 있다. 덮개(53)에는 버튼부(57)가 삽입되는 버튼 삽입구멍(60)이 마련되며, 덮개(53)가 후크 수용홈(52)을 덮을 때 버튼부(57)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버튼 삽입구멍(6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후크(54)는 후크 수용홈(52)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61)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다. 스프링(61)은 버튼부(57)에 대해 커플러(45)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래치부(56)를 관통구멍(59)을 통해 커플러(45)의 중앙 쪽으로 가압한다.
한 쌍의 고정 볼(62)은 후크 수용홈(52) 내에 마련된 한 쌍의 볼 수용홈(63)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볼 수용홈(63)의 끝단은 커넥터 펜스부(48)의 안쪽 공간에 연결되며, 볼 수용홈(63)에 수용된 고정 볼(62)은 그 일부분이 볼 수용홈(63)의 끝단을 통해 커넥터 펜스부(48)의 안쪽 공간으로 돌출된다. 볼 수용홈(63)에는 고정 볼(62)에 대해 커플러(45)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4)이 설치된다.
커플러(45)의 외면에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65)이 구비된다. 고정 브라켓(65)은 후크(54)와 함께 커플러(45)를 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브라켓(65)에는 고정부재(67)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66)이 마련된다.
이러한 커플러(45)는 본체(11)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는 커플러 체결부(70)에 결합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플러 체결부(70)에는 오물 탱크(16)와 연결된 오물 수거관(71)의 끝단과, 세정수 공급장치(18)와 연결된 복수의 세정수 공급관(72)(73)(74)의 끝단과, 공기 공급장치(19)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75)(76)의 끝단과, 후크(54)의 결합을 위한 후크 결합부(77)가 돌출 구비된다. 또한 커플러 체결부(70)에는 오물 수거관(71)의 끝단과, 세정수 공급관(72)(73)(74)의 끝단과, 공기 공급관(75)(76)의 끝단을 둘러싸는 펜스부(78)가 돌출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20)와 연결된 소켓(79)은 후크 결합부(77) 안쪽에 배치된다.
후크 결합부(77)의 일면에는 후크(54)의 래치부(56)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80)과, 커플러 체결부(70)의 중앙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개방된 한 쌍의 볼 삽입홈(81)이 마련된다. 커플러(45)가 커플러 체결부(70)에 결합될 때, 후크(54)의 래치부(56)가 후크 결합부(77)의 고정홈(80)에 삽입되고, 한 쌍의 고정 볼(62)이 후크 결합부(77)의 볼 삽입홈(81)에 삽입된다.
또한 커플러 체결부(70)에는 커플러(45)의 고정 브라켓(65)에 대응하는 한 쌍의 브라켓 결합홈(82)이 마련된다. 브라켓 결합홈(82)에는 고정부재(67)가 삽입되는 고정구멍(83)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커플러(45)를 이용함으로써 다이아퍼(12)에 연결된 연결관(13)을 손쉽게 본체(11)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플러(45)의 고정 브라켓(65)이 본체(11)의 브라켓 결합홈(82)에 맞게 위치하도록 커플러(45)를 커플러 체결부(70)에 대고 밀면, 본체(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후크 결합부(77)가 커플러(45)의 커넥터 펜스부(48)에 결합된 개폐부재(49)의 커버(50)를 밀면서 커넥터 펜스부(48)의 안쪽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후크(54)의 래치부(56)가 후크 결합부(77)의 고정홈(80)에 삽입되고, 커넥터 펜스부(48) 내부 쪽으로 돌출된 고정 볼(62)이 후크 결합부(77)의 볼 삽입홈(81)에 삽입됨으로써, 커플러(45)가 커플러 체결부(70)를 감싸면서 커플러 체결부(70)에 원터치로 결합된다.
이때 커플러(45)에 구비된 오물 배출관(35),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36)(37)(38) 및 복수의 공기 안내관(39)(40)이 커플러 체결부(70)에 배치된 오물 수거관(71), 복수의 세정수 공급관(72)(73)(74) 및 복수의 공기 공급관(75)(76)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커플러(45)의 커넥터(47)는 후크 결합부(77)의 소켓(79)에 접속된다.
이렇게 커플러(45)가 커플러 체결부(70)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결합홈(82)에 삽입된 고정 브라켓(65)의 관통구멍(66)에 고정부재(67)를 결합하면, 고정부재(67)의 끝단이 브라켓 결합홈(82) 안쪽의 고정구멍(83)에 삽입되면서, 커플러(45)가 커플러 체결부(70)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10)는 다이아퍼(12)와 결합된 연결관(13)의 끝단에 결합된 커플러(45)가 본체(11)에 구비된 커플러 체결부(70)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연결관(13)에 구비된 오물 배출관(35),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36)(37)(38), 공기 안내관(39)(40) 및 커넥터(47)를 원터치식으로 본체(11)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비숙련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10)는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47)가 커넥터 펜스부(48) 안쪽에 배치되고, 커넥터 펜스부(48)의 안쪽 공간은 개폐부재(49)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커넥터(47)의 오물 배출관(35) 연결부나, 세정수 안내관(36)(37)(38)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적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 배변 처리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세정수 공급관(72)(73)(74)과 이와 연결되는 세정수 안내관(36)(37)(38)의 개수, 공기 공급관(75)(76)과 이와 연결되는 공기 안내관(39)(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커플러(45)에 후크 설치부(51)가 두 개 설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후크 설치부(51)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 자동 배변 처리장치 11 : 본체
12 : 다이아퍼 13 : 연결관
16 : 오물 탱크 17 : 흡입력 발생장치
18 : 세정수 공급장치 19 : 공기 공급장치
20 : 전원 공급부 21 : 진공 탱크
22 : 진공 펌프 23 : 필터
24, 28, 29, 30, 31 : 밸브 25 : 세정수 탱크
26 : 온수 탱크 27 : 세정수 펌프
35 : 오물 배출관 36, 37, 38 : 세정수 안내관
39, 40 : 공기 안내관 41 : 전선
45 : 커플러 47 : 커넥터
48 : 커넥터 펜스부 49 : 개폐부재
50 : 커버 51 : 후크 설치부
52 : 후크 수용홈 53 : 덮개
54 : 후크 55 : 결합축
56 : 래치부 57 : 버튼부
61, 64 : 스프링 62 : 고정 볼
63 : 볼 수용홈 65 : 고정 브라켓
70 : 커플러 체결부 71 : 오물 수거관
72, 73, 74 : 세정수 공급관 75, 76 : 공기 공급관
77 : 후크 결합부 78 : 펜스부
79 : 소켓 80 : 고정홈
81 : 볼 삽입홈 82 : 브라켓 결합홈

Claims (7)

  1. 오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물 탱크와, 상기 오물 탱크로 오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와, 세정수 공급을 위한 세정수 공급장치와, 공기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장치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가 설치된 본체;
    환자의 사타구니에 채워지고 대소변이 수용되는 오물 수용부, 비데노즐, 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 및 건조노즐을 구비하는 다이아퍼;
    상기 다이아퍼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오물 수용부와 연결되는 오물 배출관, 상기 비데노즐과 상기 세정노즐 및 상기 대변분쇄노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 상기 건조노즐에 연결되는 공기 안내관 및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을 포함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상기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오물 배출관의 끝단, 상기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 각각의 끝단, 상기 공기 안내관의 끝단 및 상기 전선의 끝단에 구비된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플러;
    중앙의 결합축을 사이에 두고 래치부와 버튼부가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의 외측에 결합되는 후크;
    상기 후크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부를 상기 커플러의 중앙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오물 탱크와 연결된 오물 수거관의 끝단, 상기 세정수 공급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세정수 공급관의 끝단, 상기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의 끝단,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소켓 및 고정홈이 마련된 후크 결합부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는 커플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오물 배출관이 상기 오물 수거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세정수 안내관이 상기 복수의 세정수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안내관이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에 연결되도록 상기 커플러 체결부를 감싸면서 상기 커플러에 결합되되, 상기 후크의 래치부가 상기 후크 결합부의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플러 체결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부의 일면에는 볼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커플러에는 볼 수용홈과, 상기 커플러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볼 수용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과, 상기 볼에 대해 상기 커플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커플러가 상기 커플러 체결부에 결합될 때 상기 커플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볼의 일부분이 상기 볼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상기 후크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러의 안쪽에는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감싸는 커넥터 펜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펜스부의 개방된 전방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플러가 상기 커플러 체결부에 결합될 때 상기 후크 결합부가 상기 커버를 밀면서 상기 커넥터 펜스부의 안쪽으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소켓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후크 결합부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외면에는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는 브라켓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 체결부의 결합 시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 결합홈 안쪽에 배치된 고정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면에는 후크 수용홈과 이를 개폐하는 덮개를 갖는 후크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수용홈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의 래치부는 상기 커플러를 관통하여 상기 후크 수용홈과 상기 커플러의 안쪽 공간을 연결하는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커플러의 안쪽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버튼부는 상기 덮개에 형성된 버튼 삽입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0130000881A 2013-01-04 2013-01-04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417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81A KR101417576B1 (ko) 2013-01-04 2013-01-04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81A KR101417576B1 (ko) 2013-01-04 2013-01-04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576B1 true KR101417576B1 (ko) 2014-07-10

Family

ID=5174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881A KR101417576B1 (ko) 2013-01-04 2013-01-04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9856A (zh) * 2019-05-08 2019-08-27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护理机及其排污管路的浸泡消毒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868A (ja) * 1995-05-30 1996-12-10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KR200144974Y1 (ko) 1996-07-27 1999-06-15 최진호 청소기의 흡입호스 연결장치
KR100612899B1 (ko) 2004-11-08 2006-08-14 주식회사 대륙금속 원터치 연결 방식의 관이음용 소켓 및 이를 일체로 구비한 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868A (ja) * 1995-05-30 1996-12-10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KR200144974Y1 (ko) 1996-07-27 1999-06-15 최진호 청소기의 흡입호스 연결장치
KR100612899B1 (ko) 2004-11-08 2006-08-14 주식회사 대륙금속 원터치 연결 방식의 관이음용 소켓 및 이를 일체로 구비한 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9856A (zh) * 2019-05-08 2019-08-27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护理机及其排污管路的浸泡消毒方法
WO2020224260A1 (zh) * 2019-05-08 2020-11-12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护理机及其排污管路的浸泡消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86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RU130843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очиститель фекалий без раздевания и одевания
TWI558390B (zh) Excreta disposal device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CN203619821U (zh) 卧床排便护理仪
KR100905529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및 자동배설물 처리방법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20140133308A (ko) 배설물 처리장치의 기저귀컵 자동 밀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576B1 (ko) 연결관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WO2005041829A1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200453814Y1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120001838U (ko) 환자용 소변 배출장치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20160097533A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
CN114010412A (zh) 一种集成大小便自动检测收集功能的轮椅
JP2002165821A (ja) 排泄物処理装置
JP7031865B2 (ja) 排泄物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7301013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20160097531A (ko) 전후이동가능한 연결배관을 구비한 자동배변 처리장치
KR10096323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KR101671610B1 (ko) 배변처리장치
KR100882811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
KR20110101681A (ko) 환자 오물 처리용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