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442B1 -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442B1
KR101417442B1 KR1020120137943A KR20120137943A KR101417442B1 KR 101417442 B1 KR101417442 B1 KR 101417442B1 KR 1020120137943 A KR1020120137943 A KR 1020120137943A KR 20120137943 A KR20120137943 A KR 20120137943A KR 101417442 B1 KR101417442 B1 KR 101417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th
route
path data
route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987A (ko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4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형 내비게이션에 경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요청되어 생성한 경로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가 큰 경우에 전송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경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로안내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수신하고,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이용하여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판단을 수행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의 분할이 필요한 경우,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분할경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A Server operating method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to divide the path data}
본 발명은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형 내비게이션에 경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요청되어 생성한 경로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가 큰 경우에 전송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경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로안내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은 GPS(위성항법장치) 장비 및 INS(관성항법장치) 장비를 구비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위치를 내비게이션에 저장된 지도와 함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차량이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지도상에 차량의 현재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사용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은 무선 데이터망을 사용하는 내비게이션으로써, 통신형 내비게이션이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로안내 서버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경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된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통신형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의 전송 한계로 인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 경로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통신비용, 통신시간 등의 통신 자원이 낭비되고, 통신시간의 지연으로 인해 사용자가 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경로를 이탈한 차량은 다시 출발지를 재설정하여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재탐색된 경로 데이터를 재수신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가 장거리 경로인 경우, 최초에 수신한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시간 경로를 이동한 시간동안 발생된 교통상황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빠르게 변화하는 교통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 사용되는 3차원 지도 데이터 등은 데이터의 용량이 크며, 이에 따른 부가데이터의 용량도 방대하여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여 전송하기에는 다소 통신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통신형 내비게이션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전송하여 요청한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로안내 서버에서 경로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 해당 경로 데이터를 통신형 내비게이션에 빠르게 전송할 수 있도록 생성된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로안내 서버에서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는 기준을 거리 또는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시속 80km 차량이 한 번의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균 80km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여 빠르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경로 데이터의 분할 기준을 20km 이상의 거리 또는 15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분할된 경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가 이용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에서 일시에 경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경로안내 서버에 통신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통신형 내비게이션에 제공되는 경로 데이터를 거리 또는 시간으로 판단하여 분할하여 전송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수신하고,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이용하여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판단을 수행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의 분할이 필요한 경우,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분할경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통신형 내비게이션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전송하여 요청한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로안내 서버에서 경로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 생성된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경로 데이터를 통신형 내비게이션에 전송함으로써, 빠른 통신속도를 보장할 수 있어 차량의 경로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로안내 서버에서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는 기준을 시속 80km 차량이 한 번의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거리 또는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분할된 경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균 80km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여 빠르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경로 데이터의 분할 기준을 20km 이상의 거리 또는 15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분할된 경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가 이용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에서 일시에 경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각각의 통신형 내비게이션에 제공되는 경로 데이터를 거리 또는 시간으로 판단하여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경로안내 서버에 통신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는 경로안내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안내 서버에서 생성되는 경로요약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거리에 따라 형상점 정보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거리에 따라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생성되는 분할경로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6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인 거리에 따라 부가 데이터를 분할하여 생성되는 분할부가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는 경로안내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통신형 내비게이션(이하 '단말기')에 경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는 내비게이션 정보 센터에 위치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단말기로부터의 경로안내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기로 생성된 경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경로안내 서버는 지도정보, 교통정보 및 부가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망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을 제어하여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달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로안내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수신하고, 해당 단말기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응하는 경로를 탐색한다(S110). 이때, 출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출발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차량이 위치하는 현재위치가 출발지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탐색되는 경로는 최단거리, 최단시간, 실시간교통정보 등의 조건에 따라 복수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후, 경로안내 서버는 탐색된 경로 데이터를 요약한 경로요약 데이터를 생성한다(S120). 경로요약 데이터는 전체 경로 데이터에 대한 요약을 표출하는 내용으로써, 생성된 경로에 대한 총거리, 총운행시간, 요금정보, 경로상의 회전정보, 각도, 구간거리, 각각 구간의 평균속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요약안내가 필요한 시설물 등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경도, 위도 정보, 명칭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경로 데이터가 분할되어 분할경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전체경로의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생성된 경로요약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경로안내 서버는 생성된 경로요약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판단을 수행한다(S130). 분할판단은 탐색된 전체 경로의 길이가 특정 이동거리값 또는 특정 이동시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될 경로 데이터의 크기가 이동통신망의 과부하 또는 장시간의 전송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여, 경로 데이터를 전체경로의 거리 또는 전체경로의 운행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분할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평균 시속 80km로 주행하는 차량은 20km의 거리를 15분 정도에 주행하며, 40km의 거리를 30분 정도에 주행하기 때문에 현재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제한속도 또는 평균주행속도 또는 현재차량의 속도에 따라 전체경로를 특정 이동거리값 또는 특정 이동시간값에 따라 분할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속 80km로 주행하는 차량의 전체경로가 분할대상인 20km 또는 40km를 초과하는 경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차량의 전체경로를 20km의 이동거리값 또는 15분의 이동시간값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차량의 전체경로를 40km의 이동거리값 또는 30분의 이동시간값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120km의 전체경로를 20km의 이동거리값 또는 15분의 이동시간값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분할되는 분할경로 데이터의 개수가 약 6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말기는 경로안내 서버로부터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6번의 분할경로 데이터를 수신해야 한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120km의 전체경로를 40km의 이동거리값 또는 30분의 이동시간값으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분할되는 분할경로 데이터의 개수가 약 3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말기는 경로안내 서버로부터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3번의 분할경로 데이터를 수신해야 한다. 그러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분할되는 분할경로 데이터를 적게 수신하기 위해서 분할기준인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단말기로 전송되는 분할경로 데이터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을 이용하여 분할기준을 산정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을 이용하여 분할된 분할경로 데이터의 전송에 따라 단말기는 해당 구간에서의 경로안내를 수행하고, 해당 분할경로안내가 종료되기 이전 다음 구간에 대응하는 분할경로 데이터를 다시 수신한다.
이후, 경로안내 서버는 S130 단계에서 전체경로의 분할판단에 따라 전체경로를 분할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체경로를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의 분할기준에 따라 전체경로를 분할한 분할경로 데이터를 생성한다(S160).
분할경로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 및 형상점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로 데이터는 단말기에 전송되어 경로안내를 수행하기 위한 회전안내 또는 시설물 안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형상점 정보 데이터는 도로의 경로선을 구성하는 좌표이며, 분할경로 데이터 또는 분할부가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매칭하기 위한 매칭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분할경로 데이터가 생성된 이후, 경로안내 서버는 분할부가 데이터를 생성한다(S170).
분할부가 데이터는 경로안내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성되는 고속모드, 모식도, 교통링크속도정보, 차선정보, 교통 CCTV, 날씨 또는 유가정보 등의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할부가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와 더불어 형상점을 기준으로 매칭된다.
이후, 경로안내 서버는 생성된 분할경로 데이터와 분할부가 데이터를 취합한 후, 경로를 요청한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고(S180), 분할기준이 되었던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에 대응하여 잔여경로가 남아 있는지 판단한다(S190).
만약 잔여경로가 남은 경우에는 S110 단계부터 재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여경로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의 경로 데이터 생성을 중지한다. 이때, 잔여경로가 남은 경우에는 분할경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로안내를 수행하던 단말기가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에 따라 일정거리 또는 일정시간 주행한 이후에 경로안내 서버에 해당 차량의 위치에 따른 출발지와 목적지를 전송함에 따라, 경로안내 서버는 해당 단말기에 대응하는 잔여경로에 대한 경로탐색을 수행하는 S110 단계부터 재수행한다.
그러나, 경로안내 서버는 S130 단계에서 전체경로가 분할판단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전체 경로에 대한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고(S140), 생성된 전체 경로에 대응하는 전체 부가 데이터를 생성한다(S150). 이후, 생성된 전체 경로 데이터와 전체 부가 데이터를 취합하여 경로 데이터를 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한다(S190).
한편, 단말기는 잔여경로 요청을 위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전송하고 있으나, 목적지는 최초 경로안내 요청을 위해 전송되어 경로안내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출발지만을 경로안내 서버로 전송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단말기의 잔여경로에 따른 잔여경로의 경로 데이터의 생성은 단말기측의 경로 데이터의 요청에 의해 경로안내 서버가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로안내 서버가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에 따라 경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안내 서버에서 생성되는 경로요약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요약 데이터는 전체 경로에 대한 요약을 표출하는 내용으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서 회전구간은 7회 발생되며, 경로요약 데이터는 회전구간 등을 포함하여 총거리, 총소요시간, 요금, 회전구간 등의 경도 및 위도, 회전방향, 회전각도, 각 구간의 거리 및 각 구간의 평균속도 등의 정보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거리에 따라 형상점 정보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점 정보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로써, 실제 도로의 경로선을 구성하는 좌표이며, 분할경로 데이터 또는 분할부가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호 매칭하기 위한 매칭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형상점 정보 데이터는 분할기준에 따라 분할된 경로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만으로 생성되며,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20km 또는 15분, 40km 또는 30분 기준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이동거리값인 40km를 분할기준으로 하여 생성된 형상점 정보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거리에 따라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생성되는 분할경로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거리값인 40km를 분할기준으로 하여 생성된 분할경로 데이터는 주요구간의 회전정보와 형상점 정보 데이터의 식별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상점 정보 데이터를 매칭하여 형상점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S410 단계에서는 회전정보와 형상점 정보 데이터의 식별번호인 S303이 매칭되어 있으며, S420 단계에서는 회전정보와 형상점 정보 데이터의 식별번호인 S305가 매칭되어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인 거리에 따라 부가 데이터를 분할하여 생성되는 분할부가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거리값인 40km를 분할기준으로 하여 생성된 분할부가 데이터는 경로안내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성되는 고속모드, 모식도, 교통링크속도정보, 차선정보, 교통 CCTV, 날씨 또는 유가정보 등의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할부가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와 더불어 형상점을 기준으로 매칭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수신하고,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를 이용하여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할판단을 수행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의 분할이 필요한 경우, 이동거리값 또는 이동시간값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경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분할경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분할경로 데이터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분할경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부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분할부가 데이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성되는 고속모드, 모식도, 교통링크속도정보, 차선정보, CCTV, 날씨 또는 유가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후 및 상기 제2단계 이전에,
    생성된 상기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요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할경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남은 이후의 경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계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요약 데이터는 상기 경로 데이터에서 경로의 총거리, 총시간, 회전구간의 경도, 위도, 회전정보, 회전각도, 구간거리 또는 평균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값은 20k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간값은 15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경로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 및 형상점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데이터는 회전안내 또는 시설물 안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경로 데이터는 형상점을 기준으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점 정보 데이터는 도로의 경로선을 구성하는 좌표이며, 상기 경로 데이터 또는 분할부가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매칭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11. 삭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를 재수행하는 것은 상기 이동거리값을 이용하여 측정된 차량의 이동거리 또는 상기 이동거리값의 운행시간을 이용하여 측정된 차량의 이동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재수행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단에 따라 상기 경로 데이터의 분할이 필요없는 경우, 상기 경로 데이터 또는 전체경로에 대한 부가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수행 시점의 판단은 상기 단말기에서 수행하되,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위치 정보를 출발지로 하여 상기 경로안내 서버로 전송하여 경로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에 따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수행 시점의 판단은 상기 경로안내 서버에서 수행하되, 상기 단말기로부터 현재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현재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경로안내 서버가 능동적으로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KR1020120137943A 2012-11-30 2012-11-30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KR10141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943A KR101417442B1 (ko) 2012-11-30 2012-11-30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943A KR101417442B1 (ko) 2012-11-30 2012-11-30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87A KR20140069987A (ko) 2014-06-10
KR101417442B1 true KR101417442B1 (ko) 2014-07-08

Family

ID=5112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943A KR101417442B1 (ko) 2012-11-30 2012-11-30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4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486A (ja) * 1999-11-18 2001-05-25 Equos Research Co Ltd ナビゲーション方法,その装置,そのシステム
JP2006003272A (ja) 2004-06-18 2006-01-05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073455B1 (ko) * 2010-04-22 2011-10-17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안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486A (ja) * 1999-11-18 2001-05-25 Equos Research Co Ltd ナビゲーション方法,その装置,そのシステム
JP2006003272A (ja) 2004-06-18 2006-01-05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073455B1 (ko) * 2010-04-22 2011-10-17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의 경로안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87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72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route planning for a vehicle
US111315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telemetry
US11663532B2 (en) Shared vehicle management method and shared vehicle management device
US10620635B2 (en) Moving object movement system and movement path selection method
US20200042019A1 (en) Management of multiple autonomous vehicles
JP3475142B2 (ja) 地図データ送信装置、地図データ送信方法、及び、地図データ送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7071188A1 (zh) 获取地图信息的方法、导航方法及设备
JP5666669B2 (ja) 交通量の変化を感知して経路を探索する通信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04680838B (zh) 用于汽车的安全辅助方法和系统
CN113631885A (zh) 导航方法及装置
US9752885B2 (en) Time-efficient traffic routing system
US20190180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elays in road traffic
WO20201393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telemetry
CN103090879A (zh) 一种用于导航装置的路线计算的方法
WO20201393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route planning for a vehicle
JP6969311B2 (ja) 情報処理装置
CN106468556A (zh) 一种行车信息共享、展示方法及装置
KR100978419B1 (ko)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 및그 교통정보 제공방법과, 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제공받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 교통정보를 제공받는방법
JP200930022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案内方法
KR101417442B1 (ko) 경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공하기 위한 경로안내 서버의 운영방법
KR20140098970A (ko) 도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369900B2 (ja) マッチング用ネットワークデータおよびマッチング用ネットワークデータの作成方法、ならびに、マッチング用ネットワークデータを有す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JP6492760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841689A (zh) 提供长途交通工具信息的方法及装置
JP2016211980A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