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332B1 -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332B1
KR101417332B1 KR1020120096079A KR20120096079A KR101417332B1 KR 101417332 B1 KR101417332 B1 KR 101417332B1 KR 1020120096079 A KR1020120096079 A KR 1020120096079A KR 20120096079 A KR20120096079 A KR 20120096079A KR 101417332 B1 KR101417332 B1 KR 10141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lope value
information
external inpu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850A (ko
Inventor
기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96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3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AND METHOD FOR TH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입력 장치의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단말기에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유선으로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 입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 중 초음파 펜은 초음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 단말기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는 외부 입력 장치와 초음파 펜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좌표 데이터로 환산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초음파 펜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초음파 대역을 송신하고, 상기 두 개의 위치 데이터를 통해 지면 또는 수신 마이크로부터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으나, 얻어진 기울기 데이터는 수신 단말기에 대한 상대적인 기울기로 계산될 뿐, 사용자의 상태 등은 인지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펜의 입력 기울기 값을 인식하는 방법은 펜을 사용하는 방법과 무관하게 입력된 데이터가 수신 단말기 상태에 맞추어 변환되며, 사용자가 의도한 방향과 수신 단말기의 입력 기준 방향이 같은 경우에는 문제 없이 인식되나, 수신 단말기의 입력 기준 방향을 미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맞추어 놓지 않으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 중 사용자가 위치를 옮긴다면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이 전환되어야 하지만, 단말기의 화면 전환 모드(단말기의 출력 화면을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나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로 전환하는 모드를 나타냄)가 오프(Off) 되어 있는 경우라면 화면이 전환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펜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단말기가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하여 펜으로 데이터를 '이'를 입력하는 경우 단말기는 입력된 데이터를 '이'로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화면 전환 모드가 오프 되어 있고 사용자가 포트레이트 모드 사용 중에 단말기의 왼쪽 측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이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어야 함에도 전환이 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왼쪽 측면에서 '이'라고 입력하는 것을 단말기는 '이'가 아닌 '으'로 인식하게 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신이 의도한 방향으로 단말기가 자동으로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두 개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사용하거나, 한 번에 여러 명이 사용 가능한 테이블 형 단말기에 있어서, 각각 다른 입력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자동으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는 기준 기울기 값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입력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둘 이상의 파트에 대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포함된 기울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기울기 값을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을 상기 입력 기울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상기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상기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이 의도한 방향으로 단말기가 자동으로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사용하거나, 한 번에 여러 명이 사용 가능한 테이블 형 단말기에 있어서, 각각 다른 입력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자동으로 인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는 기준 기울기 값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입력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의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화면 표시 장치를 놓아 둔 형태를 도시한 두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화면 표시 방향을 변경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기 위한 샘플 정보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사용자가 샘플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기준 기울기 값이 설정 완료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둘 이상의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입력부(110), 검출부(120), 판단부(130), 표시부(140), 및 설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 받으며, 검출부(120)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고, 판단부(130)는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현재 표시(Display)되는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유지한 채 표시할 수 있다.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140)는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90도 회전하여 표시하거나, 단말기에 표시되는 전체 화면은 그대로 유지한채 화면 내의 글자만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등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화면 표시 장치에 다양한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의 텍스트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입력하는 외부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펜슬(pencil) 형태의 외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 장치는 외부 입력 장치의 둘 이상의 파트(예를 들어, 초음파 펜의 양쪽 끝의 2개의 파트 등)에 대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초음파 통신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위치 정보를 화면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검출부(120)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둘 이상의 파트에 대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가 내장된 막대형 입력 장치(예를 들어, 정전식 스타일러스 펜 또는 감압식 스타일러스 펜 등)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의 기울기를 자체적으로 인식하여 화면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출부(120)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포함된 기울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기울기 값을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을 상기 입력 기울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설정부(150)는 상기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며,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상기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가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복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함을 가정하고,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분석하여 화면 표시 형태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의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입력 장치(210)는 사용자가 외부 입력 장치(210)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외부 입력 장치(210)에 내장된 두 개의 위치 송출부를 통하여 두 개의 위치 정보를 화면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위치 송출부는 외부 입력 장치(210)의 양 쪽 끝 파트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송출부는 2개가 외부 입력 장치(210)에 내장된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위치 송출부의 개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2개의 위치 송출부를 갖는 외부 입력 장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면 표시 장치(220)는 수신 가능 상태를 판단하고, 외부 입력 장치(210)로부터 상기 두 개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두 개의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 장치(210)의 입력 기울기 값을 분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화면 표시 장치를 놓아 둔 형태를 도시한 두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화면 표시 장치(320)를 세로 방향으로 놓아 두고 외부 입력 장치(310)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330)를 입력 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화면 표시 장치(420)를 가로 방향으로 놓아 두고 외부 입력 장치(410)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430)를 입력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화면 표시 방향을 변경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 표시 장치(520)는 외부 입력 장치(51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위치 정보로부터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과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기울기 값과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장치의 입력 정보(530)를 입력하는 방향에 대응되도록 화면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 장치(520)는 상기 입력 기울기 값과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 입력 장치의 입력 정보(530)를 입력하는 방향에 대응되도록 입력 정보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외부 입력 장치(520)는 변경된 화면 표시 방향에 대응되도록 수신된 입력 정보를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를 분석 기준(예를 들어, 숫자, 글자 등의 미리 설정해 둔 기능 실행 명령) 등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된 입력 정보를 표시하거나 해당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표시 장치는 화면에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상기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기 위한 샘플 정보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사용자가 샘플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샘플 정보(610)를 화면에 표시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샘플 정보를 보고 그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710)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내장된 복수의 위치 송출부를 통하여 복수의 위치 정보를 화면 표시 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며, 화면 표시 장치는 수신 가능 상태를 판단하고, 기준 기울기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소에 외부 입력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화면 표시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의 기울기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화면 표시 장치는 기저정된 기준 기울기 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통상적인 입력 기울기 값을 확인하기 위해,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기준 기울기 값이 설정 완료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샘플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입력하면, 수신된 입력 정보를 분석하여 샘플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샘플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상기 기준 기울기 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화면 표시 장치는 수신된 입력 정보와 샘플 정보의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 입력 정보와 샘플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정보가 샘플 정보와 일치하는 정도가 80% 이상인 경우, 화면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샘플 정보에 부합하도록 바르게 입력 정보를 입력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기설정된 기울기 값에 매칭되는 문자로 인식하는 화면 표시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는 입력부(910), 검출부(920), 판단부(930), 인식부(940), 표시부(950), 및 설정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910)는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검출부(920)는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930)는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 인식부(940)는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인식하며, 표시부(950)는 상기 인식된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설정부(960)는 상기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며, 표시부(950)를 통하여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상기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둘 이상의 입력을 동시에 인식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 표시 장치(1030)는 두 개의 외부 입력 장치(1010, 1020)를 통하여 서로 다른 입력 정보(1040, 1050)를 수신하고,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 장치(1030)는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면 표시 장치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 받고(S1110),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할 수 있다(S1120).
화면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30),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거나(S1140), 상기 기울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값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유지시켜 표시할 수 있다(S1150).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 표시 장치는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고(S1210),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할 수 있다(S1220).
화면 표시 장치는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 모드를 판단하고(S1230),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인식하며(S1240), 상기 인식된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1250).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입력부
120: 검출부
130: 판단부
140: 표시부
150: 설정부

Claims (14)

  1.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상기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하는 화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둘 이상의 파트에 대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화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포함된 기울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기울기 값을 수신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을 상기 입력 기울기 값으로 사용하는 화면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
  5. 삭제
  6. 삭제
  7.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상기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장치.
  8.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단계;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에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화면의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둘 이상의 파트에 대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포함된 기울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기울기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기울기 값을 상기 입력 기울기 값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표시 방식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단계;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에 표시되는 샘플 정보와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샘플 정보와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시점의 입력 기울기 값을 기준 기울기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입력 기울기 값이 상기 기준 기울기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각각의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1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20096079A 2012-08-31 2012-08-31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41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079A KR101417332B1 (ko) 2012-08-31 2012-08-31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079A KR101417332B1 (ko) 2012-08-31 2012-08-31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850A KR20140028850A (ko) 2014-03-10
KR101417332B1 true KR101417332B1 (ko) 2014-07-09

Family

ID=5064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079A KR101417332B1 (ko) 2012-08-31 2012-08-31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3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090A (ja) * 1992-03-05 1993-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ン入力装置
KR100686718B1 (ko) * 2003-08-01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KR20100102994A (ko) * 2009-03-12 2010-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090A (ja) * 1992-03-05 1993-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ン入力装置
KR100686718B1 (ko) * 2003-08-01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KR20100102994A (ko) * 2009-03-12 2010-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850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0234B1 (en) Touch keyboard calibration
KR10197868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109649B1 (ko) 전자 펜 좌표 보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US2016013213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ursor Based on Finger Pressure and Direction
KR102090956B1 (ko)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956030B2 (en)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1474856B1 (ko) 음성인식을 통해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176503A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EP3010001B1 (en)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630397A (zh) 一种弹出框的打开方法及终端设备
JP2011048447A5 (ko)
KR20130136276A (ko) 단말기의 펜 입력 보정장치 및 방법
US20150355723A1 (en) Finger position sensing and display
KR101417332B1 (ko) 화면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JP201312538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2403141B1 (ko) 프리뷰 ui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TW201314557A (zh) 電子裝置及添加操作界面的方法
KR102110387B1 (ko)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80673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06775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19194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222134B1 (ko) 가상 현실 내에서 시점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시점 제어 방법
KR2014004466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33056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40112810A (ko) 터치스크린에서 드로잉 포인트에 대한 별도의 객체 디스플레이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