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066B1 -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066B1
KR101415066B1 KR1020100133684A KR20100133684A KR101415066B1 KR 101415066 B1 KR101415066 B1 KR 101415066B1 KR 1020100133684 A KR1020100133684 A KR 1020100133684A KR 20100133684 A KR20100133684 A KR 20100133684A KR 101415066 B1 KR101415066 B1 KR 10141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switchgear
opening
connection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940A (ko
Inventor
우두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0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0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개폐기는, 측방에 관통부가 형성된 복수의 개폐기 본체; 및 서로 인접배치된 두 개폐기 본체의 관통부를 통해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을 각각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개폐기 본체의 모선 간 연결을 통해 기기 설치 대수를 줄일 수 있어 사용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LOAD BREAK SWITCHGEAR AND BUS CONN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기 본체의 모선 간 연결을 통해 기기 설치 대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대략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으로 승압된 후 1차 변전소로 송전되고, 1차 변전소로 송전된 전력은 다시 가공 배전선 및 지중 배전선 등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된다.
이때,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구분 및 분기를 목적으로 다회로 부하개폐기가 사용되며, 이러한 다회로 부하개폐기는 절연 특성이 우수한 육불화황(SF6) 가스를 절연물질로 이용한 소호부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육불화황 가스는 온실효과에 기인하여 그 사용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육불화황 가스의 환경 규제에 따른 사용 제한으로 SF6 가스 대체물질 개발 및 친환경 대체 절연 기법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절연 기법 중의 한가지로 소호부로 진공인터럽터(VI)를 이용하고 절연 물질로 에폭시나 실리콘 등을 사용한 고체 절연 부하개폐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부하개폐기는 전력 사용량의 증가로 다회로(예를 들면 5회로, 6회로 등)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4회로 부하개폐기를 2대 또는 3대를 연이어 설치(열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부하개폐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하개폐기의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개폐기는, 다회로(예를 들면 4개의 회로)를 각각 개폐할 수 있는 제1 개폐기 본체(10a) 및 제2 개폐기 본체(10b)를 구비할 수 있다.
각 개폐기 본체(10a,10b)는, 외함(15)과, 상기 외함(15)의 내부에 수납되어 복수의 회로(예를 들면 4회로)를 개폐하는 제1 내지 제4회로개폐부(20a~20d)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회로개폐부(20a~20d)는, 전원의 각 상(R,S,T상)별로 배치되는 복수(3개)의 회로개폐유닛(25)과, 상기 회로개폐유닛(2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구(4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회로개폐유닛(25)은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될 수 있게 제1접속부(27) 및 제2접속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개폐기 본체(10a,10b)의 제1 내지 제4회로개폐부(20a~20d)의 각 회로개폐유닛(25)의 제1접속부(27)에는 동일한 상(예를 들면 R,S,T상)을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연결유닛(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회로개폐유닛(25)의 제2접속부(31)에는 모선 또는 부하에 연결되는 케이블(33)이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33)은 지중의 관로(45)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개폐기 본체(10a,10b)를 연이어 설치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기 본체(10a)의 제4회로개폐부(20d) 및 제2 개폐기 본체(10b)의 제1회로개폐부(20a)는 서로 연결케이블(35)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기 본체(10a)의 제1회로개폐부(20a)는 수전부(INCOMING)로 이용될 수 있으며, 제2 개폐기 본체(10b)의 제4회로개폐부(20d)는 송전부(OUTGOING)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가는 제1 개폐기 본체(10a)의 제2회로개폐부(20b) 및 제3회로개폐부(20c) 2개(회로)와, 제2 개폐기 본체(10b)의 제2회로개폐부(20b) 및 제3회로개폐부(20c) 2개(회로), 총 4개(회로)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하개폐기에 있어서는, 설치 공간의 부족(제약)으로 개폐기 본체(10a,10b)를 연이어 설치하고, 제1 개폐기 본체(10a)의 제4회로개폐부(20d)와 제2 개폐기 본체(10b)의 제1회로개폐부(20a)를 연결케이블(35)에 의해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연결케이블(35)의 곡률 반경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상기 연결케이블(35)의 자리 이탈이 발생될 수 있고 과도한 응력 집중이 발생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회로 개폐기 본체(10a,10b)를 2대를 연이어 설치할 경우, 총 8개의 회로개폐부 중 수용가는 4개의 회로개폐부만을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개폐기 본체 3대를 연이어 설치할 경우에도 총12개의 회로개폐부 중 2개는 수전부 및 송전부로 각각 이용되고, 4개의 회로개폐부는 다회로 개폐기 본체 간을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데 사용되므로, 수용가는 총 6개의 회로개폐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효율(50%)이 미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폐기 본체의 모선 간 연결을 통해 기기 설치 대수를 줄일 수 있는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측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복수의 개폐기 본체; 및 서로 인접배치된 두 개폐기 본체의 관통부를 통해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을 각각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부하개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모선연결유닛은, 플러그가 수용되는 플러그수용부를 각각 구비하여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접속부; 상기 한 쌍의 접속부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선연결유닛은, 일 측은 상기 개폐기 본체의 상연결유닛에 접속되고 타 측은 상기 플러그수용부에 접속되는 양측 플러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된 두 개폐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선연결유닛 영역을 차단하는 연결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복수의 개폐기 본체를 열반하는 단계; 서로 인접된 두 개폐기 본체의 측부를 개방하는 단계; 및 서로 인접된 두 부하개폐기의 측부를 통해 상기 두 부하개폐기의 모선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하개폐기의 모선연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두 개폐기 본체 의 개방된 측부에 모선연결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모선연결유닛의 각 단부를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에 각각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을 연결하는 단계 후,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 연결 영역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배치된 두 개폐기 본체의 관통부를 통해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을 각각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지중으로 배치되는 연결케이블을 통해 개폐기 본체 간을 연결하던 종래와는 달리, 연결케이블이 접속되는 회로를 수용가가 사용할 수 있어 그만큼 개폐기 본체의 설치 대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개폐기 본체의 인접 설치 시 연결케이블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연결케이블의 곡률반경 부족에 기인한 연결케이블의 자리 이탈 및 연결케이블의 응력 집중 문제가 발생을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하개폐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부하개폐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모선연결유닛의 설치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부하개폐기의 회로도,
도 8은 도 5의 모선연결유닛영역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모선연결유닛의 결합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모선연결유닛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모선연결유닛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모선연결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는, 측부에 관통부(116)가 형성된 복수의 개폐기 본체(110a,110b); 및 서로 인접배치된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관통부(116)를 통해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모선을 각각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 본체(110a,110b)는 서로 연이어 설치되는 제1 개폐기 본체(110a) 및 제2 개폐기 본체(11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개폐기 본체(110a,110b)는 복수의 회로를 개폐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개폐기 본체(110a,110b)들은 각각 4회로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각 개폐기 본체(110a,110b)는, 외함(115)과, 복수의 회로를 개폐하는 제1 내지 제4회로개폐부(120a~120d)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외함(115)의 측부 하부영역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관통부(11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관통부(116)에는 해당 관통부(116)를 개폐할 수 있게 커버(11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회로개폐부(120a~120d)들은 전원의 각 상(R,S,T상)을 개폐하는 복수(3개)의 회로개폐유닛(125)과, 상기 회로개폐유닛(12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구(1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기구(140)와 각 회로개폐유닛(125) 사이에는 상기 조작기구(140)의 동력을 상기 회로개폐유닛(125)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14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폐기 본체(110a)의 제1회로개폐부(120a)는 수전부(INCOMING)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개폐기 본체(110b)의 제4회로개폐부(120d)는 송전부(OUTGOING)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회로개폐유닛(125)은, 내부에 주회로를 개폐하는 주회로개폐기(127), 접지회로를 개폐하는 접지회로개폐기(128)가 구비되는 바디(126)와, 상기 주회로개폐기(127)를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될 수 있게 상기 바디(126)에 각각 형성되는 제1접속부(131) 및 제2접속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회로개폐기(127) 및 접지회로개폐기(128)의 상측에는 상기 주회로개폐기(127) 및 접지회로개폐기(128)의 개폐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14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접속부(131)에는 각 개폐기 본체(110a,110b) 내의 제1 내지 제4 회로개폐부(120a~120d)의 동일 상을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연결유닛(133)이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각 제2접속부(135)에는 지중의 관로(139)를 따라 설치되는 케이블(138)이 접속될 수 있게 케이블연결부(137)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기 본체(110a)의 제4회로개폐부(120d)와 제2 개폐기 본체(110b)의 제1회로개폐부(120a)의 모선을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게 구성될 수 있다.
두 개폐기 본체(110a,110b)를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은 전원의 각 상(R,S,T상)에 대응되게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은 상기 상연결유닛(133)에 각각 접속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은, 플러그(170)가 수용되는 플러그수용부(162)를 각각 구비하여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러그접속부(160);와 상기 한 쌍의 플러그접속부(160)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5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접속부(160)는 동일 선상의 양 측에서 플러그(170)가 각각 접속될 수 있게 양 측으로 개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접속부(160)는 상기 연결부(155)의 양 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플러그접속부(160)의 내부에는 일 단은 상기 연결부(155)의 내부의 연결부도체(157)와 연결되고 타 단은 두 플러그수용부(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러그접속부도체(164)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도체(157) 및 플러그접속부도체(164)의 외부에는 절연이 가능하게 절연물질(예를 들면 에폭시 또는 실리콘 등)로 피복부(16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은 일 측은 상기 상연결유닛(133)에 접속되고 타 단은 상기 플러그접속부(160)의 플러그수용부(162)에 수용되는 양측 플러그(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연결유닛(133)과 상기 양측 플러그(170) 사이에는 연결도체(1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체(171)는 일 측은 상기 상연결유닛(133)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양측 플러그(17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양측 플러그(170)는 상기 상연결유닛(13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통전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은 두 플러그접속부(160)가 상기 제1 개폐기 본체(110a)의 제4회로개폐부(120d)와 상기 제2 개폐기 본체(110b)의 제1회로개폐부(120a)의 서로 동일한 상들에 각각 접속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회로개폐부(120a~120d)들은 상 배열이 동일하므로 상기 모선연결유닛(150)들은 실제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의 설치시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연결부(155)의 위치를 달리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회로개폐부(120a~120d)들의 상배열이 좌측에서 R,S,T일 경우, 각 모선연결유닛(150)의 접속부(160)들은 상하가 동일하므로 연결부(155)들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모선연결유닛(150)들 간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상을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150)은 연결부(155)가 전방 상측으로 배치되게 하여 결합하고, S상을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150)은 연결부(155)를 후방 상부에 배치되게 하여 결합하고, T상을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150)은 연결부(155)가 전방 또는 후방 하부에 배치되게 하여 결합하면 모선연결유닛(150)의 연결부(155)들 간 간섭 없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모선연결유닛(150)에는 연결도체(171)를 개재하여 단측플러그(173)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개폐기 본체(110a) 및 제2 개폐기 본체(110b)의 모선연결유닛(150) 주변에는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의 연결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게 연결커버(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커버(119)는 양 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커버(119)의 양 단부는 상기 제1 개폐기 본체(110a) 및 제2개폐기 본체(110b)의 각 외함(115)의 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력 수요량의 증가에 대응하여 복수의 개폐기 본체(110a,110b)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복수의 개폐기 본체(110a,110b)를 소정 간격으로 연이어 설치(열반)한다.
다음, 서로 인접된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상호 대면된 관통부(116)에 각각 결합된 커버(117)를 각각 분리하여 상기 관통부(116)가 각각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각 관통부(116)를 통해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의 각 일 단부가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서로 인접한 두 회로개폐부,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개폐기 본체(110a)의 제4회로개폐부(120d)의 R상과 제2 개폐기 본체(110b)의 제1회로개폐부(120a)의 R상에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의 각 플러그접속부(160)를 각각 접속한다.
이때, 상기 각 개폐기 본체(110a,110b)의 상연결유닛(133)과 모선연결유닛(150)의 각 플러그접속부(160) 사이에는 연결도체(171) 및 양측 플러그(170)가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나머지 상(S상 및 T상)들을 모선연결유닛(150)을 이용하여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모선연결유닛(150)을 이용한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모선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두 개폐기 본체(110a,110b)의 모선연결유닛(150)의 둘레에 상기 연결커버(119)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상기 모선연결유닛(150) 및 관통부(116)가 외부에 대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폐기 본체(110a)의 제1회로부(120a)는 수전부로 사용되고, 상기 제2 개폐기 본체(110b)의 제4회로개폐부(120d)는 송전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두 회로개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제1 개폐기 본체(110a)의 제2 내지 제4회로개폐부(120b~120d) 3개와, 제2 개폐기 본체(110b)의 제1 내지 제3회로개폐부(120a~120c) 3개 총 6개를 수용가가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부하개폐기는 3대의 개폐기 본체를 연이어 설치하여야 6개의 회로를 수용가가 이용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2대의 개폐기 본체(110a,110b)만을 연이어 설치하는 것만으로 6개의 회로를 수용가가 사용할 수 있으므로 1대의 4회로 개폐기 본체를 설치하지 아니하고도 6개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3대의 개폐기 본체를 연이어 설치할 경우 종래 6개의 회로를 수용가가 사용가능한데 반해 본 발명은 10개의 회로를 수용가가 사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제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a,110b : 제1 및 제2개폐기 본체 115 : 외함
116 : 관통부 117 : 커버
119 : 연결커버
120a~120d : 제1 내지 제4회로개폐부 125 : 회로개폐유닛
131 : 제1접속부 133 : 상연결유닛
135 : 제2접속부 137 : 케이블연결부
150 : 모선연결유닛 155 : 연결부
157 : 연결부도체 160 : 플러그접속부
162 : 플러그수용부 164 : 플러그접속부도체
165 : 피복부 170 : 양측 플러그
171 : 연결도체

Claims (8)

  1. 측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회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회로개폐부를 각각 구비하여 서로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기 본체; 및
    서로 인접배치된 두 개폐기 본체의 관통부를 통해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을 각각 연결하는 모선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 회로개폐부는, 전원의 각 상(R상,S상,T상)을 개폐하는 복수의 회로개폐유닛 및 상기 회로개폐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회로개폐유닛은, 주회로개폐기 및 접지회로개폐기를 구비한 바디;
    상기 주회로개폐기를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할 수 있게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접속부에는 상기 각 개폐기 본체의 각 회로개폐부의 동일 상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연결유닛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2접속부에는 지중의 관로를 따라 설치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가 접속되고,
    상기 모선연결유닛은 상기 관통부를 통해 서로 인접한 개폐기 본체의 상연결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연결유닛은,
    플러그가 수용되는 플러그수용부를 각각 구비하여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접속부;
    상기 한 쌍의 접속부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부하개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연결유닛은, 일 측은 상기 개폐기 본체의 상연결유닛에 접속되고 타 측은 상기 플러그수용부에 접속되는 양측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된 두 개폐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선연결유닛영역을 차단하는 연결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
  6. 측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회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회로개폐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회로개폐부는, 전원의 각 상(R상,S상,T상)을 개폐하는 복수의 회로개폐유닛 및 상기 회로개폐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작기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회로개폐유닛은, 주회로개폐기 및 접지회로개폐기를 구비한 바디; 및 상기 주회로개폐기를 모선 또는 부하에 각각 연결할 수 있게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접속부에는 상기 각 개폐기 본체의 각 회로개폐부의 동일 상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연결유닛이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2접속부에는 지중의 관로를 따라 설치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가 접속되는 복수의 개폐기 본체를 열반하는 단계;
    서로 인접된 두 개폐기 본체의 상기 관통부를 개방하는 단계; 및
    서로 인접된 두 개폐기 본체의 개방된 관통부를 통해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상연결유닛을 모선연결유닛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하개폐기의 모선연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상연결유닛을 모선연결유닛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 후, 상기 두 개폐기 본체의 모선 연결 영역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하개폐기의 모선연결방법.
KR1020100133684A 2010-12-23 2010-12-23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KR10141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84A KR101415066B1 (ko) 2010-12-23 2010-12-23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84A KR101415066B1 (ko) 2010-12-23 2010-12-23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940A KR20120071940A (ko) 2012-07-03
KR101415066B1 true KR101415066B1 (ko) 2014-07-04

Family

ID=4670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684A KR101415066B1 (ko) 2010-12-23 2010-12-23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9667A (zh) * 2012-12-23 2013-07-24 川铁电气(天津)集团有限公司 铠装式金属封闭开关设备的架空出线及负荷开关柜
KR102086949B1 (ko) * 2019-04-11 2020-03-10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텍 조립형 절연부가 구비된 친환경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부스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791A (ja) * 2006-05-11 2007-11-22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固体絶縁断路器を利用した固体絶縁スイッチギア
KR100789446B1 (ko) * 2006-12-06 2007-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다수의 고체 절연 부하 개폐기간 전기적 접속장치
KR100802482B1 (ko) 2007-07-24 2008-02-14 주식회사 이앤엠테크 개폐장치의 모선 접속구조
KR101151989B1 (ko) 2010-12-17 2012-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모선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791A (ja) * 2006-05-11 2007-11-22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固体絶縁断路器を利用した固体絶縁スイッチギア
KR100789446B1 (ko) * 2006-12-06 2007-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다수의 고체 절연 부하 개폐기간 전기적 접속장치
KR100802482B1 (ko) 2007-07-24 2008-02-14 주식회사 이앤엠테크 개폐장치의 모선 접속구조
KR101151989B1 (ko) 2010-12-17 2012-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모선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940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889B2 (en) Switchgear using modular push-on deadfront bus bar system
AU2006326844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ly isolatable functional zones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0830783B1 (ko) 대향 버스바아 및 이를 위한 차폐 차단과 스위칭 모듈을갖춘 고전압 하이브리드 스테이션
JP2004072888A (ja) 複合形ガス絶縁開閉装置
EP2405546B1 (en) Electrical switchgear
US20070291442A1 (en) Method of Making and Repairing a Modular Push-On Busbar System
TW201145737A (en) Switchgear
KR101415066B1 (ko) 부하개폐기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CS250246B2 (en) Metal-enclosed gas-insulated distribution system
US6016247A (en) Electricity distribution substation
KR101874988B1 (ko) 부하개폐기
RU113883U1 (ru) Коробка электромонтажная для коммута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KR102295956B1 (ko)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WO2008130353A1 (en) Method of making and repairing a modular push-on busbar system
CN101752798B (zh) 金属封闭的高压配电站
DK1964222T3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LY INSULABLE FUNCTIONAL SECTIONS
CA2600537C (en) Electrical switchgear assembly
CN111480272B (zh) 气体绝缘开关装置
KR200411502Y1 (ko) 기중 인출형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CN211790039U (zh) 开关柜
KR20040103871A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CN220306716U (zh) 用于开关柜的分线盒及开关柜
CN101752799B (zh) 中压配电室
KR20150141051A (ko) 배전자동화용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