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976B1 -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976B1
KR101414976B1 KR1020100106098A KR20100106098A KR101414976B1 KR 101414976 B1 KR101414976 B1 KR 101414976B1 KR 1020100106098 A KR1020100106098 A KR 1020100106098A KR 20100106098 A KR20100106098 A KR 20100106098A KR 101414976 B1 KR101414976 B1 KR 10141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number
service
changed
message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673A (ko
Inventor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9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을 다른 단말과 구분하기 위한 식별번호가 변경된 착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과 세션 연결을 위해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를 기술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이 있는 경우,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를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하고, 수정된 식별번호를 갖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달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세션이 연결되도록 하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를 위한 부가서비스 제어기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착신 단말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요청한 경우에도,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정하여, 변경된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안내 방송 및 메시지를 통해 발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는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발신 단말의 사용자는 변경된 식별번호를 얻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Description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System for connecting changed number automatically, apparatus thereof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가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 단말의 세션 연결 요청 시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식별번호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자동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에 3세대 이동통신망의 IP(Internet Protocol)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IMS(IP Multimedia Subsystems)는 현재 All IP 기반의 차세대 통신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패킷 기반 망에서 IMS를 통한 서비스 제어의 필요성은 서비스 품질, 과금, 서로 다른 서비스의 융합에서 찾을 수 있다. 기존 인터넷의 연결을 통해서도 모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최선을 다하지만 품질을 보장하지 않는 최선의 노력(best-effort) 서비스에 국한된다. 예컨대, 스트리밍 데이터는 스트리밍 형식으로 전송을 하지만, 네트워크에 의한 지연에 대해 그 품질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IMS망의 경우, 세션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함으로써 세션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즉, IMS망은 패킷 스위칭을 수행한다.
또한 IMS망은 세션에 대한 적절한 과금을 가능하게 한다. 단순히 정액 과금 또는 패킷 량에 따른 과금이 아니라 서비스의 종류와 품질, 사용자의 특성, 네트워크 사업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에 따른 적절한 과금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IMS망은 개방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쉽게 생성할 수 있고, 기존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은 네트워크 사업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서비스를 위한 제어와 과금 능력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홈 망에서뿐 아니라 로밍 시에도 자신의 모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IMS망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이동통신을 위해 정의된 IMS가 All IP 기반의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기본 제어 플랫폼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이유가 된다.
패킷 스위칭 기반의 패킷 서비스 시스템인 IMS망을 도입하면, 사용자들에게 패킷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로 mVoIP(mobile Voice over 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All IP 환경은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았으며, 패킷 기반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인프라를 모두 구축하는 경우, 기존의 동일한 인프라에 대한 중복 투자 및 그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부담이 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에 통화를 요청하였으나,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된 경우, 통화 요청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발신 단말의 사용자는 착신 단말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얻기 이전에는 착신 단말과 통화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에 통화 연결을 요청하였으나,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식별번호를 통해 자동으로 착신 단말과 연결시키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에 통화 연결을 요청하였으나,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된 경우, 안내 방송을 통해 착신 단말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패킷 서비스 시스템 상호간에 동기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패킷 서비스 시스템에서 일관되게 변경된 식별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 연결을 위해 상기 착신 단말을 다른 단말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인 식별번호가 기술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단말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여, 상기 식별번호를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하고, 수정된 식별번호를 갖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부가서비스 제어기; 및 상기 수정된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달하는 세션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 서비스 시스템은 안내 방송을 위한 미디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상기 미디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미디어 장치는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디어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과 세션을 연결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 상기 안내 방송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 및 상기 안내 방송을 제공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자원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킷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이며, 상기 부가서비스 중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 및 변경된 식별번호에 매핑되어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홈가입자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조회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이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이며, 상기 부가서비스 중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 및 변경된 식별번호에 매핑되어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조회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 연결을 위해 상기 착신 단말을 다른 단말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인 식별번호가 기술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식별번호를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하고, 수정된 식별번호를 갖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수정된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가 변경된 착신 단말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미디어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미디어 장치가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과 세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전송하였으며 상기 착신 단말을 다른 단말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인 식별번호가 기술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상기 착신 단말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식별번호를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하여, 수정된 식별번호를 갖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수정된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가 변경된 착신 단말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 후,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미디어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미디어 장치가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 후,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른 MESSAGE 메시지 및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SIP에 따라,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INVITE 메시지이며,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는 상기 INVITE 메시지의 To 헤더에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단말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요청한 경우에도,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정하여, 변경된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안내 방송을 통해 발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는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를 통해 발신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의 사용자는 변경된 식별번호를 얻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인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에서 부가서비스, 즉,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가서비스 제어기가 존재한다.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을 모두 사용하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의 서비스 프로파일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이러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 일관된 부가서비스, 즉,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패킷 서비스 시스템(Packet Switched network, 100), 서킷 서비스 시스템(Circuit Switched network, 200), 접속 서비스 시스템(Access Network, 300) 및 단말(400)을 포함한다.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은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패킷 교환(Packet Switched) 방식에 따라 단말(40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며,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은 서킷 교환(Circuit Switched) 방식에 따라 단말(40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다.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단말(400)에 무선 구간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말(400)은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통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 또는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400) 중 통화를 위해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400)을 발신 단말(401)로 칭하며, 그 세션 연결 요청의 대상이 되는 단말(400)을 착신 단말(402)로 칭하기로 한다. 특히, 발신 단말(401) 및 착신 단말(402)을 포함하는 단말(400)은 식별번호를 가지며, 식별번호는 단말(400)을 다른 단말(400)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컨대, 식별번호는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단말(400)에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은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과의 세션 연결을 요청하면, 발신 단말(401)과 착신 단말(402)간의 통화를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르면, 자원의 할당은 발신 단말(401)과 착신 단말(402)간의 세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세션이 연결되면, 연결된 세션을 통해 발신 단말(401)과 착신 단말(402)은 음성 패킷을 교환할 수 있으며, 이는 mVoIP(mobile Voice over IP)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은 기본서비스인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은 부가서비스로 변경 번호 자동 안내 및 자동 연결 서비스(이하, “자동 연결 서비스”로 축약함)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연결 서비스는 착신 단말(402)이 가입하는 부가서비스이다.
자동 연결 서비스는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된 경우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다고 하는 것은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혹은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를 구분하는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다고 하는 것은 단순히 착신 단말(402)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것은 물론, 기기의 교체에 따라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한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다”와 같은 표현으로 설명할 것이다. 자동 연결 서비스는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착신 단말(402)에 세션 연결 요청을 한 경우, 변경된 식별번호로 착신 단말(402)에 자동으로 세션 연결 요청을 전달하여, 세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자동 연결 서비스는 발신 단말(401)에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 및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400)은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통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단말(400)이 자신을 통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단말(400)과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은 모든 종류의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이더넷(Ethernet) 등의 고정 접속(Fixed Access)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단말(400)과 유선으로 연결된 모뎀(modem),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을 통해 단말(400)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유선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W-CDMA, CDMA2000, GSM, GPRS 등의 이동 접속(Mobile Access)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과 단말(400)간의 무선 구간 서비스를 제공하여, 단말(400)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방식의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이 방식의 경우,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및 억세스 라우터(Access Router)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단말(400)에 무선 구간 서비스를 제공하여, 단말(400)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400)은 해당하는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통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이동 접속 방식의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 접속 방식 또는 무선 접속 방식의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을 IMS(IP Multimedia Subsystems)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은 복수의 엔티티(Entity)로 구성되며, 각 엔티티들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 엔티티별로 다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엔티티들은 부가서비스 제어기(TAS,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110), 세션 제어기(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120), 홈가입자장치(HSS, Home Subscriber Server, 130) 및 미디어 장치(Multimedia Resource Function, 160)를 포함한다. 특히, 미디어 장치(160)는 멀티미디어 자원 제어기(MRFC, Multi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 140) 및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MRFP, Multi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 150)를 포함한다.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다른 엔티티들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단말(400)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과의 통화를 위하여,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착신 단말(402)의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자동 연결 서비스의 가입 여부를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발신 단말(401) 및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며, 발신 단말(401)이 전송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변경되기 전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기술된다. 자동 연결 서비스의 경우, 부가서비스인 자동 연결 서비스와 변경 전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 및 변경된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서비스 프로파일에 매핑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를 통해 세션 연결을 요청한 경우에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변경되기 전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로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발신 단말(401)의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확인한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미디어 장치(160)에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제공하여, 미디어 장치(160)가 발신 단말(401)에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방송을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메시지를 통해 발신 단말(40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홈가입자장치(13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서비스 프로파일을 확인하거나, 홈가입자장치(130)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착신 단말(402)의 자동 연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의 홈위치등록기(210)에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가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며, 이 목록의 각 항목은 서비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서비스는 기본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포함한다. 특히, 부가서비스 제어기(110)가 홈위치등록기(2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서비스 프로파일에서, 자동 연결 서비스의 경우, 부가서비스인 자동 연결 서비스와 변경 전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 및 변경된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서비스 프로파일에 매핑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를 통해 세션 연결을 요청한 경우에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변경되기 전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로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서비스 프로파일에서 해당하는 항목이 활성화된 경우, 해당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서비스 프로파일에서 해당하는 항목이 비활성화된 경우 해당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예컨대, 항목은 자동 연결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세션 제어기(120)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엔티티 및 단말(400)간의 세션을 설정하며, 단말(400)로부터 전달된 SIP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세션 제어기(120)는 단말(400)의 요청대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 내의 각 엔티티에 SIP 메시지를 전달하여, 세션이 완성되도록 한다. 세션 제어기(120)는 I(Interrogating)-CSCF, S(Service)-CSCF 및 P(Proxy)- CSCF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제어기(120)는 기본적으로,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엔티티 간에 세션 연결, 유지 및 해제 등을 지원한다. 특히, 세션 제어기(120)는 발신 단말(401)과 착신 단말(402) 간에 패킷 교환 방식에 따른 음성 통화를 위한 세션 연결, 유지 및 해제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세션 제어기(120)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엔티티 간의 메시지 교환을 중계할 수 있으며, 중계하는 메시지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는 SIP에 따른 메시지, 즉, SIP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SIP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 세션 제어기(120)는 SIP 메시지에 기술된 각 종 헤더에 따라, 해당 SIP 메시지를 중계하거나, 필요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SIP 메시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VITE 메시지는 장치와 장치간의 세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메소드(method)이다. 여기서, 장치는 단말(400) 및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세션 연결을 위하여, INVITE 메시지에는 세션 연결의 대상이 명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NVITE 메시지는 발신 단말(401)과 착신 단말(402)간의 음성 통화를 위해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 및 미디어 장치(160)의 안내 방송을 위한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방송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ACK 메시지는 특정 SIP 메시지를 수신한 장치가 특정 SIP 메시지에 대해 최종적으로 확인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으로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따라서, ACK 메시지는 방송을 위한 세션 연결을 수락함을 알리는 방송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에 대해, 이를 확인하였음을 나타내는 방송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ACK 메시지는 음성 통화를 위한 세션 연결을 수락함을 알리는 세션 연결 요청 수락(200 OK) 메시지에 응답하여, 이를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INFO 메시지는 이미 연결된 세션을 통해 추가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따라서, INFO 메시지는 미디어 장치(160)로 하여금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방송 요청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INFO 메시지는 방송 요청(INFO) 메시지에 따라,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한 후, 안내 방송을 제공하였음을 알리는 방송 완료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BYE 메시지는 이미 연결된 세션을 해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따라서 BYE 메시지는 방송을 위한 세션 연결의 해제를 요청하는 방송 세션 연결 해제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SIP에 따르면, MESSAGE 메시지는 장치간에 인스턴스 메시징(IM, Instant Messaging)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MESSAGE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텍스트(Text)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MESSAGE 메시지는 텍스트로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며,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SIP 메시지 중 1xx 시리즈 메시지(여기서, xx는 자연수)는 응답 메시지의 일종이다. 1xx 시리즈 메시지는 특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며, 메시지 처리가 계속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180 Ringing 메시지는 착신 단말(402)이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며,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현재 링 톤을 출력하고 있음을 알리는 세션 연결 요청 확인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하기 위해, 세션 연결 절차를 계속할 필요가 있음으로, 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를 발신 단말(401)에 전송한다. 이러한 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는 아직 세션 설정 절차가 진행중임을 알린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음성 통화를 위한 세션 연결 대신 안내 방송을 위한 세션 연결 절차를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는 세션이 진행중임을 알리기 위한 세션 진행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SIP 메시지 중 2xx 시리즈 메시지(여기서, xx는 자연수)는 특정 SIP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성공(Success)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200 OK 메시지는 특정 메시지에 대해 수락, 긍정의 응답 및 확인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200 OK 메시지는 방송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세션 연결을 수락하는 의미의 방송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200 OK 메시지는 방송 요청(INFO) 메시지에 응답하여,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 제공할 것임을 알리는 방송 수락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200 OK 메시지는 방송 완료(INFO) 메시지에 응답하여, 방송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방송 완료 확인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200 OK 메시지는 방송 세션 연결 해제(BY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이를 수락함을 알리는 방송 세션 연결 해제 수락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200 OK 메시지는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에 대응하여, 세션 연결을 수락함을 나타내는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홈가입자장치(13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세션 제어를 수행하는 엔티티들을 지원한다. 홈가입자장치(130)는 세션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의 가입 정보, 즉,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인증 및 허용을 위한 보안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의 목록인 서비스 프로파일 등을 저장한다.
미디어 장치(160)는 자동 연결 서비스 제공 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의 요청에 의해 미디어 장치(160) 자신과 발신 단말(401)사이의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 세션은 안내 방송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세션이 연결되면, 미디어 장치(160)는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의 요청에 따라,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한다. 이 안내 방송은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미디어 장치(160)는 멀티미디어 자원 제어기(140) 및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150)를 포함한다. 세션이 연결되면, 멀티미디어 자원 제어기(140)는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150)에 안내 방송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150)는 멀티미디어 자원 제어기(140)의 제어에 따라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멀티미디어 자원 제어기(140) 및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150)는 각각 독립적인 장비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장비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은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210) 및 인트라넷 게이트웨이(IGW, Intranet Gateway, 220)를 포함한다.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의 다른 구성은 발명의 요지가 아님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홈위치등록기(210)는 기본적으로,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사용자를 관리한다. 즉, 홈위치등록기(210)는 사용자의 인증,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홈위치등록기(210)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기본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본서비스는 음성 통화를 예시할 수 있으며, 부가서비스는 착신 전환, 음성 메시지, 자동 연결 서비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하여, 홈위치등록기(210)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의 목록인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목록의 각 항목은 서비스를 나타내며, 해당 항목이 활성화된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된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상술한 서비스는 기본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포함한다.
인트라넷 게이트웨이(220)는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와 홈위치등록기(210)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다. 즉, 인트라넷 게이트웨이(220)는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와 홈위치등록기(210)를 연결시킨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인트라넷 게이트웨이(220)를 통해 홈위치등록기(210)와 연동되며,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와 홈위치등록기(210)는 MAP(Mobile Application Part)에 따라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홈위치등록기(210)로부터 필요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홈위치등록기(2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서비스 프로파일이 변경된 경우,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이를 홈위치등록기(2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홈위치등록기(21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이 변경되면, 이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 및 홈위치등록기(210)에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은 서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통신 모듈(10), 저장 모듈(20) 및 제어 모듈(3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0)은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 내의 다른 엔티티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의 구성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신 모듈(10)은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적합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 내에서 기본적으로 다른 엔티티들과 SIP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10)은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는 경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SIP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즉, 통신 모듈(10)은 SIP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데이터의 보안을 위해, 홈가입자장치(130)와 DIAMETER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모듈(10)은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의 홈가입자장치(130)와 통신하는 경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DIAMETER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인트라넷 게이트웨이(220)와 MAP에 따라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신 모듈(10)은 인트라넷 게이트웨이(220)와 통신하는 경우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MAP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저장 모듈(20)은 홈위치등록기(2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프로파일 및 홈가입자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0)은 송수신되는 각종 메시지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은 부가서비스, 특히,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통신 모듈(1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0)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 모듈(30)은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가입된 경우,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은 미디어 장치(160)와 발신 단말(401)간에 방송을 위한 세션을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30)은 미디어 장치(160)에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제공하며, 미디어 장치(160)가 발신 단말(401)에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30)은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통신 모듈(10)을 통해 발신 단말(401)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 모듈(30)의 일련의 처리 과정은 제어 모듈(30)이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필요한 메시지는 SIP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400)은 통신부(410), 입력부(440), 출력부(450), 저장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을 통해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데이터는 SIP 메시지 및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무선 통신부(420) 및 유선 통신부(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420)는 무선 망 통신부(42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부(422) 및 무선 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부(4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20)는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40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망 통신부(421), 무선 랜 통신부(422) 및 무선 팬 통신부(42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망 통신부(421)는 기지국을 통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무선 망 통신부(421)는 제어부(47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망 통신부(421)는 기지국을 통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470)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랜 통신부(422)는 무선 랜(WLAN),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맥스(WiMAX)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랜 통신부(422)는 제어부(47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통신부(422)는 억세스 포인트를 통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470)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팬 통신부(423)는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망 통신부(421) 및 무선 랜 통신부(422)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무선 팬 통신부(423)는 다른 단말(400)과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팬 통신부(423)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 팬 통신부(423)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430)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통신부(430)는 특히, 유선을 통해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유선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서비스 시스템(300)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망 또는 사설망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설망은 대표적으로, 특정 집단의 인트라-네트워크(intra-network)를 예시할 수 있다.
입력부(440)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44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입력부(4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단말(400)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출력부(45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451),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45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451)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451)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451)는 입력부(44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46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460)는 수신된 SIP 메시지 및 SMS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SIP에 따르면, 장치 상호간에 요청과 응답 메시지를 교환하는 핸드셰이크(handshake) 과정을 반복하며, 이에 따라, 저장된 SIP 메시지는 요청에 대해 응답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46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운영 체제를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7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470)는 단말(4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저장부(46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제어부(470)는 SIP에 따른 각종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0)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단말(400)이 발신 단말(401)인 경우, 제어부(470)는 미디어 장치(160)와 세션이 연결되면,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안내 방송을 출력부(4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70)는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 하는 메시지를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한 경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부(4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401)은 S401 단계에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03 단계에서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에 전송한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과 통화를 위해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것이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SIP에 따라, INVIT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INVITE 메시지는 From 헤더 및 To 헤더를 포함한다. From 헤더에는 발신 단말(401)의 식별번호가 기술되며, To 헤더에는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기술된다. 따라서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To 헤더에 기술된 식별번호를 통해 착신 단말(402)을 식별할 수 있다.
착신 단말(402)을 식별한 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05 단계에서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를 통해 서비스 프로파일을 조회하여,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프로파일은 착신 단말(402)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와 변경된 후 식별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며, 이에 따라, 발신 단말(401)이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를 기술하는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에도, 변경전 식별번호와 변경후의 식별번호가 동일한 대상임을 인식할 수 있고,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프로파일을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의 홈위치등록기(2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홈위치등록기(210)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을 모두 이용하는 단말(400)에 일관된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 단말(402)의 사용자는 기기 자체를 교체하였거나, 동일한 기기이지만, 식별번호를 변경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착신 단말(402)은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자동 연결 서비스를 구동한다. 자동 연결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다.
먼저,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미디어 장치(160)와 연동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즉,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07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로 전송한다. 방송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미디어 장치(160)와 발신 단말(401)간의 세션을 연결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방송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SIP에 따라, INVIT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09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미디어 장치(160)로 전달한다.
미디어 장치(160)는 방송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S411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는 발신 단말(401)과의 세션 연결을 수락하는 의미를 갖는다. 방송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는 SIP에 따라,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13 단계에서 이러한 방송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에 전달한다.
방송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15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방송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는 방송을 위한 세션 연결의 수락에 대해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방송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다. 방송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는 SIP에 따라, AC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세션 제어기(120)는 S417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수락 확인(ACK) 메시지를 미디어 장치(160)에 전달한다. 이로써, 발신 단말(401)과 미디어 장치(160)간에 방송을 위한 세션이 연결된다.
방송 세션 연결 수락 확인(ACK) 메시지를 전송한 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19 단계에서 세션 진행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로 전송한다. 세션 진행 메시지는 발신 단말(401)이 전송한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며, 여전히 세션 설정이 진행중임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발신 단말(401)에 대해 전송된다. 이러한 세션 진행 메시지는 SIP에 따라, 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21 단계에서 세션 진행(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를 발신 단말(401)에 전달한다. 자동 연결 서비스는 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방송을 제공하며, 안내 방송의 제공을 위해, 세션 설정 절차가 계속 진행중이어야 한다. 따라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착신 단말(402) 대신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에 응답하여 세션 진행(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를 전송한다. 발신 단말(401)은 세션 요청이 거부, 중단 또는 종료되었을 때 세션 연결 요청을 재시도 하는 등의 다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발신 단말(401)은 세션 진행(183 SessionProgress)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술한 다른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발신 단말(401) 및 미디어 장치(160)간에 세션이 연결되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미디어 장치(160)가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즉,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23 단계에서 방송 요청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방송 요청 메시지는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방송 요청 메시지는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발신 단말(401)에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제공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송 요청 메시지는 SIP에 따라, INFO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25 단계에서 방송 요청 메시지를 미디어 장치(160)에 전달한다.
방송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미디어 장치(160)는 S427 단계에서 방송 수락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로 전송한다. 방송 수락 메시지는 안내 방송 제공을 수락하는 것이다. 방송 수락 메시지는 SIP에 따라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세션 제어기(120)는 S429 단계에서 방송 수락(200 OK) 메시지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로 전달한다.
방송 요청 메시지에 따라, 미디어 장치(160)는 S431 단계에서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장치(160)는 연결된 세션을 통해,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으며, 변경된 식별번호로 연결해드릴 것을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송출한다.
준비된 안내 방송을 마치면, 미디어 장치(160)는 S433 단계에서 방송 완료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방송 완료 메시지는 방송 요청(INFO) 메시지에 따라, 안내 방송을 제공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방송 완료 메시지는 SIP에 따라, INFO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35 단계에서 방송 완료(INFO) 메시지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로 전달한다.
방송 완료(INFO) 메시지를 수신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37 단계에서 방송 완료 확인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달한다. 방송 완료 확인 메시지는 안내 방송이 제공된 것을 확인하였음을 알린다. 방송 완료 확인 메시지는 SIP에 따라,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39 단계에서 방송 완료 확인(200 OK) 메시지를 미디어 장치(160)에 전달한다.
방송 완료 확인(200 OK) 메시지를 전송한 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41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해제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방송 세션 연결 해제 메시지는 미디어 장치(160)와 발신 단말(401)과의 세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송 세션 연결 해제 메시지는 SIP에 따라 BY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43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해제(BYE) 메시지를 미디어 장치(160)에 전달한다.
방송 세션 연결 해제(BYE) 메시지를 수신한 미디어 장치(160)는 S445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해제 수락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방송 세션 연결 해제 수락 메시지는 방송 세션 연결 해제(BYE) 메시지에 응답하여 발신 단말(401)과 미디어 장치(160)간의 방송 세션 연결의 해제를 수락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송 세션 연결 해제 수락 메시지는 SIP에 따라,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세션 제어기(120)는 S447 단계에서 방송 세션 연결 해제 수락(200 OK) 메시지를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 장치(160)와 발신 단말(401)간의 세션 연결이 해제 된다.
방송 세션 연결 해제 수락(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49 단계에서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를 착신 단말(402)에 전송한다.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는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 및 변경되기 전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 단말(401)은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면,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한다. 예컨대,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는 “[번호 변경 안내] 요청하신 011-123-4567번은 011-555-5555번으로 변경되었습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011-123-4567”은 변경되기 전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이며, “011-555-5555”는 변경된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이다. 따라서, 발신 단말(401)은 상술한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는 SIP에 따라 MESSAGE 메시지를 이용하거나, SMS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방송 및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를 발신 단말(401)에 제공한 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51 단계에서 변경된 식별번호로 호를 전환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즉,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의 To 헤더의 식별번호를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한다. 그런 다음,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453 단계에서 변경된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를 가지는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세션 제어기(120)는 S455 단계에서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착신 단말(402)에 전달한다.
착신 단말(402)은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402)은 링 톤(ring tone)을 출력하여, 착신 단말(402)의 사용자에게 세션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그리고 착신 단말(402)은 S457 단계에서 세션 연결 요청 확인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세션 연결 요청 확인 메시지는 세션 연결 요청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링 톤을 출력하고 있음을 알린다. 세션 연결 요청 확인 메시지는 SIP에 따라, 180 Ringing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전송된 세션 연결 요청 확인(180 Ringing) 메시지는 S459 단계 내지 S463 단계에서 세션 제어기(120), 부가서비스 제어기(110) 및 세션 제어기(120)를 거쳐 발신 단말(401)에 전달된다. 세션 연결 요청 확인(180 Ringing)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 단말(401)은 링백톤(ring back tone)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401)의 사용자는 세션 연결 요청이 제대로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착신 단말(402)의 사용자는 링 톤을 통해 세션 연결 요청이 있음을 인지하며, 착신 단말(402)의 조작을 통해 세션 연결 요청을 수락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착신 단말(402)은 S465 단계에서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는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에 응답하여, 이를 수락함을 알린다. 세션 연결 수락 메시지는 SIP에 따라,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는 S467 단계 내지 S471 단계에서 세션 제어기(120), 부가서비스 제어기(110) 및 세션 제어기(120)를 거쳐 발신 단말(401)에 전달된다.
발신 단말(401)은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를 수신하면, S473 단계에서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120)에 전송한다.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는 세션 연결 수락(200 OK) 메시지에 응답하여, 이를 확인하였음을 알린다. 세션 연결 수락 확인 메시지는 SIP에 따라, AC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션 연결 수락 확인(ACK) 메시지는 S475 단계 내지 S479 단계에서 세션 제어기(120), 부가서비스 제어기(110) 및 세션 제어기(120)를 거쳐 착신 단말(402)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401)과 착신 단말(402)간에 세션이 연결되며, S481 단계에서 발신 단말(401) 및 착신 단말(402)은 연결된 세션을 통해 상호간에 통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01 단계에서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에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03 단계에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의 대상인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자동 연결 서비스의 가입 여부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의 확인 결과,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05 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절차에 따른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에 반해,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07 단계로 진행한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07 단계에서 미디어 장치(160)와 연동하여, 발신 단말(401)에 안내 방송을 제공한다. 즉,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미디어 장치(160)에 발신 단말(401)과 세션을 연결하도록 요청한다. 세션이 연결되면,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미디어 장치(160)에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제공하여,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발신 단말(401)에 안내하도록 요청한다. 미디어 장치(160)는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수신한 후, 부가서비스 제어기(110)의 요청에 따라,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09 단계에서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를 발신 단말(401)에 전송한다.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는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한다.
그런 다음,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11 단계에서 앞서 S601 단계에서 수신된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의 To 헤더에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기술한다. 그리고,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S613 단계에서 변경된 식별번호를 가지는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To 헤더에 따라,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는 착신 단말(402)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단말(401)의 입장에서, 자동으로 변경된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로 연결되는 자동 연결 서비스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단말(402)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발신 단말(401)이 착신 단말(402)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요청한 경우에도,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변경하여, 변경된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안내 방송을 통해 발신 단말(401)의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는 착신 단말(402)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402)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를 통해 발신 단말(401)에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401)의 사용자는 변경된 식별번호를 얻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인 IMS망에서 부가서비스, 즉,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가서비스 제어기(110)가 존재한다. 부가서비스 제어기(110)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을 모두 사용하는 단말(400)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의 홈위치등록기(210)의 서비스 프로파일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이러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패킷 서비스 시스템(100)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200)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단말(400)에 대해 일관된 부가서비스, 즉,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착신 단말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도, 패킷 서비스 시스템은 세션 연결 요청(INVITE) 메시지를 변경하여, 변경된 식별번호로 세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안내 방송을 통해 발신 단말의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는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번호 변경 안내 메시지를 통해 발신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의 사용자는 변경된 식별번호를 얻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을 모두 사용하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의 서비스 프로파일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이러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 일관된 부가서비스, 즉, 자동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통신 모듈 20: 저장 모듈
30: 제어 모듈
100: 패킷 서비스 시스템 110: 부가서비스 제어기
120: 세션 제어기 130: 홈가입자장치
140: 미디어 자원 제어기 150: 미디어 자원 처리기
160: 미디어 장치
200: 서킷 서비스 시스템 210: 홈위치등록기
220: 인트라넷 게이트웨이
300: 접속 서비스 시스템
400: 단말 401: 발신 단말
402: 착신 단말
410: 통신부 420: 무선 통신부
421: 무선 망 통신부 422: 무선 랜 통신부
423: 무선 팬 통신부 430: 유선 통신부
440: 입력부 450: 출력부
451: 표시 장치 453: 오디오 장치
460: 저장부 470: 제어부

Claims (14)

  1.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 연결을 위해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기술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착신 단말이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식별번호를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하고, 수정된 식별번호를 갖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부가서비스 제어기; 및
    상기 수정된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달하는 세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서비스 시스템은
    안내 방송을 위한 미디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상기 미디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미디어 장치는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과 세션을 연결하여 상기 발신 단말에 상기 안내 방송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 및
    상기 안내 방송을 제공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자원 처리기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자원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이며, 상기 부가서비스 중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 및 변경된 식별번호에 매핑되어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홈가입자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조회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 제어기는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이 가입한 부가서비스의 목록이며, 상기 부가서비스 중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 및 변경된 식별번호에 매핑되어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되기 전 식별번호로 조회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자동 연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7.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 연결을 위해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기술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상기 식별번호를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하고, 수정된 식별번호를 갖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수정된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가 변경된 착신 단말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신 단말의 변경된 식별번호를 미디어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미디어 장치가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
  10.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세션 연결을 위해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기술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있으면, 상기 식별번호를 변경된 식별번호로 수정하여, 수정된 식별번호를 갖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세션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수정된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가 변경된 착신 단말에 전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 후,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미디어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미디어 장치가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상기 발신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 후,
    상기 변경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번호 안내 메시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따른 MESSAGE 메시지 및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SIP에 따라,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INVITE 메시지이며, 상기 착신 단말의 식별번호는 상기 INVITE 메시지의 To 헤더에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서비스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어기의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1020100106098A 2010-10-28 2010-10-28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41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98A KR101414976B1 (ko) 2010-10-28 2010-10-28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98A KR101414976B1 (ko) 2010-10-28 2010-10-28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73A KR20120044673A (ko) 2012-05-08
KR101414976B1 true KR101414976B1 (ko) 2014-07-04

Family

ID=4626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098A KR101414976B1 (ko) 2010-10-28 2010-10-28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9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194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번호 변경시 자동 연결 및 번호 변경 안내를 위한장치 및 방법
KR20060068522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번호 변경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메세지 포워딩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917927B1 (ko) * 2008-06-20 2009-09-16 주식회사 케이티 Ip망의 발신 호에 대한 착신 호 전환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20090100547A (ko) * 2008-03-20 2009-09-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의 번호 변경 안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194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화번호 변경시 자동 연결 및 번호 변경 안내를 위한장치 및 방법
KR20060068522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번호 변경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메세지 포워딩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90100547A (ko) * 2008-03-20 2009-09-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의 번호 변경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0917927B1 (ko) * 2008-06-20 2009-09-16 주식회사 케이티 Ip망의 발신 호에 대한 착신 호 전환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73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6290B2 (ja) モード選択手順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6168572B2 (ja) ナンバー・ポータビリティ・サービスに基づくオンライン課金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9380435B2 (en) Communication system, packet network, supplementary service controller,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JP5274668B2 (ja) 統合ip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におけるインターワーキングのためのセッション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とそのシステム
RU2509434C2 (ru)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носа сеанса связи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пер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во второе соединение
JP2009212606A (ja) 音声呼通信切替システム
KR101395599B1 (ko) 통화 가능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414976B1 (ko) 변경된 번호로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83030B1 (ko) 통화 상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이를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84159B1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77043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56960B1 (ko) VoIP 단말에 부재중 착신알림 서비스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EP17004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to-talk service
KR101398399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98398B1 (ko) 개별 통화 수신 거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네트워크,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8620378B2 (en) Communication system, Femto Access Point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383031B1 (ko)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서비스 제어기
KR100788996B1 (ko) 음성 전달 방식을 변경하는 방식 전환 시스템 및 방법
CN107172600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101319831B1 (ko) 통화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328728B1 (ko) 네트워크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WO2023109339A1 (zh) 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及其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384160B1 (ko)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서비스 제어기, 그리고 그의 음성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95426B1 (ko) 오디오 패키지를 이용한 호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147248A1 (ja) 通話連動システム、宅内制御装置、通話連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