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740B1 -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740B1
KR101414740B1 KR1020130026858A KR20130026858A KR101414740B1 KR 101414740 B1 KR101414740 B1 KR 101414740B1 KR 1020130026858 A KR1020130026858 A KR 1020130026858A KR 20130026858 A KR20130026858 A KR 20130026858A KR 101414740 B1 KR101414740 B1 KR 10141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mera
line
video phone
dv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진
송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3002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폰과 DVR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비디오폰과 동영상저장장치를 공통배선으로 연결하여, 비디오폰과 DVR의 장점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보안성을 향상시킨,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현관 출입구 외부에 설치되어 현관 외부를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카메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된 공간을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카메라; 상기 도어카메라 또는 상기 CCTV카메라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폰; 상기 비디오폰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영상신호를 주고받는 영상라인, 오디오신호를 주고받는 오디오라인, 데이터신호를 주고받는 데이터라인, 접지와 연결된 접지라인으로 이루어진 공통배선;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의 비디오폰 별로 저장하는 동영상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image storage system using common line}
본 발명은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디오폰과 DVR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비디오폰과 동영상 저장장치를 공통배선으로 연결하여, 비디오폰과 DVR의 장점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보안성을 향상시킨,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집에 설치되는 비디오폰 또는 홈오토메이션 등 외부방문자와 영상통화가 가능한 제품중에는 정지영상 혹은 동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제품이 있다. 제품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별도의 저장메모리카드나 하드디스크 등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일부 제품은 CCTV를 연결하여 CCTV카메라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 이런 제품들은 대부분 연동이 가능한 카메라가 현관카메라 2개, CCTV 카메라 2개 정도로 소수의 카메라만 연동할 수 있으며 가격 또한 상당히 고가의 제품이다. 이러한 방식과 유사한 제품은 비디오폰과 DVR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DVR의 사양에 따라서 다수의 CCTV카메라를 연동하여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나 3대 이상의 비디오폰과 연동하는 현관 카메라의 영상을 저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하나의 비디오폰 또는 하나의 DVR을 연결하는 소규모용 제품들이며 비디오폰, 현관카메라, DVR, CCTV카메라의 호환성이나 확장성에 제한이 많은 고가의 제품들이다.
참고로, DVR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의 약자로서, 일본의 방송용 ENG카메라 전문 제조업체인 이케가미사가 개발하였다. 기존에 쓰이던 비디오카세트레코더(VCR)가 녹화를 여러번 반복하는 방식이라 화질이 떨어지고, 비디오테이프를 교체하는 등 사용이 번거로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다. 비디오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 등을 사용하므로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쉽다.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기 때문에 편집과 화상을 전송하기에도 편리하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2-0035725호(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네트워크 기반 통합 관리장치: 공개일자 2002년05월15일) 위 공개특허에 따르면, " 여러대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TCP/I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통합 관리하기 위해, 통합 관리부(201)와 각각의 DVR(202)을 TCP/IP 네트워크(203)를 기반으로 하여 연결하였다. 각각의 DVR(202)은 사이트(IP 어드레스)를 할당 받아 운용되며, 통합 관리부(201)는 각각의 DVR(202)에 대한 제어명령의 전송이나 각각의 DVR(202)로부터의 응답 데이터를 TCP/IP 네트워크(203)를 통해서 송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시에 여러 대의 DVR 시스템과 접속이 가능하고, 동시에 여러 대의 DVR 시스템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와 검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방범사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동영상 저장기능의 비디오폰이나 DVR이 많이 판매되고 있지만, 비디오폰은 가정용이고 DVR은 산업용이라 상호간 호환, 연동, 가격 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비디오폰에 동영상저장기능을 포함하면 제품의 가격은 비싸지지만 보안(security) 기능의 만족도는 떨어지고 DVR을 설치하면 CCTV 카메라의 설치로 인해 보안성은 높아지지만 비디오폰과의 연동이 어려워 별도로 비디오폰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비디오폰의 기능만 하는 비디오폰과 동영상 저장을 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공통의 배선으로 연결하여 비디오폰의 장점과 DVR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비디오폰과 DVR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출입문을 감시하고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집주변을 감시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통합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관 출입구 외부에 설치되어 현관 외부를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카메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된 공간을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카메라; 상기 도어카메라 또는 상기 CCTV카메라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폰; 상기 비디오폰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영상신호를 주고받는 영상라인, 오디오신호를 주고받는 오디오라인, 데이터신호를 주고받는 데이터라인, 접지와 연결된 접지라인으로 이루어진 공통배선;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의 비디오폰 별로 저장하는 동영상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된 상기 비디오폰에는 상기 도어카메라 또는 상기 CCTV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더 포함된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저장장치는 상기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압축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상기 도어카메라나 상기 CCTV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설치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만 상기 동영상저장장치에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상기 도어카메라나 상기 CCTV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설치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동영상저장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동영상저장장치는 전달된 시각 이후의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비디오폰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에만 상기 동영상저장장치에서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과에 따르면, 가정용 비디오폰과 산업용DVR의 장점을 접목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성하여 보안상 문제점이 있는 비디오폰의 방문자 확인기능과 DVR의 영상녹화기능을 포함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 통합되도록 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DVR과 같이 상시녹화를 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동영상도 녹화가 되기 때문에 저장메모리의 용량 면에서 문제가 발생되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방문자영상을 보면서 통화할 때와, 모니터링시에만 녹화되도록 설계되어서 대용량의 저장메모리가 없더라도 필요한 영상을 모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DVR의 경우에는 저장된 동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별도의 화면표시장치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은 비디오폰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DVR과 같이 복수개의 CCTV카메라도 연동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CCTV 카메라를 연동할 경우에는 별도로 동체감지센서나 적외선감지센서와 같은 감지센서를 연동할 수 있기 때문에 CCTV 주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동영상녹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여러 대의 비디오폰과 여러 대의 CCTV카메라를 연동하여 동영상녹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오폰과 DVR을 각각 설치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서 설치편의성, 경제성, 보안성, 확장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공통배선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 1에 도시하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공통배선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도 2에 도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 3에 도시한다.
본 발명은 한 세대 단독주택 혹은 공통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있는 하나의 건물 예를 들어, 회사사옥 등에 설치가 가능하다. 비디오폰에 일반적인 도어카메라(현관카메라고도 불림)와 CCTV카메라를 선택하여 설치하거나 2개를 모두 설치하고 공통배선을 이용하여 그 중 하나와 연동시킬 수 있으며, 공통배선을 이용하여 2대 이상의 도어카메나, CCTV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단독주택일 경우에는 안방, 작은방, 2층 방, 서재 등에 카메라를 각각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고, 회사 사옥일 경우에는 1층 물류팀, 2층 자재팀, 3층 생산팀에 카메라를 각각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상호간 데이터통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공통배선에 포함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특정비디오폰에 연결된 카메라에서 호출시 설치된 보든 비디오폰에서 같은 영상을 확인하고 통화할 수 있다.
공통배선은 영상신호, 오디오신호, 데이터신호 접지신호로 구성되기 때문에 비디오폰 간 상호호출이 가능하고 특정비디오폰에 연결된 특정카메라의 영상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공통배선에 영상저장장치를 연동할 경우 공통배선의 영상라인의 모든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각각의 비디오폰에서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비디오폰은 현관에서 호출이 올 경우 자체적인 LCD와 같은 화면표시장치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비디오폰에 호출이 온 사실을 데이터라인으로 송신하고 동일한 영상신호도 공통배선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저장장치는 데이터를 분석한 후 공통배선을 통해 영상을 저장하고 비디오폰에서 통화가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저장을 종료하게 된다.
즉, 영상저장장치는 공통배선의 영상라인에 영상신호가 송신될 경우에만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비디오폰에서 저장된 영상을 보기위해 공통배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영상저장장치는 저장된 영상의 목록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공통배선을 통하여 저장된 영상을 비디오폰에 송신한다.
이러한 영상저장시스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와 비디오폰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카메라와 비디오폰이 하나의 블록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N개의 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블록1은 현관문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도어카메라(11), 특정 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CCTV카메라(12)는 상기 도어카메라(11), 상기 CCTV카메라(12)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폰(13)과 연결된다.
블록2도 현관문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도어카메라(14), 특정 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CCTV카메라(15)는 상기 도어카메라(14), 상기 CCTV카메라(15)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폰(16)과 연결된다.
이러한 블록은 필요한 개수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록N도 현관문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도어카메라(17), 특정 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CCTV카메라(18)는 상기 도어카메라(17), 상기 CCTV카메라(18)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폰(19)과 연결된다.
상술한 블록1 내지 블록N은 모두 공통배선(20)으로 서로 연결된다.
즉, 블록1의 비디오폰(13), 블록2의 비디오폰(16), 블록N의 비디오폰(19)는 공통배선(20)으로 연결된다.
이 공통배선(20)은 영상저장장치(21)와도 연결되는데, 공통배선(20)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데이터신호가 상기 영상저장장치(21)에 저장된다.
상기 영상저장장치(21)는 언제나 영상을 저장하지는 않는데, 이는 상기 비디오폰(13)(16)(19)가 언제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는 않기 때문으로서, 사용자가 비디오폰(13)(16)(19)를 눌러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폰의 기기적 특성 때문이다.
사용자가 비디오폰을 누르는 때는 외부방문객이 초인종을 눌렀을 경우에 외부방문객을 확인하기 위해서 동작버튼을 눌렀을 경우이거나, 사용자가 특정위치에 설치된 CCTV 화면을 보기 위해서 동작버튼을 눌렀을 경우이다.
그 외에, 특정위치에 감지센서를 장착하게 되면 감지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도 구동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영상저장장치(21)는 사용자로부터 비디오폰의 동작버튼이 눌려진 시각으로부터 관련 영상을 저장하고, 영상은 기기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디오폰(13)(16)(19)과 영상저장장치(21) 사이의 원활한 신호송수신을 위해서 공통배선(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데이터를 위한 영상라인(20a), 음성데이터를 위한 오디오라인(20b), 제어신호를 위한 데이터라인(20c), 접지와 연결을 위한 접지라인(20d)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에서 잠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를 추가하면 카메라의 효율적인 자동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영역(P)을 촬영하는 카메라(31) 근처에 상기 촬영영역(P)의 일부 혹은 전체를 감지영역으로 하는 감지센서(32)를 추가로 구성하면, 사용자가 비디오폰의 동작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영상이 상기 영상저장장치(21)에 저장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실내에 사람이 없는 연휴시 혹은 휴무시에 매우 강력한 보안수단이 될 수 있다.
즉, 감지센서(32)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비디오폰(13)(16)(19) 혹은 영상저장장치(21)로 신호를 전달하면, 즉시 비디오폰(13)(16)(19)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영상저장장치(21)에서 영상을 저장하게 된다.
전기적으로, 감지센서(32)는 비디오폰에 연결되거나 영상저장장치에 연결되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비디오폰과 영상저장장치 모두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모두 연결할 경우에는 비디오폰이 고장상태에 있어도 그 영상은 상기 영상저장장치에 저장되기 때문에 추후 범죄해결에 유력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11, 14, 15 ; 도어카메라 12, 17 ; CCTV카메라
13, 16, 19 ; 비디오폰 20 ; 공통배선
21 ; 영상저장장치 20a ; 영상라인
20b ; 오디오라인 20c ; 데이터라인
20d ; 접지라인 31 ; 카메라
32 ; 감지센서

Claims (5)

  1. 현관 출입구 외부에 설치되어 현관 외부를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카메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설치된 공간을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카메라;
    상기 도어카메라 또는 상기 CCTV카메라에 연결되어 연결된 상기 도어카메라 또는 상기 CCTV카메라로부터 보낸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폰;
    상기 비디오폰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영상신호를 주고받는 영상라인, 오디오신호를 주고받는 오디오라인, 데이터신호를 주고받는 데이터라인, 접지와 연결된 접지라인으로 이루어진 공통배선;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된 영상,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의 비디오폰 별로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배선에 연결된 상기 비디오폰에는 상기 도어카메라 또는 상기 CCTV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더 포함된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저장장치는 상기 비디오폰으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압축하여 저장하는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상기 도어카메라나 상기 CCTV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설치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동영상저장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동영상 저장장치는 전달된 시각 이후의 영상을 저장하는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폰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에만 상기 동영상 저장장치에서 저장하는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KR1020130026858A 2013-03-13 2013-03-13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KR10141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58A KR101414740B1 (ko) 2013-03-13 2013-03-13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858A KR101414740B1 (ko) 2013-03-13 2013-03-13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740B1 true KR101414740B1 (ko) 2014-07-04

Family

ID=5174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858A KR101414740B1 (ko) 2013-03-13 2013-03-13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798A (ko) 2017-01-16 2017-09-27 천일계전(주) 엘이디램프 콘몬을 pcb 회로에 스위칭을 적용한 컨트롤스위치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237A (ko) * 2005-06-02 2006-12-06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KR20080006101A (ko) * 2006-07-11 2008-01-16 (주)탑마이크로시스템즈 통신망을 이용한 단지 내 통합 보안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237A (ko) * 2005-06-02 2006-12-06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KR20080006101A (ko) * 2006-07-11 2008-01-16 (주)탑마이크로시스템즈 통신망을 이용한 단지 내 통합 보안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798A (ko) 2017-01-16 2017-09-27 천일계전(주) 엘이디램프 콘몬을 pcb 회로에 스위칭을 적용한 컨트롤스위치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4588B2 (ja) セキュリティー機能が強化されたドアロッ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105408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remote presence security
US20060221183A1 (en) Security surveillance viewing and recording assembly with wireless transmission
US20070019077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122088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US20090059001A1 (en) Remote-control door viewer surveillance system
US20140285659A1 (en) Intelligent central surveillance serv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10053145A (ko) 영상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0120B1 (ko) 공유기 특성과 3g 기능을 가진 원격 감시 시스템
JP200817803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1044031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persistence of forensically relevant video information on space limited storage media
KR101414740B1 (ko) 공통배선을 이용한 영상저장시스템
US20050035858A1 (en) Monitoring system
JP4719874B2 (ja) 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8124873A (ja) 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映像記録装置を用いた防犯監視用カメラシステム
KR101030064B1 (ko)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한 엔브이알과 홈시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홈 네트워킹 시스템.
US20100020177A1 (en) Apparatus for remotely, privately, and reliably monitoring a fixed or moving location, property or asset
JP3955777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90106030A (ko) 보안 시스템
KR101079076B1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cctv 시스템
KR100904748B1 (ko) 도어 감시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도어 개폐시스템
US20050071883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2343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KR200385302Y1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 시스템
KR101667288B1 (ko) 댁내에서의 cctv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