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652B1 -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652B1
KR101414652B1 KR1020120059648A KR20120059648A KR101414652B1 KR 101414652 B1 KR101414652 B1 KR 101414652B1 KR 1020120059648 A KR1020120059648 A KR 1020120059648A KR 20120059648 A KR20120059648 A KR 20120059648A KR 101414652 B1 KR101414652 B1 KR 10141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iv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088A (ko
Inventor
전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6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2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전도성 반도체층; 상기 제 1전도성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위치하는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상기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고, 제 2전도성 InGaN 층을 포함하는 오믹 접합층; 상기 오믹 접합층 상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 상기 제 1전도성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 2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잘 알려진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와 함께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질화 갈륨(GaN)으로 대표되는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폭넓은 밴드갭(0.8 ~ 6.2 eV)을 가지고 있어, LED를 포함한 고출력 전자부품 소자 개발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이에 대한 이유 중 하나는 GaN이 타 원소들(인듐(In), 알루미늄(Al) 등)과 조합되어 녹색, 청색 및 백색광을 방출하는 반도체 층들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방출 파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장치 특성에 맞추어 재료의 특징들에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GaN를 이용하여 광 기록에 유익한 청색 LED와 백열등을 대치할 수 있는 백색 LED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질화물계 반도체는 청색/녹색 레이저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LED)의 제작에 기본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출력 LED는 백색 조명용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어 앞으로 LED 조명으로서의 응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2064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믹 접촉 특성이 개선되어 동작 전압을 낮출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동시에 도펀트 효율과 표면 조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전도성 반도체층; 상기 제 1전도성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위치하는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상기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고, 제 2전도성 InGaN 층을 포함하는 오믹 접합층; 상기 오믹 접합층 상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 상기 제 1전도성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 2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InGaN 층의 In 조성은 Ga 대비 1% 내지 30%인 것이 유리하다.
오믹 접합층은, 상기 제 2전도성 InGaN 층 상에 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캡층은, 제 2전도성 GaN 층일 수 있다.
이때, 캡층의 두께는 0.1 nm 내지 10 nm인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제 2전도성 GaN 층은, 상기 제 2전도성 반도체층보다 전도성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전도성 InGaN 층 및 제 2전도성 GaN 층 중 적어도 하나의 도핑 농도는 1019cm-3 내지 1021cm-3일 수 있다.
제 2전도성 InGaN 층은 상기 제 2전도성 반도체층과 투명 전극 사이의 일함수를 낮추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활성층과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사이에는, 전자 장벽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InGaN 층을 포함하는 오믹 접합층을 구성함으로써 오믹 접촉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캡층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오믹 접촉 특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홀 농도의 저하 및 표면 조직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전극으로 이용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과의 일함수 차이를 줄일 수 있고, 낮은 Mg 효율을 극복할 수 있으며, 더 향상된 표면 조직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 향상되고 안정적인 동작 전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는, 기판(10) 상에 제 1전도성 반도체층(20), 활성층(30) 및 제 2전도성 반도체층(40)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한다.
기판(10)은 이러한 다이오드 구조를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를 성장시키기 위한 성장 기판으로서, 사파이어, 실리콘 카바이드(SiC), 스피넬 등의 기판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패턴을 가지는 사파이어 기판(PSS; patterned sapphire substrate)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패턴을 가지는 사파이어 기판은 발광 소자의 광 추출 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활성층(30)은 양자 장벽층(32) 사이에 양자 우물층(31)이 위치하는 양자 우물 구조(quantum well structure)를 가지며, 이러한 양자 우물 구조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중 양자 우물 구조(multi-quantum well; MQW)를 가질 수 있다.
기판(10)과 제 1전도성 반도체층(20) 사이에는 버퍼층(21)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퍼층(21)은 결함 완화층과 핵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핵층은 기판(10) 상에서 저온으로 성장되어 기판(10) 상에 성장 핵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성장 핵을 통하여 질화물 반도체가 안정적으로 성장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러한 핵층은 Al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25 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함 완화층은 이러한 핵층 상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성장될 수 있으며, 기판(10)과 제 1전도성 반도체층(20) 사이에 전위(dislocation)와 같은 결함의 발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는, 제 1전도성 반도체층(20)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개구부(81)를 가지며, 이 개구부(81)에 제 1전도성 반도체층(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극(80)이 위치하는 수평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전도성 반도체층(40) 상에는 투명 전극(50)이 위치하고, 이 투명 전극(50) 상에는 제 2전극(70)이 위치하여, 이 투명 전극(50)과 제 2전극(70)은 제 2전도성 반도체층(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 2전도성 반도체층(40)과 투명 전극(50) 사이의 전기적 접촉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오믹 접합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1전도성은 n-형이고, 제 2전도성은 p-형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 1전도성이 p-형이 될 수 있고, 제 2전도성은 n-형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믹 접합층(60)은 p-형 반도체층(40)과 투명 전극(50) 사이에서 전기적 접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p-형의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p-형 반도체층(40)은 활성층(30) 상에 형성되어 다이오드 구조를 이루게 되며, 0.03 내지 1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는 조명, 디스플레이, 자동차, 휴대폰 등의 여러 산업에 응용되면서 더 낮은 동작 전압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동작 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p-형 반도체층(40)의 높은 저항으로 인한 개선 요구가 있다.
이러한 p-형 반도체층(40)의 높은 저항으로 인한 동작 전압을 개선하기 위하여 오믹 접합층(60)은 p-형 반도체층(40)과 투명 전극(50) 사이의 일함수(work function) 차이를 낮추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형 반도체층(40)과 투명 전극(50) 사이의 일함수 차이를 낮추기 위하여, 오믹 접합층(60)으로서 p-형 InGaN 층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p-형 InGaN 층은 p-형 도펀트인 마그네슘(Mg)의 효율이 GaN보다 낮으므로, 홀(hole) 농도가 더 저하될 수 있고, 표면 조직도(surface morphology) 또한 GaN 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믹 접합층(60)으로서 p-형 InGaN 층(61)과 함께, 이 p-형 InGaN 층(61) 상에 위치하는 캡층(62)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오믹 접촉 특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홀 농도의 저하 및 표면 조직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오믹 접합층(60)은 p-형 InGaN 층(61) 상에 p-형 캡층(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형 캡층(62)은 p-형 GaN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오믹 접합층(60)을 이용하여, 투명 전극(50)으로 이용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과의 일함수 차이를 줄일 수 있고, p-형 InGaN 층(61)의 낮은 Mg 효율을 극복할 수 있으며, 더 향상된 표면 조직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더 향상되고 안정적인 동작 전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투명 전극(50)과의 일함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p-형 InGaN 층(61)은 0.5 nm 내지 10 n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보다 두꺼우면 오믹 접합층(60)으로서 장점을 살리지 못할 수 있고, 이보다 얇으면 오믹 접합층(60)으로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p-형 InGaN 층(61)의 인듐(In) 조성은 갈륨(Ga) 대비 1% 내지 30%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p-형 InGaN 층(61)의 Mg 농도는 1019cm-3 내지 1021cm-3일 수 있으며, 1020cm-3 내지 1021cm-3 정도로 과 도핑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p-형 InGaN 층(61) 상에 위치하는 캡층인, p-형 GaN 층(62)은 두께가 0.1 nm 내지 10 nm 정도로, p-형 반도체층(4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p-형 GaN 층(62)의 Mg 농도는 1019cm-3 내지 1021cm-3일 수 있으며, 1020cm-3 내지 1021cm-3 정도로 과 도핑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p-형 InGaN 층(61)과 p-형 GaN 층(62) 모두 과 도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p-형 GaN 층(62)은 도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활성층(30)과 p-형 반도체층(40) 사이에는 전자 장벽층(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벽층(90)은 전자가 활성층(30)에서 구속되지 않고 p-형 반도체층(40)으로 넘어가서 발광에 기여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장벽층(90)은 p-형 반도체층(40)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질화 갈륨(GaN)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큰 알루미늄 질화 갈륨(AlGa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발광 소자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기판(10) 위에 반도체 층들을 성장하기 위한 성장법으로는 유기 금속 화학 기상 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HVPE) 또는 분자선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MB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유기 금속 화학 기상 증착법(MOCVD)을 이용하여 성장한 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MOCVD 법을 이용하여 성장하기 위한 소스 가스는, 인듐(In) 소스로서 트리메틸인듐(trimethyl indium; TMI, In(CH3)3)을 사용할 수 있고, 갈륨(Ga) 소스로서는 트리메틸갈륨(TMG) 및/또는 트리에틸갈륨(triethyl galium; TEG)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Al) 소스 가스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trimethyl aluminum; TMAl, Al(CH3)3)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질소(N) 소스 가스로는 암모니아(NH3) 또는 디메틸히드라진(DMHy)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가스를 이용하여 기판(10) 상에 버퍼층(21)을 먼저 형성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퍼층(21)은 핵층과 결함 완화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퍼층(21)은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핵층은 400 내지 600 ℃의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Al, Ga)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AlN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결함 완화층은 이러한 핵층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기판(10)과 n-형 반도체층(20) 사이에서 전위(dislocation)와 같은 결함의 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후, 이러한 버퍼층(21) 상에 n-형 반도체층(20)을 형성한다.
n-형 반도체층(20)은 n-형 전극(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n-형 특성을 띠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콘(Si) 또는 게르마늄(Ge)과 같은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이러한 n-형 반도체층(20) 상에는 활성층(30)을 형성한다. 먼저, 양자 장벽층(31)을 성장시키고, 이어서 양자 우물층(32)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활성층(30)은 양자 장벽층(31) 사이에 양자 우물층(32)이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이러한 양자 우물층(32)은 GaN 또는 InGaN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30)은 이러한 양자 우물층(32)과 양자 장벽층(31)이 다수개 구비되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MQW)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다중 양자 우물 구조 내의 양자 장벽층(31) 들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장벽층, 에너지 밴드갭(energy band-gap)이 더 큰 장벽층, 또는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장벽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양자 우물 구조 내의 양자 장벽층(31)과 양자 우물층(32)의 In 조성 및 각 층의 적층 회수는 발광 소자의 목적으로 하는 발광 파장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활성층(30) 상에는 AlGaN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벽층(9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벽층(90)은 그 두께와 Al 조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 장벽층(90) 상에는 p-형 반도체층(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0.03 내지 1 ㎛의 두께로 형성한다.
p-형 반도체층(40) 상에는 p-형 오믹 접합층(60)을 형성하는데, 먼저, 얇은 두께의 p-형 InGaN 층(61)을 형성하고, 그 위에 얇은 두께의 p-형 GaN 층(62)을 형성한다.
이러한 오믹 접합층(60)의 두께 및 도핑 농도 등의 특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오믹 접합층(60) 상에는 투명 전극(50)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투명 전극(50)은 Ni/Au와 같은 금속 또는 ITO와 같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전극(50) 상에는 p-형 전극(70)을 형성한다. 이 p-형 전극(70)은 리프트 오프와 같은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n-형 반도체층(20)이 드러나도록 개구부(81)를 형성하고, 이렇게 드러난 n-형 반도체층(20) 상에 n-형 전극(80)을 형성한다.
이러한 n-형 전극(80)은 Ti/Al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리프트 오프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기판 20: n-형 반도체층
21: 버퍼층 30: 활성층
40: p-형 반도체층 50: 투명 전극
60: 오믹 접합층 61: p-형 InGaN 층
62: p-형 GaN 층 70: p-형 전극
80: n-형 전극 90: 전자 장벽층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전도성 반도체층;
    상기 제 1전도성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위치하는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상기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고, 제 2전도성 InGaN 층을 포함하는 오믹 접합층;
    상기 오믹 접합층 상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
    상기 오믹 접합층과 투명 전극 사이에 위치하고, 제 2전도성 GaN 층을 포함하는 캡층;
    상기 제 1전도성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 2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nGaN 층의 In 조성은 Ga 대비 1%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접합층 및 캡층은, 홀 농도의 저하 및 표면 조직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층은, 제 2전도성 반도체층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도성 GaN 층은, 상기 제 2전도성 반도체층보다 전도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도성 InGaN 층 및 제 2전도성 GaN 층 중 적어도 하나의 도핑 농도는 1019cm-3 내지 1021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층의 두께는 0.1 nm 내지 1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도성 InGaN 층은 상기 제 2전도성 반도체층과 투명 전극 사이의 일함수를 낮추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과 제 2전도성 반도체층 사이에는, 전자 장벽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20120059648A 2012-06-04 2012-06-04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41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648A KR101414652B1 (ko) 2012-06-04 2012-06-04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648A KR101414652B1 (ko) 2012-06-04 2012-06-04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88A KR20130136088A (ko) 2013-12-12
KR101414652B1 true KR101414652B1 (ko) 2014-08-06

Family

ID=4998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648A KR101414652B1 (ko) 2012-06-04 2012-06-04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6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606B1 (ko) 2005-10-11 2006-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소자
KR20080000098A (ko) * 2006-06-26 2008-01-02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4072A (ko) * 2009-05-18 2010-11-26 (주)더리즈 확산방지층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KR20110126793A (ko) * 2010-05-18 2011-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606B1 (ko) 2005-10-11 2006-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소자
KR20080000098A (ko) * 2006-06-26 2008-01-02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4072A (ko) * 2009-05-18 2010-11-26 (주)더리즈 확산방지층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KR20110126793A (ko) * 2010-05-18 2011-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88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u et al. Enhanced output power of near-ultraviolet InGaN-GaN LEDs grown on patterned sapphire substrates
JP4135550B2 (ja) 半導体発光デバイス
KR20110062128A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JP2005101533A (ja) 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8049A (ja) GaN系半導体発光素子
JP5568009B2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1960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US8431936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type semiconductor structure
KR101747349B1 (ko) 반도체 발광소자
KR100728132B1 (ko) 전류 확산층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KR20090030652A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KR20090053550A (ko) 4원계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7615B1 (ko)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7214378A (ja) 窒化物系半導体素子
US1066575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KR101876576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7969B1 (ko) 자외선 발광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414652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198759B1 (ko) 질화물계 발광 소자
KR101018132B1 (ko) 분극 완화를 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414654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387543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0608919B1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0679B1 (ko)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
KR101641972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