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617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617B1
KR101414617B1 KR1020070106557A KR20070106557A KR101414617B1 KR 101414617 B1 KR101414617 B1 KR 101414617B1 KR 1020070106557 A KR1020070106557 A KR 1020070106557A KR 20070106557 A KR20070106557 A KR 20070106557A KR 101414617 B1 KR101414617 B1 KR 10141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isplay device
housing
front cover
camera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051A (ko
Inventor
안성열
백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6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 회전, 카메라, 화상 채팅, 웹캠, 마찰재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란 외부에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를 갖는다.
상기 카메라는 주로 화상채팅 등의 작업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또는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의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카메라는 주로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영상의 송수신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화상 채팅기능이 가능한 디스플레장치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별개의 제품으로 구비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노트북 또는 핸드폰 등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촬영 대상의 위치 등에 따라 최적의 촬영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상황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장치에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위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 등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 하우징을 상기 전면커버에 매립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각도로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려면,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단지 촬영각도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된 촬영각도를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데 큰 힘이 필요하지도 않도록, 부드럽게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촬영각도의 부드러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조절한 촬영각도가 신뢰성 있게 유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 카메라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전면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면커버 양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전면커버 사이에 개재(介在)되며,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마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는 캡(cap) 형상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재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말단에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관통바가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이 상기 전면커버에 장착 시, 상기 관통바가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부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바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찰재는 유연한 수지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관통바가 삽입되는 삽입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의 표시기능과 함께, 장착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전면커버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간편하고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촬영각도를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촬영각도 조절기능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부에 카메라(300)가 장착된다. 카메라(300)가 장착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200) 등이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300) 역시 패널부(100) 상부에 위치한 전면커버(200)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사용자의 자세, 사용 장소 또는 신체조건 등에 따라서 최적의 촬영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촬영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회전가능하게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카메라 하우징(310)의 길이방향 양단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310)의 원주면에 노출된 렌즈(352)에 의하여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300)는 원통 형상의 카메라 하우징(310) 외부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요철부(3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200)와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200)는 패널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동시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면커버(200)의 배면에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이 장착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3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10)과 장착된 렌즈를 통하여 빛을 모으고, 센서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지탈 데이터화하는 카메라 모듈(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렌즈(352, 도 1 참조)가 노출되도록 렌즈홀(320, 도 1 참조)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전면커버(2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 기 하우징(310)의 일부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방향으로 노출되는 개방구(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커버(200)의 배면에 상기 카메라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200)의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카메라의 전면부가 일부 노출되도록 개방구(22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310)을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가 유지된 상태로 촬영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은 상기 전면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해야 한다.
먼저,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고려하면,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과 디스플레이장치 전면커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용자가 카메라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데 상당한 작동력을 요구하고,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마찰부위에서 마찰에 의한 마모가 진행되어, 유격이 증가하고 결국 상기 하우징(310)은 설정된 촬영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회전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전면커버(200)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간(210)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로서 코일 스프링(330)이 사용되었으나,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전면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탄성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330)이다.
상기 코일 스프링(330)을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의 일단 또는 양단과 수용공간(210)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하여 일정한 압축력이 전면커버의 수용공간(210)의 내측면과 카메라 하우징(310) 측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즉,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과 전면커버(200) 사이의 공차보다 길이가 긴 코일 스프링(330)을 압축된 상태로 삽입하면,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과 전면커버(200)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간(210)의 내측면으로 코일 스프링(330)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자체의 하중의 편심에 의하여, 조절된 각도 이외의 각도로 스스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절된 촬영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300)과 같은 탄성부재를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과 상기 전면커버(200) 사이에, 장착하는 것 외에도 추가적인 마찰재가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전면커버(200)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330)만을 장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코일 스프링(330)의 일단은 상기 카메라(300)의 하우징(310) 측에 접하고, 그 타단은 상기 전면커버 수용공간(21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하우징(310)과 접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회전하고, 타단은 상기 전면커버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방향의 일단은 회전하고, 타단은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한 후에도,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은 상기 코일 스프링(330)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조절한 촬영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스스로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1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310)에 접하는 코일 스프링(330)이 비틀리지 않고 전체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보장하기 위하여 추가된 수단이 마찰재(340)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와 전면커버의 조립관계를 도시하는 확대된 수평 단면도이다.
상기 마찰재(340)는 상기 전면커버의 수용공간(210)의 내측면과 상기 코일 스프링(330)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이 회전하면, 상기 마찰재(340)도 코일 스프링(310)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재(340)의 형상은 캡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재(340)를 캡형상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코일 스프링(330)의 접촉부위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찰재(330)를 캡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330)과 마찰재(340)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될 것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330)의 끝단이 원래의 위치를 이탈하여, 상기 전면커버(200) 배면에 형성된 수용공간(2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330)도 함께 회전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상기 코일 스프링(330)과 접하는 측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330)과 상기 마찰재(340)를 관통하는 관통바(312)가 형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330)과 상기 마찰재(340)를 관통하는 관통바(312)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 상기 코일 스프링(330) 및 상기 마찰재(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바(312)의 단면 형상과 상기 마찰재(340)의 관통홀의 형상이 대응되면,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의 회전시 상기 코일 스프링(330)을 수용하는 마찰재(34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관통바(312)의 단면 형상과 상기 관통홀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도록 하면, 상기 마찰재(340)는 상기 관통바(3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상기 관통바(312)의 단면 형상은 상기 하우징(310)의 회전 모멘트가 마찰재(340)에 전달될 수 있도록, 다각형 등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310), 코일 스프링(330) 및 마찰 재(340)의 분해 사시도와 상기 마찰재(340)의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3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바(312)는 그 단면 형상이 마주보는 한변이 직선 형태인 타원형이다. 상기 마찰재(340)의 관통홀(342)의 형상도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이 회전하면, 상기 관통바(312)에 의하여, 상기 마찰재(340)는 상기 관통바(312)의 회전 모맨트를 받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330)과 상기 전면커버(200)의 수용공간(210)의 내측면 사이에 마찰재(340)를 삽입하는 것으로도 상기 코일 스프링(330)의 전체적인 회전을 도모할 수 있으나, 상기 관통바(310)와 상기 관통홀(342)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 코일 스프링(330) 및 마찰재(340)는 동시에 회전하는 것이 용이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342)을 단순한 홀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방법보다, 상기 관통바(312)의 외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카메라 하우징(310) 측으로, 파이프 형상을 갖는 삽입관(34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관(344)는 상기 관통홀(342)의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바(312)의 회전 모맨트가 상기 마찰재(340)에 전달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상기 마찰재(340)는 유연한 플라스틱, 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부드럽게 카메라 하우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연한 플라스틱, 우레탄 또는 고무 등은 자체의 탄성을 가지고 있 으며, 단단한 재질의 재료보다 마찰에 의한 마모도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촬영각도 조절기능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는 그 카메라 하우징(310)의 외표면에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310)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314)의 형상은 하우징(310)의 원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직선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는 물론 디스플레이장치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독립적인 별도의 거치대 또는 키보드 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는 별도의 거치대 또는 키보드의 하우징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커버와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와 전면커버의 조립관계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코일 스프링 및 마찰재의 분해 사시도와 상기 마찰재의 측면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패널부 200: 전면커버
210: 수용공간 300: 카메라
310: 카메라 하우징 312: 관통바
320: 렌즈홀 330: 코일 스프링
340: 마찰재 342: 관통홀
350: 카메라 모듈 400: 후면커버
500: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9)

  1.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전면커버;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전면커버 양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전면커버 사이에 개재(介在)되며,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마찰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재는 캡(cap) 형상이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그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 말단에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관통바가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이 상기 전면커버에 장착 시, 상기 관통바가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부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바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유연한 수지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카메라 하우징의 외표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관통바가 삽입되는 삽입관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카메라 하우징은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70106557A 2007-10-23 2007-10-23 디스플레이장치 KR10141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57A KR101414617B1 (ko) 2007-10-23 2007-10-23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57A KR101414617B1 (ko) 2007-10-23 2007-10-23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051A KR20090041051A (ko) 2009-04-28
KR101414617B1 true KR101414617B1 (ko) 2014-07-03

Family

ID=4076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557A KR101414617B1 (ko) 2007-10-23 2007-10-23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830B1 (ko) 2011-02-07 2018-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454169B1 (en) 2011-12-30 2021-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8361503A (zh) * 2018-05-21 2018-08-03 苏州腾邦科技有限公司 摄像头视角角度可调节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795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KR100674828B1 (ko) 2004-10-22 2007-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795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KR100674828B1 (ko) 2004-10-22 2007-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051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922B2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90025675A1 (en) Swivel Camera Mount Locking Mechanism
KR20060007956A (ko) 감시용 카메라를 수용하는 카메라 케이스
US7384021B2 (en) Rotation mechanism for televisions
KR100750733B1 (ko) 외장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EP1903781B1 (en) Hinge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690173B1 (en) Rotating mount
KR101414617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52888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ens rotation positioning structure
KR20050103435A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회전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실물화상기
US5801774A (en) Camcorder with detachable and rotatable viewfinder assembly
CN118038750A (zh) 显示设备
US7746581B2 (en) Device for transferring lens
JP4241241B2 (ja) ヒンジ構造及び電子機器
CN112243072A (zh) 支架式摄像装置
KR200492069Y1 (ko) 스마트폰 셀카 그립
JP6459216B2 (ja) 支持構造及び電気機器
CN210274309U (zh) 执法仪
CN210629622U (zh) 支架式摄像装置
CN210831200U (zh) 支架式摄像装置
KR200353389Y1 (ko) 휴대폰의 폴더부 회전각도 고정장치
KR102295194B1 (ko) 전면카메라용 미러 장치
KR20100064552A (ko) 디스플레이장치
JP5040442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1334436B1 (ko) 스위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