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293B1 -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293B1
KR101414293B1 KR1020120144797A KR20120144797A KR101414293B1 KR 101414293 B1 KR101414293 B1 KR 101414293B1 KR 1020120144797 A KR1020120144797 A KR 1020120144797A KR 20120144797 A KR20120144797 A KR 20120144797A KR 101414293 B1 KR101414293 B1 KR 10141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rotary switch
detenting
contactor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6350A (en
Inventor
박규종
조미선
추영신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293B1/en
Publication of KR2014007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 하우징; 상기 레버 스위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샤프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 사이로 상기 레버 샤프트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들 픽싱 노브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동시에 디텐팅 시킬 수 있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switch comprising: a lever switch housing; And a lever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lever switch housing. The lever switch device includes a first rotary switch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lever shaft and outputting a signal change through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haft, A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disposed to be rotatable on the lever shaf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outputting a signal change through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haft, A middle fixing knob disposed and fixed to the lever shaft between the first rotary switch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the middle fixing knob to bias the first rotary switch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hicle detent portion Thereby providing a lever switch device.

Description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외측에 배치되는 레버 스위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성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switch disposed outside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 switch including a rotary switch having a structure that improves the assemblability and enables stable operation.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Typically, a steering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includes a steering wheel, a steering column, a Sterring Roll Connector assembly, and a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The steering wheel is for the driver to set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wheel through the steering column to set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In addition,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has a function as a variety of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various facilities ar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various switches tend to be concentrated in the steer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bility of the driver.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For example, a steering wheel of a currently produced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 steering light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steering light, an audio switch for driving audio, and a wiper switch for driving the wiper.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The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is provided with a light and fog lamp, a wiper, various audio devices, and a vehicle window switch so as to increase the operability of various devices by the driver so as not to lose the frontal attention during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Or as a lever switch on the side of the steering wheel.

근래 자동차의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In recent years, the switch of various functions in a lever switch of a vehicle has shown a tendency to be complexly integrated,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y the increase of functions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a complicated structure is also increased.

한편, 레버 스위치의 경우 레버 스위치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회전을 이루는 로터리 스위치 등이 개재된다. 로터리 스위치의 경우 복합적인 집약 구조로 인하여 복수 개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ever switch, a rotary switch or the like for rotating the shaft about the shaft of the lever switch is interposed. In the case of a rotary switch, it is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otators are rotated around a shaft due to a complex aggregation structure.

이 경우, 로터리 스위치의 로터리 동작을 디텐팅(절도)시키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디텐팅 요소들이 구비되는데, 복합적인 구조의 복수 개의 로터리 스위치의 경우 개별적인 디텐팅 요소들이 조립 결합됨으로써 레버 스위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증대시켜 컴팩트한 구성에 물리적 한계가 수반되었다.In this case, the detent elements are provided to realize an operation of detenting the rotary operation of the rotary switch.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rotary switches of a complex structure, the individual detent elements are assembled and coupled, , Resulting in a physical limit to the compact construction.

또한, 개별적인 디텐팅 요소들이 조립 결합됨으로써 제조시 공정 상 난점이 수반되고 부품 수의 증대에 따른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되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Also, since the individual detenting elements are assembled and coupled, it is accompanied with a problem that a manufacturing difficulty is accompanied by a manufacturing process, and a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결한 동작을 이루도록 복합적인 디텐팅 동작을 단일의 디텐팅 탄성 지지 구조를 통하여 부품수를 감소시켜 조립성 개선하고 오작동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ssembling property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rough a single detenting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to perform a complex detenting operation so as to perform a simple operation,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load on the vehicle.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 하우징; 상기 레버 스위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샤프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 사이로 상기 레버 샤프트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들 픽싱 노브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동시에 디텐팅 시킬 수 있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switch comprising: a lever switch housing; And a lever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lever switch housing. The lever switch device includes a first rotary switch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lever shaft and outputting a signal change through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haft, A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disposed to be rotatable on the lever shaf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outputting a signal change through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haft, A middle fixing knob disposed and fixed to the lever shaft between the first rotary switch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the middle fixing knob to bias the first rotary switch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hicle detent portion Thereby providing a lever switch device.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는: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팅 수용구 및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트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1 디텐팅 컨택터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2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2 디텐팅 컨택터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와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가 형성하는 연통 구조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에서는 상기 제 1 디텐팅 컨택터와, 그리고 타단에서는 상기 제 2 디텐팅 컨택터와 접촉하여 양단에서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각각 디텐팅 동작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vehicular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directional detent portion includes: a first detent receiving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iddle fixing knob facing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a second detent receiving opening formed on the second rotary switch A first det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facing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and a second detent receiving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A bi-directional detent projection including a second deten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facing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and a bi-directional detent protrusion movably received in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A first detent contactor for forming a normally contacting state with the first detent, and a second detent contactor movably received in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A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including a second detenting contactor which forms a normal contact state, and a second detenting contactor movably received in a communication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detenting receptacle and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Wherein the first detent contactor contacts the first detent contactor and the second detent contactor contacts the second detent contactor at the other end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And a detenting elastic portion may be provided.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핀 구조의 컨택터 핀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핀 헤드와, 상기 핀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에 수용 가능한 핀 바디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vehicular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is a fin-type contactor pin-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and the contactor pin-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comprises: A pin head in contact with the detent and the second detent, and a pin body connected to the pin head and accommodated in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art.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캡 구조의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캡 헤드와, 상기 캡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캡 바디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vehicular lever switch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is a contact-cap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a cap structure, and the contactor cap type bidirectional detent contactor comprises: A cap head in contact with the tent and the second detent, and a cap body connected to the cap head and capable of receiving one end of the bi-directional detent elastic portion.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나사산 구조의 캡 바디 스레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lever switch device,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ortion may be a coil spring, and a cap body thread having a threaded structure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bi-directional detent elastic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cap body.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펀칭 굽힘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와 접촉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캡 바디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the cap body may include a cap body rib which is punched inwar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p body to fix the position by contacting with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ortion.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lever switch device, a bidirectional detenting guide may be provided, which protrudes from at least a part of an outer periphery of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ortion.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의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를 단절 개방시키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turning operation of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first lever switch device of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And a bidirectional detent guide opening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turning operation of the rotary switch unit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to disconnect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본 발명에 의하면, 무한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로터리 스위치 노브의 리턴 구조 등을 배제시킴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하고 오작동 가능성을 차단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less rotation operation is enabled, and the return structure and the like of the rotary switch knob are excluded,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ing property and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또한, 교번 배치되는 접속 단자 구조를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 방향을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소정의 설정된 스위치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switch can be quickly and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alternate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thereby realizing a predetermined set operation of the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다른 유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다른 유형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 가이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또 다른 유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또 다른 유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또 다른 유형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idirectional detent contactor of a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a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assembled state of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the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FIG. 5; FIG.
Figures 7 and 8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bidirectional detent contactor guid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yet another type of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a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yet another type of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a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other type of assembling process of a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a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1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측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조등 내지 와이퍼 등의 동작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로서,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10)는 레버 스위치 하우징(101)과, 레버 샤프트(100)를 포함한다. 레버 스위치 하우징(101)은 스티어링 휠(미도시) 측에 배치되고, 레버 샤프트(100)의 일단은 레버 스위치 하우징(101)에 수용되어 소정의 힌지 동작을 통한 레버 틸팅 등의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The lever switch device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device disposed on the side of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d used for adjusting operations of a headlight, a wiper or the like of a vehicle. The lever switch device 10 for a vehicle includes a lever switch housing 101 , And a lever shaft (100). The lever switch housing 101 is disposed on the side of a steering wheel (not shown), and one end of the lever shaft 100 is accommodated in the lever switch housing 101 to enable operation such as lever tilting through a predetermined hinge operation .

레버 샤프트(100)는 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데, 레버 샤프트(100)의 길이를 따라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와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가 배치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200)와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는 레버 샤프트(100)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을 이루는 로터리 동작을 통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킨다.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300 are disposed along the length of the lever shaft 100.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300 are disposed along the length of the lever shaft 100,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300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change through a rotary operation that rotates around the axis of the lever shaft 100.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와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을 포함한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는 레버 샤프트(10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는 레버 샤프트(100)의 관통을 허용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과 연결되고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을 관통하여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연결된다.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200 includes a first rotary switch knob 210, a first rotary switch substrate 220, a first rotary switch cam 230, a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And a movable contact 250. The first rotary switch knob 210 is rotatably disposed at an end of the lever shaft 100. The first rotary switch knob 210 includes a first rotary switch cam 230 for allowing the penetration of the lever shaft 100, And the first rotary switch cam 230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switch actuating block 240 through the first rotary switch board 220.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운전자가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를 회동시키는 경우,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는 레버 샤프트(10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회동력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캠(230)을 거쳐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으로 전달되어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은 소정의 회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driver rotates the first rotary switch knob 210, the first rotary switch knob 210 rotates around the lever shaft 100, and the rotary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otary switch cam 230 to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so that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can receive the predetermined rotary force.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마주하여 배치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은 외부 전기 장치와 배선 등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00)의 일면으로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을 향한 일면에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가 배치된다. The first rotary switch substrate 22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The first rotary switch substrate 220 electrically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electric device through wiring or the like. A first rotary switch fixed contact (not shown)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ry switch substrate 200 facing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제 1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의 대응되는 위치로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의 일면에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이 배치된다.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은 스파이럴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의 사이에서 소정의 탄성 가압 상태를 형성하여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A first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2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rotary switch fixed contact (not shown).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250 is implemented as a spiral spring type and forms a predetermined elastic pressing state between the first rotary switch substrate 220 and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So as to form a state of constant contact with the substrate 220.

이때, 제 1 로터리 스위치 기판(2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은 제 1 로터리 스위치 노브(210)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250)과의 전기적 접점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배제되는 접점 형성 구조를 이룬다. The first rotary switch fixed contact (not show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ry switch substrate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25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250 according to the rotating state of the first rotary switch knob 210 The contact forming structur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to form a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electrical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portion.

또한,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와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과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을 포함한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는 레버 샤프트(100)의 관통을 허용하며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300 includes a second rotary switch knob 310, a second rotary switch substrate 320, and a second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330. The second rotary switch knob 310 is pivotal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ver shaft 100 to allow penetration of the lever shaft 100.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은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340)과 마주하여 하기되는 미들 픽싱 노브(400)와의 사이에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를 두고 대향 배치되는데,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은 외부 전기 장치와 배선 등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00)의 일면으로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340)을 향한 일면에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가 배치된다. The second rotary switch substrate 320 is opposed to the second rotary switch movable block 340 with the second rotary switch knob 310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the middle fixing knob 400 to be opposed thereto, The substrate 320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ical device through wiring or the like. A second rotary switch fixed contact (not shown)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substrate 300 on one surface thereof facing the second rotary switch movable block 340.

제 2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의 대응되는 위치로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의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을 향한 일면에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이 배치된다.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은 스파이럴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과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 사이에서 소정의 탄성 가압 상태를 형성하여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A second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330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knob 310 facing the second rotary switch substrate 320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cond rotary switch fixed contact (not shown). The second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330 is implemented as a spiral spring type so that a predetermined elastic pressing state is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rotary switch substrate 32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knob 310, 320 in a normal contact state.

이때, 제 2 로터리 스위치 기판(3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 고정 접점(미도시)은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제 2 로터리 스위치 가동 접점(330)과의 전기적 접점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형성되고 다른 위치에서는 배제되는 접점 형성 구조를 이룬다. The second rotary switch fixed contact (not show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substrate 320 contacts the second rotary switch movable contact 330 according to the rotating stat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knob 310 The contact forming structur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to form a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electrical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portion.

미들 픽싱 노브(40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들 픽싱 노브(400)는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데, 미들 픽싱 노브(40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제 1 로터리 스위치 가동 블록(240)과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제 2 로터리 스위치 노브(310) 사이에 배치된다. The middle fixing knob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300. More specifically, the middle fixing knob 400 is fixedly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ver shaft 100. The middle fixing knob 400 includes a first rotary switch movable block 240 of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knob 310 of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300.

미들 픽싱 노브(400)의 중앙에는 미들 픽싱 노브 관통구(401)가 형성되는데, 레버 샤프트(100)가 미들 픽싱 노브 관통구(401)를 관통함으로써 미들 픽싱 노브(400)가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픽싱 노브 관통구(401)의 내측에는 미들 픽싱 노브 관통 스톱퍼(403)가 배치되고, 레버 샤프트(100)의 외주에는 레버 샤프트 미들 픽싱 노브 스톱퍼(101)가 형성되는데, 미들 픽싱 노브 관통 스톱퍼(403)와 레버 샤프트 미들 픽싱 노브 스톱퍼(101)가 맞물림으로써 미들 픽싱 노브(400)는 레버 샤프트(100)에 대하여 상대 회동 내지 축방향으로의 병진 운동 없이 레버 샤프트(100) 상에서 위치 고정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middle fixing knob 4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iddle fixing knob 400 so that the middle fixing knob 400 penetrates through the middle fixing knob through hole 401, As shown in FIG. A middle fixing knob penetration stopper 403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middle fixing knob penetration hole 401. A lever shaft middle fixing knob stopper 10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ver shaft 100. A middle fixing knob penetration stopper 403 and the lever shaft middle fixing knob stopper 10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iddle fixing knob 400 is fixed in position on the lever shaft 100 relative to the lever shaft 100 without translational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Lt; / RTI >

미들 픽싱 노브(400)를 중심으로 레버 샤프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회동 상태를 절도시키기 위한 디텐팅 구성요소로서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500)가 구비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500)는 적어도 일부가 미들 픽싱 노브(400)에 관통 배치되어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를 동시에 디텐팅시킬 수 있다. A detenting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turning states of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30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fixing knob 4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shaft 100 The bidirectional detenting unit 500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bidirectional detenting unit 500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middle fixing knob 4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500. [ (300) can be simultaneously detented.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500)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510)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를 포함한다.  The bidirectional detenting unit 500 includes a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unit 410, a bidirectional detenting protrusion 510, a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 and a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unit 530 ).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미들 픽싱 노브(400)에 형성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관통 형성된다. 즉, 레버 샤프트(100)의 축을 따라 외주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400)에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레버 샤프트(100)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미들 픽싱 노브(400)의 일면에서의 관통구와 미들 픽싱 노브(400)의 타면에서의 관통구는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취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는 미들 픽싱 노브(400)를 관통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일측에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를 향한 개구로서 제 1 디텐팅 수용구(411)가 형성되고,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타측에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를 향한 개구로서 제 2 디텐팅 수용구(413)가 형성된다.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ortion 410 is formed in the middle fixing knob 400, and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ortion 410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at is,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ortion 410 formed on the middle fixing knob 400, which is positioned and fixed around the axis of the lever shaft 100,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ver shaft 100 The through-hole formed on the one side of the middle fixing knob 400 and the through-hole on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fixing knob 400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bidirectional descent receiving unit 410 has a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the middle fixing knob 400. The bidirectional descent receiving unit 410 has an opening toward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200 A first detent receiving port 411 is formed and a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413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bidirectional descent receiving portion 410 as an opening towar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300 .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510)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에 대한 미들 픽싱 노브(400)의 각각의 일면과 마주하는 일면 상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510)는 제 1 디텐트(511)와 제 2 디텐트(513)를 포함하는데, 제 1 디텐트(511)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를 마주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제 2 디텐트(513)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를 마주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즉, 제 1 디텐트(511)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의 일면 상으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디텐트(513)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일면 상으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제 2 디텐팅 수용구(413)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bi-directional detent projection 5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iddle rotary knob 400 facing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300,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bi-directional detent projection 510 includes a first detent 511 and a second detent 513, and the first detent 511 includes a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ortion 410 And the second detent 5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part 200 facing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art 4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rst detent 5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ry switch part 200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411 of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art 410, The second detent 5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300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413 of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ortion 410.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520-1,520-2)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1,525)와 제 2 디텐팅 컨텍터(523,527)를 포함하는데, 제 1 디텐팅 컨택터(521,525)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 1 디텐팅 수용구(411)를 통하여 노출되어 제 1 디텐트(51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제 2 디텐팅 컨택터(523,527)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 2 디텐팅 수용구(413)를 통하여 노출되어 제 2 디텐트(513)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 (520-1, 520-2) includes a first detenting contactor 521, 525 and a second detenting contactor 523, 527, the first detenting contactor 521, Is received movably in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art (410) and exposed through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411) to form a normal contact state with the first detent (511), and the second detent contactor 523 and 527 are movably received in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art 410 and exposed through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413 to form a normal contact state with the second detent 513. [

이와 같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즉,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은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제 2 디텐팅 수용구(413)가 형성하는 연통 구조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에서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1,525)와, 그리고 제 2 디텐팅 수용구(413) 측의 타단에서는 제 2 디텐팅 컨택터(523,527)와 접촉하여 양단에서 제 1 로터리 스위치부(200)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300)를 각각 디텐팅 동작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는데, 길이 상의 양방향으로의 탄성 지지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ortion 530. That is,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art 530 is movably received in the communication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411 and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413, Contactors 521 and 525 and the second detenting contactors 523 and 527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413 to contact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200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300 are detachably operable. In this embodiment,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 is implemented as a coil spring,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forms an elastic support structure in both directions on the lengt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핀 구조인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1)로 구현된다. 즉,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1)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1)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3)에 동일하게 구현된다.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1)의 제 1 디텐팅 컨택터(521)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3)는 핀 헤드(521a,523a)와 핀 바디(521b,523b)를 포함하는데, 핀 헤드(521a,523a)는 각각 제 1 디텐트(511)와 제 2 디텐트(513)에 각각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핀 바디(521b,523b)는 핀 헤드(521a,523a)로부터 연결되되 바디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수용 가능한 반경을 구비하고 핀 헤드(521a,523a)와 함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동일 평면 상에 투영시 핀 헤드(521a,523a)보다 작은 유효 면적을 갖는다.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contactor pin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1 having a fin structure. That is, the contactor pin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1 is equally implemented in the first detent contactor 521 and the second detent contactor 523. The first detenting contactor 521 and the second detenting contactor 523 of the contactor pin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1 are connected to the pin heads 521a and 523a and the pin bodies 521b The pin heads 521a and 523a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detent 511 and the second detent 513 respectively and the pin bodies 521b and 523b are in contact with the pin head 521b and 523b, The pin head 521a and 523a and the pin head 521a and 523a and the pin head 521a and 523a and the pin head 521a and 523a and the pin head 521a and 523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ody direction detenting elastic part 530, 523a.

핀 바디(521b,523b)가 단일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의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양단에서 탄성 수용 지지되는 구조를 단일의 구조를 통한 양방향에서의 로터리 스위칭 회전 동작에 대한 디텐팅 작동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pin bodies 521b and 523b are elastically received and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bidirectional descent elastic part 530 by a single bidirectional descent elastic part 530 is referred to as a rotar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detent operation state for the switching rotation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는 캡 구조인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2)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2)는 제 1 디텐팅 컨택터(525)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7)에 동일하게 구현되는데,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2)의 제 1 디텐팅 컨택터(525)와 제 2 디텐팅 컨택터(527)는 캡 헤드(525a,527a)와 캡 바디(525b,527b)를 포함하는데, 캡 헤드(525a,527a)는 각각 제 1 디텐트(511)와 제 2 디텐트(513)에 각각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캡 바디(525b,527b)는 캡 헤드(525a,527a)로부터 연결되되 바디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일단을 수용 가능한 반경을 구비하여 바디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Meanwhile,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2 of a contactor cap type which is a cap structure. That is, the contactor cap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2 is equally implemented in the first detent contactor 525 and the second detent contactor 527, The first detenting contactor 525 and the second detenting contactor 527 of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2 include the cap heads 525a and 527a and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form the cap heads 525a and 527a and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form the cap bodies 525a and 527b, respectively. The cap bodies 525a and 527a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detents 511 and the second detents 513, And has a radius capable of receiving one end of the body direction descent elastic part 530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body direction descent elastic part 530. [

캡 바디(525b,527b)가 단일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의 양단을 수용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에 의하여 탄성 수용 지지되는 구조를통한 양방향에서의 로터리 스위칭 회전 동작에 대한 디텐팅 작동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receive both ends of the singl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art 530 and are elastically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art 530, A detenting operation state for the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이러한 컨택터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다른 변형예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는 코일 스프링이고, 캡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3)는 캡 헤드(525a,527a)와 캡 바디(525b,527b)를 포함하는데, 캡 바디(525b,527b)의 내측에는 캡 바디 스레드(528)가 형성된다. 캡 바디 스레드(528)는 캡 바디(525b,527b)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 구조로서, 캡 바디 스레드(528)에 코일 스프링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3)의 단부가 삽입 안내되는 구조를 취하여 양자 간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Such a contact cap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may further include other modifications. To simplify the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member 530 is a coil spring and the cap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3 includes cap heads 525a and 527a and cap bodies 525b and 527b, A cap body thread 528 is formed inside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The cap body thread 528 is a threaded structure formed inside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so that the ends of the coil spring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3 are inserted into the cap body thread 528 It is possible to take a guided structure and improve the assemblability between them.

또한, 경우에 따라 캡 바디(525b,527b)에 캡 바디 리브(529)가 형성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캡 바디 리브(529)는 캡 바디(525b,527b)의 외주에 내측을 향하여 펀칭 굽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캡 바디 리브(529)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와 접촉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를 위치 고정시켜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4)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530) 간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cap body 525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cap body ribs 529 are formed on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That is, the cap body ribs 529 are punched outwardl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p bodies 525b and 527b, and the cap body ribs 529 are in contact with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ortions 530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art 530 is fixed to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4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4 and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art 530,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It is possible to take a structure to promote.

한편, 본 발명의 미들 픽싱 노브(400)에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들 픽싱 노브(400)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410)의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제 2 디텐팅 수용구(413)를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가 형성된다.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520;520-1;520-2)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디텐팅 수용구(411)와 제 2 디텐팅 수용구(413)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는 미들 픽싱 노브(400)의 회동 중심으로부터의 원주 방향으로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416)이 형성되는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416)은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415)의 연속 구조를 단속 개방시켜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디텐팅 동작을 이루도록 하고,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의 스톱핑 기능을 통하여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의 원치 않는 이탈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가 반경 방향으로의 불필요한 위치 이탈 등을 방지하고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416)이 소정의 유격을 허용하여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레버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회동을 이루는 경우 원주 방향으로의 로터리 회동 작동시 안정적인 디텐팅 동작을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middle fixing knob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for guiding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7 and 8,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411 and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413 of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ortion 410 of the middle fixing knob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bi-directional detent guide 415 protruding in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The bidirectional detenting guide 415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bidirectional detenting guide 415 guide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520 Thereby forming a surrounding structure.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415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411 and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413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middle fixing knob 400 A bending direction detent guide opening 416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ending direction detent guide 416. The bending direction detent guide opening 416 opens and closes the continuous structure of the bending direction detent guide 415, So that the stable deten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unwanted detachment of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stopping fun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thereby enhancing durability. That is,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prevents unnecessary positional devia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opening 416 permits the predetermined clearance, so that the lever of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lever of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When the shaft is rotated about the shaft, stable detent operation can be realized in the rotary rotation oper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100...레버 샤프트 200...제 1 로터리 스위치부
300...제 2 로터리 스위치부 400...미들 픽싱 노브
500...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 510...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
520...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
10 ... lever switch device for a vehicle
100 ... Lever shaft 200 ... First rotary switch part
300 ... second rotary switch unit 400 ... middle fixing knob
500 ... bidirectional detenting portion 510 ... bidirectional detenting projection
520 ... Bidirectional detent contactor

Claims (8)

레버 스위치 하우징; 상기 레버 스위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샤프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레버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 샤프트에 대한 축회동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 사이로 상기 레버 샤프트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미들 픽싱 노브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들 픽싱 노브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동시에 디텐팅 시킬 수 있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부는: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팅 수용구 및 상기 미들 픽싱 노브의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를 마주하는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디텐트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돌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1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1 디텐팅 컨택터 및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 2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제 2 디텐팅 컨택터를 포함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와, 상기 제 1 디텐팅 수용구와 상기 제 2 디텐팅 수용구가 형성하는 연통 구조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에서는 상기 제 1 디텐팅 컨택터와, 그리고 타단에서는 상기 제 2 디텐팅 컨택터와 접촉하여 양단에서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를 각각 디텐팅 동작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Lever switch housing; And a lever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lever switch housing,
A first rotary switch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lever shaft and outputting a signal change through an axi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shaft; a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disposed rotatably on the lever shaf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 middle locking knob positioned and fixed to the lever shaft between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And a bidirectional detent unit disposed in the middle fixing knob to detent the first rotary switch unit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at the same time,
The bidirectional detent unit includes: a first detent receiving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iddle fixing knob facing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a second detent receiving opening formed on a surface of the middle fixing knife facing the second rotary switching portion, A first deten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facing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and a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opposed to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And a second detent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switch unit, the second detent protrusion being movably received in the first detent receiving port and forming a normal contact state with the first detent, And a second detenting contactor movably received in the second detent receiving port and forming a normal contact with the second detent, The first detenting contactor being movably received in a communication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detenting receptacle and the second detenting receptacle, the first detenting contactor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detenting contactor at one end, And a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so that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are detentably operabl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detenting contactor at both ends thereof. Switch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핀 구조의 컨택터 핀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핀 타입의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핀 헤드와,
상기 핀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에 수용 가능한 핀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is a pin-type contactor pin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The contactor pin type bidirectional detent contactor comprises:
A pin head in contact with the first detent and the second detent, respectively,
And a pin body connected to the pin head and accommodated in the bi-directional detent elastic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캡 구조의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이고,
상기 컨택터 캡 타입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컨택터는:
각각 상기 제 1 디텐트 및 상기 제 2 디텐트와 접촉하는 캡 헤드와,
상기 캡 헤드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캡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is a contact-cap type bidirectional detenting contactor of a cap structure,
The contactor cap type bidirectional detent contactor comprises:
A cap head in contact with the first detent and the second detent, respectively,
And a cap body connected to the cap head and capable of receiving one end of the bi-directional detent elastic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나사산 구조의 캡 바디 스레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i-directional detenting elastic portion is a coil spring,
And a cap body thread having a threaded structure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bi-directional detent elastic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cap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펀칭 굽힘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탄성부와 접촉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캡 바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ap body rib which is punched outwardl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p body to contact and fix the position with the bi-directional detent elastic portion.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수용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And a bi-directional detent guide protruding from at least a part of an outer periphery of the bi-directional detent receiving pa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는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의 상기 제 1 로터리 스위치부 및 상기 제 2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회동 동작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를 단절 개방시키는 바이 디렉셔널 디텐팅 가이드 오프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turning operation of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first rotary switch portion and the second rotary switch portion of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Further comprising a bi-directional detent guide opening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turn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to disconnect the bi-directional detent guide.

KR1020120144797A 2012-12-12 2012-12-12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KR101414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97A KR101414293B1 (en) 2012-12-12 2012-12-12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97A KR101414293B1 (en) 2012-12-12 2012-12-12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50A KR20140076350A (en) 2014-06-20
KR101414293B1 true KR101414293B1 (en) 2014-08-06

Family

ID=5112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97A KR101414293B1 (en) 2012-12-12 2012-12-12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2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21B1 (en) 2014-06-23 2020-12-09 주식회사 만도 Inverter hou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9150A (en) 2002-02-22 2003-09-05 Tokai Rika Co Ltd Lever switch device
KR100797607B1 (en) 2006-12-27 2008-01-2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Lever switch
JP2009026664A (en) 2007-07-20 2009-02-05 Niles Co Ltd Lever swi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9150A (en) 2002-02-22 2003-09-05 Tokai Rika Co Ltd Lever switch device
KR100797607B1 (en) 2006-12-27 2008-01-2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Lever switch
JP2009026664A (en) 2007-07-20 2009-02-05 Niles Co Ltd Lever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50A (en)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75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US9679717B2 (en) Switch device
JP6674540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EP3062325B1 (en) Switch device
US7488907B2 (en) Lever switch device
US4191866A (en) Three-function switch for a motorcycle
KR101414293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KR101373972B1 (en) Switching unit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US4321437A (en) Operating lev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switch
KR101521430B1 (en) Scroll Switch Knob for vehicles
US7482545B2 (en) In-vehicle knob switch
KR20180042517A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101435283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JP2004014457A (en) Switching device
KR20150070830A (en)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KR20150116056A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101271313B1 (en) Lever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KR100828199B1 (en) Lever switching device
KR200470878Y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100862001B1 (en) Wiper switch
KR101555378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20120035474A (en) Tiltable switching unit
JP4481784B2 (en) Lever switch device for vehicle
KR100947171B1 (en) Non-contact type rotary switching device
KR100929323B1 (en) Mirror swit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