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966B1 -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966B1
KR101413966B1 KR1020120144474A KR20120144474A KR101413966B1 KR 101413966 B1 KR101413966 B1 KR 101413966B1 KR 1020120144474 A KR1020120144474 A KR 1020120144474A KR 20120144474 A KR20120144474 A KR 20120144474A KR 101413966 B1 KR101413966 B1 KR 10141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pper rail
vehicle
link bracket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6191A (en
Inventor
이종찬
길민이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to KR102012014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966B1/en
Publication of KR2014007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9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r a vehicle for protecting the neck of a vehicle occup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type headrest for a vehicle which is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using a slide coupling structure.

Description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for a vehicle for protecting a neck of a vehicle occup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type headrest for a vehicle which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using a rail coupl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 시 안락감을 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후방 추돌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 발생 시 탑승자를 충분히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In general, a seat provided in a vehicle should not only provide comfort during sitting, but also should protect the occupant sufficient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rear-end collision.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ack),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t for a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a lower body of a passenger, a seat back for supporting an upper body of a passenger, and a seat back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back so as to be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And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headrest.

한편, 정차중인 차량이 후방 추돌을 당하는 사고에서는 탑승자의 목 부위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이를 휘프래쉬 상해(whiplash injury)라 부른다. 이러한, 휘프래쉬 상해 즉 목 부위의 상해는 착석자의 상체와 머리 사이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후방 추돌시 시트 백의 충격으로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머리는 그 자리에 있으려 하여 목 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은 목의 관절 및 근육에 급격한 충격을 미침은 물론 목 부위 관절의 상해까지 초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ear-end collision of a vehicle in a stopped state, the neck portion of a passenger is frequently injured. This is called a whiplash injury. This injury, or whiplash injury, is known to be caused by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head of the seated person, so that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person moves forward due to the impact of the seat back during the rear collision, The shear force acts on the neck region, and this shearing force not only causes a sudden impact on the joints and muscles of the neck but also causes injuries to the neck joints.

이를 예방하기 위해, 추돌 사고 시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가 구성되며, 이러한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headres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head of the seated pers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d the headrest is used to reduce the neck of the seated person as much as possible.

종래에는 착석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차량의 전후방 측으로 조절 가능한 기술이 공지된 바 있으며, 틸팅장치에 의해 축 회전되는 헤드레스트 구조가 주종을 이루었다. 상술된 축회전 식 헤드레스트는 회전축이 형성된 하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만 원호를 이루며 전후 회동하기 때문에 조절 폭이 그리 넓지 않은 단점이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technique has been known in which a headrest can be adjus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hysical condition of a seated person, and a headrest structure that is rotated by a tilting device is the main type. The above-described shaft rotating type headres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djustment width is not so wide because the lower portion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forms an arc only in the upper state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따라서 수평이동식 헤드레스트를 적용하되, 적은 하중을 가해도 동작되어 조작이 용이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headrest for a vehicle which is easy to operate by applying a horizontal movable headrest, even when a small load is applied.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8617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1086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후방으로 수평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성하며, 시트 백에 고정되는 하부레일과, 헤드부에 고정되어 차량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상부레일을 레일 구조로 연결하여 슬라이드 접촉 면적을 최소화한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rest which can be horizontally adjusted forward and backward of a vehicle and includes a lower rail fixed to the seat back, And an upper rail which is slid forward and backward is connected by a rail structure to minimize a sliding contact area.

또한, 단수의 로킹 부재를 통해 상부레일을 제어함으로써, 상부레일 로킹 시 유격을 최소화한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l-type headrest for a vehicle that minimizes the clearance at the time of locking the upper rail by controlling the upper rail through a single locking member.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는, 지지대에 고정되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일을 포함하는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레일에 대응되는 제2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한다.The head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rail fixed to a support and including a first rail formed along a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rail on which a second rai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is formed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lower rail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 locking part for moving or fixing the upper rail at regular intervals; .

이때,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하부레일의 상단부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상부레일의 상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상부레일의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에 레일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rai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rail, and the second rai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bod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rail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rail, 1 rail.

또한, 상기 로킹부는, 상기 상부레일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하부레일에 구비되는 링크브래킷; 상기 링크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로킹플레이트;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맞물려 상기 상부레일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상부레일에 구비되는 래칭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하부레일 상의 차량 전방 끝단까지 이동했을 때 차량 후방 끝단으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 를 포함한다.The 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link bracket provided on the lower rail to lock or unlock a linear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rail. A locking plate hinged to the link bracket; A latch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rail to engage the locking plate to lock or unlock the upper rail; And a return member returning to the rear end of the vehicle when the upper rail is moved to the vehicle front end on the lower rail; .

또한, 상기 링크브래킷은, 상기 링크브래킷의 측면과, 상기 하부레일의 측면을 관통하는 리벳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Further, the link bracket is joined by a side surface of the link bracket and a rivet or bolt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rail.

또한, 상기 래칭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맞물리도록 투스가 형성되며, 상기 래칭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면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면은 하면이 상기 상부레일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투스는 상기 상부레일의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레일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을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latching plate is formed with a tooth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late. A coupling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upper rail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atching plate. The coupling surface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rail And the toot is formed in the upper rail through the slit formed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ail.

아울러, 상기 리턴부재는, 상기 하부레일의 측면을 관통하는 리벳 또는 볼트에 끼움 고정되는 탄성체로 되며,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레일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return member may be an elastic body fitted and fixed by rivets or bolts passing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lower rail, one end fixed to the link bracke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rail.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는, 레일 형 슬라이드 구조를 통해 헤드레스트가 차량 전후방을 따라 적은 하중으로도 슬라이드 가능하여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the rail-type headres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rest can be slid evenly along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with a small load through the rail-type slide structure.

또한, 헤드레스트의 상부 및 하부가 동시에 슬라이드 되는 수평 이동식을 적용하여 조절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효과가 있다.Further, the horizontal moving ty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drest are simultaneously slidable is applied, so that the adjustment width is relatively wide.

아울러, 하부레일과, 상부레일이 레일 구조로 맞물려 슬라이드 되며, 단수의 로킹 부재를 통해 상부레일의 로킹을 제어하여 헤드레스트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유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are slidab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a rail structure, and the locking of the upper rail is controlled through a single locking member, thereby minimizing the shaking of the headrest and preventing the cl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레일, 링크브래킷, 로킹플레이트 및 리턴부재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레일, 마운팅브래킷 및 래칭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로킹부 및 치합부 작동상태 측면도 (초기 이동 시)
도 5b는 본 발명의 로킹부 및 치합부 작동상태 측면도 (리턴 이동 시)
도 6a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 (초기 위치 시)
도 6b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 (이동 시)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er rail, a link bracket, a locking plate, and a retur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rail,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latch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side view (during initial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and the m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side view (in return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and the m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side view (in an initial position) of the headrest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side view (moving) of the headrest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0)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00)는 시트 백의 상단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100)의 상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대(100)와, 지지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지지대(100)와 헤드부(미도시)를 연결하는 프레임(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tire headres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headrest 10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back 100 to allow the headrest 100 to be adjusted up and down. The headrest 10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0, And a frame 200 connecting the head unit (not shown).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0)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크게 슬라이드부(210, 220, 230)와, 로킹부(240, 250, 260, 270)로 구성될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frame 200 can be largely composed of the slide portions 210, 220 and 230 and the locking portions 240, 250, 260 and 270.

슬라이드부(210, 220, 230)는, 지지대(100)에 고정되는 하부레일(210)과, 하부레일(210)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레일(220)과, 상부레일(220)과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마운팅브래킷(23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슬라이드부(210, 220, 230)는 지지대(100)에 연결되는 상기 헤드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The slide units 210, 220 and 230 include a lower rail 210 fixed to the support base 100, an upper rail 220 installed on the lower rail 210 to linearly slide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unting bracket 230 connecting the head unit 220 and the head unit. The slide portions 210, 220, and 2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100 slides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로킹부(240, 250, 260, 270)는, 상부레일(220)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하부레일(210)에 구비되는 링크브래킷(240)과, 링크브래킷(240)에 구비되는 로킹플레이트(250)와, 상부레일(220)에 결합되는 래칭플레이트(260)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레일(22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로킹부(240, 250, 260, 270)는, 지지대(100)에 연결되는 헤드부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e locking portions 240, 250, 260 and 270 are provided on the link bracket 240 provided on the lower rail 210 and on the link bracket 240 so as to lock or unlock the linear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rail 220. [ And a latching plate 260 coupled to the upper rail 220. It further includes a return member 270 for returning the upper rail 220 to its initial position. The locking portions 240, 250, 260, and 27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configured to move and fix the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100 to a desired position.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00)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ram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는 하부레일(210), 링크브래킷(240), 로킹플레이트(250) 및 리턴부재(27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레일(210)은 제1 몸체(21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1 몸체(210a)의 하단을 제1 연결몸체(210b)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연결몸체(210b)에는 하측에 지지대(100)와의 결합을 위한 지지대 결합부(211)가 형성되며, 지지대 결합부(211)는 지지대(10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210a)의 상단부 외면에는 차량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레일(212)이 형성된다. 제1 레일(212)은, 후술되는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의 제2 레일(222, 도 4 참조)이 끼워져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의 슬라이드가 더욱 용이하도록 제1 레일(212)과 상부레일(220, 도 4 참조) 사이에는 베어링부(213)가 구비된다. 베어링부(213)는 볼베어링과 리테이너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1 몸체(210a)의 하단 중앙에는 링크브래킷(240)의 리벳 결합을 위한 제1 리벳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rail 210, the link bracket 240, the locking plate 250, and the return member 270. As shown in FIG. 3, the lower rail 210 includes a pair of first bodies 210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ower end of the pair of first bodies 210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ody 210b do. The first connection body 210b is formed with a support frame coupling portion 211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frame 100 on the lower side and the support frame coupling portion 211 can be welded to the support frame 100. [ A first rail 21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210a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ail 212 is structured such that the second rail 222 (see FIG. 4) of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slid. A bearing portion 21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ail 212 and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to facilitate sliding of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The bearing portion 213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ball bearing and a retainer. A first rivet hole 214 for riveting the link bracket 240 may be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first body 210a.

링크브래킷(240)는 하부레일(210)에 수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링크브래킷(240)은 제2 몸체(240a)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몸체(240a)의 차량 후측단을 제2 연결몸체(240b)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2 몸체(240a)에는 하단에 제1 연결몸체(210b)의 상측과의 결합을 위한 하부레일 결합부(241)가 형성되며, 하부레일 결합부(241)는 제1 연결몸체(210b)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240a)의 하단 중앙에는 하부레일(210)과의 리벳 결합을 위한 제2 리벳홀(242)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레일(210)과 링크브래킷(240)은 용접 결합 및 제1 리벳(R1)을 통한 리벳 결합을 통해 더욱 견고히 결합되며,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이 링크브래킷(240)에 구비되는 로킹플레이트(250)를 통해 로킹되었을 때 링크브래킷(240)의 유격 발생을 최소화 한다. 제2 몸체(240a)의 상부에는 로킹플레이트(250)의 결합을 위한 제3 리벳홀(243)이 관통 형성되며, 제2 리벳(R2)을 통해 로킹플레이트(2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240a)의 제2 리벳홀(242) 상측에는 탄성부재(254)의 타단이 끼워지도록 제1 탄성부재홀(245)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홀(245)은 한 쌍의 제2 몸체(240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nk bracket 240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and coupled to the lower rail 210. The link bracket 240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the second bodies 240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240b connects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second bodies 240a. A lower rail coupling portion 241 for coupling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body 210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240a and a lower rail coupling portion 24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body 241 to the first coupling body 210b Welded. A second rivet hole 242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second body 240a for riveting with the lower rail 210. The lower rail 210 and the link bracket 240 are more firmly coupled through the welding connection and the rivet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rivet R1 and the upper rail 220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learance of the link bracket 240 when locked through the locking plate 250. [ A third rivet hole 243 for engaging the locking plate 25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40a and may be coupled with the locking plate 250 through the second rivet R2. A first elastic member hole 245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rivet hole 242 of the second body 240a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54 is inserted. The first elastic member hole 245 may be formed in one or both of the pair of second bodies 240a.

로킹플레이트(250)는 두께가 있는 판상으로 되며, 상측에 래치기어(251)가 형성된다. 로킹플레이트(250)는 한 쌍의 제2 몸체(240a)에 끼워져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브래킷(240)에 결합된다. 로킹플레이트(250)의 하측에는 제2 몸체(240a)의 제3 리벳홀(243)과, 힌지 결합을 위한 제4 리벳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벳홀(252)의 하측에는 탄성부재(254)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제2 탄성부재홀(253)이 관통 형성된다.The locking plate 250 has a plate shape with a thickness, and a latch gear 25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locking plate 250 is engaged with the link bracket 240 so as to be hinged on the pair of second bodies 240a. A third rivet hole 243 of the second body 240a and a fourth rivet hole 252 for hinge coupling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late 250. [ A second elastic member hole 253 is formed through the fourth rivet hole 252 such tha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54 is inserted.

탄성부재(254)는 로킹플레이트(25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로킹플레이트(250)와, 제2 몸체(240a)의 내면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부재(254)는 한 쌍의 제2 몸체(240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54)는 'C' 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의 일단부(254a)는 로킹플레이트(250) 측으로 절곡되어 제2 탄성부재홀(253)에 끼워진다. 탄성부재의 타단부(254b)는 제2 몸체(240a) 측으로 절곡되어 제1 탄성부재홀(245)에 끼워진다. 탄성부재의 타단부(254b) 끝단은 한 번 더 절곡되어 제1 탄성부재홀(245)에서 탄성부재(25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elastic member 254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plate 25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locking plate 25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40a. The elastic member 254 may be provided on one or both of the pair of second bodies 240a. The elastic member 254 is made of a C-shaped spring. The one end 254a of the elastic member is bent toward the locking plate 250 and is fitted in the second elastic member hole 253. [ The other end 254b of the elastic member is bent toward the second body 240a and is fitted in the first elastic member hole 245. [ The end of the other end 254b of the elastic member is once again bent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254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hole 245. [

리턴부재(270)는 토션 스프링으로 되며, 제1 리벳(R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리턴부재(270)의 일단은 링크브래킷(2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에 고정되어 링크브래킷(240)과,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The return member 270 is a torsion spring and can be fitted to the first rivet R1. One end of the return member 270 is fixed to the link bracket 24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link bracket 240 and the upper rail 220 .

도 4에는 상부레일(220), 마운팅브래킷(230) 및 래칭플레이트(26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레일(220)은, 판상으로 되는 제3 몸체(220a)와, 제3 몸체(220a)의 차량 전후방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강도 보완부(221)와, 제3 몸체(220a)의 차량 좌우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몸체(220b)로 구성된다. 강도 보완부(221)는 상부레일(220)이 하부레일(210)에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레일(210) 및 상부레일(220)이 외부 충격 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강도 보완부(221)는 제3 몸체(220a)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레일몸체(220b)의 내면에는 제2 레일(222)이 형성된다. 제2 레일(222)은 차량의 전후방을 따라 형성되며, 상술된 제1 레일(212, 도 3 참조)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레일(222)은 제1 레일(212, 도 3 참조)과의 결합을 통해 상부레일(220)이 하부레일(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 몸체(210a, 도 3 참조)의 상단 외면에 레일몸체(220b)의 내면이 레일 결합될 수 있다. 제3 몸체(220a)에는 차량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을 관통하는 래칭플레이트 슬릿(223)이 형성되고, 마운팅브래킷(230) 및 래칭플레이트(260)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1 볼트홀(224) 및 제4 리벳홀(225)이 형성된다. 상부레일(220)에는 래칭플레이트(260)와, 마운팅브래킷(230)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다. 이때, 웰드 볼트(B)가 상부레일(220)의 제1 볼트홀(224)에 용접 고정되고, 웰드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상부레일(220), 래칭플레이트(260) 및 마운팅브래킷(230)이 볼트 결합된다. 또한, 제4 리벳홀(225)에는 마운팅브래킷(230)이 맞닿아 제3 리벳(R3)을 통해 상부레일(220)과 마운팅브래킷(230)이 리벳 결합될 수 있다.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rail 220, the mounting bracket 230 and the latching plate 260. The upper rail 220 includes a third body 220a in the form of a plate,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2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hird body 220a, And a rail body 220b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downward.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21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ower rail 210 and the upper rail 220 from being deformed during an external impact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rail 22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lower rail 210.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21 may extend outwardly of the third body 220a and be bent downward. A second rail 22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body 220b. The second rail 222 is formed alo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rail 212 (see Fig. 3) described above. The second rail 222 also prevents the upper rail 2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lower rail 210 through engagement with the first rail 212 (see FIG. 3).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body 220b may be rail-coupl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10a (see FIG. 3). A latching plate slit 223 is formed in the third body 220a at a cente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bolt holes 224 for coupling the mounting bracket 230 and the latching plate 260 And a fourth rivet hole 225 are formed. A latching plate 260 and a mounting bracket 23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rail 220. At this time, the weld bolts B are welded and fixed to the first bolt holes 224 of the upper rail 220, and the upper rails 220, the latching plates 260, The mounting bracket 230 is bolted. The mounting bracket 230 abuts on the fourth rivet hole 225 so that the upper rail 220 and the mounting bracket 230 can be riveted through the third rivet R3.

마운팅브래킷(230)은 판상으로 되는 제4 몸체(230a)와, 제4 몸체(230a)의 차량 좌우측 방향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헤드부 연결몸체(230b)가 형성된다. 헤드부 연결몸체(230b)에는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에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마운팅브래킷(230)이 회동하게 된다. 제4 몸체(230a)는 래칭플레이트(260)가 맞닿아 결합되는 래칭플레이트면(231)과, 상부레일(220)이 맞닿아 결합되는 상부레일면(232)이 형성될 수 있다. 래칭플레이트면(231)에는 래칭플레이트(260)와의 볼트 결합을 위한 제2 볼트홀(233)이 형성되고, 상부레일면(232)에는 상부레일(220)과의 리벳 결합을 위한 제5 리벳홀(234)이 형성된다.The mounting bracket 230 has a fourth body 230a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air of head connecting bodies 230b extending upward in the vehicl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ourth body 230a. The head part is coupled to the head connecting body 230b, and the mounting bracket 230 is rotated as a load is applied to the head part. The fourth body 230a may be formed with a latching plate surface 231 to which the latching plate 260 is abutted and an upper rail surface 232 to which the upper rail 220 is abutted. A second bolt hole 233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latching plate 260 is formed on the latching plate surface 231. A fifth rivet hole 233 for riveting the upper rail 220 is formed on the upper rail surface 232, (234) are formed.

래칭플레이트(260)는 판상으로 상부레일(220)과, 마운팅브래킷(230)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래칭플레이트(260)의 하단에는 투스(261)가 형성되며, 투스(261)는 상부레일(220)에 형성되는 래칭플레이트 슬릿(223)을 관통하여 제3 몸체(220a)의 하방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래칭플레이트(260)의 상단은 차량의 좌우측으로 절곡되어 상부레일(220)과, 마운팅브래킷(230) 사이에 끼워지는 결합면(262)이 형성된다. 결합면(262)에는 상부레일(220) 및 마운팅브래킷(230)과의 볼트 결합을 위한 제3 볼트홀(263)이 형성된다. 이때 차량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결합면(262)은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절곡되고, 차량의 후방 측에 형성되는 결합면(262)은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중 다른 한 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The latching plate 260 may be installed in a plate-like manner between the upper rail 220 and the mounting bracket 230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 tooth 26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atching plate 260. The tooth 261 penetrates through the latching plate slit 223 formed in the upper rail 220 and is exposed under the third body 220a do. The upper end of the latching plate 260 is b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to form a coupling surface 262 that is fitted between the upper rail 220 and the mounting bracket 230. The coupling surface 262 is formed with a third bolt hole 263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upper rail 220 and the mounting bracket 230. At this time, the engaging surface 262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is bent to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engaging surface 26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is bent to the other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vehicle .

도 5에는 로킹플레이트(250), 래칭플레이트(260) 및 치합부(255, 265, 266)의 작동상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치합부(255, 265, 266)는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이 차량 전방 측 최대 조절 범위 이상으로 슬라이드 되었을 때, 로킹플레이트(250)의 래치기어(251)와, 래칭플레이트(260)의 투스(261)의 치합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며, 리턴부재(270, 도 3 참조)를 통해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이 차량 후측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5 shows an operating state side view of the locking plate 250, the latching plate 260, and the mating portions 255, 265, 266. When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is slid over the vehicle front-side maximum adjustment range, the latching gear 251 of the locking plate 250 and the latching plate 260 of the latching plate 250,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return member 270 (see FIG. 3).

도 5a는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에 결합되는 래칭플레이트(260)가 초기 위치 즉 차량의 후측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5b는 래칭플레이트(260)가 차량의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여 치합부(255, 265, 266)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면상의 좌측이 차량 전방이며, 우측이 차량 후방이다.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atching plate 260 coupled to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is disposed at an initial position, that is, at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FIG.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atching plate 260 is moved 265, and 266 are operated.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s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right side is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링크브래킷(240)과, 로킹플레이트(250)는,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이 이동된 상태에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치합부(255, 265, 266)는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이 차량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였을 때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link bracket 240 and the locking plate 250 are configured to fix the upper rail 220 while the upper rail 220 is in a moving state. 4)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is fully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래칭플레이트(260)의 투스(261)에는 로킹플레이트(250)의 래치기어(251)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래치기어(251)가 투스(261)를 따라 순차적으로 회동되어 순차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전진하고, 투스(261)에 래치기어(251)가 치합되어 차량 후측으로 후퇴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latch gear 251 of the locking plate 250 is engaged with the tooth 261 of the latching plate 260 and the latch gear 251 is mov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upper rail 220 Is sequentially rotated along the gear 261 so as to sequentially advance forward of the vehicle and the latch gear 251 is engaged with the tooth 261 so as not to be retreated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치합부(255, 265, 266)는 래치기어(251)에 형성되는 걸림턱(255)과, 상부레일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255)을 가압하여 래치기어(251)를 투스(261)에서 이탈되도록 래칭플레이트(260) 차량 후측에 형성된 해제턱(265) 및 해제턱(265)에 의해 해제된 래치기어(251)를 투스(261)에 결합되도록 래칭플레이트(260)의 차량 전측단에 형성된 복원턱(2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의 이동에 의해 걸림턱(255)을 해제턱(265)이 가압하면, 래치기어(251)가 회동되어 탄성부재(254)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각도로 회동되어 투스(261)에서 이탈되고, 반대로 상부레일(220, 도 4 참조)의 리턴에 의해 래치기어(251)의 차량 전측단을 복원턱(266)이 가압하여 탄성부재(254)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투스(261)에 래치기어(251)를 치합시킨다.
The engagement portions 255, 265 and 266 ar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s 255 formed on the latch gear 251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s 255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rail to move the latch gear 251 from the teeth 261 The releasing jaw 265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atching plate 260 of the vehicle and the latch gear 251 released by the releasing jaw 265 are engaged with the teeth 261 And a restoring jaw 266. That is, when the releasing jaw 265 presses the latching jaw 255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the latch gear 251 is rotated, and the angle at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4 does not act The restricting jaw 266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end of the latch gear 251 by the return of the upper rail 220 (see Fig. 4),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4 And the latch gear 251 is engaged with the tooth 261. [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작동상태 측면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상의 좌측이 차량 전측이며, 우측이 차량 후측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상부레일(220)의 차량 전측에 하부레일(210) 및 링크브래킷(240)이 위치하게 된다. 마운팅브래킷(230)에 차량 전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마운팅브래킷(230)은 제1 레일(212) 및 제2 레일(222)의 슬라이드 직선운동에 의해 차량 전측으로 직선 슬라이드 운동한다. 이때 리턴부재(270)는 압축된다.6 is a side view of a headrest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s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right side is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6A, the lower rail 210 and the link bracket 240 are initially located on the vehicle front side of the upper rail 2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on the mounting bracket 230, the mounting bracket 230 linearly mov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y the slide linear motion of the first rail 212 and the second rail 222. The return member 270 is then compressed.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래킷(230)이 차량 전측으로 최대 이동하게 되면, 상술된 치합부(255, 265, 266, 도 5 참조)에 의해 래치기어(251, 도 5 참조)가 투스(261, 도 5 참조)에서 해제되고, 리턴부재(27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마운팅브래킷(23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The latch gear 251 (see FIG. 5) is engaged by the above-mentioned mating portions 255, 265, 266 (see FIG. 5) when the mounting bracket 230 is moved to the maximum forward sid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261, see Fig. 5), and the pressing elastic force of the return member 270 returns the mounting bracket 230 to the initial position.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0 : 헤드레스트
100 : 지지대
200 : 프레임
210 : 하부레일 212 : 제1 레일
213 : 베어링부
220 : 상부레일 221 : 강도 보완부
222 : 제2 레일
230 : 마운팅브래킷
240 : 링크브래킷
250 : 로킹플레이트 251 : 래치기어
254 : 탄성부재
260 : 래칭플레이트 261 : 투스
270 : 리턴부재
1000: Headrest
100: Support
200: frame
210: lower rail 212: first rail
213:
220: Upper rail 221: Strength supplementary part
222: second rail
230: Mounting bracket
240: Link bracket
250: locking plate 251: latch gear
254: elastic member
260: latching plate 261:
270: Return member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지대에 고정되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일을 포함하는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레일에 대응되는 제2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상부레일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하부레일에 구비되는 링크브래킷;
상기 링크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로킹플레이트;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맞물려 상기 상부레일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상부레일에 구비되는 래칭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하부레일 상의 차량 전방 끝단까지 이동했을 때 차량 후방 끝단으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브래킷은,
상기 링크브래킷의 측면과, 상기 하부레일의 측면을 관통하는 리벳 또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A lower rail fixed to the support and including a first rail formed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rail on which a second rai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is formed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lower rail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cking part for moving or fixing the upper rail at regular intervals; / RTI >
Wherein,
A link bracket provided on the lower rail to lock or unlock a linear slide movement of the upper rail;
A locking plate hinged to the link bracket;
A latch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rail to engage the locking plate to lock or unlock the upper rail; And
A return member returning to the rear end of the vehicle when the upper rail is moved to the vehicle front end on the lower rail; Lt; / RTI >
The link bracket
And is joined by a side surface of the link bracket and a rivet or bolt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rail.
지지대에 고정되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일을 포함하는 하부레일;
상기 하부레일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레일에 대응되는 제2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로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상부레일의 직선 슬라이드 운동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하부레일에 구비되는 링크브래킷;
상기 링크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로킹플레이트;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맞물려 상기 상부레일을 로킹 또는 언로킹 하도록, 상기 상부레일에 구비되는 래칭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레일이 상기 하부레일 상의 차량 전방 끝단까지 이동했을 때 차량 후방 끝단으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맞물리도록 투스가 형성되며, 상기 래칭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면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면은 하면이 상기 상부레일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투스는 상기 상부레일의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레일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A lower rail fixed to the support and including a first rail formed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rail on which a second rai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is formed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lower rail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cking part for moving or fixing the upper rail at regular intervals; / RTI >
Wherein,
A link bracket provided on the lower rail to lock or unlock a linear slide movement of the upper rail;
A locking plate hinged to the link bracket;
A latch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rail to engage the locking plate to lock or unlock the upper rail; And
A return member returning to the rear end of the vehicle when the upper rail is moved to the vehicle front end on the lower rail; Lt; / RTI >
Wherein a latching plat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atching plat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late, and a coupling surface for coupling to the upper rail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atching plate,
Wherein the engaging surface is formed through a slit formed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rail so that a lower surface thereof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rail and the tooth is exposed below the upper rai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는,
상기 하부레일의 측면을 관통하는 리벳 또는 볼트에 끼움 고정되는 탄성체로 되며,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레일에 고정되는,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turn member includes:
Wherein the link bracket has one end fixed to the link bracke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rail.
KR1020120144474A 2012-12-12 2012-12-12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KR101413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74A KR101413966B1 (en) 2012-12-12 2012-12-12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474A KR101413966B1 (en) 2012-12-12 2012-12-12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91A KR20140076191A (en) 2014-06-20
KR101413966B1 true KR101413966B1 (en) 2014-07-02

Family

ID=5112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74A KR101413966B1 (en) 2012-12-12 2012-12-12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96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77Y1 (en) * 2002-12-17 2003-03-31 김덕충 Massaging apparatus in the head rest of automobile
KR20080084553A (en) * 2007-03-14 2008-09-19 최순봉 Apparatus for moving an automotive headre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77Y1 (en) * 2002-12-17 2003-03-31 김덕충 Massaging apparatus in the head rest of automobile
KR20080084553A (en) * 2007-03-14 2008-09-19 최순봉 Apparatus for moving an automotive head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191A (en)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777B2 (en) Vehicle seat
US8297697B2 (en) Vehicle seat having an anti-submarining device and method
US20150090855A1 (en) Vehicle seat
US9511688B2 (en) Seating part of a vehicle seat
KR101357405B1 (en) Lock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rash-active head restraint of a vehicle
US9254762B2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CN111231790B (en) Vehicle seat
JP6051288B2 (en) Unlocking device for vehicle seat with easy entry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of unlocking device
EP1470023B1 (en) Vehicle seat having a head restraint independent from its backrest
US10258522B2 (en) Seat arrangement and electrically powered wheelchair comprising the same
KR101391858B1 (en) Crash-active headrest having a locking pushbutton
JP5448622B2 (en) Vehicle seat
JP7063287B2 (en) Crew protection structure for vehicle seats
KR101475212B1 (en)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KR20140071699A (en) Link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KR101053515B1 (en) An apparatus absorbing impacts for a car seat
KR101413966B1 (en)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KR102107009B1 (en) Rear-end collision impact elevation equipment for car seat
KR101417883B1 (en) Pin Slide type Headrest for Motor Vehicle
KR101875430B1 (en) Dive seat for vehicle with anti-submarine function
JP2022168254A (en) vehicle seat
JP2018167799A (en) Vehicular seat
KR101116704B1 (en) Active headrest device for vehicle
JP2010208589A (en) Vehicle seat
CN112158110B (en) Child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