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951B1 -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951B1
KR101413951B1 KR1020120061247A KR20120061247A KR101413951B1 KR 101413951 B1 KR101413951 B1 KR 101413951B1 KR 1020120061247 A KR1020120061247 A KR 1020120061247A KR 20120061247 A KR20120061247 A KR 20120061247A KR 101413951 B1 KR101413951 B1 KR 10141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sion
liquid
tube
perfusion liqui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147A (ko
Inventor
차상훈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951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경 중재 치료술과 같은 혈관질환 치료 시술시 시술장치의 유도관 내에 동축 배치되는 튜브와 튜브 사이에 공급되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되지 않으면 경보음 및/또는 경보광을 발생하여 시술자에게 알려 주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관류 모니터링 장치는, 관류액 소스와 시술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관류액이 관류액 소스에서 시술장치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일시 정체하는 관류액 정체부; 관류액 소스로부터 관류액 정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시술장치로의 관류액의 주입 여부를 판단하고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으면 외부에 경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Continuous flushing monitoring apparatus for intraarterial coaxial catheters during neurointerventional procedures}
본 발명은 신경 중재 치료술과 같은 혈관질환 치료 시술시 시술장치의 유도관 내에 동축 배치되는 튜브와 튜브 사이에 공급되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perfusate)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되지 않으면 경보음 및/또는 경보광을 발생하여 시술자에게 알려 주는 관류(灌流)(perfursion)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경 중재 치료술은 뇌졸증, 중풍 등의 뇌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수술법으로, 허벅지 대퇴 동맥을 통해 삽입되는 유도관을 통해 목이나 뇌 혈관에 직접 접근하여 뇌혈관 질환을 치료하므로 외과적인 수술법에 비해 치료효과가 높다.
이러한 신경 중재 치료술에 사용되는 유도관은 통상 복수 개의 튜브를 동축으로 배치한 다층 튜브 구조를 가진다. 다층 튜브 구조로 인해 유도관은 신경 중재 치료술의 시술시 동맥 내의 혈압에 의해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혈액이 유입되고, 이에 의해,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혈전이 형성되어 축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혈전은 유도관을 목 또는 뇌 까지 삽입하여 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동안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뇌로 들어가는 경우 뇌혈전증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경 중재 치료술의 시술시 유도관의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perfusate)을 주입하여 혈액이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관류액 주입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관류액 주입 장치는 관류액 소스에서 유도관의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관류액을 주입하도록 시술장치의 측부에 연결된 연결 튜브, 및 연결 튜브에 설치되어 연결 튜브를 통한 관류액의 흐름을 개폐하는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연결 튜브를 통한 관류액의 흐름이 관류액 흐름 잠금부에 의해 개방되면, 관류액은 유도관의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밀고 들어가면서 혈액 속으로 조금씩 주입된다. 그 결과,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혈액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혈전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신경 중재 치료술의 시술시 모니터 화면을 통한 시야 확보 등을 위해 혈관질환의 중요 치료시에는 관류액 주입이 중단되어야 한다. 이때, 연결 튜브를 통한 관류액의 흐름은 유도관의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의 관류액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관류액 흐름 잠금부에 의해 차단된다. 중요 치료가 끝난 후 연결 튜브를 통한 관류액의 흐름은 다시 관류액 흐름 잠금부에 의해 개방되고, 그에 따라, 관류액은 다시 유도관의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밀고 들어가면서 혈액 속으로 조금씩 주입되어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위와 같이 연결 튜브를 통한 관류액의 흐름을 개폐하는 관류액 흐름 잠금부의 동작은 시술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중요 치료가 끝난 후 차단되었던 관류액의 공급을 다시 계속하도록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조작해야하지만, 종종 이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와 튜브 사이의 공간으로 혈액이 유입되어 혈전을 형성하게 되고, 혈전은 뇌로 들어가 뇌혈전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중요 치료가 끝난 후 차단되었던 관류액의 공급을 재개하도록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조작하는 것을 잊어버릴 경우 시술자에게 알려주어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1-212350호 특허문헌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9978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경 중재 치료술와 같은 혈관질환 치료 시술시, 시술장치의 유도관 내에 동축 배치되는 튜브와 튜브 사이에 공급되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되지 않으면 경보음 및/또는 경보광을 발생하여 시술자에게 알려 주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상에 따르면, 관류 모니터링 장치는, 관류액 소스와 시술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관류액이 관류액 소스에서 시술장치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일시 정체하는 관류액 정체부; 관류액 소스로부터 관류액 정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시술장치로의 관류액의 주입 여부를 판단하고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으면 외부에 경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류액 정체부는 일단부는 관류액 소스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돌출관을 구비하는 접속 커넥터(connector), 및 일단부는 돌출관을 내부의 관류액 정체공간으로 연장하도록 접속 커넥터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결튜브를 통해 시술장치에 연결되는 원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통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빛을 발생하는 경보등 및/또는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경보부, 경보를 발생하는 관류액 미주입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및 센싱부, 경보부, 및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관류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PU)을 구비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박스는 센싱부의 센서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센서 스위치, 및 관류 모니터링 장치를 동작하거나 리셋시키는 시작/리셋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류 모니터링 장치는, 관류액 정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센싱부를 배치하고 관류액 정체부를 고정하는 홀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류 모니터링 장치는 위에서부터 관류액 소스, 홀딩부, 및 콘트롤 박스를 차례로 고정하는 봉 형태의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 관류액 정체부와 센싱부는 혈관 속에 삽입되는 시술장치의 유도관 내에 동축 배치된 튜브들 사이의 공간의 수에 일치하는 갯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류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관류액 소스로부터 관류액 정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시술장치로의 관류액의 주입 여부를 판단하고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으면 외부에 경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신경 중재 치료술와 같은 혈관질환 치료 시술시, 본 발명의 관류 모니터링 장치는 시술장치의 유도관 내에 동축 배치되는 튜브와 튜브 사이에 공급되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되지 않으면 경보음 및/또는 경보광을 발생하여 시술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관류액 주입 장치에서와 같이 연결 튜브를 통한 관류액의 흐름을 개폐하는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수동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혈관질환의 중요 치료의 순간에 관류액의 주입을 중단한 뒤에 다시 관류액의 주입을 재개하는 것을 잊어 버려 유도관의 튜브와 튜브 사이에 혈전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뇌혈전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류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류 모니터링 장치의 홀딩부 및 센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류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관류(perfursion) 모니터링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류 모니터링 장치(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관류 모니터링 장치(1)는, 예를 들면, 신경 중재 치료술의 시술시 동맥 혈관 속에 삽입되는 시술장치(3)의 유도관(5)에 혈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도관(5) 내에 동축 배치되는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 사이의 공간에 공급되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perfusate)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되지 않으면 경보음 및/또는 경보광을 발생하여 시술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시술장치(3)는 예로서 2 개의 튜브, 즉,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가 동축 배치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류 모니터링 장치(1)는 관류액 소스(10), 관류액 정체부(20), 센싱부(30; 도 2 참조), 홀딩부(40), 제어부(50), 및 스탠드(60)를 포함한다.
관류액 소스(10)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을 저장하는 것으로, 관류액을 담고있는 관류액 주머니(11)로 구성된다. 관류액 주머니(11)는 관류액이 혈압을 이겨낼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시술장치(3)의 유도관(5) 속으로 주입되도록 상부의 고정구멍을 통해 스탠드(60)의 제1 봉부재(61)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고리(61a)에 걸려 있다. 이러한 관류액 주머니(11)는 저장하고 있는 관류액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류액 정체부(10)는 관류액의 급격한 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류액이 관류액 소스(10)에서 시술장치(3)의 유도관(5)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일시 정체시키는 것으로, 관류액 주머니(11)와 시술장치(3) 사이에 배치된다.
관류액 정체부(10)는 접속 커넥터(21), 및 원통부(25)를 구비한다.
접속 커넥터(21)는 상단부는 관류액 주머니(11)의 출구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돌출관(23)을 구비한다.
원통부(25)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돌출관(23)을 수용하여 내부의 관류액 정체공간으로 연장하도록 접속 커넥터(21)와 결합되고 하단부는 연결 튜브(27)를 통해 시술장치(3)의 일측에 형성된 관류액 주입구(4)에 연결된다. 관류액 주입구(4)는 관류액이 유도관(5)의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시술장치(3)의 관류액 주입구(4)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원통부(25)는 관류액 주머니(11)와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관류액의 주입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0)는 관류액 주머니(11)로부터 관류액 정체부(20)의 접속 커넥터(21)의 돌출관(23)을 통해 원통부(25)의 관류액 정체공간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홀딩부(40)의 클램프(45)의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에 배치된 감지센서(31)를 구비한다. 감지센서(3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홀딩부(40)는 관류액 정체부(20)의 원통부(25)를 홀딩하여 스탠드(60)의 제1 봉부재(61)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홀딩부(40)는 지지체(41), 및 클램프(45)를 구비한다.
지지체(41)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봉부재(61)에 지지되도록 고정나사(64)에 의해 제1 봉부재(61)에 고정된 고정링(63)에 연결된다.
클램프(45)는 지지체(41) 내에 배치되고, 관류액 정체부(20)의 원통부(25)를 홀딩하는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의 각각은, 원통부(25)에 대향하는 일단부는 원통부(25)에 대응하는 반원통형 형태로 형성된 클램핑면을 구비하고 타단부는 지지체(41)에 형성된 수용홈(41a) 내에 삽입된다. 또한,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의 각각은, 수용홈(41a) 내에 배치된 탄성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클램핑면이 원통부(25)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부(25)를 클램프(45)에 홀딩할 경우, 시술자가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잡고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원통부(25)를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의 클램핑면 사이에 끼운 다음,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의 돌출부를 놓으면,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면이 원통부(25)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원통부(25)를 홀딩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류액 정체부(20)의 접속 커넥터(21)의 돌출관(23)으로부터 원통부(25)의 관류액 정체공간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에는 센싱부(20)의 감지센서(31)가 배치된다. 이때, 감지센서(31)를 구성하는 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각각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45a, 45b)의 클램핑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관류액이 접속 커넥터(21)의 돌출관(23)으로부터 원통부(25)의 관류액 정체공간 내부로 떨어질 때, 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의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 또는 레이저는 관류액 방울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는 오프(OFF) 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센싱부(30)의 감지센서(31)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의 오프신호)를 토대로 시술장치(3)의 유도관(5)으로의 관류액의 주입 여부를 판단하고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으면 외부에 경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수단에 의해 홀딩부(40) 아래에서 봉 부재(61)에 고정된 컨트롤 박스(50a)를 포함한다.
콘트롤 박스(50a)는 경보부(51), 타이머(54), 센서 스위치(55), 시작/리셋버튼(56), 및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icro control unt: MCU)(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경보부(51)는 MCU의 제어하에 빛을 발생하거나 소리를 발생하는 경보등(52) 및/또는 스피커(53)를 구비한다.
타이머(54)는 관류액이 시술장치(3)의 유도관(5)으로 주입되지 않을 때 경보를 발생하는 관류액 미주입 시간, 즉, 감지센서(31)로부터 감지신호(오프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때 경보를 발생하는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예를 들면, 혈관질환의 중요 치료를 위한 수 초 내지 수 십초)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타이머(54)는 다이얼 형태 또는 복수의 숫자 입력버튼 및/또는 단축 버튼을 구비한 버튼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타이머(54)는 다이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스위치(5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감지센서(31)를 오프시키기 위한 것으로, 감지센서(31)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이를 위해, 센서 스위치(54)는 레버 형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센서 스위치(54)는 레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각/리셋버튼(56)은 관류 모니터링 장치(1)를 동작하거나 리셋시키는 것으로, 시작버튼(57)과 리셋버튼(58)을 구비한다.
MCU는 감지센서(31)는 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경보부(51)의 경보등(52) 및/또는 스피커(53), 및 타이머(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센서(31)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의 오프신호)를 토대로 경보등(52) 및/또는 스피커(53)를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았음(즉, 관류액 미주입 시간 또는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시술자에게 알린다. 또한, MCU는 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콘트롤 박스(50a)는 연결 플러그(59)를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스탠드(60)는 제1 봉부재(61), 및 제2 봉부재(62)를 구비한다. 제1 봉부재(61)는 위에서부터 관류액 소스(10), 홀딩부(40), 및 콘트롤 박스(50a)를 차례로 고정한다. 제2 봉부재(62)는 제1 봉부재(6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봉부재(6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2 봉부재(62)의 상부에는 제1 봉부재(6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봉부재(61)를 조절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부재(65)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봉부재(62)의 하부에는 스탠드(6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에 회전바퀴들을 구비한 이동다리(66)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텐드는 고절부재(65) 및 이동다리(66)를 통해 관류액 소스(10), 홀딩부(40), 콘트롤 박스(50a) 등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장치(1)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류 모니터링 장치(1)는 2 개의 튜브, 즉,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가 동축 배치된 유도관(5)을 구비한 시술장치(3)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류 모니터링 장치(1')는 3개 이상의 튜브(도 3의 예에서는 튜브들 사이의 공간이 4 개인 5 개의 튜브)가 동축 배치된 유도관을 구비한 시술장치(3')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류액 소스(10'), 관류액 정체부(20'), 센싱부(30'), 홀딩부(40'), 및 콘트롤 박스(50a')의 경보부(51'), 타이머(54'), 및 센서 스위치(55')는 각각, 유도관 내에 동축 배치된 튜브들 사이의 공간의 수에 일치하는 갯수(도 3에서는 4 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류 모니터링 장치(1)는 신경 중재 치료술의 시술시 동맥 혈관 속에 삽입되는 시술장치(3)의 유도관(5)에 대한 관류액 공급을 모니터링하는데 적용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신경 중재 치료술 외에 관류액을 공급하는 다른 시술을 위한 장치에도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류 모니터링 장치(1)의 신경 중재 치료술의 시술시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술자는 센서 스위치(55)를 온시킨 다음, 시술장치(3)의 유도관(5)을 허벅지 대퇴 동맥을 통해 목이나 뇌 혈관으로 삽입한다.
이어서, 연결 튜브(27)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조작하여 연결 튜브(27)를 통한 관류액 흐름을 개방시킴과 함께 시작버튼(57)을 누르면, 관류액은 관류액 소스(10)의 관류액 주머니(11)로부터 관류액 정체부(20)의 접속 커넥터(21)의 돌출관(23)을 통해 원통부(25)의 관류액 정체공간 내부로 떨어지면서 연결튜브(27) 및 관류액 주입구(4)를 통해 시술장치(3)의 유도관(5) 내부로 주입되고, 센싱부(30)의 감지센서(31)는 관류액 정체공간 내부로 떨어지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여 감지신호(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의 오프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관류액은 관류액 주머니(11)로부터 중력에 의해 혈압을 이겨낼 수 있는 압력으로 유도관(5)의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 사이의 공간으로 밀고 들어가서 혈액 속으로 조금씩 주입된다. 그 결과,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 사이의 공간으로 혈액이 유입되어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9) 사이의 공간에 혈전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MCU는 감지센서(31)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타이머(54)에 의해 설정된 관류액 미주입 시간, 즉,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을 카운팅하여 감지신호가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후, 유도관(5)이 목 또는 뇌의 경동맥에 도달하여 혈관질환의 중요 치료를 시작할 경우, 시술자는 모니터 화면을 통한 시야 확보 등을 위해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조작하여 연결 튜브(27)를 통한 관류액 흐름을 차단한다. 이때, MCU는 감지센서(31)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타이머(54)에 의해 설정된 관류액 미주입 시간, 즉,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을 카운팅하고 있으므로, 감지신호가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경보등(53) 및/또는 스피커(53)를 동작하여 설정된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설정된 관류액 미주입 시간)이 경과하였음(즉,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았음)을 시술자에게 알린다.
경보등(53) 및/또는 스피커(53)를 통한 경보가 발생하면, 시술자는 중요 치료가 끝난 경우는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조작하여 연결 튜브(27)를 통한 관류액 흐름을 재개시키고, 중요 치료가 끝나지 않은 경우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1)를 리셋시키도록 리셋버튼(58)을 눌러서 MCU가 다시 감지신호 미발생 계속시간을 카운팅하도록 한다.
그후, 시술자는 시술을 완료할 때 까지 감지센서(31)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한 MCU의 제어에 의한 경보등(53) 및/또는 스피커(53)의 동작에 따라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류 모니터링 장치(1, 1')에 의하면, 관류액 소스(10)의 관류액 주머니(11)로부터 관류액 정체부(20)의 접속 커넥터(21)의 돌출관(23)을 통해 원통부(25)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1)를 구비하는 센싱부(30, 30'), 및 감지부(30, 30')의 감지센서(31)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관류액의 유도관(5)으로의 주입 여부를 판단하고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으면 외부에 경보하는 제어부(50, 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신경 중재 치료술와 같은 혈관질환 치료 시술시, 본 발명의 관류 모니터링 장치(1)는 시술장치(30)의 유도관(5) 내에 동축 배치되는 외측 튜브(7)와 내측 튜브(5) 사이에 공급되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공급되지 않으면 경보음 및/또는 경보광을 발생하여 시술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관류액 주입 장치에서와 같이 연결 튜브를 통한 관류액의 흐름을 개폐하는 관류액 흐름 잠금부를 수동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혈관질환 치료의 중요 순간에 관류액의 주입을 중단한 뒤에 다시 관류액의 주입을 재개하는 것을 잊어 버려 유도관의 튜브와 튜브 사이에 혈전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뇌혈전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1;: 관류 모니터링 장치 10, 10': 관류액 소스
20, 20': 관류액 정체부 21: 접속 커넥터
25: 원통부 30, 30': 센싱부
31: 감지센서 40, 40': 홀딩부 41: 클램프 50, 50': 제어부
50a, 50a': 콘트롤 박스 51, 51': 경보부
52, 52': 경보등 53, 53': 스피커
54, 54': 타이머 55, 55': 센서 스위치
56, 56': 시작/리셋버튼 60: 스탠드

Claims (9)

  1. 관류액 소스와 시술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관류액이 상기 관류액 소스에서 상기 시술장치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일시 정체하는 관류액 정체부;
    상기 관류액 소스로부터 상기 관류액 정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관류액 방울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시술장치로의 상기 관류액의 주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류액이 일정 시간 동안 주입되지 않으면 외부에 경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 또는 레이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빛을 발생하는 경보등과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경보부, 상기 경보를 발생하는 관류액 미주입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및 상기 센싱부, 상기 경보부, 및 상기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류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를 구비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액 정체부는,
    일단부는 상기 관류액 소스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돌출관을 구비하는 접속 커낵터, 및
    일단부는 상기 돌출관을 내부의 관류액 정체공간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접속 커넥터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결튜브를 통해 상기 시술장치에 연결되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센싱부의 센서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센서 스위치, 및 상기 관류 모니터링 장치를 동작하거나 리셋시키는 시작/리셋버튼 중에서 작어도 하나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액 정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상기 관류액 방울을 감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기 센싱부를 배치하고 상기 관류액 정체부를 고정하는 홀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위에서부터 상기 관류액 소스, 상기 홀딩부, 및 상기 컨트롤 박스를 차례로 고정하는 봉 형태의 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액 정체부와 상기 센싱부는 혈관 속에 삽입되는 상기 시술장치의 유도관 내에 동축 배치된 튜브들 사이의 공간의 수에 일치하는 갯수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모니터링 장치.
KR1020120061247A 2012-06-08 2012-06-08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 KR10141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47A KR101413951B1 (ko) 2012-06-08 2012-06-08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47A KR101413951B1 (ko) 2012-06-08 2012-06-08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147A KR20130143147A (ko) 2013-12-31
KR101413951B1 true KR101413951B1 (ko) 2014-08-06

Family

ID=4998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47A KR101413951B1 (ko) 2012-06-08 2012-06-08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5627A (zh) * 2018-08-10 2018-11-16 杭州光启医疗科技发展有限公司 防止回血的输液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318A (ja) * 1992-11-25 1994-06-03 Fukuda Sangyo Kaihatsu Center Kk 点滴用輸液量測定装置
JP2001299787A (ja) * 2000-04-21 2001-10-30 Kyowa Denshi:Kk 動物用点滴装置及びホルダ
JP2011212350A (ja) * 2010-03-31 2011-10-27 Nidek Co Ltd 灌流液の残量検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灌流吸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318A (ja) * 1992-11-25 1994-06-03 Fukuda Sangyo Kaihatsu Center Kk 点滴用輸液量測定装置
JP2001299787A (ja) * 2000-04-21 2001-10-30 Kyowa Denshi:Kk 動物用点滴装置及びホルダ
JP2011212350A (ja) * 2010-03-31 2011-10-27 Nidek Co Ltd 灌流液の残量検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灌流吸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147A (ko)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839B1 (ko)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378014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dministering intravenous fluid
JP7357705B2 (ja) 流体ポートの内部流路表面を濡らして超音波信号送信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520301B2 (ja) 流体制御装置
KR101413951B1 (ko) 신경중재치료 시 동맥내 다중도관의 지속 관류 모니터링 장치
JP2022525839A (ja) バブルトラップデバイス
KR101739650B1 (ko) 안전한 수액/혈액 주입을 위한 기포감지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
CN104324432A (zh) 包括防误载装置的输液泵
JP2012024528A (ja) 点滴注射等監視システム
GB2558558A (en) An intravenous drip apparatus
CN110269966A (zh) 用于紧急截止体外血液系统的具有针脱位检测机构和截止机构的安全装置
JP4121485B2 (ja) 薬液断続弁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4645963B2 (ja) 報知機または無線呼び出し装置と貯蔵バッグを備える液体遮断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7000161A (ja) 拘束装置
JP2008529650A5 (ko)
TWM514330U (zh) 具自動切換功能之智慧型輸液裝置
KR200370275Y1 (ko) 링거액 주입장치
JP6397893B2 (ja) 送液ポンプ
JP3155547U (ja) 点滴監視装置
CN103252004A (zh) 点滴监测夹止装置
KR200224976Y1 (ko) 링거 수액량 감지 장치가 구비된 링거병 거치대
WO2014049657A1 (ja) 医療用ポンプ
KR102079698B1 (ko) 유체 컨트롤 장치
KR200201531Y1 (ko) 링거용액 교체 및 투여중지 확인용 제어기
JPH07255844A (ja) 点滴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