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430B1 - 암단자 - Google Patents

암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430B1
KR101413430B1 KR1020130004808A KR20130004808A KR101413430B1 KR 101413430 B1 KR101413430 B1 KR 101413430B1 KR 1020130004808 A KR1020130004808 A KR 1020130004808A KR 20130004808 A KR20130004808 A KR 20130004808A KR 101413430 B1 KR101413430 B1 KR 10141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terminal
terminal
elastic
piece
fe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치봉
김은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0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단자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에 수단자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면 일단이 상기 수단자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 하부에 위치하고, 일 단은 상기 몸체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몸체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서 상기 수단자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단자 상면과 면접하는 탄성면과, 상기 탄성면의 끝 단에서 상향 절곡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수단자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고정면을 구비하는 탄성편 및 상기 몸체 하면에서 상기 탄성편과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단자의 하면과 면접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암단자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수단자 또는 암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단자와 암단자가 다점 접촉하면서 장착될 되어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분산시켜 수단자와 암단자가 장착된 후 통전 시 접촉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암단자{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암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단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암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어느 한 커넥터에 전기선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전기 단자가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 커넥터에도 전기 단자가 배열되어, 커넥터의 전기 단자끼리 연결되면서 각 단자가 서로 통전되도록 접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커넥터의 암단자와 수단자가 접점을 형성하되, 하나의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의 전기 커넥터의 암단자는, 암단자에 장착되는 수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부재를 구비한다. 즉, 도 1을 참고하면, 암단자(10)는 수단자(50) 상면과 접하는 탄성편(14)과 수단자(50) 하면과 접하는 비드부(12) 및 수단자(50)가 암단자(10)에 장착될 때, 탄성편(1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편(16)을 구비한다.
이때, 수단자(50)에 단자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수단자(50)의 상면 높이가 2 ~ 5˚ 가량 경사지게 상승할 수 있다. 즉, 수단자(50)에 단자를 압착하기 위하여 단자 끝단을 가압하여 단자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자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단자(50)의 상면 높이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상승한 상태에서 암단자(10)에 장착할 경우 수단자(50)가 암단자(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단자(50)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탄성편(14) 사이에 형성된 홀(18)에 수단자(50)의 상면이 끼움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수단자(50) 및 암단자(1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터미널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속단자의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수단자 또는 암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암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단자의 수단자와 암단자가 다점 접촉하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분산시켜 수단자와 암단자가 장착된 후 통전시키면 수단자와 암단자의 접촉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는 암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암단자는 내부에 수단자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에 수단자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면 일단이 상기 수단자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 하부에 위치하고, 일 단은 상기 몸체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몸체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서 상기 수단자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단자 상면과 면접하는 탄성면과, 상기 탄성면의 끝 단에서 상향 절곡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수단자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고정면을 구비하는 탄성편 및 상기 몸체 하면에서 상기 탄성편과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단자의 하면과 면접하는 돌출편을 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 전방 상부면에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된 상기 보강편과 상기 탄성편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수단자 또는 암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단자와 암단자가 다점 접촉하면서 장착될 되어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분산시켜 수단자와 암단자가 장착된 후 통전 시 접촉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암단자 내에 R-형상의 탄성편을 형성하여 암단자에 수단자가 삽입, 장착될 때 암단자와 수단자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암단자 또는 수단자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단자와 수단자가 다수의 위치에서 면접하며 장착됨에 따라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삽입력을 분산시켜 수단자와 암단자가 장착된 후 통전시키면 수단자와 암단자의 접촉저항에 의한 열 발생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의 암단자와 수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단자(100)는 몸체(120), 보강편(140), 탄성편(160) 및 돌출편(18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20)는 내부에 수단자(5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4)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24)의 전방에 수단자 삽입홀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120)의 전방 상부면은 몸체(120) 바닥면을 향해 절곡되어 몸체(120) 내부에 마련된 보강편(140)과 탄성편(16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편(13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암단자(100)에 수단자(50)가 장착될 때 암단자(100) 또는 수단자(5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강편(140)은 몸체(120) 상면 일단이 수단자(50)가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다. 이러한 보강편(140)은 몸체(120)의 수용공간(124)에 수단자(50)가 장착될 때 후술할 탄성편(160)이 몸체(120) 내부 상면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편(160)이 보강편(140)과 밀착되어 탄성편(160)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게 된다.
탄성편(160)은 보강편(140) 하부에 위치하고, 일 단은 몸체(120) 상면에 고정되되 몸체(120)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면(162)과, 절곡면(162)에서 수단자(50)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단자(50) 상면과 면접하는 탄성면(164)과, 탄성면(164)의 끝 단에서 상향 절곡되도록 연장되며 수단자(50)의 진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된 고정면(166)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절곡면(162)은 탄성편(160)을 몸체(120) 내에 고정하는 고정면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절곡면(162)은 상기 보호편(130)을 마주하는 면에서 수단자(50)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보호편(130)은 절곡면(162) 전면에서 절곡되는 절곡면(162)을 보호하여 수단자(50)가 암단자(100)에 장착될 때 절곡면(162)과 수단자(50)의 상면이 간섭되어 수단자(50) 또는 절곡면(16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면(164)은 절곡면(162)에서 수단자(50)가 진행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단자(50) 상면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단자(50)가 암단자(100)에 장착될 때 수단자(50)의 상면이 탄성면(164)을 밀어올리며 장착되기 때문에 탄성면(164)이 탄력을 가지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탄성면(164)에는 수단자(50)의 상면과 면접하는 접촉도트(168)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도트(168)는 수단자(50)가 암단자(100)에 삽입, 장착될 때, 수단자(50) 상면이 탄성면(164)을 압박하는 압력을 증가하게 한다. 이와 같이 수단자(50) 상면이 탄성면(164)을 압박하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수단자(50)가 암단자(100) 내에 보다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도트(168)는 암단자(100)에 수단자(50)가 삽입될 때 탄성면(164)이 보강편(14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면(164)을 가압시킴으로써, 탄성면(164)이 과도하게 몸체(120) 내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시켜 탄성면(164)의 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면(166)은 탄성면(164)의 끝 단에서 상향 절곡되며 연장되고, 수단자(50)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단자(50)의 진행방향을 정방향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고정면(166) 끝 단의 좌, 우 너비는 탄성면(164)의 좌, 우 너비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면(166)의 끝 단은 몸체(120)에 형성된 고정홀(122)에 장착되어 탄성편(160)을 몸체(1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면(166)이 몸체(12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탄성면(164)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나아가 탄성편(160)의 처짐으로 생기는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홀(122)은 상기 탄성면(164)의 양 끝 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120)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홀(122)은 탄성면(164)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홀(122)을 탄성면(164)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함에 따라 고정홀(122)에 탄성면(164)의 끝단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탄성편(160)은 R-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편(160)의 탄성면(164)이 수단자(50) 상면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고, 고정면(166)이 몸체(120)에 고정됨에 따라 탄성편(160)의 단면 형상이 R-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편(160)이 R-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암단자(100)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어 수단자(50)가 암단자(1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단자(50)의 두부(頭部)에 걸림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수단자(50) 두부를 변형시키거나 암단자(100) 내의 각종 구조를 변형, 파손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몸체(120) 하면에는 탄성편(160)과 마주하며 돌출되고, 수단자(50)의 하면과 면접하는 돌출편(180)이 마련된다. 상기 돌출편(180)은 몸체(120)의 하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표면이 수단자(50)와 면 접촉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편(180)은 암단자(100) 내에 장착되는 수단자(5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편(160) 및 돌출편(180)은 몸체(120) 내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즉, 수단자(50)는 암단자(100) 내부와 다수의 위치에서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단자(50)와 암단자(100)가 다수의 위치에서 접하도록 형성되면, 암단자(100)에 수단자(50)가 장착된 후에 통전되면 수단자(50)와 암단자(100)의 접촉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분산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암단자(100)의 스트레스를 줄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암단자(100)에 의하여 암단자(100)에 수단자(50)가 장착될 때 수단자(50)와 암단자(100)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암단자(100) 및 수단자(5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단자(50)와 암단자(100)가 통전될 때 접촉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 분산됨에 따라 암단자(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50: 수단자 100: 암단자
120: 몸체 124: 수용공간
130: 보호편 140: 보강편
160: 탄성편 162: 절곡면
164: 탄성면 166: 고정면
168: 접촉도트 180: 돌출편

Claims (5)

  1. 내부에 수단자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에 수단자 삽입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면 일단이 상기 수단자가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보강편;
    상기 보강편 하부에 위치하고, 일 단은 상기 몸체 상면에 고정되되 상기 몸체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서 상기 수단자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단자 상면과 면접하는 탄성면과, 상기 탄성면의 끝 단에서 상향 절곡되며 연장되고 상기 수단자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고정면을 구비하는 탄성편; 및
    상기 몸체 하면에서 상기 탄성편과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단자의 하면과 면접하는 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 전방 상부면에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된 상기 보강편과 상기 탄성편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탄성면에서 상기 수단자 상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단자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R-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면의 양 끝단이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면의 절곡 방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 및 상기 돌출편은 상기 몸체 내에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KR1020130004808A 2013-01-16 2013-01-16 암단자 KR10141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08A KR101413430B1 (ko) 2013-01-16 2013-01-16 암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08A KR101413430B1 (ko) 2013-01-16 2013-01-16 암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430B1 true KR101413430B1 (ko) 2014-07-01

Family

ID=5174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808A KR101413430B1 (ko) 2013-01-16 2013-01-16 암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49B1 (ko) * 2018-11-13 2020-03-06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940A (ja) * 1996-12-10 1998-08-25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雌端子
JP3711057B2 (ja) * 2001-10-16 2005-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製造方法
JP3991781B2 (ja) 2002-06-19 2007-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8171627A (ja) 2007-01-10 2008-07-24 Yazaki Corp 雌型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940A (ja) * 1996-12-10 1998-08-25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雌端子
JP3711057B2 (ja) * 2001-10-16 2005-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製造方法
JP3991781B2 (ja) 2002-06-19 2007-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8171627A (ja) 2007-01-10 2008-07-24 Yazaki Corp 雌型端子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49B1 (ko) * 2018-11-13 2020-03-06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9191B1 (ja) コネクタ
US6139373A (en) Multi-pin electrical connectors
US8708716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437680B (zh) 用于连接两个电气平面触头的连接笼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JP6603264B2 (ja) 端子台
CN109149215A (zh) 电连接器
JP6280618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CN109728460B (zh) 分接式插接连接器和用于其的保护接地接触件
EP340743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fixing bending member thereof
US816267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KR101413430B1 (ko) 암단자
KR20080034396A (ko) 와이어 정렬 기능을 가지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커넥터
US20150288080A1 (en) Harness assembly
TW201814973A (zh) 卡緣連接器
US9583872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elastic engaging portion
CN102957019A (zh) 插塞连接器
CN210607897U (zh) 连接器及电子设备
CN107181130A (zh) 连接器及连接器结构
US2001000036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contacts
US9806477B2 (en) Jack for data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2644964B1 (ko) 소켓 커넥터
CN110336151A (zh) 板对板连接器
CN105449454A (zh) 卡缘连接器
KR101761347B1 (ko) 반도체 테스트용 테스트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