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280B1 -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 - Google Patents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280B1
KR101413280B1 KR1020120058489A KR20120058489A KR101413280B1 KR 101413280 B1 KR101413280 B1 KR 101413280B1 KR 1020120058489 A KR1020120058489 A KR 1020120058489A KR 20120058489 A KR20120058489 A KR 20120058489A KR 101413280 B1 KR101413280 B1 KR 10141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latent
present
reaction solution
bleac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751A (ko
Inventor
성낙도
최용복
김해중
오원식
류일녕
최성운
김성식
성경모
Original Assignee
성낙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도 filed Critical 성낙도
Priority to KR102012005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28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6Chemiluminescence; Bioluminesc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학 수사학적으로 활용된 바 없는 다양한 Diimid-type의 2자리 리간드 화합물들을 잠재혈흔 현출제로 활용하여 혈액이나 혈흔 중에 존재하는 철 이온(Fe2+)과의 반응성으로 잠재혈흔 확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잠재혈흔 현출제는 diimine-type ligand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잠재혈흔 현출 방법은,
(A) 혈흔 시료에 에탄올을 가하여 제1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100);
(B) 상기 제1차반응액에 빙초산에 제1항의 잠재지문 현출재를 녹인 용액을 넣어 제2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200);
(C) 상기 제2차반응액에 과산화수소를 가하여 제3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과학수사학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존의 잠재혈흔 현출방법과 자료 수습과정을 현실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방법상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혈액시료 전처리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Diimid-type의 2자리 리간드 화합물들을 잠재혈흔 현출제로 활용하여 혈액이나 혈흔 중에 존재하는 철 이온과의 반응성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Composites of New Latent Bloodstain Detector and it's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학 수사학적으로 활용된 바 없는 다양한 Diimid-type의 2자리 리간드 화합물들을 잠재혈흔 현출제로 활용하여 혈액이나 혈흔 중에 존재하는 철 이온(Fe2 +)과의 반응성으로 잠재혈흔 확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Leucomalachite green(LMG), 천연수지 Gum guaiac powder, Luminol 및 과산화수소, 단백질 염색시약 Amido Black, 화학발광제로서 Bluestar, Leucocrystal violet(LCV), Coomassie blue, Crocein scarlet 7B, 단백질 염색제 Hungarian Red, 합성색소 Tartrazine, 핵산 및 단백질 염색시약 Diaminobenzidine(DAB), 2-Tolidine 및 과산화물, Tetramethylbenzidine(TMB), Benzidine 및 Kastle-Meyer test(Phenolphthalin 과산화물) 등 15가지 시험법 들이 있다.
기존의 잠재혈흔을 현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나 방법상 다양한 특성과 장단점이 혼재되어 있다.
공통적으로 혈액 단백질 및 헤모글로빈 중 철(Fe2 +) 이온과의 반응성을 이용하는 2가지 방식이어서 현출과정이 복잡하고 현출 결과가 불안정하여 지속적이지 않으며, 잠재혈흔이 노출된 사건 현장의 제한된 사정으로 자료의 수습이 매우 불편하였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학 수사학적으로 활용된 바 없는 다양한 Diimid-type의 2자리 리간드 화합물들을 잠재혈흔 현출제로 활용하여 혈액이나 혈흔 중에 존재하는 철 이온(Fe2 +)과의 반응성으로 잠재혈흔 확인에 적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재혈흔 확인을 위한 혈액시료 전처리가 필요하여 그 방법을 고안하고, 시료에 적용하여 얻어지는 자료로부터 최대파장 λmax .=395nm에서 나타나는 연두색의 발광으로 잠재혈흔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증거자료를 수습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재혈흔 현출 방법은,
(A) 혈흔 시료에 에탄올을 가하여 제1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제1차반응액에 빙초산에 제1항의 잠재지문 현출재를 녹인 용액을 넣어 제2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제2차반응액에 과산화수소를 가하여 제3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 방법은,
과학 수사학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존의 잠재혈흔 현출 방법과 자료 수습과정을 현실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방법상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혈액시료 전처리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Diimid-type의 2자리 리간드 화합물들을 잠재혈흔 현출제로 활용하여 혈액이나 혈흔 중에 존재하는 철 이온과의 반응성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반응 결과로 얻어진 다양한 색깔의 정색반응과 특이적으로 건조된 시료로부터 최대파장 λmax .=395nm에서 연두색의 발광이 안정적으로 매우 오랫동안 발현되어 용이하게 잠재혈흔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증거자료를 수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혈액시료 및 과산화수소와의 반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혈액시료의 정색반응물(왼쪽) 및 발광현상(오른쪽)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혈액시료와 다양한 현출제들과 반응한 UV-Visible 스펙트라(반응 혼합물 및 혈액)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리간드(1,10-phananthrolin) 및 리간드-Fe(Fe2 +) 착물(λmax.=508 nm)의 UV-Vis 스펙트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잠재혈흔 현출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재혈흔 현출제는,
diimine-type ligand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iimine-type ligand 유도체는 C10H8N2의 분자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iimine-type ligand 유도체는 C8H6N4의 분자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iimine-type ligand 유도체는 C10H10N4의 분자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iimine-type ligand 유도체는 C22H16N2의 분자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iimine-type ligand 유도체는 C12H8N2의 분자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iimine-type ligand 유도체는 C26H20N2의 분자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iimine-type ligand 유도체는 C24H16N2의 분자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잠재혈흔 현출 방법은,
(A) 혈흔 시료에 에탄올을 가하여 제1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100);
(B) 상기 제1차반응액에 빙초산에 제1항의 잠재지문 현출재를 녹인 용액을 넣어 제2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200);
(C) 상기 제2차반응액에 과산화수소를 가하여 제3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가) 혈액 전처리과정:
1) 채취된 2-3방울의 혈흔 시료에 95% 에탄올 1-2방울을 가한다.
2) 빙초산 10ml에 현출제 0.18g(약 0.1M)을 녹인 반응용액 3방울을 가하면 암록색 침전물을 형성하면서 변화한다.
3) 과산화수소 3%용액 0.5ml(과량)를 추가로 가하고 혼합하고 섞어주면 2-3분 후에 혈액과 구별되는 투명한 연갈색-적색 용액을 얻는다.
4) 경우에 따라 과산화수소를 먼저 처리한 다음에 현출제와 빙초산 혼합물을 이후에 가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나) 혈흔확인 과정 :
혈액에 3% 과산화수소수(H2O2) 적정량을 가하여 거품생성 여부를 관찰한다(도 1 내지 도 2 참조)
이때, 잠재혈흔 현출제로서 diimine-type ligand (L) 유도체(1-7)들을 사용하였다
잠재혈흔 현출제 들과 정색 반응 및 스펙트라
No. 현출제들 분자식 정색 λm & log εa)
1 2,2'-Bipyridine C10H8N2 등적색 523, 3.93
2 2,2‘-Bipyrimidine C8H6N4 분홍색 481, 530,d) 3.48
3 4,4'-Diamino-2,2'-bipyridine C10H10N4 주홍-적색 352, 5.04
4 4,4'-Diphenyl-2,2'-bipyridine C22H16N2 적색 552, 4.33
5 1,10-Phenanthroline C12H8N2 갈색 508, 4.05
6 Bathocuproineb ) C26H20N2 적색 540, 4.50
7 Bathophenanthrolinec ) C24H16N2 적색 535, 4.35
a)최대파장 (λm); nm & 몰 흡광계수 (log ε) ; dm3mol-1cm-1, 용매; 물, b)2,9-dimethyl-4,7-diphenyl-1,10- phenanthroline, c)4,7-diphenyl-1,10-phenanthroline, d)어께 피크 및 log ε=3.43.
그리고, 철(Fe2 +) 이온과 리간드 화합물(L) 사이의 반응으로 형성된 착 화합물의 정색 반응성과 시료가 건조된 어두운 조건에서 λ=395nm(연두색) 파장의 발광으로부터 잠재혈흔의 존재유무를 판별 하였다(도 2 참조).
이때, 혈액과 현출제와 반응(도 3 참조) 및 리간드와 FeCI3를 3:1 비율로 반응시켜 생성된 착 화합물([Fe(L)3)2+]X2 -)의 UV spectra로부터 반응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한편, 종래의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토양 중에 분포한 철(Fe2 + 및 Fe3 +) 이온의 정량 및 정성분석에 이용하였던 2자리 리간드 화합물인 1,10-phenanthrolin과 Fe2 +이온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착 화합물에 착안하여 과학 수사학적으로 활용된 바 없는 다양한 Diimid-type의 2자리 리간드 화합물들을 잠재혈흔 현출제로 활용하여 혈액이나 혈흔중에 존재하는 철 이온과의 반응성 확인에 적용하였다.
먼저, 혈액시료를 적절하게 전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즉, 혈흔 시료에 에탄올을 가하여 제1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100)를 거친 후, 상기 제1차반응액에 빙초산에 제1항의 잠재지문 현출재를 녹인 용액을 넣어 제2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200)를 거치게 된다.
이후, 제2차반응액에 과산화수소를 가하여 제3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300)를 거침으로써, 최종적인 잠재혈흔 현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치한 시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로 얻어진 다양한 색깔의 정색반응은 물론 특히, 건조된 혈흔 시료로부터 최대파장 λmax .=395nm에서 연두색의 발광이 안정적으로 매우 오랫동안 발현되어 용이하게 잠재혈흔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증거자료로 수습할 수 있었다.
결국, 상기와 같은 현출제를 이용하게 되면, 과학수사학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존의 잠재혈흔 현출방법과 자료 수습과정을 현실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방법상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혈액시료 전처리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Diimid-type의 2자리 리간드 화합물들을 잠재혈흔 현출제로 활용하여 혈액이나 혈흔 중에 존재하는 철 이온과의 반응성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반응 결과로 얻어진 다양한 색깔의 정색 반응과 특이적으로 건조된 시료로부터 최대파장 λmax .=395nm에서 연두색의 발광이 안정적으로 매우 오랫동안 발현되어 용이하게 잠재혈흔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증거자료를 수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없음.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C8H6N4의 분자식을 갖는 diimine-type ligand 를 포함하는 잠재혈흔 현출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A) 혈흔 시료에 에탄올을 가하여 제1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100);
    (B) 상기 제1차반응액에 빙초산에 C8H6N4의 분자식을 갖는 diimine-type ligand 를 포함하는 잠재혈흔 현출제를 녹인 용액을 넣어 제2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200);
    (C) 상기 제2차반응액에 과산화수소를 가하여 제3차반응액을 만드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혈흔 현출 방법.


KR1020120058489A 2012-05-31 2012-05-31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 KR10141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489A KR101413280B1 (ko) 2012-05-31 2012-05-31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489A KR101413280B1 (ko) 2012-05-31 2012-05-31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51A KR20130134751A (ko) 2013-12-10
KR101413280B1 true KR101413280B1 (ko) 2014-06-30

Family

ID=4998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489A KR101413280B1 (ko) 2012-05-31 2012-05-31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435A (en) 1974-12-12 1976-05-18 Miles Laboratories, Inc. Passive hemagglutination test method and composition for use therein
EP0444241A1 (en) 1990-03-01 1991-09-04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Reagent for measurement of leukocytes and hemoglobin in blood
US6821786B2 (en) 2002-04-25 2004-11-23 Future Data Inc. Diagnostic test for elemental imbalan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435A (en) 1974-12-12 1976-05-18 Miles Laboratories, Inc. Passive hemagglutination test method and composition for use therein
EP0444241A1 (en) 1990-03-01 1991-09-04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Reagent for measurement of leukocytes and hemoglobin in blood
US6821786B2 (en) 2002-04-25 2004-11-23 Future Data Inc. Diagnostic test for elemental imbalanc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 Rechtsmed., 88: 27-30, 1982 *
Z Rechtsmed., 88: 27-30, 198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51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Ultrasensitive and visual detection of tetracycline based on dual-recognition units constructed multicolor fluorescent nano-probe
Koren et al. Strongly phosphorescent iridium (III)–porphyrins–new oxygen indicators with tuneable photophys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ies
Fang et al. Small-molecule-based fluorescent probes for f-block metal ions: A new frontier in chemosensors
Yu et al. A competitive immunoassay for sensitive detection of small molecules chloramphenicol based on luminol functionalized silver nanoprobe
CN102768207B (zh) 基于纳米金模拟过氧化物酶的三聚氰胺测定方法
CN103411943B (zh) 基于藻红B的荧光淬灭法或比色法检测Ag+、Hg2+和Fe3+的方法
Das et al. Development of a new fluorescence ratiometric switch for endogenous hypochlorite detection in monocytes of diabetic subjects by dye release method
Nagy et al. Isocyanonaphthalenes as extremely low molecular weight, selective, ratiometric fluorescent probes for Mercury (II)
BR8006624A (pt) Aperfeicoamento em composicao, dispositivo de teste e processo para determinar a presenca de um componente em uma amostra de teste
Ma et al. Fluorescence ratiometric assay for discriminating GSH and Cys based on the composites of UiO-66-NH2 and Cu nanoclusters
CN107255628A (zh) 一种甲醛检测试剂
Chao et al. A new fluorescent enhanced probe based on (E)-9-(2-nitrovinyl)-anthracene for the detection of bisulfite anions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Kang et al. An NIR dual-emitting/absorbing inorganic compact pair: a self-calibrating LRET system for homogeneous virus detection
CN101893576A (zh) 一种重金属检测试纸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991070A (zh) 量子点阳离子交换信号放大技术检测真菌毒素的方法
Zare-Dorabei et al. Design of a novel optical sensor for determination of trace gadolinium
Sun et al. A portable ratiometric fluorescent strip for sensitive determination of mercuric ions
Pavitt et al.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 by direct voltammetry in an aprotic solvent
CN102706814A (zh) 以裸纳米金为显色探针的三聚氰胺快速测定方法
KR101413280B1 (ko) 잠재혈흔 현출제와 현출방법
Nakamura et al. Highly sensitive spectrophotometric and spectrofluorometric determinations of albumin with 5, 10, 15, 20-tetrakis (4-sulfophenyl) porphine
Delouei et al. Determination of pholcodine in syrups and human plasma using the chemiluminescence system of tris (1, 10 phenanthroline) ruthenium (II) and acidic Ce (IV)
Abdel-Haleem et al. Highly selective thiocyanate optochemical sensor based on manganese (III)-salophen ionophore
Wu et al. Chemiluminescence determination of sulphite using a cyclometalated iridium complex as chemiluminescence reagent
CN107831165A (zh) 一种双通道铜离子检测试纸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