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185B1 -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 Google Patents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185B1
KR101413185B1 KR1020120061142A KR20120061142A KR101413185B1 KR 101413185 B1 KR101413185 B1 KR 101413185B1 KR 1020120061142 A KR1020120061142 A KR 1020120061142A KR 20120061142 A KR20120061142 A KR 20120061142A KR 101413185 B1 KR101413185 B1 KR 10141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ate
diarrhea
nitrate
sodium
az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486A (ko
Inventor
이후장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1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아자이드화염(azide), 및 시안화염(cyanid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Use of salt mixture for the treatment of domestic animals and birds}
본 발명은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것이다.
살모넬라 감염증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으로서, 가축에서는 설사와 치명적인 감염을 유발시키며, 사람에서는 식중독과 장티푸스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leaveland, S., et al.,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991-999, 2001; Kim, G.S. et al., Biol. Pharm. Bull., 31, 2012-2017, 2009; Kim, D.H. et al, Kor. J. Environ. Agricul., 27, 156-162, 2008; Valle, E. et al., Infect. Immun., 73, 2835-2840, 2005).
살모넬라 감염증의 원인체인 Salmonella spp.는 그람음성 간균으로, 숙주영역이 상당히 넓고, 2,000여종 이상의 다양한 혈청형을 갖고 있으며, 국내 식중독 발생원인의 대부분을 차질할 정도로 감염빈도가 매우 높다(김동혁 등, 농업생명과학연구, 46, 111-119, 2011). Salmonella spp.는 숙주 세포 내로 침입하여 기생하면서 질병을 유발하므로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다량의 항생제 사용에 따른 항생제 내성균의 발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식품의약품안전청, 축산용 항생제 관리시스템 구축, 19-93, 2006; Lee, M.H., et al., Asian-Aust. J. Anim. Sci., 14, 402-413, 2001).
최근, 살모넬라균과 대장균 등을 포함하는 유해 식중독균들에 의한 질병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항생제들이 사용됨에 따라, 항생제 내성균들의 출현이 빈번해 지고 있어서 공중보건 상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Mah, M.W., et al., Saudi Med. J., 21:1125-1129 2000; Prescott, J.F., Anim. Health Res. Rev., 9, 127-133 2008; Gould, I.M., 32(Suppl. 1), S2-9, 2008; Ruiz, J.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43:699-702, 1999).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 및 식품 내 잔류 등에 따른 공중보건에 미치는 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하기 위해, 한약재(Kong, B., et al., J. Food Prot., 70:641-647, 2007; Chattopadhyay, D., et al., J. Ethnopharmacol., 77:49-55, 2001), 생균제인 probiotics(Bravo, M.V. et al., Rev. Med. Chil., 136:981-988, 2008; Collado, M.C., et al., Curr. Drug Metab., 10, 68-78, 2009), 프로폴리스(Scazzocchio, F., et al., Microbiol. Res., 161:327-333, 2006; Mani, F., et al., J. Ethnopharmacol., 105:95-98, 2006)등에서 항균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살모넬라,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부류셀라균 등과 같은 세포 내 절대기생 세균들의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작용을 이용하거나(Smith, D.J. et al., J. Agric. Food Chem., 57:10216-10224, 2009; Anderson, R.C., et al., Int. J. Food Microbiol., 71:125-130, 2001; Anderson, R.C., J. Food. Prot., 63:1038-1042, 2000; Patchanee, P., et al., J. Food Prot., 70:1798-1803, 2007), 이들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물질(Brian, J.N.J., et al., J. Biol. Chem., 279: 32212-32218, 2004; Afshar, S., et al., J. Bacteriol., 183:5491-5495, 2001; Bertero, M.G., et al., A. Nat. Struct. Biol., 10:681-687, 2003)등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 물질의 개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축 및 가금류의 살모넬라 균에 대한 항생제 및 약물은 잔류 및 항생제 내성 증가 문제를 일으키며, 치료비용 대비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염 혼합물을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 및 설사병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아자이드화염(azide), 및 시안화염(cyanid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가 제공된다. 상기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슘, 염소산칼륨, 염소산리튬 또는 염소산바륨일 수 있고,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칼슘, 질산칼륨 또는 질산철일 수 있으며, 상기 아자이드화염은 아자이드나트륨, 알루미늄 아자이드, 아자이드화은, 아자이드화 수소 또는 리튬 아자이드일 수 있고, 상기 시안화염은 시안화 칼슘, 시안화 칼륨 또는 시안화 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염소산염 70~90 중량부, 질산염 1~15 중량부, 아자이드화염 1~5 중량부, 및 시안화염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아자이드화염(azide), 및 시안화염(cyanid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가 제공된다. 상기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슘, 염소산칼륨, 염소산리튬 또는 염소산바륨일 수 있고,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칼슘, 질산칼륨 또는 질산철일 수 있으며, 상기 아자이드화염은 아자이드나트륨, 알루미늄 아자이드, 아자이드화은, 아자이드화 수소 또는 리튬 아자이드일 수 있고, 상기 시안화염은 시안화 칼슘, 시안화 칼륨 또는 시안화 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사료는 염소산염 70~90 중량부, 질산염 1~15 중량부, 아자이드화염 1~5 중량부, 및 시안화염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아자이드화염(azide), 및 시안화염(cyanid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슘, 염소산칼륨, 염소산리튬 또는 염소산바륨일 수 있고,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칼슘, 질산칼륨 또는 질산철일 수 있으며, 상기 아자이드화염은 아자이드나트륨, 알루미늄 아자이드, 아자이드화은, 아자이드화 수소 또는 리튬 아자이드일 수 있고, 상기 시안화염은 시안화 칼슘, 시안화 칼륨 또는 시안화 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염소산염 70~90 중량부, 질산염 1~15 중량부, 아자이드화염 1~5 중량부, 및 시안화염 1~5 중량부를 가축에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에 감염된 돼지에 투여 후, 상기 돼지의 대변에 있는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이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조군에 비하여, p<0.05임을 의미함;
**대조군에 비하여 p<0.001임을 의미함;
□: 대조군;
■: 실시예 1을 투여한 군; 및
▨; 비교예 1을 투여한 군.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하기와 같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는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아자이드화염(azide), 및 시안화염(cyanide)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의 이전 연구 결과에서 상술한 단일 염소산염, 아자이드화염, 및 시안화염 단일 및 복합물의 설사병을 유발하는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이여은 등,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6(3):222~226, 2011; 임정주 등,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ublic Health, 35(3):189-193, 2011).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마우스 동물 모델(in vivo) 및 세포주(in vitro)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가축에서 살모넬라 피무리움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상술한 발명자의 이전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질산염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에 감염된 돼지에 투여 후, 상기 돼지의 대변에 있는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이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가지 종류의 염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조성물을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에 감염된 돼지에 공급하였을 때, 설사병 치료 효과를 대변에 있는 살모넬라 균을 계수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살모넬라 균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가지 염 화합물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설사병 치료 효과가 더욱 극대화됨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염 혼합물의 제조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돼지 설사병에 효과가 있는 염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조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이여은 등,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6(3):222~226, 2011; 임정주 등,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ublic Health, 35(3):189-193, 2011). 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ate),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아자이드화나트륨(sodium azide), 및 시안화나트륨(sodium cyanide)은 Sigma-Aldrich Korea (Yongin,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성분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염소산나트륨 1.6 g, 질산나트륨 106.3 ㎎, 아자이드화나트륨 19.5 ㎎ 및 시안화나트륨 14.7 ㎎의 비율로 사용하기 직전에 음용수 1ℓ에 혼합하여 돼지에 공급하였다. 돼지에게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은 하루에 평균적으로 1ℓ/1 마리였다(표 1 참조).
비교예 1: 염 혼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4가지 종류의 염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조성물의 설사병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소산나트륨 및 질산나트륨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비교예로 이용하였다. 각 성분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염소산염 1.6 g/ℓ(15 mM) 및 질산염 106.3 ㎎/ℓ(1.25 mM)의 비율로 사용하기 직전에 음용수에 혼합하여 돼지에 공급하였다. 돼지에게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은 하루에 평균적으로 1ℓ/1 마리였다(표 1 참조).
염소산나트륨
(sodium chlorate)
질산나트륨
(sodium nitrate)
아자이드화나트륨
(sodium azide)
시안화나트륨
(sodium cyanide)
실시예 1 1.6 g 106.3 19.5 14.7
비교예 1 1.6 g 106.3 - -
실시예 2: 동물사육 조건
본 발명에서 수행한 모든 동물 실험 과정은 경상대학교 동물관리 위원회의 윤리 위원회로부터 승인받았다(GAR-110816-X0034). 4주령, 초기 체중 6.5 ± 0.53 kg의 돼지(Large White × Duroc × Landrace) 15 마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15마리의 돼지는 S. typhimurium에 감염된 15마리 돼지로, (주)가야인티 업체로부터 구입하여(Kayainte Co., Ltd., Sacheon, Korea), 경상대학교 동물관리 시설에서 사육하였다. 상기 돼지는 니플 보울 식수통(nipple bowl drinker)과 먹이통이 있고, 바닥에 톱밥이 깔려진 우리에서 사육되었다. 사육 온도는 실험 기간 동안 25 ± 1℃로 유지하였으며, 상기 돼지는 자유식이로 사료(Purina Feed, Seongnam, Korea)와 음용수를 공급받았다.
하기 실험예의 데이터는 일원분산분석인 ANOV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Student’s t-tes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SD)로 표현하였으며, p<0.05 이하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예 1: 염 혼합물의 설사병 치료 효과
돼지는 초기 무게를 기준으로 각 실험군으로 나누었으며, 이에 따라 실시예1 또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상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음용수 1ℓ에 혼합하여 돼지에 투여하며, 동물시설 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S. typhimurium에 감염된 돼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음용수를 공급한 군(대조군)을 이용하였다. 이에 대한 실험군은 S. typhimurium 에 감염된 돼지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공급한 군을 이용하였으며, 각 군당 돼지 5마리를 이용하였다.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은 7일 동안 각 군에 맞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포함된 음용수를 공급받았다. 이때, 음용수 1ℓ에 포함된 각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1-1: 설사 지수(Feces Score)
상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군의 설사 정도를 Cox 등의 논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육안으로 비교하여 0~3의 표준화된 수치로 분변의 상태를 표시하였다(Cox et al., Vet. Microbiol., 17: 159-69, 1987).
설사 지수
(Feces Score)
상태
0 설사병이 전혀 없는 정상 변
1 설사병이 약간 있는, 약간 묽은 변
2 설사병이 중간정도 있는, 반 액체의 변
3 설사병이 심각한, 액체 상태의 변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군에서 투여 시간에 따라 현저하게 설사 지수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공급받은 군은 투여 첫째 날 p<0.05, 그 후에는 p<0.001을 나타냈으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공급받은 군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표 3 참조).
돼지수 설사 지수
0일 1일 3일 5일 7일
대조군 5 2.8±0.22 2.8±0.31 2.7±0.24 2.8±0.33 2.7±0.25
실시예 1 5 2.8±0.26 1.6±0.25** 1.2±0.29** 0.7±0.19** 0.2±0.18**
비교예 1 5 2.7±0.21 2.3±0.19* 1.9±0.23** 1.4±0.21** 0.8±0.21**
*대조군에 비하여, p<0.05임을 의미함
**대조군에 비하여 p<0.001임을 의미함
1-2: 설사 분변에서 S. typhimurium 균의 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공급 1일, 3일, 5일 및 7일 째 되는 날, 모든 돼지로부터 분변샘플을 수거한 후, S. typhimurium 균의 수를 분석하였다. 1g의 분변 샘플을 0.1%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버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액과 이를 1/10 희석한 용액을 SS 아가(Salmonella-Shigella agar)(Oxoid Ltd., England, UK)에서 배양하였으며, 이를 2회 반복 실험하였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S. typhimurium 콜로니의 수를 계수하였으며, 이를 CFU/g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공급한 실험군의 분변 샘플에서 S. typhimurium 균의 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공급한 실험군에서 모두 S. typhimurium 균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비교예 1의 경우 투여 3일째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S. typhimurium 균의 수가 감소하였다(3일 째: p<0.05; 5 및 7일 째: p<0.001). 실시예 1의 투여 1일 째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역시 S. typhimurium 균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1일 째: p<0.05; 3, 5 및 7일 째: p<0.001).
실험예 2: 염 혼합물의 독성 확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공급한 돼지의 무게를 실험 시작 전부터 실험을 진행하는 7일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마지막 날 돼지의 경정맥의 앞부분(anterior jugular vein)으로부터 6 ㎖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혈액학적 지표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를 분석하였다. 상기 혈액학적 지표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를 분석하기 위하여, 리튬 헤파린(lithium heparin)으로 코팅된 진공시험관(BD, Franklin Lakes, NJ, USA)을 이용하여 투여 7일째 돼지의 경정맥의 앞부분(anterior jugular vein)으로부터 6 ㎖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전체 혈액 샘플 3 ㎖은 자동 혈액 분석기(ADVIA 120 hematology analyzer, Bayer Diagnostics, NY, USA)를 이용하여 즉시 분석하였으며, 남은 혈액 샘플은 5℃, 2,000 × g 조건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혈장은 자동 생화학 분석기(automatic biochemistry analyzer) (Hitachi 911 chemistry analyzer,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혈액생화학적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여 7일 동안 돼지의 몸무게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투여 7일 째 되는 날, 대조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투여군 사이의 몸무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투여군에서 몸무게가 다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표 4 참조).
또한, 하기 표 5의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공급받은 군은 혈액학적 지표(백혈구, 적혈구, 혈액구 용적 및 헤모글로빈)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산전이효소(aspartate transaminase), 알라닌 아미노산전이효소(alanine transaminase), 요소질소 및 크레아티(creatinine))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에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 혼합물의 투여가 S. typhimurium에 의하여 유발된 설사병을 앓고 있는 돼지에 대하여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설사병 치료에만 유의하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표 5 참조).
돼지수
돼지 무게(kg)
투여전 투여 7일째
대조군 5 6.41±0.24 7.53±0.43
실시예 1 5 6.33±0.41 7.72±0.35
실시예 2 5 6.37±0.31 7.92±0.36
지표 정상범위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1
RBC (M/㎣) 5.0-8.0 7.2±0.33 7.6±0.33 7.5±0.29
WBC (M/㎣) 11.0-22.0 14.9±2.03 14.6±2.04 14.8±3.24
PCV (%) 32.0-50.0 38.8±3.43 37.8±3.41 38.2±3.96
Hemoglobin (g/㎗) 10.0-17.0 15.4±1.36 14.7±1.84 14.9±1.53
AST (IU/ℓ) 16.0-65.0 34.2±3.46 35.2±5.46 34.8±4.18
ALT (IU/ℓ) 9.0-43.0 37.0±5.37 35.0±6.37 36.9±4.67
BUN (㎎/ℓ) 6.0-30.0 20.0±5.42 24.0±4.42 22.1±4.29
Creatinine (㎎/ℓ) 0.5-2.1 0.9±0.35 0.9±0.43 0.9±0.27
*WBC (white blood cells): 백혈구
*RBC (red blood cells): 적혈구
*PCV (packed cell volume): 혈액구 용적
*AST (aspartate transaminase):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산전이효소
*ALT (alanine transaminase): 알라닌 아미노산전이효소
*BUN (blood urea nitrogen): 요소질소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 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ate) 70~90 중량부, 질산 나트륨(sodium nitrate) 1~15 중량부, 아자이드화 나트륨(sodium azide) 1~5 중량부, 및 시안화 나트륨(sodium cyanide)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가축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되는, 가축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
KR1020120061142A 2012-06-07 2012-06-07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KR10141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42A KR101413185B1 (ko) 2012-06-07 2012-06-07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42A KR101413185B1 (ko) 2012-06-07 2012-06-07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86A KR20130137486A (ko) 2013-12-17
KR101413185B1 true KR101413185B1 (ko) 2014-06-27

Family

ID=4998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42A KR101413185B1 (ko) 2012-06-07 2012-06-07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1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672A (ja) 2008-03-06 2009-10-0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 Inc 皮膚に対する鎮痛効果を提供するための組成物
KR20110018545A (ko) * 2009-08-18 2011-02-2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염소산염을 포함하는 돼지증식성회장염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672A (ja) 2008-03-06 2009-10-0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 Inc 皮膚に対する鎮痛効果を提供するための組成物
KR20110018545A (ko) * 2009-08-18 2011-02-2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염소산염을 포함하는 돼지증식성회장염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86A (ko)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adón et al. Prebiotics and probiotics in feed and animal health
Mahboub et al. Efficacy of nano zinc oxide dietary supplements on growth performance, immunomodulation and disease resistance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RU2665815C2 (ru) Композиция пробиотиков и пребиотиков
US10179153B2 (en) Probiotic and prebiotic compositions
Kelley et al. Effects of varying doses of a probiotic supplement fed to healthy dogs undergoing kenneling stress.
Yılmaz et al. Effect of combination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and trans‐cinnamic acid on innate immune responses and resistanc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to Yersinia ruckeri
Yu et al. Biosynthetic microcin J25 exerts stro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ctivities, low cytotoxicity without increasing drug-resistance to bacteria target
KR101413184B1 (ko)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Toutou et al. Effect of probiotic and synbiotic food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healthy status of grass carp, Ctenopharyngodon idella (Valenciennes, 1844)
KR101413185B1 (ko)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Gefeller et al. Effects of age and zinc supplementation on transport properties in the jejunum of piglets
Naraghi et al. Dietary incorporation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mixture (DiPro Aqua) Ameliorates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rainbow trout
US20210353732A1 (en) Use of tlr4 modulator in the treatment of coccidiosis
Mahmoudzadeh et al. Effects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aum, 1792)
Arciuch-Rutkowska et al. Effects of the diet enrichment with β-glucan, sodium salt of butyric acid and vitamins on growth parameters and the profile of the gut microbiome of juvenile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Friendship et al. Drug therapy and prophylaxis
Rodriguez Evaluation of the synbiotic strategy a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wine digestive pathologies
Singh et al. Supplementation of autochthonous potential probiotic Bacillus subtilis COFCAU_BSP3 to Labeo rohita feed: effect on immune-biochemical responses and resistance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Forbes et al. No evidence for synergy between nitroxynil and triclabendazole against juvenile, 4-week-old, triclabendazole-resistant Fasciola hepatica in sheep.
Gu et al. Tannic Acid Induces Intestinal Dysfunction and Intestinal Microbial Dysregulation in Brandt’s Voles (Lasiopodomys brandtii). Animals 2023, 13, 586
Kumar et al. Synergistic Effect of Prebiotic with Gut Isolated Probiotic Bacteria on Survival, Growth and Carcass Composition of Labeo rohita
Xiong et al. Recombinant Bacillus subtilis expressing functional peptide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antioxidant capacity and intestine in Megalobrama amblycephala
Hassan et al. The detection and comparis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Salmonella isolated from eggs of commercial layers and free-range chickens
KIM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in E. Coli Populations from Growing Pigs Following Use of Feed-based Subtherapeutic Antimicrobials Or a Competitive Exclusion Culture
Sîrbu et al. T, ot, oiu, 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