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184B1 -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 Google Patents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3184B1 KR101413184B1 KR1020120061141A KR20120061141A KR101413184B1 KR 101413184 B1 KR101413184 B1 KR 101413184B1 KR 1020120061141 A KR1020120061141 A KR 1020120061141A KR 20120061141 A KR20120061141 A KR 20120061141A KR 101413184 B1 KR101413184 B1 KR 1014131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rrhea
- poultry
- comparative example
- treatment
- livestoc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오배자(Galla Rhois)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살모넬라 감염증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으로서, 가축에서는 설사와 치명적인 감염을 유발시키며, 사람에서는 식중독과 장티푸스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leaveland, S., et al.,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6, 991-999, 2001; Kim, G.S. et al., Biol. Pharm. Bull., 31, 2012-2017, 2009; Kim, D.H. et al, Kor. J. Environ. Agricul., 27, 156-162, 2008; Valle, E. et al., Infect. Immun., 73, 2835-2840, 2005).
살모넬라 감염증의 원인체인 Salmonella spp.는 그람음성 간균으로, 숙주영역이 상당히 넓고, 2,000여종 이상의 다양한 혈청형을 갖고 있으며, 국내 식중독 발생원인의 대부분을 차질할 정도로 감염빈도가 매우 높다(김동혁 등, 농업생명과학연구, 46, 111-119, 2011). Salmonella spp.는 숙주 세포 내로 침입하여 기생하면서 질병을 유발하므로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다량의 항생제 사용에 따른 항생제 내성균의 발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식품의약품안전청, ‘축산용 항생제 관리시스템 구축’, 19-93, 2006; Lee, M.H., et al., Asian-Aust. J. Anim. Sci., 14, 402-413, 2001).
최근, 살모넬라균과 대장균 등을 포함하는 유해 식중독균들에 의한 질병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항생제들이 사용됨에 따라, 항생제 내성균들의 출현이 빈번해 지고 있어서 공중보건 상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Mah, M.W., et al., Saudi Med. J., 21:1125-1129 2000; Prescott, J.F., Anim. Health Res. Rev., 9, 127-133 2008; Gould, I.M., 32(Suppl. 1), S2-9, 2008; Ruiz, J.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43:699-702, 1999).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 및 식품 내 잔류 등에 따른 공중보건에 미치는 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하기 위해, 한약재(Kong, B., et al., J. Food Prot., 70:641-647, 2007; Chattopadhyay, D., et al., J. Ethnopharmacol., 77:49-55, 2001), 생균제인 probiotics(Bravo, M.V. et al., Rev. Med. Chil., 136:981-988, 2008; Collado, M.C., et al., Curr. Drug Metab., 10, 68-78, 2009), 프로폴리스(Scazzocchio, F., et al., Microbiol. Res., 161:327-333, 2006; Mani, F., et al., J. Ethnopharmacol., 105:95-98, 2006)등에서 항균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살모넬라,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브루셀라균 등과 같은 세포 내 절대기생 세균들의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작용을 이용하거나(Smith, D.J. et al., J. Agric. Food Chem., 57:10216-10224, 2009; Anderson, R.C., et al., Int. J. Food Microbiol., 71:125-130, 2001; Anderson, R.C., J. Food. Prot., 63:1038-1042, 2000; Patchanee, P., et al., J. Food Prot., 70:1798-1803, 2007), 이들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물질(Brian, J.N.J., et al., J. Biol. Chem., 279: 32212-32218, 2004; Afshar, S., et al., J. Bacteriol., 183:5491-5495, 2001; Bertero, M.G., et al., A. Nat. Struct. Biol., 10:681-687, 2003)등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 물질의 개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축 및 가금류의 살모넬라 균에 대한 항생제 및 약물은 잔류 및 항생제 내성 증가 문제를 일으키며, 치료비용 대비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 및 설사병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오배자(Galla Rhois)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가 제공된다.
상기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는 염소산염 10~30 중량부, 질산염 0.5~5 중량부, 어성초 1~10 중량부, 오배자 1~15 중량부, 및 오미자 1~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슘, 염소산칼륨, 염소산리튬 또는 염소산바륨일 수 있고,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칼슘, 질산칼륨 또는 질산철일 수 있다.
상기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은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으며,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오배자(Galla Rhois)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를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가 제공된다.
상기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는 염소산염 10~30 중량부, 어성초 0.5~5 중량부, 오배자 1~15 중량부, 및 오미자 1~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다. 상기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슘, 염소산칼륨, 염소산리튬 또는 염소산바륨일 수 있고,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칼슘, 질산칼륨 또는 질산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오배자(Galla Rhois)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를 가축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염소산염 10~30 중량부, 어성초 0.5~5 중량부, 오배자 1~15 중량부, 및 오미자 1~15 중량부를 가축에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다. 상기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슘, 염소산칼륨, 염소산리튬 또는 염소산바륨일 수 있고, 상기 질산염은 질산나트륨, 질산칼슘, 질산칼륨 또는 질산철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하기와 같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는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오배자(Galla Rhois)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의 이전 연구 결과에서 상술한 단일 염소산염으로서 염소산나트륨, 아자이드화염, 및 시안화염 단일 및 복합물의 설사병을 유발하는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이여은 등,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6(3):222~226, 2011; 임정주 등,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ublic Health, 35(3):189-193, 2011).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마우스 동물 모델(in vivo) 및 세포주(in vitro)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가축에서 살모넬라 피무리움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상술한 발명자의 이전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질산염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하였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항미생물,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성분을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약재를 의미하며(Lu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05:436-440, 2006; Lu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04:245-249, 2006; Lu et al.,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54:936-940, 2006). 어성초는 그램 양성 박테리아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알려진 메틸노닐케논(methyl nonyl keto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초산 보르닐(bornyl acetate), 알파피넨(α-pinene), 및 베타피넨(β-pinene)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Lu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05:436-440, 2006).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오배자(Galla Rhois)”는 수렴, 지사, 지혈 및 해독 효과로 인하여 설사, 기침 및 자한(spontaneous perspiration) 등의 치료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약재를 의미한다(Lee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38, 602-609, 2011). 오배자는 천연 약재이며,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타닌(tannin) 유래의 성분을 다수 함유하고 있어, 타닌산, 메틸갈레이트(methyl gallate), 갈산(gallic acid)이라고 통칭된다. 칼로타닌(gallotannins)은 갈산으로부터 형성된 가수분해가 가능한 타닌 중합체로 항균, 항진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알려져 있다(Ahn et al., Microbial Ecology in Health Disease, 7:257-261, 1994; Ahn et al.,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81:105-112, 2005; Chen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03:385-391, 2006). 타닌산은 가수분해가 가능한 타닌의 형태로,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spp.), 대장균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등과 같은 장내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Lee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38, 602-609, 2011).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는 호흡장애, 자극감수성(irritability), 소아청소년 부정맥(palpitation), 관상심장병(coronary heart disease), 및 불면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Lee et al.,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7:1066-1069, 2004). 또한, 오미자를 함유하는 탕약은 바이러스성 간염에 있어서 간 보호효과, 및 바실러스균, 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알려져 있다(Sinclair, Alternative Medicine Review, 3:338-344, 1998; Lee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111:270-275, 2006).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는 염소산염(chlorate), 질산염(nitrate),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오배자(Galla Rhois)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를 포함하고 있는 사료를 의미하며, 설사병을 앓고 있는 가축 및 가금류에 공급하여 설사병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염과 식물 혼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돼지 설사병에 효과가 있는 염 및 식물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조합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이여은 등,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6(3):222~226, 2011; 임정주 등,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ublic Health, 35(3):189-193, 2011). 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ate),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은 Sigma-Aldrich Korea (Yongin,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한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오배자(Galla Rhois)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는 한국 국가 동물 바이오 자원 은행(진주, 한국)에서 구매하였으며, 상기 건조한 식물 추출물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약재 파우더는 Lee 등의 연구에서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Lee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111, 270-275, 2006). 상기 4가지 약재를 각각 열수 추출하였으며, 약 100 g을 400 ㎖의 음용수에서 100℃에서 60분 동안, 3회 반복하여 열수 추출을 수행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와트만 No. 1 필터 종이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상기 여과액을 상온에서 일정하게 바람이 부는 조건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건조된 추출 분말은 하기 실험을 수행하기 전까지 -20℃에 보관하였다.
각 성분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염소산나트륨 1.6g, 질산나트륨 106.3 ㎎, 어성초 250 ㎎, 오배자 500 ㎎ 및 오미자 500 ㎎의 비율로 음용수 1ℓ에 혼합하여 돼지에 공급하였다. 돼지에게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은 하루에 평균적으로 1ℓ/1 마리였다(표 1 참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및 비율로 음용수에 혼합한 후, 하루에 1ℓ씩 7일 동안 각 돼지에게 공급되었다.
비교예 1~5: 염과 식물 혼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 및 식물 복합물 추출물의 돼지 설사병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염 혼합물, 식물 단일 또는 혼합 성분 추출물의 돼지 설사병 치료 효과를 상기 실시예 1과 비교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염 혼합물(비교예 1), 어성초(비교예 2), 오배자(비교예 3), 오미자(비교예 4), 및 어성초, 오배자 및 오미자 혼합물(비교예 5)를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설사병에 걸린 돼지에 투여하였다(표 1 참조).
각 성분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염소산나트륨 1.6 g, 질산나트륨 106.3 ㎎, 어성초 250 ㎎, 오배자 500 ㎎ 및 오미자 500 ㎎의 비율로 각 조성물에 맞는 성분들을 선택하여 사용하기 직전에 음용수 1ℓ에 혼합하여 돼지에 공급하였다. 돼지에게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은 하루에 평균적으로 1 ℓ/1 마리였다(표 1 참조).
염소산나트륨 (sodium chlorate) |
질산나트륨 (sodium nitrate) |
어성초 추출물 분말 |
오배자 추출물 분말 |
오미자 추출물 분말 |
|
대조군 | - | - | - | - | - |
실시예 1 | 1.6 g | 106.3 ㎎ | 250 ㎎ | 500 ㎎ | 500 ㎎ |
비교예 1 | 1.6 g | 106.3 ㎎ | - | - | - |
비교예 2 | - | - | 250 ㎎ | - | - |
비교예 3 | - | - | - | 500 ㎎ | - |
비교예 4 | - | - | - | - | 500 ㎎ |
비교예 5 | - | - | 250 ㎎ | 500 ㎎ | 500 ㎎ |
실시예 2: 동물사육 조건
본 발명에서 수행한 모든 동물 실험 과정은 경상대학교 동물관리 위원회의 윤리 위원회로부터 승인받았다(GAR-110816-X0034). 4주령, 초기 체중 6.5±0.5 kg의 돼지(Large White × Duroc × Landrace) 35 마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35 마리의 돼지는 S. typhimurium에 감염된 돼지로, (주)가야인티로부터 구입하여(Kayainte Co., Ltd., Sacheon, Korea), 경상대학교 동물관리 시설에서 사육하였다. 상기 돼지는 니플 보울 식수통(nipple bowl drinker)과 먹이통이 있고, 바닥에 톱밥이 깔려진 우리에서 사육되었다. 사육 온도는 실험 기간 동안 25 ±1℃로 유지하였으며, 상기 돼지는 자유식이로 사료(Purina Feed, Seongnam, Korea)와 음용수를 공급받았다.
하기 실험예의 데이터는 일원분산분석인 ANOV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Student’s t-tes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평균 ±표준오차(SD)로 표현하였으며, p<0.05 이하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예 1: 설사병 치료 효과
돼지는 초기 무게를 기준으로 각 실험군으로 나누었으며, 이에 따라 염 및 약재를 투여하였으며, 동물시설 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S. typhimurium에 감염된 돼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음용수를 공급한 군(대조군)을 이용하였다. 이에 대한 실험군은 S. typhimurium 에 감염된 돼지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을 공급한 군을 이용하였으며, 각 군당 돼지 5마리를 이용하였다.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은 7일 동안 각 군에 맞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포함된 음용수를 공급받았다. 이때, 음용수에 포함된 각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1-1: 설사 지수(Feces Score)
상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군의 설사의 정도를 Cox 등의 논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육안으로 비교하여 0~3의 표준화된 수치로 분변의 점도를 표시하였다(Cox et al., Vet. Microbiol., 17: 159-69, 1987).
설사 지수
(Feces Score) |
상태 |
0 | 설사병이 전혀 없는 정상 변 |
1 | 설사병이 약간 있는, 약간 묽은 변 |
2 | 설사병이 중간정도 있는, 반 액체의 변 |
3 | 설사병이 심각한, 액체 상태의 변 |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군에서 투여 시간에 따라 현저하게 설사 지수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공급받은 군은 투여 첫째 날부터 p<0.001을 나타내며, 염 혼합물(비교예 1), 식물 추출물(비교예 2~4) 및 식물 혼합물(비교예 5)에 비하여 설사 지수가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표 3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모두 함께 사용하였을 때, 돼지 설사병 치료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돼지수 |
설사 지수 | |||||
0일 | 1일 | 3일 | 5일 | 7일 | ||
대조군 | 5 | 2.8±0.22 | 2.8±0.22 | 2.7±0.22 | 2.7±0.22 | 2.8±0.22 |
실시예 1 | 5 | 2.8±0.26 | 1.6±0.25** | 1.2±0.29** | 0.7±0.19** | 0.4±0.18** |
비교예 1 | 5 | 2.7±0.21 | 2.3±0.19* | 1.9±0.23** | 1.4±0.21** | 1.0±0.21** |
비교예 2 | 5 | 2.8±0.20 | 2.7±0.21 | 2.5±0.33 | 2.2±0.17* | 1.9±0.28* |
비교예 3 | 5 | 2.7±0.19 | 2.6±0.43 | 2.7±0.22 | 2.1±0.21* | 1.8±0.25* |
비교예 4 | 5 | 2.7±0.26 | 2.7±0.18 | 2.7±0.22 | 2.1±0.22* | 1.9±0.41* |
비교예 5 | 5 | 2.8±0.23 | 2.4±0.16* | 2.0±0.21* | 1.6±0.16** | 1.4±0.11** |
*대조군에 비하여, p<0.05를 의미함
**대조군에 비하여 p<0.001를 의미함
1-2: 설사 분변에서
S. typhimurium
균의 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공급 1일, 3일, 5일 및 7일 째 되는 날, 모든 돼지로부터 분변샘플을 수거한 후, S. typhimurium 균의 수를 분석하였다. 1g의 대변 샘플을 0.1%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버퍼에 현탁한 후, 상기 현탁액과 이를 1/10 희석한 용액을 SS 아가(Salmonella-Shigella agar)(Oxoid Ltd., England, UK)에서 배양하였으며, 이를 2회 반복 실험하였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S. typhimurium 콜로니의 수를 계수하였으며, 이를 CFU/g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공급한 실험군의 분변 샘플에서 S. typhimurium 균의 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공급한 군에서 S. typhimurium 균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1의 경우 투여 1일 째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역시 S. typhimurium 균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1일 째: p<0.05; 3, 5 및 7일 째: p<0.001). 비교예 1 조성물을 공급한 군의 경우, 1일째부터 S. typhimurium 균이 감소하였으며, 비교예 2~4 조성물을 공급한 군의 경우, 5일 째부터 유의하게 S. typhimurium 균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비교예 5의 경우, 공급 1일째부터 S. typhimurium 균이 감소하였다. 즉, 비교예 1 내지 5를 공급한 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S. typhimurium 균의 수가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에 비하여 감소 속도 및 효과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 복합물 및 약재 조성물을 혼합하여 공급하였을 때, 돼지의 설사병 치료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돼지수 | S. typhimurium 균의 수(103CFU/g) | ||||
0일 | 1일 | 3일 | 5일 | ||
대조군 | 5 | 4,690±512 | 4,420±455 | 4,360±400 | 4,500±415 |
실시예 1 | 5 | 3,680±250* | 2,850±293** | 2,100±172** | 420±110** |
비교예 1 | 5 | 4,120±254 | 3,660±273* | 2,800±281** | 1,870±291** |
비교예 2 | 5 | 4,340±137 | 4,120±312 | 3,960±351 | 3,260±273* |
비교예 3 | 5 | 4,460±291 | 4,220±319 | 4,020±121 | 3,620±197* |
비교예 4 | 5 | 4,360±515 | 4,120±275 | 3,790±420 | 3,460±473* |
비교예 5 | 5 | 4,280±337 | 3,760±322* | 3,290±173* | 2,510±192** |
*대조군에 비하여, p<0.05를 의미함
**대조군에 비하여 p<0.001를 의미함
실험예 2: 염 및 약재 혼합물의 독성 확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공급한 돼지의 무게를 실험 시작 전부터 실험을 진행하는 7일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마지막 날 돼지의 경정맥의 앞부분(anterior jugular vein)으로부터 6 ㎖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혈액학적 지표 및 혈액생화학적 수치를 분석하였다. 상기 혈액학적 지표 및 혈액생화학적 수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리튬 헤파린(lithium heparin)으로 코팅된 진공시험관(BD, Franklin Lakes, NJ, USA)을 이용하여 투여 7일째 돼지의 경정맥의 앞부분(anterior jugular vein)으로부터 6 ㎖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전체 혈액 샘플 3 ㎖은 자동 혈액 분석기(ADVIA 120 hematology analyzer, Bayer Diagnostics, NY, USA)를 이용하여 즉시 분석하였으며, 남은 혈액 샘플은 5℃, 2,000 × g 조건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혈장은 자동 생화학 분석기(automatic biochemistry analyzer) (Hitachi 911 chemistry analyzer,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혈액생화학적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여 7일 동안 돼지의 몸무게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투여 7일 째 되는 날, 대조군, 및 실시예 1 및 비교예 1~5 공급군 사이의 몸무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시예 1 및 비교예 1~5 공급군에서 대조군에 몸무게가 다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표 5 참조).
돼지 수 | 돼지 무게(kg) | ||
투여전 | 투여 7일째 | ||
대조군 | 5 | 6.41±0.24 | 7.53±0.43 |
실시예 1 | 5 | 6.33±0.41 | 7.72±0.35 |
비교예 1 | 5 | 6.37±0.31 | 7.67±0.36 |
비교예 2 | 5 | 6.31±0.34 | 7.58±0.22 |
비교예 3 | 5 | 6.35±0.44 | 7.60±0.18 |
비교예 4 | 5 | 6.28±0.34 | 7.62±0.11 |
비교예 5 | 5 | 6.40±0.22 | 7.65±0.33 |
또한, 하기 표 6의 혈액학적 지표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공급받은 군은 혈액학적 지표(백혈구, 적혈구, 혈액구 용적 및 헤모글로빈) 및 혈액생화학적 지표(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산전이효소(aspartate transaminase), 알라닌 아미노산전이효소(alanine transaminase), 요소질소 및 크레아티(creatinine))가 모두 정상 범위에 있었다(표 6 참조). 또한, 염 혼합물(비교예 1), 식물 추출물(비교예 2~4) 및 식물 혼합물(비교예 5)를 공급한 군도 혈액학적 지표 및 혈액생화학적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에 있었다(표 7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가 S. typhimurium에 의하여 유발된 설사병을 앓고 있는 돼지에 대하여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설사병 치료에만 유의하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지표 | 정상범위 | 대조군 | 실시예 1 |
RBC (M/㎣) | 5.0-7.0 | 6.1±0.33 | 6.5±0.33 |
WBC (M/㎣) | 11.0-22.0 | 14.9±2.03 | 14.6±2.04 |
PCV (%) | 36.0-43.0 | 38.8±3.43 | 37.8±2.41 |
Hemoglobin (g/㎗) | 9.0-13.0 | 12.4±1.36 | 11.7±1.34 |
AST (IU/ℓ) | 15.0-55.0 | 34.2±3.46 | 35.2±5.46 |
ALT (IU/ℓ) | 22.0-47.0 | 37.0±5.37 | 35.0±6.37 |
BUN (㎎/㎗) | 8.2-25.0 | 16.0±3.42 | 20.0±4.41 |
Creatinine (㎎/㎗) | 0.8-2.3 | 1.3±0.35 | 1.3±0.43 |
지표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RBC (M/㎣) | 6.4±0.29 | 6.2±0.13 | 6.1±0.32 | 6.3±0.40 | 6.2±0.13 |
WBC (M/㎣) | 14.8±3.24 | 14.4±1.54 | 14.5±2.01 |
14.6±1.94 | 14.4±2.55 |
PCV (%) | 38.2±3.96 | 37.9±3.02 | 38.1±2.98 |
38.4±3.94 | 38.0±2.98 |
Hemoglobin (g/㎗) |
11.9±1.53 | 11.3±1.33 | 11.5±1.16 |
11.2±1.39 | 11.4±1.31 |
AST (IU/ℓ) | 34.8±4.18 | 33.2±5.05 | 34.1±4.11 |
34.5±3.82 | 34.2±4.06 |
ALT (IU/ℓ) | 36.9±4.67 | 37.2±4.27 | 37.7±4.71 |
36.3±2.67 | 35.4±4.79 |
BUN (㎎/㎗) | 18.1±3.52 | 17.1±3.21 | 17.7±4.04 | 18.3±3.16 | 19.1±3.68 |
Creatinine (㎎/㎗) |
1.4±0.27 | 1.3±0.46 | 1.4±0.31 |
1.4±0.22 | 1.4±0.18 |
본 발명은 실시예, 실험예 및 비교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 유효성분으로 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ate) 10~30 중량부, 질산나트륨(sodium nitrate) 0.5~5 중량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1~10 중량부, 오배자(Galla Rhois) 1~15 중량부 및 오미자(Schizandrae Fructus) 1~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병은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균에 의하여 유발된, 가축 및 가금류의 설사병 치료용 사료첨가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1141A KR101413184B1 (ko) | 2012-06-07 | 2012-06-07 |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1141A KR101413184B1 (ko) | 2012-06-07 | 2012-06-07 |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7485A KR20130137485A (ko) | 2013-12-17 |
KR101413184B1 true KR101413184B1 (ko) | 2014-06-27 |
Family
ID=4998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1141A KR101413184B1 (ko) | 2012-06-07 | 2012-06-07 |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318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09434A (zh) * | 2016-10-28 | 2017-03-22 | 福建省农业科学院农业生态研究所 | 一种预防和治疗仔猪腹泻的中草药饲料添加剂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38312A (zh) * | 2015-04-08 | 2015-07-01 | 平武县康昕生态食品科技开发有限公司 | 一种含有中草药的猪饲料 |
ES2948678T3 (es) * | 2015-05-06 | 2023-09-15 | Yara Int Asa | Uso de nitrato para el tratamiento del síndrome de disgalactia posparto de mamíferos monogástricos |
CN107259142A (zh) * | 2017-07-01 | 2017-10-20 | 苏州凯茂饲料添加剂有限公司 | 一种肉猪增肥期用中草药预混料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4866B1 (ko) | 2002-08-19 | 2005-04-20 | 최은철 | 사료에 함유된 지방산화생성물의 체내 해독과 부패성세균의 체내 살균을 위한 조성물 |
KR20100024804A (ko) * | 2008-08-26 | 2010-03-08 | (주)양성그린바이오 | 오배자의 분말 및 추출물을 함유한 동물용 사료첨가물 |
-
2012
- 2012-06-07 KR KR1020120061141A patent/KR1014131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4866B1 (ko) | 2002-08-19 | 2005-04-20 | 최은철 | 사료에 함유된 지방산화생성물의 체내 해독과 부패성세균의 체내 살균을 위한 조성물 |
KR20100024804A (ko) * | 2008-08-26 | 2010-03-08 | (주)양성그린바이오 | 오배자의 분말 및 추출물을 함유한 동물용 사료첨가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09434A (zh) * | 2016-10-28 | 2017-03-22 | 福建省农业科学院农业生态研究所 | 一种预防和治疗仔猪腹泻的中草药饲料添加剂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7485A (ko) | 2013-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ousefi et al. | Effects of dietary marjoram, Origanum majorana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hematological, antioxidant, humoral and mucosal immune responses, and resistance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 |
Wang et al. | The effects of quercetin on immunity, antioxidant indices, and disease resistance in zebrafish (Danio rerio) | |
Kollanoor-Johny et al. | Reduc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colonization in 20-day-old broiler chickens by the plant-derived compounds trans-cinnamaldehyde and eugenol | |
US8043633B2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microorganism populations in the digestive system of animals | |
EP2900805B1 (en) | Probiotic and prebiotic compositions | |
KR101413184B1 (ko) | 염 및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 |
JP2020506872A (ja) | バチルス・サブチリス菌株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急性肝膵臓壊死症(ahpnd)またはホワイトスポット病症候群(wss)の予防または治療用飼料組成物 | |
Pashtetsky et al. | Use of phytobiotics in animal husbandry and poultry | |
Upadhaya et al. | Anti-coccidial effect of essential oil blends and vitamin D on broiler chickens vaccinated with purified mixture of coccidian oocyst from Eimeria tenella and Eimeria maxima | |
Fan et al. | Potential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with Chinese herb polysaccharides on the growth performance, immunity, disease resistance,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
Ghafarifarsani et al. | The effects of dietary thyme oil (Thymus vulgaris) essential oils for common carp (Cyprinus carpio): growth performance, digestive enzyme activity, antioxidant defense, tissue and mucus immune parameters, and resistance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 |
Abd El-latif et al. |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miswak (Salvadora persica) improves the health status of Nile tilapia and protects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fection | |
Ramadhani et al. | Vibrio Dynamics and Health Status of Pacific White Shrimp Fed with Cinnamaldehyde-Containing Feed. | |
Ghaly et al. |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Nigella sativa and Mentha piperita oils to broilers | |
Hsu et al. | Preventive activities of Scutellariae Radix, Gardeniae Fructus, and probiotics i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fection in chickens | |
CN101468057A (zh) | 一种用于治疗仔猪黄白痢的复方中药制剂 | |
Cross et al. |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hytochemicals in aromatic plants in poultry diets | |
CN108837025A (zh) | 一种用于防治断奶仔猪腹泻的中药预混剂及其制备方法 | |
CN104983795B (zh) | 一种用于治疗呼吸道疾病的复方兽用抗菌制剂 | |
Ayoola et al. | The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f Mangifera indica and Azadirachta indica bark on in vitro antimicrobial efficacy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
KR101413185B1 (ko) | 염 혼합물의 가축 및 가금류 설사병 치료용 용도 | |
KR101396933B1 (ko) | 동물용 복합항균제 조성물 | |
Ibrahim et al. | In vitro and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sweet basil (Ocimum basilicum L.) leaves against Escherichia coli in experimentally infected rats. | |
Mohammed et al. | Lactobacillus salivarius bacteriocin and supernatant activity against Entamoeba histolytica in vitro and in vivo | |
Cha et al. | Effects of short-term sodium chlorate exposure on pi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