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984B1 -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 Google Patents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984B1
KR101412984B1 KR1020120140852A KR20120140852A KR101412984B1 KR 101412984 B1 KR101412984 B1 KR 101412984B1 KR 1020120140852 A KR1020120140852 A KR 1020120140852A KR 20120140852 A KR20120140852 A KR 20120140852A KR 101412984 B1 KR101412984 B1 KR 101412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layer
film layer
detection sensor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110A (ko
Inventor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주)유민에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민에쓰티 filed Critical (주)유민에쓰티
Priority to KR102012014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9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65D90/50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of leakage-indic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류 저장소 등의 폭발이 발생하기 쉬운 시설의 지중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면에 노출되어 설치됨으로써 유류의 누설을 감지하는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하부면에는 바닥면에 베이스필름층을 접착하기 위한 하부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는 필름재질로 된 상부보호층이 적층되고, 상기 상부보호층에는 베이스필름층의 도전라인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누유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호층의 상부면에는 상부보호층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판재로 된 보호커버가 적층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바닥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에는 센싱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노출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구멍의 크기는 센싱홀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Description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Oil leakage detecting sensor for explosion-proof area}
본 발명은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류 저장소 등의 폭발이 발생하기 쉬운 시설의 지중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면에 노출되어 설치됨으로써 유류의 누설을 감지하는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상에 설치되거나 또는 지하에 매설되는 유류탱크는 인화성이 강한 유류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유류탱크가 설치된 유류 저장소 지역은 방폭지역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설치된 유류탱크는 균열, 부식,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유류가 새어 폭발의 위험성과 함께 주변 토양 및 지하수의 심각한 오염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항시 누유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누유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변 토양의 샘플을 채취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지만, 이는 지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로 땅을 파서 토양 샘플을 채취하게 되므로 사실상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쉽게 행하지 못하는 방법이다.
또한 누유발생시 즉각적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이미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이 발생된 상태이며, 특히 누유가 상당히 진햄됨으로써 폭발의 위험성이 크게 증가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제10-2011-0046461호(출원일자 2011년 05월 17일 출원)에서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는 지중에 파이프(200)를 수직으로 매설하고, 매설된 파이프(200)의 내측으로 테이프 형태의 누유감지센서조립체(300)를 삽입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그 설치구조가 매우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시공이 어렵고 또한 그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로서, 지중으로 스며들지 않고 지표면 상부로 누설되어 흐르는 누유는 감지할 수 없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방폭지역의 지중이나 지표면으로 누설되는 유류를 감지하고, 또한 그 설치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하부면에는 바닥면에 베이스필름층을 접착하기 위한 하부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는 필름재질로 된 상부보호층이 적층되고, 상기 상부보호층에는 베이스필름층의 도전라인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누유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호층의 상부면에는 상부보호층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판재로 된 보호커버가 적층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바닥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에는 센싱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노출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구멍의 크기는 센싱홀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필름형 누유감지센서는 단순한 구조로서 방폭지역의 지중에 매립에 의해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오며, 아울러 지중과 지표면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지중의 누유 및 지표면을 흐르는 누유까지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방폭지역 누유감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필름형 누유감지센서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유감지센서의 적층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보호커버가 적용된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이 설치된 형태의 정단면도.
도6은 보호커버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7은 도6의 보호커버가 적용된 설치된 형태의 정단면도.
도8은 보호커버에 형성된 노출구멍의 형태를 보인 도.
도9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을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유감지센서(100)는 하부접착층(120), 베이스필름층(110), 상부보호층(130)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부접착층(120)은 누유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필름층(110)은 도전라인(111,112)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도전라인(111,112)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라인(111,112)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상부보호층(130)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111,112)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필름층(110)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111,1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센싱홀(131)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센서가 방폭지역의 지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되면, 지표면을 흐르는 누유는 센싱홀(131)을 통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111,112)이 도전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도전상태 즉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누유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필름형 누유감지센서(100)가 누유 발생이 가능한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사람이나 차량, 기타 작업도구 등의 이동에 의해 센싱불량, 절단 등의 손상이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사람이 걸어가면서 발로 짓밟아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날카롭거나 무거운 작업도구를 끌고 가다가 절단하는 경우, 사람이나 차량의 잦은 왕래에 의한 마모 등 누유감지센서(100)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으로 인해 많은 손상이 발생되어 누유감지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보호커버(200)를 씌우게 되는데, 보호커버(200)는 누유감지센서(100)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서 길이는 누유감지센서(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경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또는 베이스필름층(110)과 동일한 재질이면서 더 두꺼운 필름재질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PC재질의 합성수지재 판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얇은 판재로서 형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외부의 충격에도 강하고 또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서 누유감지센서(100)를 보호하기에 적당하다.
상기 보호커버(200)에는 누유감지센서(100)의 센싱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구멍(210)이 형성됨으로써 누유발생시 노출구멍(210)을 통해 오일이 유입되고, 이에 센싱홀(131)까지 오일이 유입됨으로써 원격의 제어기가 누뉴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센싱홀(131)을 보호커버(200)의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노출구멍(210)이 형성되며, 이러한 노출구멍(210)의 크기는 최소한 센싱홀(13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5는 본 발명이 바닥에 설치된 형태를 보인 도로서, 먼저 누유감지센서(100)가 하부접착층(120)에 의해 바닥에 접착되어 고정설치되며, 그 상부로 보호커버(200)가 누유감지센서(100)의 상부면을 완전히 덮도록 씌워진다.
이때 보호커버(200)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면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재 등의 부착재(220,230)가 형성되어 바닥에 부착됨으로써 보호커버(200)가 누유감지센서(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람의 발에 짓밟히거나 또는 작업도구, 차량 등에 의한 외력은 보호커버(200)에만 작용되므로, 누유감지센서(100)는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도6은 보호커버(200)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볼트공(240,250)이 형성된 상태로서, 도7에서와 같이 누유감지센서(100)의 상부면에 보호커버(200)가 씌워진 다음 볼트공(240,250)을 통해 볼트(260,270)가 바닥에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누유감지센서(100)를 보호하면서도 쉽게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보호커버(200)는 부착재(220,230)에 의해 바닥에 먼저 고정된 다음 볼트(260,27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도8은 보호커버(200)에 형성된 노출구멍(210)의 형태를 보인 도로서, (a)와 같이 센싱홀(131)과 1:1 대응되게 형성되며, 센싱홀(131)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b)와 같이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센싱홀(131)을 동시에 노출시키도록 폭방향으로 기다란 타원의 형태를 가지는 노출구멍(280)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누유감지센서(100)의 방폭지역의 지표면에 흐르는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이지만, 지중에 매설하여 설치하기가 곤란한 구조이다.
따라서 도9 내지 도12에서는 지중에 매설함으로써 누설된 오일이 땅속으로 스며든 경우에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누유감지센서(100)의 외측 둘레를 메쉬(300)가 감싸는 구조의 단면도로서, 메쉬(300)가 상부면, 하부면, 측부까지 모두 감싸게 되고, 누유가 예상되는 지중에 세우거나 눕혀서 매설하게 된다.
따라서 흙 등의 이물질이 누유감지센서(1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메쉬(300)가 방지하면서도 누유된 오일이 센싱홀(131)을 통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10은 단면이 'ㄷ'형태이면서 길이가 긴 지지바(400)의 내측 바닥 평탄부위에 누유감지센서(100)가 부착된 다음 보호커버(200)에 의해 노출된 상부면이 보호되며, 바닥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403,404)의 상부에 메쉬(410)가 씌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보호커버(200)와 메쉬(410)는 약 10mm의 간격을 갖는다.
즉, 측벽(403,404)은 보호커버(200)를 포함하는 누유감지센서(100)의 두께보다 10mm정도 높게 위치하여 지지바(400)의 노출된 상측부위를 메쉬(410)가 덮는 구조인 것이다.
그러므로, 지중에 세워지거나 눕혀져서 매설된 경우에 흙 등의 이물질이 메쉬(410)에 의해 직접 누유감지센서(100)에 닿지 않으면서도 누설된 오일만 매쉬(410)를 통해 유입되어 누유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11은 지지바(401)의 단면이 반원형태이고, 그 내측을 가로질러 평탄부(402)가 형성되어 누유감지센서(100)를 그 평탄부(402)에 부착하는 구조로서, 이 또한 메쉬(410))가 씌워진 구조이다.
도12도 마찬가지로, 단면이 'H'형태를 갖는 지지바(405)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100 : 누유감지센서 110 : 베이스필름
112,112 : 도전라인 120 : 하부접착층
130 : 상부보호층 131 : 센싱홀
200 : 보호커버 210,280 : 노출구멍
220,230 : 부착재 240,250 : 볼트공
260,270 : 볼트 300 : 메쉬
400 : 지지바 410 : 메쉬

Claims (5)

  1.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하부면에는 바닥면에 베이스필름층을 접착하기 위한 하부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는 필름재질로 된 상부보호층이 적층되고, 상기 상부보호층에는 베이스필름층의 도전라인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누유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호층의 상부면에는 상부보호층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판재로 된 보호커버가 적층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바닥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에는 센싱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노출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구멍의 크기는 센싱홀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2.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하부면에는 바닥면에 베이스필름층을 접착하기 위한 하부접착층이 형성된 누유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는 베이스필름층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판재로 된 보호커버가 적층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는 바닥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에는 도전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노출구멍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PC 재질로 된 판재 또는 스테인레스 판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4. 삭제
  5.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도전라인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는 필름재질로 된 상부보호층이 적층되며, 상기 상부보호층에는 베이스필름층의 도전라인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누유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누유감지센서의 상부면, 하부면, 측부를 메쉬가 둘러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KR1020120140852A 2012-12-06 2012-12-06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KR101412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52A KR101412984B1 (ko) 2012-12-06 2012-12-06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52A KR101412984B1 (ko) 2012-12-06 2012-12-06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10A KR20140073110A (ko) 2014-06-16
KR101412984B1 true KR101412984B1 (ko) 2014-06-27

Family

ID=5112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852A KR101412984B1 (ko) 2012-12-06 2012-12-06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9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31A (ko) * 2014-07-01 2016-01-11 (주)유민에쓰티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KR20160010931A (ko) * 2014-07-21 2016-01-29 (주)유민에쓰티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KR102091046B1 (ko) 2019-09-27 2020-03-19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바이메탈을 이용한 방폭용 온도센서
KR102091052B1 (ko) 2019-09-27 2020-03-19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열전대를 이용한 방폭용 온도센서
KR102141930B1 (ko) * 2019-12-24 2020-08-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07B1 (ko) 2015-03-26 2015-07-23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측면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823B1 (ko) 2009-11-27 2012-02-28 유홍근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20120128477A (ko) * 2011-05-17 2012-11-27 (주)유민에쓰티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823B1 (ko) 2009-11-27 2012-02-28 유홍근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20120128477A (ko) * 2011-05-17 2012-11-27 (주)유민에쓰티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31A (ko) * 2014-07-01 2016-01-11 (주)유민에쓰티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KR102247905B1 (ko) * 2014-07-01 2021-05-04 (주)유민에쓰티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KR20160010931A (ko) * 2014-07-21 2016-01-29 (주)유민에쓰티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KR102228311B1 (ko) * 2014-07-21 2021-03-16 (주)유민에쓰티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KR102091046B1 (ko) 2019-09-27 2020-03-19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바이메탈을 이용한 방폭용 온도센서
KR102091052B1 (ko) 2019-09-27 2020-03-19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열전대를 이용한 방폭용 온도센서
KR102141930B1 (ko) * 2019-12-24 2020-08-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10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984B1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CA20962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outdoor fluid containment areas to facilitate electrical leak
KR101119823B1 (ko)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JP5018324B2 (ja) 遮水材の漏水監視システム及び遮水壁
KR20120128477A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장치
JP7414831B2 (ja) 水分検出およびインジケータシステム、ならびに屋根膜の完全性を維持しながら使用する方法
KR102228311B1 (ko)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US10316486B2 (en) Containment material with structured felt surface
JP2004045226A (ja) 漏水検知装置
JP4878532B2 (ja) 二重遮水シートの破損特定システム
CN204536567U (zh) 防爆区域漏油检测器
KR101500515B1 (ko) 유류저장소의 누유감지장치
JP2001295261A (ja) 底版下の地盤沈下の測定兼グラウト注入装置
KR100629235B1 (ko) 매설물 경고테이프
JP3657931B2 (ja) 遮水構造物および漏水検知方法
JP5205850B2 (ja) 遮水層の損傷検知システム及び損傷検知方法、並びに貯水構造物
EP0705773A1 (en)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tank floors
KR101447988B1 (ko) 방폭 누유 감지장치
JP2003177072A (ja) 漏水検知方法および漏水検知システム
CN219267202U (zh) 一种地下管道的警示装置
KR200337539Y1 (ko) 매설물 경고테이프
JP2005024012A (ja) 標識防護シート
KR20240011451A (ko) 지중 케이블용 보호시트
JPH0564590U (ja) 埋設管用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