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065B1 - 묘목 굴취용 삽 - Google Patents

묘목 굴취용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065B1
KR101412065B1 KR1020130052151A KR20130052151A KR101412065B1 KR 101412065 B1 KR101412065 B1 KR 101412065B1 KR 1020130052151 A KR1020130052151 A KR 1020130052151A KR 20130052151 A KR20130052151 A KR 20130052151A KR 101412065 B1 KR101412065 B1 KR 10141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ovel
blades
central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5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자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중심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좌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좌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좌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좌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좌측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우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우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우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우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측삽날; 상기 좌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및 상기 우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우측발판을 포함하는 묘목 굴취용 삽을 제공하여, 2인 1조로 굴취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묘목 굴취용 삽{Shovel for transplant of tree}
본 발명은 묘목 굴취용 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암수 형 묘목 굴취용 삽에 관한 것이다.
굴취(掘取)란, 조경을 위해 나무나 돌 등을 캐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또한, 묘목 굴취용 삽이란, 묘목 굴취 및 식재에 사용되는 삽을 의미한다. 이러한 묘목 굴취용 삽은 크게 삽자루와 삽자루 선단에 결합된 삽날로 구성된다. 삽날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0276934(이하, 문헌이라 한다.)에서 기재한 굴토용 삽에서는 웨이브형 요철부가 형성된 날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에서 기재하고 있는 삽에서는 삽날의 선단부에 웨이브형 요철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삽날의 전체적인 형태를 볼 때, 오목하게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기존의 삽날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형태의 삽날을 갖는 삽으로 묘목을 굴취하기 위해서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각각 1회 이상 땅을 파서 굴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묘목 굴취 작업은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농촌의 인구감소 및 작업자의 고령화로 인하여 묘목 굴취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을 고려할 때,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묘목 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묘목 굴취용 삽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인 1조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묘목 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묘목 굴취용 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굴취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묘목 굴취용 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은, 삽자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중심삽날과, 상기 중심삽날의 좌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좌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좌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좌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좌측삽날과, 상기 중심삽날의 우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우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우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우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측삽날과, 상기 좌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 및, 상기 우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우측발판을 포함하는 묘목 굴취용 삽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발명으로서, 상기 중심삽날은 사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발명으로서, 상기 중심삽날은 삽자루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발명으로서, 상기 좌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발명으로서, 상기 우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발명으로서, 상기 좌측발판은 상기 좌측삽날에 수직하게 꺽여 형성되고, 상기 우측발판은 상기 우측삽날에 수직하게 꺽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발명은, 삽자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중심삽날와, 상기 중심삽날의 좌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좌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좌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좌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좌측삽날과, 상기 중심삽날의 우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우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우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우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측삽날과, 상기 좌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 및, 상기 우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우측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발명으로서, 상기 중심삽날은 사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발명으로서, 상기 중심삽날은 삽자루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발명으로서, 상기 좌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발명으로서, 상기 우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발명은,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삽날와, 상기 중심삽날의 좌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좌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좌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좌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좌측삽날과, 상기 중심삽날의 우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우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우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우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측삽날과, 상기 좌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 및, 상기 우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우측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삽날, 상기 좌측삽날 및 상기 우측삽날이 굴취 공간을 형성하는 암형 삽 및 수형 삽을 포함하고, 상기 수형 삽은 상기 암형 삽의 굴취 공간 내부에서 포개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발명으로서, 상기 중심삽날은 삽자루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발명으로서, 상기 좌측삽날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발명으로서, 상기 우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에 따르면, 중심삽날에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삽날과 우측삽날을 포함하고 좌측삽날과 우측삽날에서 각각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 및 우측발판에 의해 형성되는 굴취 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용이하게 굴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에 따르면, 암형 삽의 굴취 공간에 삽입되는 수형 삽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삽으로 구성됨으로써, 2인 1조로 굴취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암형 삽과 수형 삽의 겹치는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를 갖는 묘목에 대응하여 굴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좌측삽날 및 우측삽날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좌측삽날 및 우측삽날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으로서, 암형 삽과 이에 대응하는 수형 삽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암형 삽에 수형 삽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을 통해 땅파기를 하여 육각형 형태의 식재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암형 삽을 통해 1차 분뜨기 작업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8에서 도시한 수형 삽을 통해 2차 분뜨기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정면도이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내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일실시예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100)은, 중심삽날(110)과, 중심삽날(110)에서 각각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삽날(120) 및 우측삽날(130)과, 좌측삽날(120) 및 우측삽날(130)에서 각각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140) 및 우측발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삽날(110)은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삽날(1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자루(C)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W1)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심삽날(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중심삽날(110)은 삽자루(C)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삽날(120)은 중심삽날(110)의 좌측면에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삽날(130)은 중심삽날(110)의 우측면에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심삽날(110)과 좌측삽날(120) 또는, 중심삽날(110)과 우측삽날(130)이 이루는 각(R1,R2)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60° 내지 7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좌측삽날 및 우측삽날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좌측삽날(120)은 좌측굴취유도부(121)와 좌측발판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측삽날(130)은 우측굴취유도부(131)와 우측발판지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좌측굴취유도부(121)는 좌측삽날(120)의 전방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심삽날(110)의 후단(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폭(W2)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발판지지부(122)는 좌측삽날(120)의 후방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좌측굴취유도부(121)에서 연장 형성되되. 중심삽날(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W3)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굴취유도부(121)는 중심삽날(110)의 좌측에서 내향하여 꺾여 형성됨으로써 굴취 공간(도 3의 S)을 형성하며 좌측발판지지부(122)에는 좌측발판(140)이 꺽여 형성된다.
앞서 좌측굴취유도부(121)와 좌측발판지지부(122)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한 것 있을 뿐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좌측굴취유도부(121) 및 좌측발판지지부(122)를 전체적으로 보면 하나의 삼각 판형 부재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우측굴취유도부(131)는 우측삽날(130)의 전방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심삽날(110)의 후단(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폭(W2)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발판지지부(132)는 우측삽날(130)의 후방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측굴취유도부(131)에서 연장 형성되되. 중심삽날(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W3)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우측굴취유도부(131)는 중심삽날(110)의 우측에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됨으로써 굴취 공간(도 3의 S)을 형성하며 우측발판지지부(132)에는 우측발판(150)이 꺽여 형성된다.
앞서 우측굴취유도부(131)와 우측발판지지부(132)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한 것 있을 뿐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우측굴취유도부(131) 및 우측발판지지부(132)도 전체적으로 보면 하나의 삼각 판형 부재로 실시될 수 있다.
좌측발판(140)은 좌측발판지지부(122)에서 외향하여 꺽여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발판(150)은 우측발판지지부(132)에서 외향하여 꺽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발판(140)과 좌측발판지지부(122) 또는, 우측발판(150)과 우측발판지지부(132)이 이루는 각(R3,R4)은 각각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의 좌측삽날 및 우측삽날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5 및 도 6을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일실시예에 따른 묘목 굴취용 삽(200)은, 중심삽날(210)과, 중심삽날(210)에서 각각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삽날(220) 및 우측삽날(230)과, 좌측삽날(220) 및 우측삽날(230)에서 각각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240) 및 우측발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삽날(21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삽날(21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자루(C)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W1)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심삽날(2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중심삽날(210)은 삽자루(C)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삽날(220)은 중심삽날(210)의 좌측면에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삽날(230)은 중심삽날(210)의 우측면에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심삽날(210)과 좌측삽날(220) 또는 중심삽날(210)과 우측삽날(230)이 이루는 각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60° 내지 7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좌측삽날(220)은 좌측굴취유도부(221)와 좌측발판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측삽날(230)은 우측굴취유도부(231)와 우측발판지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굴취유도부(221)는 중심삽날(110)의 후단(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폭(W2)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발판지지부(122)는 중심삽날(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W3)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좌측굴취유도부(221) 및 좌측발판지지부(222)를 전체적으로 보면 하나의 사각 판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굴취유도부(231)도 중심삽날(210)의 후단(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폭(W2)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발판유지지부(232)는 중심삽날(210)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W3)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우측굴취유도부(231) 및 우측발판지지부(232)도 전체적으로 보면 하나의 사각 판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으로서, 암형 삽과 이에 대응하는 수형 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암형 삽에 수형 삽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묘목 굴취용 삽으로서, 한 쌍의 암형 삽(100A)과 수형 삽(100B)이 마련될 수 있다. 수형 삽(100B)이 암형 삽(100A)의 굴취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암형 삽(100A)은 수형 삽(100B)의 굴취 공간이 보다 넓은 굴취 공간을 갖도록 중심삽날(110)과 좌측삽날(120) 및 우측삽날(130)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암형 삽(100A)은 수형 삽(100B)의 굴취 공간이 보다 넓은 굴취 공간을 갖도록 중심삽날(110)과 좌측삽날(120)이 이루는 각도(R1)와, 중심삽날(110)과 우측삽날(130)이 이루는 각도(R2)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형 삽(100A)의 중심삽날(110)의 폭이 수형 삽(100B)의 수형 삽(100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는 암형 삽(100A)의 중심삽날(110)과 좌측삽날(120)이 이루는 각도(R1) 및 중심삽날(110)과 우측삽날(130)이 이루는 각도(R2)가 수형 삽(100B)의 것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삽(100A)에 수형 삽(100B)을 포개는 경우, 암형 삽(100A) 및 수형 삽(100B)의 2개의 중심삽날(110)과 2개의 좌측삽날(120)과 2개의 우측삽날(130)이 이루는 6개의 면으로 구성되는 굴취 공간을 형성한다. 이렇게 6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굴취 공간은 묘목의 손상을 줄이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9는 도 1에서 도시한 묘목 굴취용 삽을 통해 땅파기를 하여 육각형 형태의 식재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한 암형 삽을 통해 1차 분뜨기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에서 도시한 수형 삽을 통해 2차 분뜨기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묘목 굴취용 삽을 사용하는 묘목 굴취 작업들을 설명한다.
묘목의 식재 과정에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삽(100A) 또는 수형 삽(100B)을 사용하는 경우, 육각형 형태의 식재 공간(H)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묘목의 분뜨기 과정은 암형 삽(100A)과 수형 삽(100B)을 사용하는 작업자 2인이 하나의 작업조를 이루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작업자가 암형 삽(100A)을 사용하여 묘목(T)에 대한 1차 분뜨기를 수행한다. 이어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번째 작업자가 수형 삽(100B)을 암형 삽(100A)에 포개어지도록 삽입하여 묘목(T)에 대한 2차 분뜨기를 수행한다. 이후, 두 번째 작업자가 수형 삽(100B)을 빼어내고, 첫 번째 작업자가 암형 삽(100A)을 들어 올려 묘목을 굴취 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자 2인이 하나의 작업조를 이루어 암형 삽(100A)에 수형 삽(100B)을 포개어 굴취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묘목을 둘러싸도록 굴취 공간을 형성하여 신속하면서도 묘목을 손상시키지 않은 채 굴취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암형 삽(100A)과 수형 삽(100B)의 포개는 정도 및 상태를 조절하면 굴취 되는 묘목 분의 크기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110 : 중심삽날
220,120 : 좌측삽날
221,121 : 좌측굴취유도부
222,122 : 좌측발판지지부
230,130 : 우측삽날
231,131 : 우측굴취유도부
232,132 : 우측발판지지부
240,140 : 좌측삽날
250,150 : 우측삽날

Claims (15)

  1. 삽자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중심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좌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좌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좌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좌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좌측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우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우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우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우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측삽날;
    상기 좌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및
    상기 우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우측발판
    을 포함하는 묘목 굴취용 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삽날은 사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삽날은 삽자루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발판은 상기 좌측삽날에 수직하게 꺽여 형성되고, 상기 우측발판은 상기 우측삽날에 수직하게 꺽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7. 삽자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중심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좌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좌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좌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좌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좌측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우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우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우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우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측삽날;
    상기 좌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및
    상기 우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우측발판
    을 포함하는 묘목 굴취용 삽.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삽날은 사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삽날은 삽자루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12.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좌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좌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좌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좌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좌측삽날;
    상기 중심삽날의 우측면에서 상기 중심삽날 방향으로 내향하여 꺽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우측굴취유도부와 상기 우측굴취유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삽날의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우측발판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측삽날;
    상기 좌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좌측발판;및
    상기 우측발판지지부에서 외향하여 꺽여 형성되는 우측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삽날, 상기 좌측삽날 및 상기 우측삽날이 굴취 공간을 형성하는 암형 삽 및 수형 삽을 포함하고, 상기 수형 삽은 상기 암형 삽의 굴취 공간 내부에서 포개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삽날은 삽자루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삽날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삽날은 삼각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목 굴취용 삽.
KR1020130052151A 2013-05-08 2013-05-08 묘목 굴취용 삽 KR10141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51A KR101412065B1 (ko) 2013-05-08 2013-05-08 묘목 굴취용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51A KR101412065B1 (ko) 2013-05-08 2013-05-08 묘목 굴취용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065B1 true KR101412065B1 (ko) 2014-06-27

Family

ID=5113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151A KR101412065B1 (ko) 2013-05-08 2013-05-08 묘목 굴취용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1822A (zh) * 2016-08-22 2016-12-07 安徽农业大学 一种茶树苗移栽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588A (ko) * 2011-05-20 2012-11-28 김영수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US8388031B1 (en) 2011-04-22 2013-03-05 Richard Zang High strength shovel and trow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8031B1 (en) 2011-04-22 2013-03-05 Richard Zang High strength shovel and trowels
KR20120129588A (ko) * 2011-05-20 2012-11-28 김영수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1822A (zh) * 2016-08-22 2016-12-07 安徽农业大学 一种茶树苗移栽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065B1 (ko) 묘목 굴취용 삽
CN205755287U (zh) 一种带支撑板后掠式仿形深松铲
CN108207124A (zh) 一种多功能农具
KR20150114836A (ko)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Spivak Horbat Kelah (B)
KR20120016774A (ko) 트랙터용 쟁기의 높이 조절장치
CN208354217U (zh) 一种递进式挖掘刀具
CN105210469A (zh) 一种三角锹
KR200446367Y1 (ko) 논두렁 보호 조립체
CN206212595U (zh) 一种全方位深松机的植保剂箱支撑结构
CN111213441A (zh) 一种省力铁锹
CN104094703B (zh) 一种球根花卉条垄栽植开沟耙
JP2018033401A (ja) 植栽用苗木及び苗木植栽工法
CN204047105U (zh) 一种球根花卉条垄栽植开沟耙
KR20160100441A (ko) 다용도 기능을 갖은 농기구
CN210741881U (zh) 一种作物大田取根装置
CN211909775U (zh) 一种园林用新型花盆
CN217608273U (zh) 一种山坡生态安全挖穴清理埋穴装置
KR101589220B1 (ko) 정원용 식물경계대
CN211721001U (zh) Led组合锄头
CN203492328U (zh) 一种开沟起垄器
CN219288124U (zh) 一种双人手持式地钻挖坑机
CN205636652U (zh) 生态开孔植栽型矩阵结构用砌块
CN208940456U (zh) 一种种植托盘
CN110346169B (zh) 一种作物大田取根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