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833B1 -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833B1
KR101411833B1 KR1020080004367A KR20080004367A KR101411833B1 KR 101411833 B1 KR101411833 B1 KR 101411833B1 KR 1020080004367 A KR1020080004367 A KR 1020080004367A KR 20080004367 A KR20080004367 A KR 20080004367A KR 101411833 B1 KR101411833 B1 KR 10141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op box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503A (ko
Inventor
심욱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8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셋탑 박스가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셋탑 박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셋탑 박스가 지닌 불편함을 극복하고 개인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80004367
셋탑 박스,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 개인화 서비스, 결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Personalized Service Providing System By Interwork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et-top Box}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셋탑 박스가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셋탑 박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셋탑 박스가 지닌 불편함을 극복하고 개인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셋탑 박스, 특히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용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가정에서 다양한 구성원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기기의 성격상 채널 구성, 인터페이스 설정, 시청 시간대 제한, 성인 인증 등의 서비스가 개인화되지 못하고 단일한 형태로 제공되어 왔다. 또한,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정보 또는 공인인증서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IPTV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획일화된 방송 채널 구성에서 벗어나 개인별 선호도에 따른 채널 조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개인화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가시화되고 있으나, 이 또한 사용자가 직접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셋탑 박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화 서비스 항목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셋탑 박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가 서로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는 USB 또는 UART 방식에 의해 서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는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등에 의해 서로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셋탑 박스의 개인화 서비스 항목을 설정 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상기 셋탑 박스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싱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상기 셋탑 박스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싱크 애플리케이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화 서비스 항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셋탑 박스에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개인화 서비스 항목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인화 서비스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타겟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시청 시간대의 시청을 제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재생시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기반의 서비스를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제공하는 단말기 연동형 서비스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결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셋탑 박스가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셋탑 박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셋탑 박스가 지닌 불편함을 극복하고 개인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셋탑 박스(2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셋탑 박스(20)는 서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셋탑 박스(20)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된 개인정보나 멀티미디어 파일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셋탑 박스(2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표준화된 24핀 등의 범용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과 셋탑 박스(20) 간의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셋탑 박스(2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IrDA)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 싱크 애플리케이션(Sync Application)(12) 및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DB)(13)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셋탑 박스(20)와 연결된 TV(30)의 초기화면 설정, 관심 채널 등록, 뉴스 장르 선택 등과 같은 개인화 서비스의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싱크 애플리케이션(12)은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셋탑 박스(20)의 연동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셋탑 박스(20)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셋탑 박스(20)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및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한 셋탑 박스(20) 조작 등을 가능하게 한다.
개인정보 DB(13)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개인정보 DB(13)에 저장되는 개인 정보로는, 이동전화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및 단말기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회사명, 집주소 등과 같은 사용자 관련 정보,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된 주소록 정보, 사진, 동영상,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공인인증서,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뱅킹 등 과 같은 결제관련 정보, 및 SMS, MMS, 메신저 대화 내역 등과 같은 메시지 정보 등이 있다.
또한, 개인정보 DB(13)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개인 정보 이외에도, 이동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추가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로는, 단말기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 국적, 직업,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상 정보, 위치 추적 시스템(GPS) 또는 기지국 위치 추적을 이용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기타 사용자가 사용 중인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 내역 정보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20)는 구체적으로는 싱크 애플리케이션(21) 및 방송수신모듈(26)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개인화 서비스 모듈(22),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듈(23), 단말기 연동형 서비스 모듈(24) 및 결제 모듈(25)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싱크 애플리케이션(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셋탑 박스(20)의 연동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셋탑 박스(20)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셋탑 박스(20)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및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한 셋탑 박스(20) 조작 등을 가능하게 한다.
개인화 서비스 모듈(22)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설정한 개인화 서비스 항목, 예를 들어 초기화면 메뉴, 관심 채널 및 뉴스 장르 등을 각 사용자별로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 식별번호, 예를 들 어 이동전화 번호 또는 단말기 고유번호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개인화 서비스 항목을 함께 저장해 둔다. 추후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셋탑 박스(20)와 연결하는 경우, 개인화 서비스 모듈(22)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개인화 서비스 항목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포츠, 뉴스, 영화, 음악, 코미디 등의 채널 분류 중에서 관심 채널로 뉴스 및 영화 채널을 설정하고 관심 채널 제공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셋탑 박스(20)에 접속하는 경우, 셋탑 박스(20)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 채널만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치, 사회, 경제, 연예, 스포츠, 문화 등의 뉴스 장르 중에서 정치, 경제 뉴스를 선택하고 뉴스 장르 선택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셋탑 박스(20)에 접속하는 경우, 셋탑 박스(2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뉴스 장르로 분류되는 뉴스 만을 골라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초기화면의 디자인이나, 초기화면 상의 메뉴 구성을 취향에 따라 설정해 둠으로써,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셋탑 박스(20)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각 사용자 별로 자신이 설정해 둔 초기화면을 볼 수 있다.
한편, 개인화 서비스 모듈(22)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된 단말기 사용 자의 성별, 연령, 국적, 직업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상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타겟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개인화 서비스 모듈(22)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연령 정보를 추출하여 성인 채널 시청을 제한하거나, 방송 시간대 별로 시청을 제한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듈(23)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읽어와서 셋탑 박스(20)와 연결된 TV(30)를 통해 재생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여 편집한 파일을 UCC 서버에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 연동형 서비스 모듈(24)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SMS, MMS, 메신저, 화상통화 등을 셋탑 박스(20)와 연결된 TV(30)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 연동형 서비스 모듈(24)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내장된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구동하여 TV(30)의 화면을 통해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결제 모듈(25)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결제 서비스, 예를 들어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터넷 뱅킹 서비스, SIM/USIM 카드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및 신용카드 서비스, 이동통신사 자체의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소액결제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셋탑 박스(20)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방송 수신 모듈(26)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셋탑 박스(20)와 연결된 TV(30)를 통해 방송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셋탑 박스가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셋탑 박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셋탑 박스가 지닌 불편함을 극복하고 개인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셋탑 박스
30: TV

Claims (11)

  1. 사용자 개인정보가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화 서비스 항목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기반의 서비스를 TV를 통해 제공하는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셋탑 박스의 개인화 서비스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상기 셋탑 박스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싱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상기 셋탑 박스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싱크 애플리케이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화 서비스 항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셋탑 박스에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개인화 서비스 항목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화 서비스 항목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셋탑 박스 상호간의 데이터 공유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상기 셋탑 박스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싱크 애플리케이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화 서비스 항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셋탑 박스에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개인화 서비스 항목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기반의 서비스를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제공하는 단말기 연동형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서비스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타겟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서비스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시청 시간대의 시청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재생시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
  10. 삭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결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
KR1020080004367A 2008-01-15 2008-01-15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1411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367A KR101411833B1 (ko) 2008-01-15 2008-01-15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367A KR101411833B1 (ko) 2008-01-15 2008-01-15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503A KR20090078503A (ko) 2009-07-20
KR101411833B1 true KR101411833B1 (ko) 2014-06-25

Family

ID=4133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367A KR101411833B1 (ko) 2008-01-15 2008-01-15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71A (ko) * 2020-02-20 2021-08-30 김창호 미디어서비스 기반 인지강화훈련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38B1 (ko) * 2011-11-21 2013-02-01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074621A1 (en) * 2012-09-07 2014-03-13 Opentv, Inc. Pushing content to secondary connected devices
KR102423492B1 (ko) * 2015-09-14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91345B1 (ko) * 2017-11-17 2019-09-3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음성인식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604A (ko) * 2000-07-18 2002-05-11 추후보정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KR20020043625A (ko) * 2000-08-10 2002-06-10 추후보정 방송 이용 방법,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장치
JP2003289518A (ja) * 2002-03-27 2003-10-10 Toppan Printing Co Ltd サーバ及びcm番組出力装置、視聴料金管理方法
KR20060088681A (ko)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의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604A (ko) * 2000-07-18 2002-05-11 추후보정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KR20020043625A (ko) * 2000-08-10 2002-06-10 추후보정 방송 이용 방법,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장치
JP2003289518A (ja) * 2002-03-27 2003-10-10 Toppan Printing Co Ltd サーバ及びcm番組出力装置、視聴料金管理方法
KR20060088681A (ko)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의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71A (ko) * 2020-02-20 2021-08-30 김창호 미디어서비스 기반 인지강화훈련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01609B1 (ko) 2020-02-20 2022-06-10 김창호 인지강화훈련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503A (ko)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347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ing content played on mobile devices
US8849246B2 (en)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involving wireless tokens
AU2007336816B2 (en) Tagging media assets, locations, and advertisements
CN100568840C (zh) 向通信网络的终端广播个性化和交互式内容的系统和方法
KR101411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셋탑 박스의 연동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시스템
EP244492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social network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CN101422042A (zh) 经由电视提供共享文件夹的系统和方法
JP2015518171A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965318A (zh) 爱好信息收集系统、装置、方法及程序
JP2004535117A (ja) セルラー電話および他のユーザーの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放送サービスおよび放送受信を可能とする修正simカード
US20070011248A1 (en) Web publishing arrangement
Goggin Sport and the rise of mobile media
EP28275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087512B1 (en) A method for rendering an electronic content on a rendering device
KR101334127B1 (ko)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7610A (ko) 매장용 음악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CN103262495A (zh) 在网络上传送多媒体数据的方法
JP5187745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17223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512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promotion media content in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2255635B1 (ko) 개인화된 멀티플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034344B1 (ko) 복수 사용자의 인증을 통하여 동시 시청을 위한 iptv 시스템 및 방법
KR100971685B1 (ko) 유무선망을 이용한 맞춤방송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0822A (ko) 오디오 출력 장치의 연결 신호를 이용한 개인맞춤형 소셜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24972A (zh) 用于控制车辆的播放单元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