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629B1 -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 Google Patents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629B1
KR101410629B1 KR1020120143712A KR20120143712A KR101410629B1 KR 101410629 B1 KR101410629 B1 KR 101410629B1 KR 1020120143712 A KR1020120143712 A KR 1020120143712A KR 20120143712 A KR20120143712 A KR 20120143712A KR 101410629 B1 KR101410629 B1 KR 10141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resent
pattern
degrees
under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5947A (en
Inventor
홍경희
김소영
이예진
최지영
오염군
김남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629B1/en
Publication of KR2014007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6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시의 체표면 변화량을 3차원 스캐너의 3차원 스캐닝을 통해 획득하는 기능성 속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팔관절의 외전운동과 무릎의 굴곡 운동에 따라 변화하는 체표면 변화를 반영한 재봉선을 설정한 패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패턴에 따라 제조되는 기능성 속옷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동작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으며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that acquires a body surface change amount during operation through three-dimensional scanning of a three-dimensional scanner,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in which a seam line reflecting a change is s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wear which is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The functional under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s of not inconvenience in operation and excellent in wearing comfort.

Description

인체 체표면의 4D 변화량을 고려한 3D 기능성 속옷 및 이의 제조 방법 {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functional underwea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3D functional underwear,

본 발명은 동작시 인체 변화를 반영하여 착용감 및 동작성이 향상된 기능성 속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having improved feeling of fit and operability by reflecting changes in human body during operation.

속옷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의복으로, 평면상의 원단을 재질로 하여 재봉함으로써 제작된다. 평면상의 원단을 이용하여 재봉할 경우, 재봉라인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재봉라인을 가지게 되면 잦은 마찰이나 통증 등을 유발하게 되어 활동에 커다란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다.Underwear is a garment that touches directly to the skin, and is made by sewing a flat fabric. When a sewing line is formed by using a flat fabric, if the sewing line is provided, frequent friction and / or pain may be generated, which may cause a serious problem in the activity.

또한, 피부에 직접 닿는 특성상, 속옷의 설계는 인체의 형태, 동작시 신체와 피부의 변화, 생리메커니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해야한다. 특히 몸을 움직일 경우, 인체를 관찰해 보면 같은 신체 부위에도 늘어나는 부위와 수축하는 부위가 나뉘게 된다. 예를 들면, 양손을 들었을 때 겨드랑이 밑은 잘 늘어나고, 인체 중앙부는 잘 늘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몸을 움직일 때도 편안한 속옷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재봉선의 설정과 부위마다 다른 소재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due to its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the design of the underwear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factors such as the shape of the human body, changes in the body and skin during operation,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Particularly when you move your body, when you observe the human body, the stretching part and the contracting part are also separated in the same body part. For example, when both hands are lifted, the underarm is stretched well and the central part of the body does not stretch well. In order to design a comfortable underwear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apply a seam line setting and different materials for each par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활동시 인체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 속옷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 되고 있다. 그 예로 3차원 인체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상에서 동작시 변형되지 않는 선인, 피부 무변형선에 대한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피부 무변형선은 전체 인체 상에 있다는 것을 미국 MIT에서 발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searches on undergarments that do not disturb the activities of the human body at the time of activity are actively developed. For examp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ree-dimensional human body information, that is, a skin-free skin that is not deformed when operated on the skin. MIT has reported that the skin-free line is on the whole human body.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040130호에서는, 인체의 특정 피부 영역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계측점을 포함하는 인체의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다각형 표면으로 재구성하고, 다각형 표면에 위치하는 계측점을 연결한 연결선의 길이 변화량에 의거하여 특정 피부 영역에서의 피부 무변형선을 검출하여 인체의 동적 자세를 반영하는 의복 패턴 제작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를 이용한 구체적인 패턴 설계방식은 고안된바 없었다. 특히 겨드랑이와 음부는 기존의 3차원 측정기로 실측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자료가 누락되어 왔고 기존의 3차원 인체 데이터는 사실상 누락 데이터 부분을 통계적으로 보완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이에 따라 인간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인 겨드랑이 부분과 음부에 대한 정자세와 운동 시 변화하는 형상 변화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자료화한 바가 없었고 과학적 피부 변형자료에 근거한 내의의 겨드랑 부분과 팬티의 음부 절개선을 설정한 예가 없었다. In addition, in Korean Patent No. 10-1040130, three-dimensional image data of a human body including at least one measurement point for a specific skin area of a human body is reconstructed into a polygonal surface, and a length of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measurement points located on the polygonal surface A guideline for fabricating a clothing pattern that reflects a dynamic posture of a human body by detecting a non-skinned line of skin in a specific skin area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has been proposed. However, a concrete pattern designing method using this method has not been devised. In particular, the data on the underarm and the vagina have been missing because they can not be measured by the conventional 3D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existing three-dimensional human body data has actually used a method of statistically supplementing the missing data portion. As a result, there was no data on the shape change data changing during the right and left side of the armpit and vagus which are very important parts ergonomically, and the improvement of the underarm part and underwear of the panties based on scientific skin deformation data was set There was no exampl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활동성과 착용감이 모두 우수한 속옷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emand for underwear having both excellent activity and comfortable feeling is still increas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활동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기능성 속옷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undergarment excellent in activity and comfort.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방법으로, 동작시의 체표면 변화량을 3차원 스캐닝을 통해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pattern, comprising: obtain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hrough three-dimensional scanning of a body surface change amount during operation; ≪ / RTI >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제조방법은 획득한 3차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재봉선을 결정하여 패턴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a seam line from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o produce a pattern.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속옷은 상의 또는 하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arment is characterized by being of an upper or lower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상의는 팔관절이 90도에서 135도로 외전할 때 체표면 변화량의 값이 -2cm 내지 +2cm 이내인 지점을 연결하여 재봉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imag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m line is set by connecting points of the body surface change amount within a range of -2 cm to +2 cm when the arm joints are abducted at 90 to 135 degrees.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하의는 무릎관절이 30도에서 60도까지 굴곡될 때 체표면 변화량의 값이 -2cm 내지 +2cm 이내인 지점을 연결하여 재봉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knee joint is flexed from 30 to 60 degrees, the seam line is connected by connecting points having a body surface change amount within a range of -2 cm to +2 cm.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재봉선은 가로 방향선, 세로방향선, 및 사선 방향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m line is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line, a vertical line, and a diagonal li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패턴으로부터 기능성 속옷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from the pattern produced abov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속옷은 상의 또는 하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arment is characterized by being of an upper or lower surface.

본 발명의 기능성 속옷은 기존의 정자세에서의 패턴 제작에서 나아가 동작시 피부면의 변화 양상을 접목하여, 라글란 소매의 겨드랑이 절개라인을 설정하였고, 실제 인체의 음부를 결측치 없이 스캔하여 그 곡률 특성을 고려하여 남성용 드로즈를 설계하여 동작에 있어 불편함이 없고, 착용감 또한 우수하다. In the functional under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of the skin of the raglan sleeve is set by combining the patterns of change of the skin surfa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attern formation in the existing still life, and the side of the human body is scanned without missing Therefore,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e operation of the male dross, and the wearing comfort is also excellent.

본 발명의 기능성 속옷의 제조방법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종래의 3차원 형상만을 고려했던 속옷의 설계방법에, 4차원의 동작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인체의 형상과 기능에 적합한 기능성 속옷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signing an underwear which considers only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shape through a scientific analysis using a three-dimensional human body scann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 suitable functional underwear.

도 1은 팔이 30도에서 135도로 외전 운동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상의 몸통 부분 및 소매 윗부분에 대하여 팔을 30도 외전한 상태에서의 3차원 형상 데이터로서 몸통 및 소매 상단 부위 설계에 사용한 3차원 자료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상의 소매 라글한 메쉬부분의 설계에 있어서 팔의 135도 외전운동시 피부변화량의 변화가 최소인 부분을 선별하여 결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각 부분은 해당하는 점간의 구역들 중 피부 변화량이 거의 없는 부분을 설정하는 그림이다.
도 4는 팔의 외전 135도 일 때의 피부 변화량이 최소인 부분을 선별하여 설정한 재봉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상의 소매 메쉬 부분의 일부 재봉선을 결정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위에서 설정된 상의 소매 뒷판 부분의 재봉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속옷 하의의 설계에 있어서 무릎의 굴곡에 따라 피부 변화량의 변화가 최소인 부분을 선별하여 결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설정된 전체 하의 재봉선 라인을 나타낸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rm abduction movement from 30 degrees to 135 degrees. FIG.
FIG. 2 is a three-dimensional data used in the design of the trunk and the upper sleeve as three-dimensional shape data in a state in which arms are abducted at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and the sleeve upper portion of the image.
Figs. 3 to 7 are diagrams showing selection of a portion where the change of the amount of skin change is minimized in the 135-degree abduction exercise of the arm in the design of the mesh portion of the sleeve in the shape of the sleeve.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each portion has substantially no skin change amount among the corresponding points.
Fig. 4 is a view showing a sewing line in which a portion where the amount of skin change when the abduction angle is 135 degrees is minimum.
Figs. 5, 6, and 7 are views showing portions that determine a part of a seam line of each of the sleeve mesh portions.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eam line of the sleeve back portion on the upper side set above.
FIGS.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selection of a portion where the change in the skin change amount is minimum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knee in the underwear underwear design.
Fig. 11 shows the sewing line of the set under full set.

본 발명은 동작시의 체표면 변화량을 3차원 스캐너의 3차원 스캐닝을 통해 획득하는 인체 공학적 속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rgonomic undergarment in which an amount of body surface change during operation is acquired through three-dimensional scanning of a three-dimensional scanner.

본 발명자들은 동작성과 착용감이 우수한 인체 공학적인 기능성 속옷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동작에 따른 피부 변형 양상에 주목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o provide an ergonomic functional undergarment having excellent operability and comfort, and as a result, have paid attention to the skin deformation aspe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특히, 팔의 외전 운동과 무릎의 굴곡에 따른 신체의 변화를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측정한 결과, 동작 시 각 계측점 간의 구간 길이 변화로부터 체표면 변화량을 측정하여 변화가 크지 않은 부분에 재봉선을 설정하면, 착용시 피트성이 매우 좋으면서도, 동작시 인체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Particularl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of the body due to abduction of the arm and the flexion of the kne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the body surface change amount was measured from the change of the section length between the respective measurement points at operation, and a seam line was set , It is found that the fit is very good when worn and does not hinder the action of the human body at the time of operation,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방법으로, 동작시의 체표면 변화량을 3차원 스캐닝을 통해 획득하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pattern, comprising: obtain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obtained by three-dimensional scanning of a body surface change amount during operation .

상기 체표면 변화량은 구간의 길이 변화로부터 얻어지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 말하는 구간이란, 체표면 상에 선정된 계측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계측점의 위치는 피부 표면 특성 및 골격 특성에 의거하여 선택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4차원 동작시의 체표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 body surface change amount is obtained from the length change of the section. The sect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from the length of the line connecting selected measurement points on the body surface. The posi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kin surface characteristics and skeletal characteristics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body surface change during the 4-dimensional operation.

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캐닝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3차원 스캐너는 광학, 또는 레이저 스캐너일 수 있으나, 3차원 형상을 측정하는 기구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3차원 스캐닝이란 3차원 형상을 측정하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image data refers to data that can be obtained by scanning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The three-dimensional scanner may be an optical scanner or a laser scanner. However, the scanner may be any scanner that measures a three-dimensional shape. From the above,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may be a series of actions for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shape.

본 발명의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 방법은, 상기 데이터로부터 재봉선을 결정하여 패턴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wear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determining a seam line from the data to produce a pattern.

상기 패턴이란 의복을 구성할 때 소재를 재단하기 위한 옷본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term " pattern " means a fabric for cutting a fabric when forming clothes.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만들어지는 속옷은 상의 또는 하의일 수 있으나, 동작에 따른 3차원 이미지 데이터로 제조할 수 있는 의류라면 속옷에 한정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The underwear mad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ither an upper or a lower 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ndergarment if the clothing can be produced by three-dimensional image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겨드랑이 부분의 재봉선을 설정하기 위하여 팔의 외전 운동시 각 지점간의 구간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피부 변화량의 변화가 최소인 부분을 선별하여 결정하고, 이를 연결하여 기능성 속옷 상의 패턴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참조). 이는 3차원 형태만을 고려한 것이 아닌, 상체, 특히 팔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겨드랑이 부위 피부의 변화를 고려한 패턴을 제조하기 위해서 실시한 것으로, 상기 팔관절의 움직임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0도 내지 180도로 외전운동할 때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도 내지 135도로 외전운동할 때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t the seam line of the armpit portion, the change in the section length between the respective points in the abduction of the arm is measured, and the portion with the smallest change in the skin change amount is selected and determined, (See Example 1). This is done not only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but also in order to produce a pattern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skin of the upper body, especially the armpit are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rm joint. The movement of the arm joint is not limited to this, To 180 degrees of abduction motion, and more preferably to measure the motion of abduction motion from 90 to 135 degre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속옷 하의의 재봉선을 설정하기 위하여 무릎을 굽히는 운동에 따라 변화하는 피부의 양상을 측정하여, 변화가 최소인 결정하여 이를 연결하여 기능성 속옷 하의 패턴을 제조하였다(실시예 2 참조). 이는 하체, 특히 무릎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피부의 변화를 고려한 패턴을 제조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것으로, 무릎관절의 움직임이 바람직하게는 0도 내지 60도로 굴곡될 때 측정하는 것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도 내지 60도로 굴곡될 때 측정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of the skin chang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bending the knee to set the seaming line under the underwear is measured, and the change is determined to be the minimum to connect the same to produce a pattern under the functional underwear See Example 2). This is carried out to produce a pattern considering changes in the skin due to the lower body, particularly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and may be a measurement when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is preferably bent from 0 to 60 degree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measuring when flexed from 30 degrees to 60 degre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재봉선은, 동작시 체표면 변화량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또는 음(-)에서 양(+)으로 바뀌거나, 체표면 변화량이 -2cm 내지 +2cm 이내인 지점을 연결하여 설정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1cm 이내인 지점을 연결하여 설정한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에 가까운 지점을 연결하여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m line changes the sign of the body surface change amount from positive (+) to negative (-) or negative (-) to positive A point within 2 cm may be connected and set, preferably, a point within -1 cm to + 1 cm may be connected and set, and most preferably, a point close to 0 may be connected and set.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재봉선은 가로 방향선, 세로 방향선, 또는 사선 방향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mentioned seam line may be any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line, a vertical direction line, and a diagonal direction lin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패턴으로부터 기능성 속옷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from the pattern produced abov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only for the purpose of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 실시예Example ]]

실시예Example 1. 기능성 속옷 상의의 제조 1. Manufacturing of functional undergarments

외전 운동이란, 사지 각부분에서 몸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운동으로, 어깨나 고관절에서는 상완골 내지 대퇴골의 긴축이 체간축(정중선)에서 멀어지는 운동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팔의 외전운동은 팔을 옆으로 하여 위로 들어올리는 것이다.
Abnormal movements are movements that try to mov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body in the limbs and move away from the trunk axis (midline) in the shoulder or hip by the constriction of the humerus or femu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duction of the arm is to lift the arm upside down.

<1-1> 상의 <1-1> Top 몸판의Body 설계 design

본 발명에서는 30대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팔이 30도에서 135도로 외전운동할 때의 체표면 변화량을 중심으로 속옷 상의를 제조하였다(도 2 참조).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n underwear image was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body surface change when the arm was abducted at an angle of 30 to 135 degrees (see FIG. 2).

<1-2> 상의 소매 Retail on <1-2> 앞판Front plate 부분의 설계 Part design

팔을 90도에서 135도로 외전운동할 때의 체표면 변화량을 측정하여, 체표면 변화량의 부호가 바뀌거나 0에 가까운 지점을 선정하여 연결하여 겨드랑이 메쉬라인을 결정하였다. 도 2 같이 몸통은 팔을 30도 외전한 상태에서 3차원 패턴을 재작하였다. 겨드랑이 메쉬 부분은 팔의 90도와 135도의 외전시 피부 변화량의 변화가 최소인 부분인 구간을 지정하여 도 3, 도4에서와 같이 도면상의 붉은 색 선으로 라인을 결정하였으며, 도 8과 같이 파란선을 재봉선으로 설정하였다.
We measured the amount of body surface change when the arms were abducted at 135 to 135 degrees, and selected the armpipe mesh line by selecting the points whose body surface change amount was changed or near zero. As shown in Fig. 2, the trunk reconstruct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with the arms abducted at 30 degrees. The side of the armpit mesh portion was determined to be a red line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s. 3 and 4 by designating a section in which a change in the amount of skin change was minimal during abduction of 90 degrees and 135 degrees of an arm, Was set as a seam.

<1-3> 상의 소매 Retail on <1-3> 뒷판Back plate 부분의 설계 Part design

뒷판의 경우에도 상의 소매 앞판 부분의 설계와 같은 방법으로 재봉선을 설정한다. 도 5, 도 6, 및 도 7과 같이, 팔의 90도와 135도의 외전운동시 피부 변화량의 변화가 최소인 부분인 구간을 지정하여 도면 상의 붉은 선을 라인으로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도 9와 같이 파란 선을 재봉선으로 설정하였다.
In the case of the rear plate, the seam line is set in the same manner as the design of the sleeve front plate section. As shown in FIGS. 5, 6, and 7, a red line in the drawing was determined by designating a section that is a portion in which the skin change amount is minimized at the time of abduction of 90 degrees and 135 degrees of the arm. Finally, a blue line was set as a seam line as shown in Fig.

실시예Example 2. 기능성 속옷 하의의 설계 2. Design of Functional Underwear Bottom

하의의 경우, 무릎을 30도에서 60도까지 굴곡시키며 체표면적 변화를 측정하여 선정된 절개선을 활용하였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대퇴부와 정자세와 30도, 60도 동작에서의 길이변화를 3차원 상으로 측정하였고, 동작에 따른 길이 변화가 1cm 미만일 경우에 LoNE(Lines of None Extension : 동작시에도 체표면에서 길이가 변화지 않는 라인)로 채택하여 도면상의 점선으로 재봉선에 반영하였다. In the case of the lower biceps, the knee was flexed from 30 to 60 degrees and the change in body surface area was measured.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change in the length in the thigh, the right leg, and the 30-degree and 60-degree movements was measured three-dimensionally. LoNE (Lines of None Extension A line whose length does not change on the surface of the body) is adopted as a dotted line on the drawing and reflected on the seam.

상기 디자인 라인에 따라 완성된 하의 재봉선 라인은 도 11에 나타내었다.
The lower seam line completed according to the design line is shown in Fig.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Claims (8)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속옷은 상의 또는 하의일 수 있고, a) 동작시의 체표면 변화량을 3차원 스캐닝을 통해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데이터로부터 재봉선을 결정하여 패턴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의는 팔관절이 90도에서 135도로 외전할 때 겨드랑이 부분을 포함하는 체표면 변화량의 값이 -2cm 내지 +2cm 이내인 지점을 연결하여 재봉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의는 무릎관절이 30도에서 60도까지 굴곡될 때 음부 부분을 포함하는 체표면 변화량의 값이 -2cm 내지 +2cm 이내인 지점을 연결하여 재봉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pattern, wherein the undergarment may be in an upper or lower position, the method comprising: a) obtain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through three-dimensional scanning of the amount of body surface change during operation; And
b) determining a seam line from the data to produce a pattern;
,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arm is connected to points at which the value of the body surface change amount including the armpit portion is within -2 cm to +2 cm when the arm joint is abducted at 90 to 135 degree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knee joint is flexed from 30 to 60 degree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underwear is connected to a point within the range of -2 cm to +2 cm, G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선은 가로 방향선, 세로방향선, 및 사선 방향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속옷 패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m lin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orizontal line, a vertical line, and a diagonal line.
제 1항에서 제조된 패턴으로부터 기능성 속옷을 제조하는 방법.
A method of making a functional undergarment from the pattern produced in claim 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속옷은 상의 또는 하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속옷을 제조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undergarment is in the top or bottom.
KR1020120143712A 2012-12-11 2012-12-11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KR101410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12A KR101410629B1 (en) 2012-12-11 2012-12-11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12A KR101410629B1 (en) 2012-12-11 2012-12-11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947A KR20140075947A (en) 2014-06-20
KR101410629B1 true KR101410629B1 (en) 2014-06-24

Family

ID=5112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712A KR101410629B1 (en) 2012-12-11 2012-12-11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6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78B1 (en) 2014-06-20 2016-06-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Monochromator and charged particle apparatus with thereof
KR102100223B1 (en) * 2019-11-11 2020-04-13 염장열 Client-customized underware produc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476A (en) * 2002-03-11 2003-09-19 대한민국(충남대학교)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rassiere Using 3-d Measurement And Brassiere Thereof
KR100553844B1 (en) 2004-03-20 2006-02-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the Selection of Brassieres Depending on Breast Types, and Method thereof
KR100742573B1 (en) 2006-03-10 2007-07-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ediction of the clothing pressure based on 3d shape deform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KR20110058369A (en) * 2009-11-26 2011-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cting skin lines of non-exten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476A (en) * 2002-03-11 2003-09-19 대한민국(충남대학교)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rassiere Using 3-d Measurement And Brassiere Thereof
KR100553844B1 (en) 2004-03-20 2006-02-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the Selection of Brassieres Depending on Breast Types, and Method thereof
KR100742573B1 (en) 2006-03-10 2007-07-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ediction of the clothing pressure based on 3d shape deform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KR20110058369A (en) * 2009-11-26 2011-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cting skin lines of non-ex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947A (en)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873B2 (en) Smart clothing for ambulatory human motion capture
US8116896B2 (en) Method for creating panels for a garment
JP2013538945A (en) Mannequins, methods and systems for the purchase, fabrication and repair of clothes
Jevšnik et al. 3D virtual prototyping of garments: approaches, developments and challenges
Wang et al. Body measurements of Chinese males in dynamic postures and application
CA3095732C (en) Size measuring system
KR101410629B1 (en) 3D functional underwear and method thereof considering 4D deformation of body surface
Lee et al. Development of 3D patterns for functional outdoor pants based on skin length deformation during movement
CN106360812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Tang&#39;s formula blouse
WO2021107127A1 (en) Reversible shirt
KR20180004809A (en) Suit pattern and measuring device for suit pattern
KR101040130B1 (en) Method for detecting skin lines of non-extension
KR10072763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diving suit using three dimension human body and diving suit fabricated using the same
Aluculesei et al. Digital methods in developing textile products for people with locomotor disabilities
Ghafouri et al. Contribution of reference frames for movement planning in peripersonal space representation
Shi et al. Biomimetic approach for the production of 3D woven spherical composite applied in apparel protection and performance
Jung et al. Regional skin maximal elongation rate for appling e-textiles to tight-fit clothing
KR100742573B1 (en) Prediction of the clothing pressure based on 3d shape deform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CN202286389U (en) One-step three-dimension forming bodybuilding sports vest for women
KR100428487B1 (en)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Brassiere Using 3-d Measurement And Brassiere Thereof
Ng et al. Single parameter model of minimal surface construction for dynamic garment pattern design
KR20170088153A (en) Smart clothes for minimizing shape variation in case of human movements and bio-signal sensing system
JPH09241905A (en) Clothes
JP2015021207A (en) Garment
KR102469773B1 (en) Functional Suit J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