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773B1 - Functional Suit Jacket - Google Patents

Functional Suit J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773B1
KR102469773B1 KR1020200081433A KR20200081433A KR102469773B1 KR 102469773 B1 KR102469773 B1 KR 102469773B1 KR 1020200081433 A KR1020200081433 A KR 1020200081433A KR 20200081433 A KR20200081433 A KR 20200081433A KR 102469773 B1 KR102469773 B1 KR 10246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sewn
connection part
should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3787A (en
Inventor
박대남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신성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773B1/en
Publication of KR2022000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7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능성 슈트 상의는, 등판(103)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103a)의 어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1 연결부(201), 등판(103)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103a)의 등중심 척추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2 연결부(203), 앞판(101)을 구성하는 앞판 안감(101a)의 앞가슴 상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3 연결부(205), 소매(109)를 구성하는 소매 안감(109a)의 소매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4 연결부(207)가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슈트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팔꿈치를 굽히고 팔을 가슴 높이까지 들어 올릴 때 제1 내지 제 4 연결부(201, 203, 205, 207)의 기능성 파워넷 원단에 의해 사방으로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활동성 영역 확장으로 인하여 팔꿈치의 각도가 30도까지 굽힐 수 있는 등 활동성을 높일 수 있고, 활동성이 많은 비즈니스인들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것임. In the functional suit to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panel lining 103a constituting the back panel 103 is sewn to the portion where the shoulder portion is connected,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01 of the power net fabric, the back panel lining (which constitutes the back panel 103)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3 of the power net fabric sewn to the part where the back center spine part of 103a) is connected, and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hest of the front plate lining 101a constituting the front plate 101. 8 because the third connection part 205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207 of the power net fabric sewn to the part where the upper end of the sleeve of the sleeve lining 109a constituting the sleeve 109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bow are disposed. As such, when the user bends the elbow and raises the arm to chest height while wearing the suit top, the functional power net fabric of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201, 203, 205, 207 smoothly stretches and contracts in all direction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ctive area, the elbow angle can be bent up to 30 degrees, and the activity can be increased, and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it to active business people.

Description

기능성 슈트 상의{Functional Suit Jacket}Functional Suit Jacket {Functional Suit Jacket}

본 발명은 기능성 슈트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감과 어깨, 등중앙, 앞가슴 및 팔꿈치 활동성을 높여줄 수 있는 기능성 슈트 상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suit to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suit top capable of increasing comfort and shoulder, back center, front chest, and elbow activity.

일반적으로, 서양에서 발달된 슈트는 이제 전세계 어디서나 평상시 비지니스 웨어로 착용되는 유니폼 같은 의류가 되었고, 우리나라에도 개화와 동시에 들어와 지금껏 착용되 오고 있다.In general, the suit developed in the West has now become a uniform-like clothing worn as business wear anywhere in the world, and has been worn in Korea at the same time as it was enlightened.

슈트는 상하의를 같은 소재로 만든 한 벌의 양복을 의미한다.A suit means a suit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and bottom.

이러한 슈트는 최근 젊은 남성들의 체형이 서구적으로 변화되고, 자신의 외모를 슬림하게 표현하길 원함에 따라 몸에 피트되는 슬림 슈트 스타일이 유행하고 있다.As for these suits, the body shape of young men has recently changed to a western style and they want to express their appearance slimly, so a slim suit style that fits the body is in vogue.

슬림 슈트는 가슴둘레와 어깨 둘레를 종전보다 줄여 가슴에서 힙으로 흐르는 곡선을 강조하는 슬림패턴을 활용하여 실루엣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slim suit emphasizes the silhouette by using a slim pattern that emphasizes the curve flowing from the chest to the hip by reducing the chest and shoulder circumferences.

그러나, 슬림 슈트가 유행함에 따라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부위의 활동성이 낮아져 착용감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근육이 잘 발달한 체형의 경우 자신의 육체미를 강조하고자 체형에 피트되는 스타일을 선호하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고 어깨의 거동이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the slim suit is popular, the activity of the area where the shoulder and the arm are connected is lowered, resulting in uncomfortable wearing comfor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ody type with well-developed muscles, a style that fits the body type is preferred to emphasize one's physical beauty,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ability to move freely and inconvenient shoulder movement.

또한, 남성들은 직장이나 행사 및 모임 등의 공식적인 자리에서 슈트를 많이 착용하게 되는데, 슈트 상의가 자켓 형상의 긴팔 소매로 구성되므로 일을 하거나 어깨 및 팔을 빈번하게 움직이는 동작을 할 경우 어깨와 팔의 거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men often wear suits in formal settings such as work, events, and meetings. Since the suit top is composed of jacket-shaped long-sleeved sleeves, when working or performing frequent movements of the shoulders and arms, the There is a problem with inconvenient movement.

그래서,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82248호(2010.09.08.)와 등록특허공보 제10-1503174호(2015.03.10.)가 제안되어 왔었다.So, in the past, Patent Registration No. 10-0982248 (2010.09.08.)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503174 (2015.03.10.) have been proposed.

즉,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82248호의 슈트 상의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앞판(11)과 등판(13) 및 상기 앞판(11)과 등판을 연결하는 옆판(15)으로 구성되는 상의 본체(10)와, 소매와 상기 등판(13)을 구성하는 안감의 어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배치되고 신체 부위 중 어깨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메쉬스판 원단의 연결부(21)를 포함한다.That is, conventionally, the suit top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982248 is composed of a front plate 11 and a back plate 13 and a side plate 15 connecting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as shown in FIGS. 1 to 2 The connection part 21 of the mesh span fabric that is arranged to be sewn to the part where the main body 10 of the upper body, the sleeves, and the shoulder part of the lining constituting the back panel 13 are connected, and stretche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momentum transmitted from the shoulder among the body parts. ).

즉, 상기 연결부(21)를 어깨 부위에서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위까지 경사지게 구비하는 것은 어깨의 회전반경이 큰 상측(어깨선측) 폭을 넓게 하고 회전반경이 작은 하측(겨드랑이측) 폭을 좁게 하여 어깨의 활동성을 최적화하기 위함이다.That is, providing the connection part 21 inclined from the shoulder t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armpit widens the width of the upper side (shoulder line side) with a large rotation radius of the shoulder and narrows the width of the lower side (armpit side) with a small rotation radius. to optimize the activity of

상기 연결부(21)는 상측이 등판 안감(13a)의 어깨선에 봉재되고, 좌우측이 각각 등판 안감(13a)과 소매 안감(19a)에 일체로 봉재되며, 하측이 등판 안감(13a)과 옆판 안감(15a)이 연결되는 봉재라인(17a)에 봉재된다.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21 is sewn to the shoulder line of the back panel lining 13a,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integrally sewn to the back panel lining 13a and the sleeve lining 19a, respectively, and the lower side is sewn to the back panel lining 13a and the side panel lining ( 15a) is sewn to the bar line 17a to which it is connected.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슈트 상의(10)는 앞판 안감(11a), 등판 안감(13a) 및 소매 안감(19a)이 기능성이 없는 폴리 원단이고, 어깨에 해당하는 연결부(21)에만 메쉬스판 원단을 사용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슈트 상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팔꿈치를 굽히고 팔을 가슴 높이까지 들어 올릴 때 어깨부분에서 목부분쪽으로 갈수록 활동성의 폭이 좁아지고 어깨에서만 신축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팔꿈치의 각도가 70도 정도 밖에 굽히지 않는 등 활동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it top 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lining 11a, the back lining 13a, and the sleeve lining 19a are non-functional poly fabrics, and only the connection portion 21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is made of mesh span fabric. Since it is a structure using a suit top 10,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bends the elbow and lifts the arm to the chest level while wearing the suit top 10, the width of the activity narrows from the shoulder to the neck, and the stretching action is performed only on the shoulder. As it was don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such as the angle of the elbow being bent only about 70 degrees.

또 다른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제10-1503174호(2015.03.10.)의 슈트 상의(90)는, 도 4와 같이 일반적인 슈트 상의와 마찬가지로 외피(110)와 내피(120)를 포함한다. Another conventional suit top 90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503174 (2015.03.10.) includes an outer shell 110 and an inner shell 120, like a general suit top, as shown in FIG.

즉, 상기 외피(110)는 슈트 상의(90)의 전면을 구성하는 외피 전면부(미도시됨), 슈트 상의(90)의 후면을 구성하는 외피 등판부(111) 및 슈트 상의(90)의 팔 부분을 구성하는 외피 소매부(112)를 포함한다.That is, the outer shell 110 includes a front portion of the outer shell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suit top 90 (not shown), a shell back portion 111 constitu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uit top 90, and the suit top 90. It includes the outer sleeve 112 constituting the arm portion.

상기 내피(120)는 외피(110)를 안에서 받치는 한편 신체나 다른 옷에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서, 내피(120)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성을 갖는 소정의 신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신축 부재는 공지의 파워 네트, 메시를 갖는 옷감, 기타 임의의 종류의 탄섬 섬유를 포함한다. The endothelium 120 supports the outer skin 110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body or other clothe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othelium 120 may be made of a predetermined elastic member having elasticity, such an elastic member is known. power nets, fabrics with meshes, and any other type of elastic fibers.

상기 신축 부재는 내피(120)의 암홀(H)에서부터 팔꿈치(E)에 인접한 부위까지 형성되는 제1 신축 부재(121)와 내피(120)의 암홀(H)에서부터 목 방향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면서 어깨에서부터 겨드랑이나 그 인접 부위까지 형성되는 제2 신축 부재(122)를 포함한다. The elastic member has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neck direction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121 formed from the armhole H of the endothelium 120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elbow E and from the armhole H of the endothelium 120 It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122 formed from the shoulder to the armpit or an adjacent part while doing so.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종래의 슈트 상의(90)는 내피(120)에서 소매 팔꿈치 상단에 해당하는 제1 신축 부재(121)와 어깨에 해당하는 제2 신축 부재(122)만이 메쉬스판 원단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기능성이 없는 폴리 원단을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슈트 상의(90)를 착용한 상태에서 팔꿈치를 굽히고 팔을 가슴 높이까지 들어 올릴 때 어깨부분에서 겨드랑이까지 활동성의 폭이 넓어진 반면에도 불구하고 어깨에서 팔꿈치 위까지만 신축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팔꿈치의 각도가 70도 정도 밖에 굽히지 않는 등 활동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another conventional suit top 9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first elastic member 121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leeve elbow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22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in the inner skin 120 are made of mesh span fabric. Since the structure uses non-functional poly fabric,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bends the elbow and raises the arm to chest level while wearing the suit top 90, the width of activity from the shoulder to the armpit Despite the widening,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such as the angle of the elbow bending only about 70 degrees as the stretching action was performed only from the shoulder to the upper part of the elbow.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2248호(2010.09.0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82248 (2010.09.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3174호(2015.03.10.)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03174 (2015.03.10.)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안감(내피)의 어깨, 척추 상단, 앞가슴 상단, 위팔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까지 내려오도록 기능성 파워넷 원단을 사용하여 높은 활동성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활동성이 많은 비즈니스인들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슈트 상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in view of the existing problems, and uses a functional power net fabric to descend from the shoulder of the lining (endothelium), the upper part of the spine, the upper part of the chest,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arm to the lower part of the elbow to create a high activity area. By expanding, it is to provide a functional suit top that can give a comfortable fit to active businessme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슈트 상의는, 앞판, 등판, 소매 및 상기 앞판과 등판을 연결하는 옆판으로 구성되는 상의 본체; 상기 등판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의 어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상의 본체의 어깨 부위에서 넓게 형성되다가 겨드랑이 부위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신체부위 중 어깨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등판 안감의 등중심 척추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등판 안감의 중앙 상단에서 하단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 등중심 척추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앞판을 구성하는 앞판 안감의 앞가슴 상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앞판 안감의 좌측에서 우측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 앞가슴 상단으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소매를 구성하는 소매 안감의 소매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소매 안감의 둘레에 형성되어 신체부위 위팔과 팔꿈치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unctional suit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main body composed of a front plate, a back plate, sleeves, and side plates connecting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A first connecting portion that is formed widely in the shoulder area of the main body of the top and then narrowed toward the armpit area so as to be sewn to the area where the shoulder area of the back panel lining constituting the back panel is connected, and is stretch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exercise transmitted from the shoulder among body parts ;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backboard lining to the lower end of the backboard lining so as to be sewn to a region where the backboard lining is connected, and expands and contract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exercise transmitted from the backboard lining; A third connecting portion that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ide lining and is stretch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momentum transmitted from the top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chest so as to be sewn to the area where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lining constituting the front side is connected; And a fourth connection portion formed around the sleeve lining so as to be sewn to a por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elbow is connected at the upper end of the sleeve lining constituting the sleeve, and expands and contract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momentum transmitted from the upper arm and elbow of the body part. characterized by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연결부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등판 안감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net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ack panel lining.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연결부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등판 안감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net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ack panel lining.

삭제delet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3 연결부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앞판 안감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conn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net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lining of the front plate.

삭제delet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4 연결부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소매 안감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fourth conn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net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sleeve lining.

본 발명의 기능성 슈트 상의는 등판(103)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의 어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1 연결부, 등판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의 등중심 척추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2 연결부, 앞판을 구성하는 앞판 안감의 앞가슴 상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3 연결부, 소매를 구성하는 소매 안감의 소매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4 연결부가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슈트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팔꿈치를 굽히고 팔을 가슴 높이까지 들어 올릴 때 제1 내지 제 4 연결부의 기능성 파워넷 원단에 의해 사방으로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활동성 영역 확장으로 인하여 팔꿈치의 각도가 30도까지 굽힐 수 있는 등 활동성을 높일 수 있고, 활동성이 많은 비즈니스인들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functional suit to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net fabric sewn to the part where the shoulder part of the back panel lining constituting the back panel 103 is connected, and the back center part of the back panel lining constituting the back panel are sewn to the part where the back center spine part is connecte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net fabric to be connected, the third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net fabric sewn to the part where the upper part of the chest of the front lining constituting the front plate is connected, and the part where the lower part of the elbow is connec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leeve lining of the sleeve lining constituting the sleeve. Since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th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net fabric to be sewn is arranged, when the user bends the elbow and lifts the arm to chest level while wearing a suit top, the functional power net fabric of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stretches and contracts in all directions. Due to this smooth expansion of the activity area, the angle of the elbow can be bent up to 30 degrees, etc., and activity can be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give a comfortable fit to active businessmen.

도 1은 종래의 슈트 상의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부를 도시한 내부 전개도,
도 3은 도 1의 슈트 상의 착용시 어깨부분과 팔꿈치부분의 활동성을 도시한 사진,
도 4는 또 다른 종래의 슈트 상의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슈트 상의 착용시 어깨부분과 팔꿈치부분의 활동성을 도시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기능성 슈트 상의를 도시한 내부 전개도,
도 7은 도 6의 소매를 도시한 내부 측면도,
도 8은 도 6의 기능성 슈트 상의 착용시 어깨부분과 팔꿈치부분의 활동성을 도시한 사진이다.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uit top;
Figure 2 is an internal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Figure 1;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ivity of the shoulder and elbow parts when worn on the suit of FIG. 1;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suit top;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ivity of the shoulder and elbow parts when worn on the suit of Figure 4;
Figure 6 is an internal development showing the functional suit t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inside side view of the sleeve of Figure 6;
Figure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ctivity of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elbow portion when worn on the functional suit of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6 to 8.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참고로, 본 발명의 도면 도 6 및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슈트 상의를 뒤집은 내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or reference, drawings 6 and 7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an inside view of a suit top turned inside o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슈트 상의는, 앞판(101), 등판(103), 소매(109) 및 상기 앞판(101)과 등판(103)을 연결하는 옆판(105)으로 구성되는 상의 본체(100); 상기 등판(103)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103a)의 어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상의 본체(100)의 어깨 부위에서 넓게 형성되다가 겨드랑이 부위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신체부위 중 어깨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1 연결부(201); 상기 등판 안감(103a)의 등중심 척추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등판 안감(103a)의 중앙 상단에서 하단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 등중심 척추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2 연결부(203); 상기 앞판(101)을 구성하는 앞판 안감(101a)의 앞가슴 상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앞판 안감(101a)의 좌측에서 우측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 앞가슴 상단으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3 연결부(205); 및 상기 소매(109)를 구성하는 소매 안감(109a)의 소매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소매 안감(109a)의 둘레에 형성되어 신체부위 위팔과 팔꿈치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4 연결부(207);를 포함한다.The functional suit to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 body composed of a front plate 101, a back plate 103, sleeves 109, and a side plate 105 connecting the front plate 101 and the back plate 103 ( 100); It is formed wide in the shoulder area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shoulder area of the back panel lining 103a constituting the back panel 103 is sewn to the connected area, and then narrows toward the armpit area, so that the transfer from the shoulder among the body parts A first connection part 201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momentum; The back panel lining 103a is stretch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mo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part back center spine by forming the same width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back panel lining 103a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back panel lining 103a is sewn to the area where the back center spine part is connected. 2 connection part 203; The same width is form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lining 101a so that the front panel lining 101a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101 is sewn to the part where the upper part of the chest is connected, and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momentum transmitted from the top of the front chest to the body part. a third connecting portion 205 tha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nd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leeve lining 109a so as to be sewn to a reg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sleeve of the sleeve lining 109a constituting the sleeve 109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bow, and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mo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part upper arm and elbow.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207 tha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상기 상의 본체(100)를 구성하는 앞판(101), 등판(103) 및 옆판(105) 그리고 소매(109)는 각각 슈트 상의의 전면, 후면, 측면 및 두 팔을 꿰는 부분을 형성하고, 앞판(101), 등판(103) 및 옆판(105) 그리고 소매(109)의 내피를 구성하는 앞판 안감(101a), 등판 암감(103a) 및 옆판 안감 그리고 소매 안감(109a)은 폴리 원단으로 형성한다. The front plate 101, the back plate 103 and the side plate 105, and the sleeves 109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0 of the suit form the front, rear, side, and two arms of the suit, respectively, and the front plate ( 101), the back panel 103 and side panel 105, and the front panel lining 101a constituting the inner skin of the sleeve 109, the back panel arm panel 103a and side panel lining, and the sleeve lining 109a are formed of poly fabric.

상기 옆판(105)은 앞판(101) 및 등판(103)에 연결되어 어깨에서부터 슈트단까지 떨어지는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등판(103)과 옆판(105)을 연결하는 봉재라인(107)은 슈트 상의의 허리라인을 슬림하고 입체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소매(109)는 앞판(101) 및 등판(103) 사이에 연결되어 옆판(105)과 근접하도록 슈트단까지 떨어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side plate 105 is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101 and the back plate 103 to form a line falling from the shoulder to the hem of the suit, and the bar line 107 connecting the back plate 103 and the side plate 105 is on the suit. It serves to hold the waist line slimly and three-dimensionally, and the sleeve 109 is connected between the front plate 101 and the back plate 103 to form a space that falls down to the suit end so as to approach the side plate 105.

상기 제1 연결부(201)는 어깨의 활동성을 높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등판 안감(103a)에 구비되고 어깨 부위에서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위까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1 is provided to provide a comfortable wearing feeling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shoulder, and is provided on the back panel lining 103a and is formed to obliquely extend from the shoulder area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mpit.

상기 제1 연결부(201)를 등판 안감(103a)에 구비하는 것은 외적으로는 격식을 갖춘 슈트 상의의 형상을 채용하면서도 기존의 슈트에서 느꼈던 어깨 활동의 불편함은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시 슈트 상의가 딱딱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고 어깨의 움직임에 따라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Hav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201 on the back lining 103a i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shoulder activity felt in the existing suit while externally adopting the shape of a formal suit top, and in more detail This is to ensure that the upper part of the suit is not rigidly fixed when worn, and that you can feel the freedo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최근의 슬림 슈트는 어깨선과 인체의 어깨라인을 일치시키고 등판(103)과 옆판(105)을 연결하는 봉재라인(107)을 인체의 곡선에 대응되게 슬림하게 형성하므로 어깨의 움직임이 불편하다. 따라서 어깨와 팔이 연결되는 부위에 해당되는 등판 안감(103a)에 제1 연결부(201)를 두어 어깨의 운동에 따른 활동성을 부여한다.Recent slim suits match the shoulder line with the body's shoulder line and form a slim bar line 107 connecting the back panel 103 and the side panel 105 to correspond to the curve of the body, so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is inconvenient. Therefore, the first connection part 201 is placed on the back lining 103a corresponding to the part where the shoulder and the arm are connected to give activit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상기 제1 연결부(201)를 어깨 부위에서 겨드랑이에 대응되는 부위까지 경사지게 구비하는 것은 어깨의 회전반경이 큰 상측(어깨선측) 폭을 넓게 하고 회전반경이 작은 하측(겨드랑이측) 폭을 좁게 하여 어깨의 활동성을 최적화하기 위함이다.Hav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201 inclined from the shoulder t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armpit widens the width of the upper side (shoulder line side) with a large rotation radius of the shoulder and narrows the width of the lower side (armpit side) with a small rotation radius. to optimize the activity of

상기 제1 연결부(201)는 상측이 등판 안감(103a)의 어깨선에 봉재되고, 좌우측이 각각 등판 안감(103a)과 소매 안감(109a)에 일체로 봉재되며, 하측이 등판 안감(103a)과 옆판 안감(105a)이 연결되는 봉재라인(107a)에 봉재된다. 이 경우 어깨의 운동에 따라 신축이 용이하고 어깨의 활동성이 보장되어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01 is sewn to the shoulder line of the back panel lining 103a,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integrally sewn to the back panel lining 103a and the sleeve lining 109a, respectively, and the lower side is sewn to the back panel lining 103a and the side plate. It is sewn to the sewing line 107a to which the lining 105a is connected. In this case, it is easy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and the activity of the shoulder is guaranteed,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fit.

상기 제1 연결부(201)는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파워넷 원단을 채용한다.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것은 다양한 어깨의 활동성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파워넷 원단을 채용하는 것은 어깨 부분의 두께감을 최소화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어깨라인을 형성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1 adopts a power net fabric that is woven so as to be stretched in all directions. It is woven so that it stretches in all directions to ensure various shoulder activities, and the adoption of Powernet fabric is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shoulder area to form a light and soft shoulder line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fit.

한편, 상기 제2 연결부(203)는 등중심의 활동성을 높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등판 안감(103a)에서 등중심 척추 상단 부위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3 is to provide a comfortable wearing feeling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back center, and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part of the back center spine in the back panel lining 103a.

즉, 상기 제2 연결부(203)는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파워넷 원단을 채용한다.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것은 다양한 등중심의 활동성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파워넷 원단을 채용하는 것은 등중심 부분의 두께감을 최소화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등중심라인을 형성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3 employs a power net fabric that is woven so as to stretch in all directions. Weaving to stretch in all directions is to ensure various activities of the back center, and adoption of the power net fabric is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while forming a light and soft back center line 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back center part.

상기 제3 연결부(205)는 앞가슴의 활동성을 높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앞판 안감(101a)에서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된다. The third connection part 205 is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front chest, and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top of the front panel lining 101a.

즉, 상기 제2 연결부(203)는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파워넷 원단을 채용한다.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것은 다양한 앞가슴의 활동성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파워넷 원단을 채용하는 것은 앞가슴 부분의 두께감을 최소화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앞가슴라인을 형성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3 employs a power net fabric that is woven so as to stretch in all directions. Weaving to stretch in all directions is to ensure various activities of the front chest, and adoption of Powernet fabric is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front chest to provide a comfortable fit while forming a light and soft front chest line.

상기 제4 연결부(207)는 위팔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까지의 활동성을 높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매 안감(109a)의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까지 둘레에 형성된다. The fourth connection part 207 provides a comfortable fit by increasing activity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arm to the lower end of the elbow, and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sleeve lining 109a to the lower end of the elbow.

즉, 상기 제4 연결부(207)는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파워넷 원단을 채용한다. 사방으로 신축되도록 직조되는 것은 다양한 팔꿈치의 활동성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파워넷 원단을 채용하는 것은 어깨에서 팔꿈치 하단부분의 두께감을 최소화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위팔라인과 팔꿈치의 굽힘각도를 형성하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207 employs a power net fabric that is woven so as to be stretched in all directions. It is woven so that it stretches in all directions to ensure various elbow activities, and adopting powernet fabric minimizes the thickness of the lower part of the elbow from the shoulder to form a light and soft upper arm line and elbow bending angle,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fit. is to do

이 처럼, 본 발명의 기능성 슈트 상의는 등판(103)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103a)의 어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1 연결부(201), 등판(103)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103a)의 등중심 척추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2 연결부(203), 앞판(101)을 구성하는 앞판 안감(101a)의 앞가슴 상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3 연결부(205), 소매(109)를 구성하는 소매 안감(109a)의 소매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는 파워넷 원단의 제4 연결부(207)가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슈트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팔꿈치를 굽히고 팔을 가슴 높이까지 들어 올릴 때 제1 내지 제 4 연결부(201, 203, 205, 207)의 기능성 파워넷 원단에 의해 사방으로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활동성 영역 확장으로 인하여 팔꿈치의 각도가 30도까지 굽힐 수 있는 등 활동성을 높일 수 있고, 활동성이 많은 비즈니스인들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functional suit to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connection part 201 of the power net fabric sewn to the area where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ack lining 103a constituting the back panel 103 is connected, and the back panel constituting the back panel 103.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3 of the power net fabric sewn to the part where the back center spine part of the lining 103a is connected, and the power net sewn to the part where the upper part of the chest of the front plate lining 101a constituting the front plate 101 is connected. Because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connection part 205 of the fabric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207 of the power net fabric sewn to the part where the upper end of the sleeve of the sleeve lining 109a constituting the sleeve 109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bow are disposed.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bends the elbow and raises the arm to the chest height while wearing the suit top, the functional power net fabric of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rts 201, 203, 205, and 207 causes a stretching action in all directions. Due to the smooth extension of the activity area, the angle of the elbow can be bent up to 30 degrees, etc., and activity can be increase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comfortable fit to active businessmen.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practiced wit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pplied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Must see.

100 : 상의 본체 101 : 앞판
101a : 앞판 안감 103 : 등판
103a : 등판 안감 105 : 옆판
107 : 봉재라인 109 : 소매
109a : 소매 안감 201 : 제1 연결부
203 : 제2 연결부 205 : 제3 연결부
207 : 제4 연결부
100: top body 101: front plate
101a: front panel lining 103: back panel
103a: back panel lining 105: side panel
107: sewing line 109: sleeve
109a: sleeve lining 201: first connection
203: second connection part 205: third connection part
207: fourth connection part

Claims (7)

앞판(101), 등판(103), 소매(109) 및 상기 앞판(101)과 등판(103)을 연결하는 옆판(105)으로 구성되는 상의 본체(100);
상기 등판(103)을 구성하는 등판 안감(103a)의 어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상의 본체(100)의 어깨 부위에서 넓게 형성되다가 겨드랑이 부위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신체부위 중 어깨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1 연결부(201);
상기 등판 안감(103a)의 등중심 척추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등판 안감(103a)의 중앙 상단에서 하단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 등중심 척추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2 연결부(203);
상기 앞판(101)을 구성하는 앞판 안감(101a)의 앞가슴 상단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앞판 안감(101a)의 좌측에서 우측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 앞가슴 상단으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3 연결부(205); 및
상기 소매(109)를 구성하는 소매 안감(109a)의 소매 상단에서 팔꿈치 하단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봉재되도록 상기 소매 안감(109a)의 둘레에 형성되어 신체부위 위팔과 팔꿈치로부터 전달된 운동량에 비례하여 신축되는 제4 연결부(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슈트 상의.
a top body 100 composed of a front plate 101, a back plate 103, sleeves 109, and a side plate 105 connecting the front plate 101 and the back plate 103;
It is formed wide in the shoulder area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shoulder area of the back panel lining 103a constituting the back panel 103 is sewn to the connected area, and then narrows toward the armpit area, so that the transfer from the shoulder among the body parts A first connection part 201 that expands and contract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momentum;
The backboard lining 103a is stretch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motion transmitted from the back center spine to the body part by forming the same width from the top center of the back board lining 103a to the bottom so that the back board lining 103a is sewn to the area where the back center spine part is connected. 2 connection part 203;
The same width is form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lining 101a so that the front panel lining 101a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101 is sewn to the part where the upper part of the chest is connected, and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momentum transmitted from the top of the front chest to the body part. a third connecting portion 205 tha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nd
It is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leeve lining 109a so that it is sewn to the part where the lower part of the elbow is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leeve lining 109a constituting the sleeve 109, and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motion transmitted from the upper arm and elbow to the body part. A functional suit top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ourth connecting portion 207 that is stretch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01)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등판 안감(103a)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슈트 상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art 201 is a power net fabric and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ack panel lining 103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203)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등판 안감(103a)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슈트 상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3 is a power net fabric and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ack panel lining 103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205)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앞판 안감(101a)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슈트 상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connection part 205 is a power net fabric and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ront lining 101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연결부(207)는 파워넷 원단으로서, 상기 소매 안감(109a)과 겹쳐지지 않도록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슈트 상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urth connection part (207) is a power net fabric and is sew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sleeve lining (109a).
KR1020200081433A 2020-07-02 2020-07-02 Functional Suit Jacket KR102469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433A KR102469773B1 (en) 2020-07-02 2020-07-02 Functional Suit J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433A KR102469773B1 (en) 2020-07-02 2020-07-02 Functional Suit J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87A KR20220003787A (en) 2022-01-11
KR102469773B1 true KR102469773B1 (en) 2022-11-23

Family

ID=7935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433A KR102469773B1 (en) 2020-07-02 2020-07-02 Functional Suit J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77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8B1 (en) *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Suit jacket
KR101503174B1 (en) * 2013-11-21 2015-03-16 제일모직 주식회사 Suit Top Comprising Expans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09B1 (en) * 2011-06-22 2013-03-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Mountain climbing ja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8B1 (en) * 2010-02-12 2010-09-14 캠브리지코오롱 주식회사 Suit jacket
KR101503174B1 (en) * 2013-11-21 2015-03-16 제일모직 주식회사 Suit Top Comprising Expans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87A (en)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248B1 (en) Suit jacket
CN204362979U (en) Upper part of the body clothing
JP2012233285A (en) Clothes having correcting function
WO2019102870A1 (en) Upper body portion of garment
KR102469773B1 (en) Functional Suit Jacket
JP2014198912A (en) Garment for upper half body
JP2007162162A (en) Working uniform upper garment
WO2020077158A1 (en) Garment
US20210346188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JP2020535327A (en) Non-stretchable garment with knit stretchable panels
JP3145113U (en) Clothing and children's jacket
KR102390206B1 (en) Body shape correction top
JP4339738B2 (en) Sports clothing
JP2017043863A (en) Clothing
JP3234346U (en) Outerwear
KR102416532B1 (en) Suit with elasticity adapting to movement and body shape
JP4163775B2 (en) Clothes with sleeves
JP2017082347A (en) Upper garment
CN215531721U (en) Crease-resistant non-ironing suit
JP3014810U (en) Stretchable clothing
CN211747084U (en) Taekwondo uniform
JPH034647B2 (en)
JPH01124603A (en) Coat
JP3015505U (en) Ski pants
JP6700025B2 (en) J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