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95B1 - 승강 테이블 - Google Patents

승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95B1
KR101409995B1 KR1020130118185A KR20130118185A KR101409995B1 KR 101409995 B1 KR101409995 B1 KR 101409995B1 KR 1020130118185 A KR1020130118185 A KR 1020130118185A KR 20130118185 A KR20130118185 A KR 20130118185A KR 101409995 B1 KR101409995 B1 KR 10140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unit
elevating
bevel gea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3011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승강 테이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승강 테이블은: 상판과,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레그부와, 레그부내에 구비되어 레그부로부터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승강작동부에 구비되어 승강작동부의 작동을 다방향에서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작동인가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 테이블{LEFT-DOWN TABLE}
본 발명은 승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승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무를 보거나 독서시 사용하는 가구로써 위판과 다리 및 서랍으로 되어 있다. 예로부터 책상은 받침대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테이블이 있었으나 오늘날의 사무용 책상과 같은 형태로 된 것은 실제로 오래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책상에는 좌식책상과 입식책상이 있다. 좌식은 전통적인 한옥 온돌방용의 독서 필기용이다. 입식은 의자(또는 걸상)와 한 조가 되는 것으로, 보통책상(또는 평책상), 쪽소매책상, 양소매책상, 타자용 책상, 컴퓨터용 책상 등이 있다.
재료에 따른 구분으로는 목제책상, 철제책상, 목금 혼합책상 등이 있다. 책상의 치수 가운데 기능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높이이다. 아울러, 책상높이는 의자의 좌면으로부터 재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러한, 책상은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장시간 앉은 자세로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하체의 약화, 허리 디스크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이 출원한 높이조절 책상은 스핀들축과 일직선상에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스핀들축이 회전되면서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한편, 국내공개특허 제2010-0001413호(2010.01.06.)에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승강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작동부가 다양한 방향에서 작동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내에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로부터 상기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상기 승강작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을 다방향에서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작동인가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2베벨기어는 기어박스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베벨기어는 상기 기어박스의 일면에 결합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그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인가변경부는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동력인가부가 결합되는 작동변경축 및 상기 작동변경축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변경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은 승강작동부의 단순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작동부를 모듈화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승강 시 승강가이드부에 의해 정확한 작동이 가능한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작동부를 작동시키는 동력인가부가 작동인가변경부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 결속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작동부 및 작동인가변경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작동인가변경부에 의한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부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작동부 및 작동인가변경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승강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작동인가변경부에 의한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100)은 상판(110), 레그부(120), 승강부(130), 승강작동부(170) 및 작동인가변경부(190)를 포함한다.
상판(110)은 물품을 올려둘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목재, 스틸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레그부(120)는 상판(110)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판(110)의 일정 높이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레그부(120)는 바닥면에 접하는 받침부(122) 및 받침부(122)로부터 상부로 기립 형성되어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부(124)를 포함한다.
승강부(13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부(120)내에 구비되어 레그부(120)로부터 상판(110)을 승강시킨다. 승강부(130)는 상판(110)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32)과, 레그부(120)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134) 및 승강지지부(134)와 치합되고, 지지프레임(132)과 결합되며, 승강지지부(134)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작동부(170)의 작동에 의해 지지프레임(132)을 승강시키는 스크류(136)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32)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을 지지하도록 상판(110)의 저면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판(110)의 저면에 접하도록 지지플랜지(133)가 구비되며, 상판(110)과 볼트체결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32)은 단면 형상이 상부가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후술되는 동력전달바(178)가 가로지르는 공간을 확보한다.
승강지지부(134)는 스크류(136)를 감싸는 지지부(124)에 결합되어 스크류(136)와 치합되는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진다. 승강지지부(134)는 지지부(124)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스크류(136)와 치합되어 스크류(136)의 회전 시 승강지지부(134)에 지지되어 스크류(136)가 상승된다.
이때,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36)의 하단에는 지지부(124)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부재(140)가 구비된다. 제1유동방지부재(14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24)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둘레면에 접촉돌기(142)가 다수개로 형성된다. 이는 스크류(136)의 상승 시 스크류(136)가 직선으로 이동되게 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승강부(130)는 도 5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작동부(170)의 작동에 의한 상판(110)의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하는 승강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승강가이드부(150)는 지지부(124)의 둘레를 감싸고, 지지프레임(132)에 연결되는 가이드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124)와 승강가이드부(150)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승강가이드부(150)는 지지부(124)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124)와 승강가이드부(150) 사이에는 승강가이드부(150)의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재(160)가 더 구비된다. 제2유동방지부재(160)는 지지부(124)와 승강가이드부(150)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승강가이드부(15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24)의 둘레면에 결합된다. 제2유동방지부재(16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24)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마주하는 'ㄷ'자 단면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24)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크류(136)의 승강 시 승강가이드부(150)에 의해 커버되므로 지지부(124)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류(13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승강작동부(170)는 도 3 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1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3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172) 및 동력인가부(172)의 동력을 스크류(136)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75)를 포함한다. 동력인가부(172)는 동력전달부(175)와 축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3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핸들로 이루어진다. 조작핸들은 축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다.
동력전달부(175)는 동력인가부(17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176) 및 제1베벨기어(176)와 치합되어 제1베벨기어(176)의 회전을 스크류(136)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베벨기어(177)를 포함한다. 즉, 동력인가부(172)의 회전을 스크류(136)의 회전으로 변환시키고 스크류(136)는 회전되어 치합된 승강지지부(134)에 의해 승강되므로 상판(110)을 승강시킨다.
제1베벨기어(176)와 제2베벨기어(177)는 기어박스(180)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132)과 승강가이드부(150)에 고정된다. 제1,2베벨기어(176,177)는 기어박스(180)에 구비되므로 외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175)가 모듈화될 수 있다.
이때, 기어박스(180)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베벨기어(176)는 기어박스(180)의 어느 일면에 결합편(182)에 의해 결합된다. 이는 제1베벨기어(176)의 조립방향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레그부(120), 승강부(130) 및 동력전달부(175)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판(11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한다. 이때, 동력전달부(175)는 동력전달바(17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즉, 동력전달부(175)는 동력전달바(17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동력인가부(172)인 조작핸들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한 쌍의 동력전달부(175)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는 각각의 레그부(120) 내부에 마련되는 스크류(136)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동일한 스크류(136)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작동인가변경부(190)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작동부(170)에 구비되어 승강작동부(170)의 작동을 다방향에서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기어박스(18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동력인가부(172)가 결합되는 작동변경축(192) 및 작동변경축(192)에 구비되고, 작동변경축(192)의 회전에 의해 제2베벨기어(177)를 회전시키는 제3베벨기어(194)를 포함한다.
작동변경축(192)은 동력전달부(175)의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변경축(192)에는 별도의 동력인가부인 조작핸들이 장착되거나, 동력전달부(175)에 구비되는 동력인가부(172)가 분리되어 장착되므로써, 승강 테이블(100)의 설치 위치, 방향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판(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판(110)은 레그부(120)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 높이를 유지된다. 그리고, 지지부(124)의 내부에는 승강부(130)가 구비되고, 승강부(130)는 승강작동부(170)의 작동에 의해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부(130)는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2)과, 지지부(124) 내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134) 및 승강지지부(134)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스크류(136)로 이루어져 스크류(136)의 회전에 의해 지지프레임(132)을 승강시킴으로써, 상판(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작동부(170)는 조작핸들로 이루어지는 동력인가부(172)와 동력인가부(172)의 회전을 스크류(136)의 회전으로 전달하도록 제1,2베벨기어(176,177)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175)로 이루어진다.
상판(110)이 지지되는 레그부(120)는 상판(110)의 저면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레그부(120)에는 승강부(130)와 동력전달부(175)가 구비되어 상판(110)의 양측으로 지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부(175)인 제1,2베벨기어(176,177)는 기어박스(180) 내의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물질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박스(180)에 의해 동력전달부(175)가 모듈화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기어박스(180)는 정육면체로 형성되고, 제1베벨기어(176)는 결합편(182)에 의해 기어박스(180)의 일면에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동력전달부(175)의 방향성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상판(110)의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175)와 타측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175)는 동일방향으로 구비되므로, 각각의 레그부(120)에 구비되는 스크류(136)는 동일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판(110)의 승강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인가부(172)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제1베벨기어(176)가 회전되고, 제1베벨기어(176)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177)가 회전되어 스크류(136)가 회전되게 된다. 스크류(136)는 승강지지부(134)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지지부(124)로부터 승강되어 상판(110)을 승강시킨다.
이때, 스크류(136)의 하단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4)의 내면에 접하는 제1유동방지부재(140)가 구비되어 스크류(136)는 유동없이 승강될 수 있으며, 스크류(136)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유동방지부재(14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접촉돌기(142)가 구비되어 마찰력을 줄이면서 스크류(13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한 승강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판(110)의 승강은 승강가이드부(15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된다. 승강가이드부(150)는 지지부(12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판(110)의 승강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지지부(124)와 승강가이드부(150)는 대응되는 다각관으로 이루어져 상판은 유동없이 원활하게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4)의 외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제2유동방지부재(160)에 의해 지지부(124)와 승강가이드부(150)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므로 흔들림 없는 승강이 가능하여,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인가변경부(190)에 의해 승강 테이블(100)의 공간 내에서의 위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상판(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즉, 동력인가부(172)인 조작핸들을 분리하여 작동변경축(192)에 결합하므로써, 동력인가부(172)의 위치를 다양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테이블(100)이 공간내에서 벽면에 붙어 위치할 경우나 승강 테이블(100)의 주변에 다른 물품이 놓인 경우, 동력인가부(172)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테이블에 의하면, 승강작동부의 단순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승강작동부를 모듈화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상판의 승강 시 승강가이드부에 의해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고,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인가부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승강 테이블 110 : 상판
120 : 레그부 122 : 받침부
124 : 지지부 130 : 승강부
132 : 지지프레임 133 : 지지플랜지
134 : 승강지지부 136 : 스크류
140 : 제1유동방지부재 142 : 접촉돌기
150 : 승강가이드부 160 : 제2유동방지부재
170 : 승강작동부 172 : 동력인가부
175 : 동력전달부 176 : 제1베벨기어
177 : 제2베벨기어 178 : 동력전달바
180 : 기어박스 182 : 결합편
190 : 작동인가변경부 192 : 작동변경축
194 : 제3베벨기어

Claims (8)

  1.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내에 구비되어 상기 레그부로부터 상기 상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상기 승강작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을 다방향에서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작동인가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바닥면에 접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부로 기립 형성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력인가부; 및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을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에 의한 상기 상판의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하는 승강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동력전달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단면 형상이 상부가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바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인가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의 회전을 상기 스크류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2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2베벨기어는 기어박스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베벨기어는 상기 기어박스의 측면에 결합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인가변경부는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동력인가부가 결합되는 작동변경축; 및
    상기 작동변경축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변경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제3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테이블.
KR1020130118185A 2013-10-02 2013-10-02 승강 테이블 KR10140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185A KR101409995B1 (ko) 2013-10-02 2013-10-02 승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185A KR101409995B1 (ko) 2013-10-02 2013-10-02 승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995B1 true KR101409995B1 (ko) 2014-07-02

Family

ID=5174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185A KR101409995B1 (ko) 2013-10-02 2013-10-02 승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9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63B1 (ko) 2008-06-23 2009-02-23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수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60368Y1 (ko) 2008-05-29 2012-05-21 아트소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높이 조절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68Y1 (ko) 2008-05-29 2012-05-21 아트소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높이 조절식 테이블
KR100885263B1 (ko) 2008-06-23 2009-02-23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수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1797A (ko) 높이조절 책상
US5495811A (en) Height adjustable table
US20080178779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US20120248263A1 (en) Computer work desk
KR101386072B1 (ko) 승강 테이블
US10555602B1 (en) Height-adjustable table
KR20100001413A (ko)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1394645B1 (ko) 승강 테이블
KR20100111389A (ko) 책상
KR101409995B1 (ko) 승강 테이블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KR101666281B1 (ko) 승강테이블
KR101386083B1 (ko) 승강 테이블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20190089242A (ko) 높이조절책상
US20230000244A1 (en) Liftable table leg and liftable table
KR200384317Y1 (ko)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86709Y1 (ko) 높이조절과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KR101539366B1 (ko)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KR20160049606A (ko) 에르고노믹 책상
KR101434619B1 (ko)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TW202145929A (zh) 托盤升降結構及具有該結構之桌
KR200469959Y1 (ko) 높이 조절 싱크대
CN220546014U (zh) 桌凳套件
KR200389542Y1 (ko) 테이블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