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11B1 - 내연 기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11B1
KR101409911B1 KR1020080023264A KR20080023264A KR101409911B1 KR 101409911 B1 KR101409911 B1 KR 101409911B1 KR 1020080023264 A KR1020080023264 A KR 1020080023264A KR 20080023264 A KR20080023264 A KR 20080023264A KR 101409911 B1 KR101409911 B1 KR 10140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eous fuel
stream
tank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818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알트호프
슈테판 ?링
볼프강 마이
크누트 메이어
옌스 파헤
마티아스 비제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8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45Estimating, calculating or determining the purging rate, amount, flow or concen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내연 기관(1) 제어 방법이 제안되며, 상기 방법은 연료 탱크(18)와,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방출되는 기상 연료를 저장하도록 연결 파이프(26)를 경유하여 상기 연료 탱크(18)에 연결되며, 탱크 환기 기간 중에 상기 저장된 기상 연료를 흡기 영역(4)으로 유입하도록 환기 도관(27)을 경유하여 상기 내연 기관(1)의 흡기 영역에도 연결되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 및 상기 흡기 영역(4)으로 공급되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조정하는 제어 가능한 밸브(28)를 가진다. 그에 따라 상기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재생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 제어 방법 {CONTROL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갖춘 연소 기관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탱크 환기 시스템을 가진다. 그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서 생성되는 기상 연료는 활성탄 컨테이너 내측으로 흡수된다. 활성탄 컨테이너는 환기 도관을 거쳐서 내연 기관의 흡기 영역에 연결된다. 상기 환기 도관의 내부에는 탱크 환기 밸브가 있으며, 그에 의해 활성탄 컨테이너가 필요에 따라 흡기 영역으로부터 연결 또는 분리된다. 때때로 기상 연료가 적재된 활성탄 컨테이너가 재생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탱크 환기 밸브가 개방되며 흡수된 기상 연료가 활성탄 컨테이너로부터 흡기 영역 내측으로 유동되어서 내연 기관의 연소 공정에 참여하게 된다. 재생 공정 중에 활성탄 컨테이너는 일정한 정화 스트림에 의해 정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공정에서 활성탄 컨테이너는 최적으로 재생되지 않는 결과로써 흡수 성능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이용되게 된다. 그러므로 재생 공정이 매우 빈번하게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내연 기관의 작동 상태에 따라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탄 컨테이너의 재생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러한 제어 방법을 갖춘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제어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을 갖춘 내연 기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의 요지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제어 방법은 연료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기상 연료를 저장할 목적으로 환기 도관을 거쳐서 연료 탱크에 연결되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와 연료 탱크를 갖춘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기상 연료 저장 장치도 탱크 환기 기간 중에 저장된 기상 연료를 흡기 밸브의 내측으로 유입시킬 목적으로 환기 밸브를 거쳐서 내연 기관의 흡기 영역에 연결된다. 내연 기관은 또한, 흡기 영역으로 공급되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가능한 밸브를 가진다. 상기 방법에 따라 상기 밸브는 기상 연료 스트림이 탱크 환기 기간 중에 변화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있어서 연속적인 정화 스트림이 활성탄을 재생시킬 목적으로 활성탄 층을 통과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탱크 환기 밸브가 가능한 한 신속히 최대 개방도로 개방된다. 활성탄 층의 신속하고 연속적인 여과의 결과로써 여과 채널이 활성탄 내에 형성되며 이를 통해 고속의 정화 가스 스트림이 유동된다. 여과 채널의 바로 근처에서 활성탄이 신속하게 재생된다. 그러나, 충분한 재생을 제공하는 구역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활성탄 층의 다른 영 역으로부터의 기상 연료의 확산이 상당히 지체된 이후에만 발생되게 된다. 그러므로, 정화 스트림이 계속된다면, 활성탄의 최적 재생은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활성탄 층의 흡수 능력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이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여과 채널 내의 높은 공기 질량 유동률이 이들 영역에 있는 활성탄 미립자를 손상시키게 된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기상 연료 스트림과 활성탄 컨테이너를 통과하는 정화 스트림은 변화되게 된다. 이는 새로운 여과 채널을 꾸준히 형성하는 결과를 초래하는데, 이는 정화 가스로 여과될 활성탄 층의 상당히 큰 영역에서 발생되게 된다. 기상 연료 스트림과 정화 가스 스트림의 변동은 또한, 주변부로부터 여과 채널로의 흡수된 기상 연료의 확산을 초래하여, 그 결과 활성탄 층의 재생 능력을 훨씬 더 효율적이게 한다. 활성탄 층의 흡수 능력의 보다 양호한 이용은 재생 단계들 사이에 시간 간격을 상당히 크게 하며 활성탄 컨테이너의 체적을 감소시킨다.
특허청구범위 제 2항에 청구된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기상 연료 스트림이 탱크 환기 기간 중에 여러 번 감소되고 증가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3항에 청구된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기상 연료 스트림이 완전히 차단될 때까지 감소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2항 및 제 3항에 청구된 방법의 실시예는 재생 효율이 훨씬 더 증가되게 한다. 기상 연료 저장 장치를 통과하는 정화 스트림의 반복된 감소나 차단 및 계속된 증가는 여과 채널이 반복적으로 재형성되어 기상 연료 저장 장치 내의 기상 연료의 확산을 촉진하게 되는 결과로써,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커다란 영역에서 재생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4항에 청구된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밸브는 기상 연료 스트림이 탱크 환기 기간의 초기에 예정된 목표 스트림으로 증가되며 목표 스트림에 도달할 때까지 기상 연료 스트림이 변화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예정된 목표 스트림으로 기상 연료 스트림의 초기 증가는 예를 들어,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적재 정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지 그 후에만 기상 연료 스트림이 변화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5항에 청구된 방법의 실시예에서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적재 정도가 결정되며 기상 연료 스트림이 감소되는 기간은 적재 정도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6항에 청구된 실시예에 따라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적재 정도가 결정되며 기상 연료 스트림이 감소되는 기간은 최대 기상 연료 스트림의 양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상기 방법의 실시예들은 기상 연료 스트림이 감소되는 기간을 설정하는데 있어서의 적용성을 증가시켜서 환경 변경에 대한 개별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상 연료 저장 장치 내의 기상 연료의 보다 낮은 확산 속도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재 정도가 적을 때의 기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기상 연료의 최대 스트림의 양이 매우 클 때 상기 기간은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그러한 경우에 확산 속도가 보다 크기 때문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7항에 청구된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와 흡기 영역 사이의 환기 도관 내에 배열되는 탱크 환기 밸브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8항에 청구된 내연 기관은 연료 탱크, 및 연료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기상 연료를 저장할 목적으로 환기 도관을 거쳐서 연료 탱크에 연결되며 또한 탱크의 환기 기간 중에 저장된 기상 연료를 흡기 영역으로 공급할 목적으로 환기 도관을 거쳐서 내연 기관의 흡기 영역에도 연결되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를 가진다. 내연 기관은 또한, 흡기 영역으로 공급되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조정할 수 있는 제어가능한 밸브도 가진다.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서 기상 연료 스트림이 탱크 환기 기간 중에 변화되는 방식으로 제어한다.
전술한 내연 기관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청구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설정된 장점은 특허청구범위 제 8항에 청구된 내연 기관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후,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내연 기관(1)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내연 기관(1)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2) 내부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3)을 가진다. 연소에 필요한 신선한 공기가 흡기 영역(4)을 통해 실린더(2)와 피스톤(3)에 의해 구획되는 연소실(5)로 유입된다. 흡기 영역(4) 내의 공기 질량 유동률을 기록하기 위해 공기 질량(air mass) 센서(7), 공기 질량 유동률을 제어하는 드로틀 밸브(8), 흡입 파이프(9) 및 필요에 따라 연소실(5)을 흡기 영역(4)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흡기 밸브(10)가 흡기 영역(4) 내의 흡입구(6)의 하류에 위치된다.
연소는 스파크 플러그(11)에 의해 시작된다.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은 구동축(12)을 경유하여 차량의 구동 트레인(도시 않음)으로 전달된다. 회전 센서(13)는 내연 기관(1)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수를 기록한다.
연소 배기 가스는 내연 기관(1)의 배기 가스 영역(14)을 거쳐서 정화된다. 연소실(5)은 필요에 따라 배기 밸브(15)를 경유하여 배기 가스 영역(14)에 연결되거나 배기 가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촉매 변환기(16) 내에서 정화된다. 또한, 배기 가스의 산소 함량을 측정하는 소위 람다 센서(17)가 배기 가스 영역(14) 내에 위치된다.
내연 기관(1)은 또한, 연료 탱크(18), 연료 펌프(19), 고압 펌프(20), 축압기(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분사 밸브(22)를 포함한다. 연료 탱크(18)는 로킹 가능한 충진 노즐(23)을 가지며, 충진 노즐을 통해 연료가 충진된다. 연료는 연료 펌프(19)에 의해 연료 공급 라인(24)을 거쳐서 분사 밸브로 공급된다. 고압 펌프(20) 및 축압기(21)가 연료 공급 라인(24) 내에 배열된다. 고압 펌프(20)는 고압 하에서 연료를 축압기(21)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축압기(21)는 모든 분사 밸브(22)를 위한 공통의 축압기(21)로서 구성된다. 모든 분사 밸브(22)에는 축압기를 거쳐서 가압 연료가 공급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연 기관(1)은 연소실(5)로 돌출된 분사 밸브(22)에 의해서 연소실 내부로 연료가 직접 분사되는 직접 연료 분사 방식의 내연 기관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연료 분사 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흡입 다기관 분사 방식과 같은 다른 종류의 연료 분사 방식도 적용될 수 있음이 지적되어야 한다.
내연 기관(1)도 탱크 환기 장치를 가진다. 탱크 환기 장치는 예로서 활성탄 컨테이너로서 구성되며 연결 파이프(26)를 거쳐서 연료 탱크(18)에 연결되는 기상연료 저장 장치(25)를 가진다. 연료 탱크(18) 내에서 생성되는 기상 연료는 활성탄에 의해 기상 연료가 흡수되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내부로 공급된다.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는 환기 도관(27)을 거쳐서 내연 기관(1)의 흡입 파이프(9)에 연결된다. 기상 연료 스트림을 조절하는 제어가능한 탱크 환기 밸브(28)가 환기 도관(27)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신선한 공기가 환기 도관(29)과 그 내부에 배열되는 제어가능한 환기 밸브(30)를 거쳐서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부분 부하 하에서 공회전이나 작동할 때, 내연 기관(1)의 임의의 작동 구역에서, 흡입 파이프(9) 내의 압력은 드로틀 밸브(8)에 의한 강한 조임 효과(throttling effect)의 결과로서 주위 구역에서 보다 훨씬 더 낮게 된다. 그러므로, 탱크 환기 밸브 및 환기 밸브(30)가 탱크의 환기 주기 중에 개방되면,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 내에 저장된 기상 연료가 흡입 파이프(9)의 내부로 공급되어 연소에 참여하는 동안에 정화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기상 연료에는 연소 가스와 배기 가스의 조성 변경이 초래된다.
내연 기관(1)에는 엔진 특성-기반 엔진 제어 기능(KF1 내지 KF5)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장치(31)가 제공된다. 제어 장치(31)는 신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거쳐서 내연 기관의 모든 액츄에이터와 센서에 연결된다. 특히, 제어 장치(31)는 제어가능한 환기 밸브(30), 제어가능한 탱크 환기 밸브(28), 공기 질량 센서(7), 제어가능한 드로틀 밸브(8), 분사 밸브(22), 스파크 플러그(11), 람다 센서(17) 및 회전 센서(13)에 연결된다.
내연 기관(1)과 제어 장치(31)의 구성 요소들이 람다 조절 장치를 형성한다. 람다 조절 장치는 특히, 람다 센서(17) 및 상기 제어 장치(31) 내의 소프트웨어-수행 람다 조절기(33)뿐만 아니라, 분사 밸브(22) 및 상기 분사 밸브(22)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람다 조절 장치는 폐쇄형 람다 제어 회로를 형성하며 예정된 람다 목표값으로부터 람다 센서(17)에 의해 기록되는 배가 가스 조성의 편차가 분사량 조정에 의해 보정되도록 설계된다. 탱크 환기 밸브(28)가 탱크 환기 주기 중에 개방되면 압력이 강하되어 기상 연료가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로부터 내연 기관(1)의 흡입 파이프(9) 및/또는 흡기 영역의 내측으로 유동되게 한다. 흡기 내에서 농도가 초기에 공지되어 있지 않은 기상 연료가 연소성 혼합물의 부화(enrichment), 즉 연소 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과도화를 초래하고 연소 후에 배기 가스의 대응하는 조성 변화를 초래한다. 그 결과, 람다 센서(17)에 의해 측정된 람다값은 예를 들어 람다 = 1의 목표값 이하로 떨어진다. 이러한 제어 편차는 람다 조정기(33)에 의해 기록되어 조정기의 시작 편차의 대응 변화에 의해 보정된다. 이는 분사 밸브(22)에 대하 대응 보정 편차를 지정하여, 오기능의 보정을 필요로 하는 한 분사될 연료량의 변경을 초래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분사량 보정으로서 이후에 인용된다.
탱크 환기 기간 중에, 특히 탱크 환기 기간의 시작시에 해로운 물질의 양의 감소시키기 위해, 탱크의 환기 결과로서 연소실(5)로 공급될 연료의 추가량을 정밀하게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가 기상 연료로 적재되는 정도가 결정되어야 한다. 적재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탱크 환기 밸브(28)는 소량이지만 예정된 유동이 설정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는 예를 들어, 펄스-폭 조정 제어 신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 혼합물의 변경은 람다 센서(17) 및/또는 람다 조절기(33)에 의해 기록되는 배기 가스 조성의 변경을 초래한다. 탱크 환기 밸브(28)의 개방은 탱크 환기 밸브(28)의 개방 이전의 시점과 비교하여 람다 조절기(33) 및/또는 람다 센서(17)의 시작 값의 변화를 초래한다. 탱크 환기 밸브(28)의 개방 이후의 람다 조정기(33) 및/또는 람다 센서(17)의 시작 값과, 탱크 환기 밸브(28)의 개방 이전의 람다 조정기(3) 또는 교번적인 람다 센서(17)의 시작 값 사이의 차이 값이 물리적 모델에 의해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적재 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내연 기관(1)용 제어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에서, 탱크 환기 밸브(28)의 유동 대 시간의 관련성이 예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정적 작동 상태와 흡입 파이프 내의 충분한 진공과 같은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재생 실행을 위한 조건들이 존재한다면, 탱크 환기 밸브(28)가 시점(t0)에서 개방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적재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탱크 환기 밸브(28)의 개방 정도는 목표 값이 시점(t1)에서의 기상 연료 스트림에 대해 도달될 때까지 시점(t0)으로부터 천천히 증가된다. 그러나, 적재 정도가 방금 전에 형성된 측정 값으로부터 이미 공지되었다면, 탱크 환기 밸브(28)도 목표 값에 도달될 때까지 매 우 빠르게 또는 급작스럽게 개방될 수 있다.
목표 값에 도달된 후에 탱크 환기 밸브(28)는 기상 연료 스트림이 계속해서 여러번 감소되고 목표 값으로 다시 증가되게 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는 탱크 환기 밸브(28)의 제어된 개방과 폐쇄에 의해 수행된다. 탱크 환기 밸브(28)에서 기상 연료 스트림이 단지 어떤 양만큼 감소되거나 완전히 정지될 수 있다. 도 2에서, 두 개의 양자 택일적인 방법이 점선과 직선으로 나타나 있다.
탱크 환기 밸브에서의 유동이 감소되거나 차단되는 기간인 시간 주기(△t)는 탱크 환기 밸브(28)에서의 최대 유동량 또는 계산된 적재 정도의 함수로서 제어 장치(3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재 정도 또는 최대 유동이 매우 적을 경우에는 시간 주기(△t)가 증가된다. 이는 기상 연료의 보다 더 낮은 확산 속도가 더 양호하게 허용될 수 있게 한다. 탱크 환기 밸브(28)의 반복된 개방과 폐쇄 이후에, 탱크 환기 밸브(28)는 시점(t2)에 도달할 때까지 완전히 폐쇄된다. 그러므로 탱크 환기 주기는 시점(t0, t2)에서 결정된다.
탱크 환기 밸브(28)에서의 기상 연료 스트림의 변화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활성탄 층에서 새로운 여과 채널의 일정한 형성을 초래한다. 활성탄의 보다 양호한 혼합은 덜 여과된 영역으로부터 여과 채널로 기상 연료의 확산을 촉진시켜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재생을 초래한다. 개선된 재생의 결과로서,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흡수 능력이 순차적으로 더욱 양호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의 전체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내연 기관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탱크 환기 밸브에서의 유동 대 시간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Claims (8)

  1. 연료 탱크(18)와,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방출되는 기상 연료를 저장할 목적으로 연결 파이프(26)를 경유하여 상기 연료 탱크(18)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탱크 환기 기간 중에 상기 저장된 기상 연료를 흡기 영역(4)으로 유입할 목적으로 환기 도관(27)을 경유하여 내연 기관(1)의 흡기 영역(4)에도 연결되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 및
    상기 흡기 영역(4)으로 공급되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조정하는 제어 가능한 밸브(28)를 갖춘, 내연 기관(1)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28)를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이 상기 탱크 환기 기간 중에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로서,
    예정된 목표 스트림으로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초기 증가를 시작하도록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28)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초기 증가를 기초로, 상기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적재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적재 정도를 기초로, 스트림 감소 시간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초기 증가가 상기 예정된 목표 스트림에 도달된 이후에, 일련의 복수의 연속적인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들 및 증가들이 수행되도록 -각각의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상기 예정된 목표 스트림보다 작도록 감소시키는 것이고 각각의 기상 연료 스트림의 증가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상기 예정된 목표 스트림까지 증가시키는 것임-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일련의 복수의 연속적인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들 및 증가들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를 완전히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들 중 하나 이상은 계산된 스트림 감소 시간 구간과 동일한 기간 동안 수행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28)는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이 상기 탱크 환기 기간의 초기에 예정된 목표 스트림으로 증가되고 상기 목표 스트림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이 변화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내연 기관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28)는 상기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와 상기 흡기 영역(4) 사이의 상기 환기 도관(27) 내에 배열되는 탱크 환기 밸브인,
    내연 기관 제어 방법.
  8. 내연 기관(1)으로서,
    연료 탱크(18)와,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방출되는 기상 연료를 저장할 목적으로 연결 파이프(26)를 경유하여 상기 연료 탱크(18)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탱크 환기 기간 중에 상기 저장된 기상 연료를 흡기 영역(4)으로 유입할 목적으로 환기 도관(27)을 경유하여 상기 내연 기관(1)의 흡기 영역(4)에도 연결되는 기상 연료 저장 장치(25)와,
    상기 흡기 영역(4)으로 공급되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조정하는 제어 가능한 밸브(28), 및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이 상기 탱크 환기 기간 중에 변화되도록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28)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28)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1)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예정된 목표 스트림으로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초기 증가를 시작하도록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28)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초기 증가를 기초로, 상기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적재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기상 연료 저장 장치의 적재 정도를 기초로, 스트림 감소 시간 구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초기 증가가 상기 예정된 목표 스트림에 도달된 이후에, 일련의 복수의 연속적인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들 및 증가들이 수행되도록 -각각의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상기 예정된 목표 스트림보다 작도록 감소시키는 것이고 각각의 기상 연료 스트림의 증가는 기상 연료 스트림을 상기 예정된 목표 스트림까지 증가시키는 것임-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일련의 복수의 연속적인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들 및 증가들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를 완전히 폐쇄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제어 가능한 밸브를 제어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기상 연료 스트림의 감소들 중 하나 이상은 계산된 스트림 감소 시간 구간과 동일한 기간 동안 수행되는,
    내연 기관(1).
KR1020080023264A 2007-03-23 2008-03-13 내연 기관 제어 방법 KR101409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3993A DE102007013993B4 (de) 2007-03-23 2007-03-23 Steuerverfahren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07013993.6 2007-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818A KR20080086818A (ko) 2008-09-26
KR101409911B1 true KR101409911B1 (ko) 2014-06-19

Family

ID=3971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264A KR101409911B1 (ko) 2007-03-23 2008-03-13 내연 기관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18213B2 (ko)
KR (1) KR101409911B1 (ko)
DE (1) DE10200701399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0175B2 (en) * 2008-11-28 2014-07-08 Honda Motor Co., Ltd. Evaporation fuel processing system and purging method therefor
DE102010054668A1 (de) 2010-12-15 2012-06-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rennkraftmaschine mit verbesserter Tankreinigung
US9488137B2 (en) 2011-03-22 2016-11-0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el vapor flow in an engine-driven generator
US9109549B2 (en) 2011-03-22 2015-08-1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el vapor flow in an engine-driven generator
US9234472B2 (en) 2012-08-08 2016-01-12 Caterpillar Inc. Dual fuel engine and evaporated natural gas system
US10006385B1 (en) * 2015-08-10 2018-06-26 Gilberto Mesa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gas diversion system
US10012119B1 (en) * 2015-08-10 2018-07-03 Gilberto Mesa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gas diversion and reclamation system
DE102018112487A1 (de) 2018-05-24 2019-11-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Antriebssystem und Kraftfahrzeug
DE102018133323B4 (de) 2018-12-21 2023-06-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uteilstreuungsadaptive Tankentlüftung zur Anhebung der Tankentlüftungsspülmenge eines Kraftstoffsystems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111A (ja) * 1993-09-03 1995-03-20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US5572981A (en) * 1994-08-04 1996-11-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onitoring the functional capability of a tank ven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H1068359A (ja) * 1985-01-26 1998-03-10 Robert Bosch Gmbh 内燃機関の燃料タンク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682A (ja) * 1994-09-01 1996-03-19 Toyota Motor Corp 蒸発燃料処理装置
US5988150A (en) * 1996-12-05 1999-11-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vaporated fuel treatment device of engine
US6564782B2 (en) * 2001-02-21 2003-05-20 Denso Corporation Device for detecting canister deterioration
DE10126520C2 (de) * 2001-05-30 2003-07-0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quantitativen Ermittlung einer Brennstoffausgasung in einer Brennstofftankanlage
JP4134953B2 (ja) * 2004-06-24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4185114B2 (ja) * 2006-06-05 2008-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7775195B2 (en) * 2007-05-03 2010-08-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fuel vapor canister purg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359A (ja) * 1985-01-26 1998-03-10 Robert Bosch Gmbh 内燃機関の燃料タンク排気装置
JPH0777111A (ja) * 1993-09-03 1995-03-20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US5572981A (en) * 1994-08-04 1996-11-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onitoring the functional capability of a tank ven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13993A1 (de) 2008-09-25
KR20080086818A (ko) 2008-09-26
DE102007013993B4 (de) 2011-12-22
US7918213B2 (en) 2011-04-05
US20080236551A1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911B1 (ko) 내연 기관 제어 방법
KR102107300B1 (ko) 내연기관의 탱크 통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제어 디바이스
US97776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vapor canister purging
KR100999609B1 (ko) 캐니스터의 초기 탄화수소 농도 측정방법, 이를 이용한 연료 분사량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9581096B2 (en) Control method for adjusting the hydrocarbon concentration in an active carbon filter of a motor vehicle
US10851723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101524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US69909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porized fuel processing
US8394172B2 (en) Method for rapidly emptying the activated carbon filter while using an HC sensor (concentration change)
JP6123815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6349707B1 (en) Method for regenerating an activated carbon filter loaded with hydrocarbons
US769036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jection correction when checking the tightness of a tank ventilation system
US6374812B1 (en) Method of regenerating an activated-carbon canister
US8082905B2 (en) Tank ven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07084077A (zh) 蒸发燃料处理装置
US7069916B2 (en) Evaporative fuel treatmen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9611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egeneration valve of a fuel vapor retention system
JP2017180377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78235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90345899A1 (en) Vaporized-fuel treating apparatus
JP4403889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4421610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と窒素酸化物トラップを有する推進装置の制御方法及び推進装置
JP2007218123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KR20230048128A (ko) 내연기관의 탱크 환기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제어 장치
JP6123816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