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82B1 - 링거액 유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링거액 유량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482B1
KR101409482B1 KR1020120065677A KR20120065677A KR101409482B1 KR 101409482 B1 KR101409482 B1 KR 101409482B1 KR 1020120065677 A KR1020120065677 A KR 1020120065677A KR 20120065677 A KR20120065677 A KR 20120065677A KR 101409482 B1 KR101409482 B1 KR 10140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flow rate
partition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448A (ko
Inventor
이대훈
김관태
이재옥
송영훈
허민
강우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482B1/ko
Priority to PCT/KR2013/003405 priority patent/WO2013191365A1/ko
Publication of KR2013014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을 선형적으로 제어하고, 유량의 구간에 따라 정밀도를 제어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상부를 왕복하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통로의 크기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링거액 유량 조절기 {REGULATOR OF AMOUNT OF FLOWING RINGER'S SOLUTION}
본 발명은 링거액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량을 선형적으로 제어하고 구간에 따라 정밀도를 제어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링거액을 공급하는 튜브에 설치되어, 휠의 조작으로 튜브의 압박 정도를 조절하여 링거액의 공급 유량을 조절한다. 이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유량 및 조절의 정도에 대한 지시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링거액 방울이 떨어지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휠을 조작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한다.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유량 조절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는 일례로써,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휠을 돌려서 링거액의 유입 측과 유출 측의 연결 부분의 유로를 제어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즉 휠이 회전하면, 유량이 주입되는 주입구의 위치가 원주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주입구와 만나도록 바닥부재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가 달라지면서 유로의 크기가 변화되어 유량이 조절된다.
홈이 바닥부재에 원주를 따라 형성되므로 휠의 회전시, 형성되는 유로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증감될 수 없고, 홈이 미세 폭으로 형성되므로 제작상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즉 휠을 조절하는 정도에 따라 비례하는 유량의 선형적 제어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유량 조절의 정밀도가 낮다.
미국 특허공보 US5005604(1991.04.09.)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을 선형적으로 제어하고, 유량의 구간에 따라 정밀도를 제어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상부를 왕복하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통로의 크기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격벽과 마주하는 부분으로 상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격벽과 마주하는 측면에 조절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홈은, 상기 유입구, 상기 격벽 및 상기 유출구의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변 깊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홈은, 상기 유입구, 상기 격벽 및 상기 유출구의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과 이격되는 가변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조절부재의 왕복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왕복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크,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결합되는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휠을 노출시키고, 상기 조절부재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휠의 주위에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 눈금을 형성하고, 상기 휠은, 상기 유량 표시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경사도의 직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1 경사도부와, 상기 제1 경사도부에 이어서 상기 제1 경사도보다 큰 제2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2 경사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1 경사도부와, 상기 제1 경사도부에 이어서 상기 제1 경사도보다 작은 제2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2 경사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링거액 유입 튜브가 결합되는 유입 통로, 및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링거액 유출 튜브가 결합되는 유출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격벽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조절부재를 왕복 제어함으로써,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통로의 크기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통로를 경유하는 유량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부에 형성되는 조절홈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설정함에 따라 유량의 구간에 따른 정밀도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디에서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조절부재로 유량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에서 조절부재로 유량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에서 조절부재로 유량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디(10)에서 커버(30)를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바디(10)와 바디(10)에 결합되는 조절부재(20)를 포함한다. 바디(10)와 조절부재(20)의 결합 구조에 따라서,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는 유체, 예를 들면, 링거액을 유입하는 유입구(11)와 유입된 링거액을 유출하는 유출구(12)를 형성하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격벽(13)으로 구획된다.
또한, 바디(10)는 유입 통로(14)와 유출 통로(15)를 더 형성한다. 유입 통로(14)는 유입구(11)에 연결되며, 유입 통로(14)에 링거액 유입 튜브(미도시)가 결합된다. 유출 통로(15)는 유출구(12)에 연결되며, 유출 통로(15)에 링거액 유출 튜브(미도시)가 결합된다.
조절부재(20)는 바디(10)에 결합되어,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유입구(11)와 유출구(12)의 상부를 왕복하면서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연결하는 통로(P)의 크기를 선형적으로 증감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조절부재(20)는 격벽(13)과 이에 마주하는 부분 사이에 제어되는 통로(P)를 형성하도록 격벽(13)과 마주하는 측면에 조절홈(21)을 형성한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는 격벽(13)에 대응하는 높이로 조절부재(20)의 왕복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16)를 형성한다. 그리고 조절부재(20)는 가이드(16)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16)에 결합되어 왕복 작동한다.
이를 위하여, 링거액 유량 조절기는 피니언 기어(41), 랙크(42) 및 휠(43)을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41)는 조절부재(20)의 일측에서 바디(10)에 결합되어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랙크(42)는 조절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41)에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41)의 회전에 따라 조절부재(20)는 가이드(16)의 안내를 받으며 왕복 작동할 수 있다.
휠(43)은 피니언 기어(41)의 축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44)에 결합되어, 후크(44)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을 피니언 기어(41)로 전달하여, 피니언 기어(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휠(43)의 회전 조작으로 피니언 기어(41)가 회전 작동되고, 피니언 기어(41)의 회전 작동에 따라 랙크(42)로 연결되는 조절부재(20)가 격벽(13)의 상부에서 왕복 작동된다.
조절부재(20)와 바디(10)의 결합에 따라 커버(30)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커버(30)는 바디(10)에 결합되어, 휠(43)을 노출시키면서 조절부재(20) 및 피니언 기어(41)를 덮어서 내장한다.
즉 피니언 기어(41)에 구비되는 후크(44)는 커버(30)에 형성되는 관통구(31)를 통하여 커버(30)의 외부로 돌출되고, 휠(43)은 외부에서 노출된 후크(44)에 결합된다.
이때, 조절부재(20)와 커버(30)는 조절홈(21)의 반대측과 서로 결합되는 요철 구조(E)를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요철 구조(E)는 커버(30)의 내면에 형성되는 홈과, 이에 마주하는 조절부재(20)에 형성되는 돌기(22)를 포함하며, 조절부재(20)의 왕복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요철 구조(E)는 가이드(16)에 의하여 안내되는 조절부재(20)의 왕복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22)는 왕복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조절부재(20)의 왕복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돌기는 왕복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커버(30)는 휠(43)의 주위에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 눈금(32)을 형성하고, 휠(43)은 유량 표시 눈금(32)을 지시하는 지시부(33)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휠(43)을 조작함에 따라 지시부(33)가 유량 표시 눈금(32)을 가리키는 것으로 조절된 상태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조절부재(20)로 유량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절홈(21)은 유입구(11), 격벽(13) 및 유출구(13)의 직선 배치 방향(도 3, 및 도 5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변 깊이(D)를 형성한다.
즉 유입구(11), 격벽(13) 및 유출구(13)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조절부재(20)의 조절홈(21)이 일측(좌측)에서 최대 깊이를 형성하고 반대측(우측)에서 최소 깊이를 형성한다.
또한, 조절홈(21)은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설정된 경사도를 가지고 직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조절홈(21)은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격벽(13)과 이격되는 가변 거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격벽(13)과 조절홈(21) 사이에 설정되는 통로(P)의 크기는 조절홈(21)의 위치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즉 격벽(13)에 대응하는 조절부재(20)의 위치에 따라 유입구(11)에서 유출구(12)로 조절 공급되는 유량이 선형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즉 유량의 제어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및 기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에서 조절부재(60)로 유량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절부재(60)의 조절홈(61)은 직선 배치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경사도의 직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어진다.
예를 들면, 조절홈(61)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경사도부(611)와 제2 경사도부(612)를 포함한다. 제1 경사도부(61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θ1)로 형성되고, 제2 경사도부(61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부(611)에 이어서 제1 경사도(θ1)보다 큰 제2 경사도(θ2)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조절부재(60)는 조절 초기 구간에서는 제1 경사도부(611)로 통로(P)를 설정하므로 제1 경사도부(611)에 의하여 선형적으로 유량을 조절하고, 조절 후기 구간에서는 제2 경사도부(612)로 통로(P)를 설정하므로 제2 경사도부(612)에 의하여 선형적으로 유량을 조절한다.
제1 경사도부(611)는 소유량 범위에서 유량의 작은 증감으로 통로(P)를 조절하고, 제2 경사도부(612)는 대유량 범위에서 유량의 큰 증감으로 통로(P)를 조절한다. 즉 제2 실시예는 유량의 구간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유량의 구간에서 유량을 더욱 제어할 수 있다. 즉 유량 구간별로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유량 조절기에서 조절부재(70)로 유량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절부재(70)의 조절홈(71)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경사도부(711)와 제2 경사도부(712)를 포함한다. 제1 경사도부(71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θ3)로 형성되고, 제2 경사도부(71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부(611)에 이어서 제1 경사도(θ3)보다 작은 제2 경사도(θ4)로 형성된다.
제3 실시예의 조절부재(70)는 조절 초기 구간에서는 제1 경사도부(711)로 통로(P)를 설정하므로 제1 경사도부(711)에 의하여 선형적으로 유량을 조절하고, 조절 후기 구간에서는 제2 경사도부(712)로 통로(P)를 설정하므로 제2 경사도부(712)에 의하여 선형적으로 유량을 조절한다.
제1 경사도부(711)는 소유량 범위에서 유량의 큰 증감으로 통로(P)를 조절하고, 제2 경사도부(712)는 대유량 범위에서 유량의 작은 증감으로 통로(P)를 조절한다.
제2 실시예는 조절 초기 구간에서 유량의 증감을 작게 하고, 조절 후기 구간에서 유량의 증감을 크게 하는데 비하여, 제3 실시예는 조절 초기 구간에서 유량의 증감을 크게 하고, 조절 후기 구간에서 유량의 증감을 작게 한다. 따라서 제2, 제3 실시예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바디 11 : 유입구
12 : 유출구 13 : 격벽
14 : 유입 통로 15 : 유출 통로
16 : 가이드 20, 60, 70 : 조절부재
21, 61, 71 : 조절홈 22 : 돌기
30 : 커버 31 : 관통구
32 : 유량 표시 눈금 33 : 지시부
41 : 피니언 기어 42 : 랙크
43 : 휠 44 : 후크
611, 711 : 제1 경사도부 612, 712 : 제2 경사도부
D : 가변 깊이 E : 요철 구조
P : 통로 θ1, θ3 : 제1 경사도
θ2, θ4 : 제2 경사도

Claims (13)

  1.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상부를 왕복하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통로의 크기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조절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크
    를 포함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격벽과 마주하는 부분으로 상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격벽과 마주하는 측면에 조절홈을 형성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유입구, 상기 격벽 및 상기 유출구의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변 깊이를 형성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유입구, 상기 격벽 및 상기 유출구의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과 이격되는 가변 거리를 형성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조절부재의 왕복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왕복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에 결합되는 휠
    을 더 포함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휠을 노출시키고, 상기 조절부재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휠의 주위에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 표시 눈금을 형성하고,
    상기 휠은,
    상기 유량 표시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형성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경사도의 직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어지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1 경사도부와,
    상기 제1 경사도부에 이어서 상기 제1 경사도보다 큰 제2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2 경사도부
    를 포함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직선 배치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1 경사사도부와,
    상기 제1 경사도부에 이어서 상기 제1 경사도보다 작은 제2 경사도로 형성되는 제2 경사도부
    를 포함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링거액 유입 튜브가 결합되는 유입 통로, 및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링거액 유출 튜브가 결합되는 유출 통로
    를 포함하는 링거액 유량 조절기.
KR1020120065677A 2012-06-19 2012-06-19 링거액 유량 조절기 KR10140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77A KR101409482B1 (ko) 2012-06-19 2012-06-19 링거액 유량 조절기
PCT/KR2013/003405 WO2013191365A1 (ko) 2012-06-19 2013-04-22 링거액 유량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77A KR101409482B1 (ko) 2012-06-19 2012-06-19 링거액 유량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48A KR20130142448A (ko) 2013-12-30
KR101409482B1 true KR101409482B1 (ko) 2014-06-18

Family

ID=4976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677A KR101409482B1 (ko) 2012-06-19 2012-06-19 링거액 유량 조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9482B1 (ko)
WO (1) WO2013191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40A (ko) * 2019-06-18 2020-12-29 김상기 약액 유량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369B1 (ko) * 2018-06-22 2019-12-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KR102253571B1 (ko) * 2019-05-17 2021-05-18 주식회사 노바메디 압력조절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9712A2 (en) * 1988-11-15 1990-05-23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control
US5005604A (en) * 1984-07-13 1991-04-09 Aslanian Jerry L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495Y1 (ko) * 2001-05-07 2001-10-12 이상빈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JP4798987B2 (ja) * 2004-11-25 2011-10-1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量調節弁
WO2010068038A2 (ko) * 2008-12-09 2010-06-17 Kim Hwa Joong 링거액 주입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604A (en) * 1984-07-13 1991-04-09 Aslanian Jerry L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EP0369712A2 (en) * 1988-11-15 1990-05-23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40A (ko) * 2019-06-18 2020-12-29 김상기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2307988B1 (ko) * 2019-06-18 2021-10-05 김상기 약액 유량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1365A1 (ko) 2013-12-27
KR20130142448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314B2 (en) Infusion flow regulator
KR101409482B1 (ko) 링거액 유량 조절기
US8375974B2 (e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EP2893801A1 (en) Drip-irrigating dripper and drip irrigation device provided with same
CN101539782B (zh) 流量控制装置
US9643196B2 (en) Rotary sprinkler and watering method
US11077615B2 (en) Three-dimensional modeling apparatus and ejection unit
EP3020431B1 (en) Regulator for drug infusion and drug infusion device including same
CA2472724A1 (en) Pressure compensating iv flow control regulator
AU2011279849A1 (en) Multi-nozzle rotary sprinkler
JP3124924U (ja) ドリップチャンバ
CN105443853A (zh) 流量调节装置和具有它的燃气热水器
KR101650939B1 (ko) 수액 유량조절기
CA2748755C (en) Mixer nozzle assembly
CN112292212A (zh) 用于喷淋头的暂停组件
WO2010085063A3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JP5663416B2 (ja) 液体混合装置
CN210753280U (zh) 一种射流阀芯
CN209702403U (zh) 加药装置及水处理设备
JP2014163747A (ja) 流量検出装置、流体供給装置
US10953416B2 (en) Liquid saving device
KR101812868B1 (ko) 압력차를 이용한 유체 혼합장치
CN102198038A (zh) 雾发生装置、以及美容装置
RU2016141564A (ru) Дозирующее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KR101638139B1 (ko) 실린더 튜브형 수액주입용 선형유량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