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326B1 -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326B1
KR101409326B1 KR1020130010566A KR20130010566A KR101409326B1 KR 101409326 B1 KR101409326 B1 KR 101409326B1 KR 1020130010566 A KR1020130010566 A KR 1020130010566A KR 20130010566 A KR20130010566 A KR 20130010566A KR 101409326 B1 KR101409326 B1 KR 10140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zt
nanowire
zno
coated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임준
신백균
정대용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22Methods relating to manufacturing, e.g. assembling,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8Shaping or machin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bodies
    • H10N30/081Shaping or machin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bodies by coating or depositing using masks, e.g. lift-of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H10N30/7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nderlying bases, e.g.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832Nanostructure having specified property, e.g. lattice-consta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Y10S977/837Piezoelectric property of nano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는 ZnO 나노와이어 표면 전체에 압전 계수가 높은 PZT가 고르게 코팅되어, 압전 전환 효율이 현저히 향상하므로, 나노발전기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Nanogenerator having nanowires coated with PZT as piezoelectric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각종 휴대형 전자기기가 보급됨에 따라 배터리 및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즉, 휴대기기의 사용자는, 충전된 상태의 기기나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다가 배터리가 방전되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 등의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기기 및 배터리를 충전한 후에 다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대하여, 최근에는, 기존의 충전방식을 대신하여,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 없이 자가발전의 형태로 충전하는 이른바 사용자 발전(UCP : User Created Power)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이러한 사용자발전(UCP)의 예로서, 예를 들면, MIT 졸업생들이 개발한 자가발전형 '요요 발전기'가 있다.
즉, 상기한 요요 발전기는, 줄을 당기면 내장된 발전기가 돌아가면서 15∼20W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소형의 자가발전형 충전장치를 휴대하면 언제 어디서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발전(UCP)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헬스기구에 발전기를 연결하여 운동을 하면 전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자가발전형 헬스 바이크도 출시된 바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바이크 페달을 밟으면 발전기를 통해 20인치 TV를 켜는 데 충분한 100∼200W의 전력이 생산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헬스기구를 이용하면,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 최소 30분에서 한 시간은 쉬지 않고 페달을 돌려야 하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TV를 보기 위해 계속 움직이는 운동효과도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다른 헬스장비에도 적용하면 회원들의 운동량을 이용하여 전력 수요를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요요 발전기나 자가발전형 헬스 바이크는, 일정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같은 동작을 오랜 시간 지속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발전은, 점점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도 앞으로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한 분야이며,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예를 들면, 걷기, 근육 스트레칭, 팔 돌리기, 심장 박동 등과 같은 인체의 불규칙한 다양한 움직임을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미국 조지아 공대의 왕종린 교수 등에 의해, 햄스터의 움직임을 전류로 바꾸는 나노발전기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불규칙한 생체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바꾼 세계 최초의 사례로서, 즉, 이론적으로는 모든 생물의 근육 수축과 이완을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시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불규칙한 운동특성 때문에 실용화에는 성공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규칙적이고 아주 미세한 동물이나 인간의 근육힘을 전기로 바꿀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나노발전기는 압전효과를 이용한 나노발전기로서, 여기서, 압전효과란, 크리스탈이나 세라믹 같은 압전체에 물리적 힘을 가하면 그 힘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효과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압전효과를 이용하면 근육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불규칙한 움직임을 전기 에너지로 만들 수 있다.
즉,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나노 발전기는, 얇고 잘 휘어지는 폴리머 기판에 산화아연(ZnO) 소재의 나노 와이어를 붙인 구조로서, 햄스터가 움직일 때마다 와이어가 구부러지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근육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불규칙한 움직임을 발전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와이어로 옷감을 만들어 전기를 생성하는 실험까지 성공한 사례가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나노발전기는, 그 발전량이 매우 적어서 햄스터 약 1000마리를 모아야 휴대폰 충전이 가능한 수준이며, 따라서 더욱 많은 발전량을 가지는 나노발전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나노발전기에 비하여 더욱 큰 발전량을 가지는 새로운 나노발전기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ZnO 나노와이어의 표면 전체에 압전 계수가 높은 PZT를 고르게 코팅한 나노발전기를 제작하였고, 본 발명의 나노발전기가 종래의 ZnO 나노와이어만을 적용한 나노발전기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압전 변환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나노발전기의 원리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이하의 [참고문헌]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 "Toward high output-power nanogenerator", Jin Liu, Peng Fei, Jun Zhou, Rao Tummala and Zhong Lin Wang, APPLIED PHYSICS LETTERS 92, 173105, 2008.
2. "Top emerging technologies for self-powered nanosystems : nanogenerators and nanopiezotronics", Zhong Lin Wang
3. "Self-powered nanowire devices", Sheng Xu, Yong Qin, Chen Xu, Yaguang Wei, Rusen Yang and Zhong Lin Wang, NATURE NANOTECHNOLOGY ADVANCE ONLINE PUBLICATION, PUBLISHED ONLINE : 28 MARCH 2010
4. "Piezotronic and Piezophototronic Effects", Zhong Lin Wang, J. Phys. Chem. Lett. 2010.01. 1388-393
5.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for Self-Powered Nanodevices", Zhong Lin Wang, Xudong Wang, Jinhui Song, Jin Liu, and Yifan Gao, PERVASIVE computing JANUARY-MARCH 2008
6. "Piezoelectric Nanogenerator Using p-Type ZnO Nanowire Arrays" Ming-Pei Lu, Jinhui Song, Ming-Yen Lu, Min-Teng Chen, Yifan Gao, Lih-Juann Chen,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Article ASAP, Publication Date (Web): 11 February 2009
7. "Nanogenerator Based on Piezoelectric Nanowires", Jinhui Song, Xudong Wang, Jun Zhou, Zhong L. Wang, The Sixth International Workshop on Micro and Nanotechnology for Power Generation and Energy Conversion Applications, Nov. 29 - Dec. 1, 2006, Berkeley, U.S.A.
8. "Mechanically Powered Transparent Flexible Charge-Generating Nanodevices with Piezoelectric ZnO Nanorods" By Min-Yeol Choi, Dukhyun Choi, Mi-Jin Jin, Insoo Kim, Sang-Hyeob Kim, Jae-Young Choi, Sang Yoon Lee, Jong Min Kim, and Sang-Woo Kim, Adv. Mater. 2009, 21, 2185-2189
9. "Identifying individual n- and p-type ZnO nanowires by the output voltage sign of piezoelectric nanogenerator" S S Lin, J H Song, Y F Lu and Z L Wang, Nanotechnology 20 (2009) 365703 (5pp)
10. "Growth of ZnO nanotube arrays and nanotube based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Yi Xi, Jinhui Song, Sheng Xu, Rusen Yang, Zhiyuan Gao, Chenguo Hu and Zhong Lin Wang, J. Mater. Chem., 2009, 19, 9260-9264
11. "Fully Rollable Transparent Nanogenerators Based on Graphene Electrodes", By Dukhyun Choi, Min-Yeol Choi, Won Mook Choi, Hyeon-Jin Shin, Hyun-Kyu Park, Ju-Seok Seo, Jongbong Park, Seon-Mi Yoon, Seung Jin Chae, Young Hee Lee, Sang-Woo Kim, Jae-Young Choi, Sang Yoon Lee, and Jong Min Kim, Adv. Mater. 2010, 22, 2187-2192
12. "Equilibrium Piezoelectric Potential Distribution in a Deformed ZnO Nanowire", Giulia Mantini, Yifan Gao, A. D.Amico, C. Falconi, and Zhong Lin Wang, Nano Res (2009) 2: 624 629
13. "Energy Harvesting for Self-Powered Nanosystems" Zhong Lin Wang, Nano Res (2008) 1 : 1-8
14.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on photoluminescence and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of ZnO nanowires", WalterWater, Te-Hua Fang, Liang-Wen Ji, Ching-Chin Lee,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B 158 (2009) 75.78
15. "Direct-Write Piezoelectric Polymeric Nanogenerator with High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Chieh Chang, Van H. Tran, Junbo Wang, Yiin-Kuen Fuh, and Liwei Lin, Nano Lett. 2010, 10, 726-731
16. "Converting Bio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ity by a Muscle-Movement-Driven Nanogenerator", Rusen Yang, Yong Qin, Cheng Li, Guang Zhu,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9, No.3, 2009
17.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Based on Zinc Oxide Nanowire Arrays", Zhong Lin Wang and Jinhui Song, 14 APRIL 2006, VOL 312, SCIENCE
18. "Piezoelectric and Semiconducting Coupled Power Generating Process of a Single ZnO Belt/Wire. A Technology for Harvesting Electricity from the Environment", Jinhui Song, Jun Zhou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6, No. 8, 2006.
19. "Piezoelectric Field Effect Transistor and Nanoforce Sensor Based on a Single ZnO Nanowire", Xudong Wang, Jun Zhou, Jinhui Song, Jin Liu, Ningsheng Xu and Zhong L. Wang, Nano Lett., Vol. 6, No. 12, 2006
20. "Nanowire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on Plastic Substrates as Flexible Power Sources for Nanodevices", Pu Xian Gao, Jinhui Song, Jin Liu, and Zhong Lin Wang, Adv. Mater. 2007, 19, 67.72
21. "Piezoelectric Gated Diode of a Single ZnO Nanowire", Jr H. He, Cheng L. Hsin, Jin Liu, Lih J. Chen and Zhong L. Wang, Adv. Mater. 2007, 19, 781.784
22. "Nanopiezotronics", Zhong Lin Wang, Adv. Mater. 2007, 19, 889.892
23. "Direct-Current Nanogenerator Driven by Ultrasonic Waves", Xudong Wang, et al., Science 316, 102 (2007)
24. "Electrostatic Potential in a Bent Piezoelectric Nanowire. The Fundamental Theory of Nanogenerator and Nanopiezotronics", Yifan Gao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7, No. 8, 2007
25. "Integrated Nanogenerators in Biofluid", Xudong Wang, Jin Liu, Jinhui Song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7, No. 8, 2007
26. "Piezoelectric Potential Output from ZnO Nanowire Functionalized with p-Type Oligomer", Jinhui Song, Xudong Wang, Jin Liu, Huibiao Liu, Yuliang Li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8, No. 1, 2008
27. "Carrier Density and Schottky Barrier on the Performance of DC Nanogenerator", Jin Liu, Peng Fei, Jinhui Song, Xudong Wang, Changshi Lao, Rao Tummala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8, No. 1, 2008
28. "Piezoelectric nanogenerator using CdS nanowires", Yi-Feng Lin, Jinhui Song, Yong Ding, Shih-Yuan Lu and Zhong Lin Wang, APPLIED PHYSICS LETTERS 92, 022105 (2008)
29. "Microfibre-nanowire hybrid structure for energy scavenging", Yong Qin, Xudong Wang & Zhong Lin Wang, NATURE Vol 451, 14 February 2008
30. "Toward high output-power nanogenerator", Jin Liu, Peng Fei, Jun Zhou, Rao Tummala and Zhong Lin Wang, APPLIED PHYSICS LETTERS 92, 173105 (2008)
31. "Alternating the Output of a CdS Nanowire Nanogenerator by a White-Light-Stimulated Optoelectronic Effect", Yi-Feng Lin, Jinhui Song, Yong Ding, Shih-Yuan Lu and Zhong Lin Wang, Adv. Mater. 2008, 20, 3127-3130
32. "Mechanical-Electrical Triggers and Sensors Using Piezoelectric Micowires/Nanowires", Jun Zhou, Peng Fei, Yifan Gao, Yudong Gu, Jin Liu, Gang Bao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8, No. 9, 2008
33. "Flexible Piezotronic Strain Sensor", Jun Zhou, Yudong Gu, Peng Fei, Wenjie Mai, Yifan Gao, Rusen Yang, Gang Bao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Vol. 8, No. 9, 2008
34. "Piezoelectric-Potential-Controlled Polarity-Reversible Schottky Diodes and Switches of ZnO Wires", Jun Zhou, Peng Fei, Yudong Gu, Wenjie Mai, Yifan Gao, Rusen Yang, Gang Bao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35. "Integrated Multilayer Nanogenerator Fabricated Using Paired Nanotip-to-Nanowire Brushes", Sheng Xu, Yaguang Wei, Jin Liu, Rusen Yang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36. "Power generation with laterally packaged piezoelectric fine wires", Rusen Yang, Yong Qin, Liming Dai and Zhong Lin Wang, NATURE NANOTECHNOLOGY DOI: 10.1038/NNANO.2008.314
37. "Energy Harvesting Using Piezoelectric Nanowires-A Correspondence on "Energy Harvesting Using Nanowires?" by Alexe et al., Zhong Lin Wang, Adv. Mater. 2008, 20, 1-5
38. "Characteristics of output voltage and current of integrated nanogenerators", Rusen Yang, Yong Qin, Cheng Li, Liming Dai and Zhong Lin Wang, APPLIED PHYSICS LETTERS 94, 022905 (2009)
39. "Equilibrium Potential of Free Charge Carriers in a Bent Piezoelectric Semiconductive Nanowire", Yifan Gao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40. "Converting Bio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ity by a Muscle-Movement-Driven Nanogenerator", Rusen Yang, Yong Qin, Cheng Li, Guang Zhu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41. "Piezoelectric Nanogenerator Using p-Type ZnO Nanowire Arrays", Ming-Pei Lu, Jinhui Song, Ming-Yen Lu, Min-Teng Chen, Yifan Gao, Lih-Juann Chen and Zhong Lin Wang, Nano Lett.
42. "Piezoelectric Nanostructures : From Growth Phenomena to Electric Nanogenerators", Zhong Lin Wang, MRS BULLETIN . VOLUME 32 . FEBRUARY 2007
43. "The new field of nanopiezotronics", Zhong Lin Wang, Materialstoday MAY 2007 VOLUME 10 NUMBER 5
44.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for Self-Powered Nanodevices", Zhong Lin Wang, Xudong Wang, Jinhui Song, Jin Liu and Yifan Gao, PERVASIVE computing Vol. 7, No. 1 January-March 2008
45. "Self-powered nanotech", Zhong Lin Wang, Scientific American Jan.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ZT(Pb(Zr0 .42-0.62Ti0 .38-0.58)O3)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는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상에 코팅되는 씨드층과;
상기 씨드층으로부터 성장하는 복수의 ZnO 나노와이어와;
상기 ZnO 나노와이어로부터 발생한 전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에 배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하부전극과;
상기 상부기판상에 형성되는 상부전극과;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축적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하부기판의 좌우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체; 및
상기 ZnO 나노와이어의 전체를 코팅하는 PZT(Pb(Zr0.42-0.62Ti0.38-0.58)O3) 코팅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에 ZnO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단계 1);
PZT(Pb(Zr0.42-0.62Ti0.38-0.58)O3) 타겟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기판에 단계 2에서 준비한 PZT 타겟을 스퍼터링(sputtering)하여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PZT를 코팅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된 PZT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에서 결정화된 PZT를 폴링(배향분극)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는 ZnO 나노와이어 표면 전체에 압전 계수가 높은 PZT가 고르게 코팅되어, 압전 전환 효율이 현저히 향상하므로, 나노발전기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판상에 형성된 ZnO 나노와이어를 FE-SEM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판상에 형성된 ZnO 나노와이어를 TEM(a)과 SAED(b)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ZnO 나노와이어에 PZT가 코팅된 것을 SEM으로 촬영한 단면도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4에서 ZnO 나노와이어에 표면 일부에 PZT가 코팅된 것을 SEM으로 촬영한 단면도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온도(a) 및 열처리 시간(b)에 따른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코팅된 PZT의 결정성을 XRD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의 모식도이다.
도 7은 PZT가 코팅되지 않은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에 압력을 가했을 경우 생성되는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PZT 필름을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에 압력을 가했을 경우 생성되는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에 압력을 가했을 경우 생성되는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PZT'에 대하여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PZT'는 지르콘산염(PbZrO3)과 티탄산염(PbTiO3)의 고용체의 총칭으로써, 이들 지르콘산염과 티탄산염의 혼합물(Pb(ZrxTiy)O3)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PZT(Pb(Zr0 .42-0.62Ti0 .38-0.58)O3)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PZT는 Pb(Zr0 .42-0.62Ti0 .38-0.58)O3를 사용할 수 있고, Pb(Zr0 .50-0.54Ti0.46-0.50)O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b(Zr0 .52Ti0 .48)O3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Pb(Zr0 .42-0.62Ti0 .38-0.58)O3에서 Zr과 Ti의 조성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PZT의 압전 특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는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상에 코팅되는 씨드층과;
상기 씨드층으로부터 성장하는 복수의 ZnO 나노와이어와;
상기 ZnO 나노와이어로부터 발생한 전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에 배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하부전극과;
상기 상부기판상에 형성되는 상부전극과;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축적하는 축전수단과;
상기 하부기판의 좌우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체; 및
상기 ZnO 나노와이어의 전체를 코팅하는 PZT(Pb(Zr0.42-0.62Ti0.38-0.58)O3) 코팅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는 압전 계수가 낮은 ZnO 나노와이어의 표면 전체에 압전 계수가 높은 PZT를 코팅하여 압전 변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씨드층은 10-60 nm 두께이고, 알루미늄(Al) 및 산화아연(ZnO)이 0.5-5:95-99.5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ZnO 나노와이어는 길이가 1-10 ㎛이고, 직경이 30-7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나노와이어의 길이가 1 ㎛ 미만 및/또는 직경이 30 nm 미만일 경우에는 탄성계수가 작아져 출력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나노와이어의 길이가 10 ㎛를 초과 및/또는 직경이 70 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나노와이어 상에 증착되는 PZT가 나노와이어의 측면에 잘 증착되지 못하여 PZT가 1차원 구조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에 ZnO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단계 1);
PZT(Pb(Zr0.42-0.62Ti0.38-0.58)O3) 타겟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기판에 단계 2에서 준비한 PZT 타겟을 스퍼터링(sputtering)하여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PZT를 코팅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된 PZT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에서 결정화된 PZT를 폴링(배향분극)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기판에 ZnO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으로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ITO 코팅 유리기판에 씨드층을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씨드층은 10-60 nm 두께이고, 알루미늄(Al) 및 산화아연(ZnO)이 0.5-5:95-99.5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ZnO 나노와이어를 합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수열합성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단계에서 합성하는 ZnO 나노와이어는 길이가 1-10 ㎛이고, 직경이 30-7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된 ZnO 나노와이어는 결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PZT(Pb(Zr0 .52Ti0 .48)O3) 타겟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산화납,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티타늄 분말을 용매에 넣고 볼 밀링으로 배합하고, 건조 후 분쇄하여 극세한 분말로 만든 다음 하소(calcination), 분쇄, 건조, 바인더 혼합, 성형, 소결, 연마 등의 공정을 통해 PZT 타겟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ZT 타겟은 스퍼터링에 사용하므로, 두께가 0.5-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단계 1에서 준비한 기판에 단계 2에서 준비한 PZT 타겟을 스퍼터링(sputtering)하여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PZT를 코팅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퍼터링은 RF(Radio Frequency)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퍼터링의 용착속도(deposition rate)는 60-100 Å/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70-90 Å/mi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80 Å/min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용착속도가 60 Å/min 미만일 경우에는 증착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고, 100 Å/min을 초과할 경우에는 나노와이어 측면에 PZT가 잘 증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단계 3에서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된 PZT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7-10 ℃/min의 승온속도로 450-650 ℃까지 가열한 다음 0.5-4시간 동안 유지하고, 7-10 ℃/min의 감온속도로 10-50 ℃까지 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열처리 온도가 450 ℃ 미만일 경우에는 PZT의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6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판이 녹고 하부전극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상기 단계 4에서 결정화된 PZT를 폴링(배향분극)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결정화된 PZT의 경우 결정내 쌍극자는 존재하지만 무질서하게 있으므로 실제로 압전 특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그러므로, 코로나 폴링(Corona poling)을 통하여 쌍극자가 정렬되도록 하여야만 비로소 PZT가 압전특성을 갖게 된다. 코로나 폴링의 과정은 챔버 안에서 쌍극자가 잘 회전하여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판온도를 70-90 ℃로 유지하고, 양극과 음극의 간격은 약 4-6 cm 차를 두며, DC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최대 전압의 범위인 10-12 kV의 전압을 20-40분 동안 인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는 ZnO 나노와이어 표면 전체에 압전 계수가 높은 PZT가 고르게 코팅되어, 압전 전환 효율이 현저히 향상하므로, 나노발전기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AZO 씨드층이 코팅된 기판의 준비
상업적으로 구할 수 있는 ITO가 코팅된 유리(제조사: Corning, 200 nm thick ITO) 기판을 세척한 다음, 상기 ITO 코팅층 상에 RF(radio Frequency)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AZO[Al(2 중량%) + ZnO(98 중량%)] 씨드층을 코팅하여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킬 기판을 준비하였다.
< 실시예 1> PZT 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의 제조
단계 1: 나노와이어의 합성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한 기판과 수열합성법을 사용하여 나노와이어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탈이온수에 0.015 mol/L의 Zn(NO3)2·6H2O, 0.015 mol/L의 헥사메틸렌테트라민, 0.09 mol/L의 암모늄클로라이드, 0.003 mol/L의 폴리에틸렌이민을 넣고 교반하여 ZnO 나노와이어 모액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한 기판을 모액에 침지하고 90 ℃에서 3시간 동안 유지한 후, 기판을 빼내어 에탄올로 세척하고, 초음파 세척기로 한번 더 세척하여 제조예 1에서 준비한 기판의 AZO 씨드층 상에 ZnO 나노와이어를 1-10 ㎛ 길이로 합성하였다.
본 단계 1에서 제조한 ZnO 나노와이어를 FE-SEM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TEM과 SAED(Selected Area Diffraction) 패턴을 확인하여 본 단계에서 제조된 ZnO 나노와이어가 결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판상에 형성된 ZnO 나노와이어를 FE-SEM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판상에 형성된 ZnO 나노와이어를 TEM(a)과 SAED(b)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단계 2: PZT 타겟의 준비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의 타겟으로 사용하기 위한 PZT (Pb(Zr0 .52Ti0 .48)O3)를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1 L 크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세라믹볼(3Ф, 5Ф, 15Ф)을 골고루 반쯤 채우고 순도 99.9%의 산화납 (Pb; 1.1), Zirconium oxide (ZrO; 0.52) , Titanium oxide (TiO; 0.48)를 넣은 후 에탄올을 용기의 2/3 가량 채운다. 이후 용기 안에 분말은 140 rpm 으로 24시간 동안 실시된 볼 밀링(ball milling) 공정을 통하여 배합된다. 볼 밀링 공정이 끝난 용액상태의 분말은 세라믹볼과 분리하여 110 ℃ 오븐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분말은 핸드밀링(hand milling)을 통하여 잘게 분쇄하여 극세한 분말 형태로 만든다. 이 분말은 다시 도가니 안에 담아 이 도가니를 900 ℃의 전기로 안에서 4시간동안 하소(calcination) 하였다. 이때 온도는 5 ℃/min으로 증가시켰다. 하소가 끝난 분말은 다시 2차 핸드밀링을 한 후, 또 다시 세라믹볼을 이용하여 2차 볼 밀링 공정을 24시간동안 진행하였다. 2차 볼 밀링 공정이 끝난 용액 상태의 분말을 110 ℃ 오븐에서 6시간 건조시킨 후 3차 핸드밀링을 통하여 다시 분쇄한다. 이때 바인더(binder)를 혼합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비닐알콜(PVA)를 5 중량% 혼합하였다. 혼합이 끝난 분쇄된 분말은 2인치 금속 몰드를 이용하여 20 ton/cm2 의 압력으로 압축되어 성형한다. 성형이 끝난 분말은 다시 도가니에 담겨 600 ℃의 전기로 안에서 4시간 동안 바인더 제거(Burn out)를 실시하였고 이때 온도 증가율은 2 ℃/min으로 하였다. 바인더 제거가 끝난 후 또 다시 1200 ℃ 전기로 안에서 2시간 동안 소결(Sintering) 하였다. 이때 온도의 증가율은 5 ℃/min으로 하였다. 소결이 끝난 분말은 다시 연마(polishing) 공정을 거처 2인치 크기 타겟의 형상을 갖추었다.
단계 3: ZnO 나노와이어에 PZT 를 코팅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PZT 타겟을 제조예 2에서 준비한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에서 준비한 PZT(길이 및 너비: 2인치, 두께 1.5 ㎛)를 스퍼터(sputter) 타겟으로 사용하여,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80 Å/min의 용착속도(deposition rate)로 제조예 2에서 준비한 ZnO 나노와이어에 PZT를 코팅하였다.
단계 4: 열처리하여 PZT 를 결정화하는 단계
상기 단계 2에서 ZnO 나노와이어에 코팅된 PZT를 열처리하여 PZT를 결정화하였다.
구체적으로, 8.3 ℃/min의 승온속도로 600 ℃까지 가열한 다음 1시간 동안 유지하고, 8.3 ℃/min의 감온속도로 상온까지 식혀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된 PZT를 결정화하였다.
단계 5: PZT 폴링(배향분극)하는 단계
결정화된 PZT의 경우 결정내 쌍극자는 존재하지만 무질서하게 있으므로 실제로 압전 특성을 나타내기 어렵다. 그러므로 코로나 폴링을 통하여 쌍극자가 정렬되도록 하여야만 비로소 PZT가 압전특성을 갖게 된다. 코로나 폴링은 챔버 안에서 이루어 졌으며 코로나 폴링 공정 중 쌍극자가 잘 회전하여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판온도를 80 ℃로 유지하였다. 양극과 음극의 간격은 약 5 cm 차를 두었고, DC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최대 전압인 11 kV의 전압을 인가하였으며, 공정은 30분 동안 이루어졌다.
< 비교예 1> PZT 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의 제조 1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나노와이어의 길이를 3.7 ㎛로 제조하고, 단계 3에서 용착속도를 120 Å/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ZT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PZT 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의 제조 2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나노와이어의 길이를 2.1 ㎛로 제조하고, 단계 3에서 용착속도를 130 Å/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ZT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PZT 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의 제조 3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나노와이어의 길이를 3.8 ㎛로 제조하고, 단계 3에서 용착속도를 140 Å/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ZT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PZT 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의 제조 4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나노와이어의 길이를 2.7 ㎛로 제조하고, 단계 3에서 용착속도를 150 Å/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ZT가 일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스퍼터링 조건에 따른 PZT 코팅의 평가
ZnO 나노와이어 표면 전체에 PZT가 잘 코팅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에서 용착속도(deposition rate)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SEM으로 확인하여, ZnO 나노와이어 표면 전체를 얼마나 코팅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ZnO 나노와이어 표면 전체에 PZT가 코팅된 것을 SEM으로 촬영한 단면도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4에서 ZnO 나노와이어에 표면 일부에 PZT가 코팅된 것을 SEM으로 촬영한 단면도 이미지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착속도에 따라서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되는 PZT의 피복률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용착속도로 PZT를 코팅할 경우 나노와이어의 하부까지 모두 코팅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는 나노와이어의 표면 전체에 PZT가 골고루 코팅되어 압전 변환율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나노발전기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 실험예 2> 열처리 조건에 따른 PZT 의 결정화 평가
압전 변환율이 우수하기 위해서는 PZT가 결정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에, 열처리 조건이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된 PZT의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비열처리, 400, 500 및 600 ℃의 열처리 온도에 따라서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코팅된 PZT의 결정성을 XRD로 확인하여 도 5(a)에 나타내었고, 1, 2, 3 및 4시간의 열처리 시간에 따라서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코팅된 PZT의 결정성을 XRD로 확인하여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온도(a) 및 열처리 시간(b)에 따른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코팅된 PZT의 결정성을 XRD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처리 온도의 경우 약 450 ℃ 이상부터 PZT가 결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열처리 시간은 1-4시간 모두 유의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는 나노와이어의 표면 전체에 코팅된 PZT 대부분이 결정성을 나타내어 압전 변환율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나노발전기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 실험예 3> 나노발전기의 압전기 평가
압전 재료에 따른 나노발전기의 압전 변환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PZT가 코팅되지 않은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PZT 필름을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를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코로나 폴링(Corona poling) 시스템으로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세 가지의 나노발전기에 0.9 kgf 압력을 가할 경우 생성되는 전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7-9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의 모식도이다.
도 7은 PZT가 코팅되지 않은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에 압력을 가했을 경우 생성되는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PZT 필름을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에 압력을 가했을 경우 생성되는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에 압력을 가했을 경우 생성되는 전류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PZT가 코팅된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도 9)는 평균적으로 약 280 nA의 전류를 생성시킨 반면에, PZT가 코팅되지 않은 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도 7)는 약 0.7 nA의 전류를 생성시켰고, PZT 필름을 포함하는 나노발전기(도 8)는 약 7 nA의 전류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의 압전 변환 효율이 종래의 나노발전기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의 압전 변환 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ZnO 나노와이어의 표면 전체에 압전계수가 높은 PZT를 고르게 코팅함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발전기는 압전 변환율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나노발전기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판에 ZnO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단계 1);
    PZT(Pb(Zr0.42-0.62Ti0.38-0.58)O3) 타겟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준비한 기판에 단계 2에서 준비한 PZT 타겟을 스퍼터링(sputtering)하여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PZT를 코팅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ZnO 나노와이어 표면에 코팅된 PZT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에서 결정화된 PZT를 폴링(배향분극)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ZT는 Pb(Zr0.52Ti0.48)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ZnO 나노와이어는,
    10-60 nm 두께이고, 알루미늄(Al) 및 산화아연(ZnO)이 0.5-5:95-99.5 중량% 비율로 혼합된 씨드층 상에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형성되는 ZnO 나노와이어는 길이가 1-10 ㎛이고, 직경이 30-7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스퍼터링은 RF(Radio Frequency)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이고, 60-100 Å/min의 용착속도(deposition 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열처리는,
    7-10 ℃/min의 승온속도로 450-650 ℃까지 가열한 다음 0.5-4시간 동안 유지하고, 7-10 ℃/min의 감온속도로 10-50 ℃까지 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폴링(배향분극)은 기판의 온도를 70-90 ℃로 유지하며, 양극과 음극의 간격을 4-6 cm로 두고, 10-12 kV의 전압을 20-40분 동안 인가하는 코로나 폴링(Corona pol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KR1020130010566A 2013-01-30 2013-01-30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66A KR101409326B1 (ko) 2013-01-30 2013-01-30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66A KR101409326B1 (ko) 2013-01-30 2013-01-30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326B1 true KR101409326B1 (ko) 2014-06-20

Family

ID=5113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566A KR101409326B1 (ko) 2013-01-30 2013-01-30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3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178A (ko) 2011-06-10 2014-04-30 더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트렁크 지지 외골격 및 그 사용방법
KR20160047290A (ko) * 2014-10-22 2016-05-02 한국과학기술원 나노와이어 어레이 압전소자의 제조방법
KR20180076734A (ko) 2016-12-28 2018-07-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력발전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3396A (ko) * 2020-09-09 2022-03-16 (주)한국바이오셀프 압전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455A (ja) * 2004-10-27 2008-05-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調整可能なエネルギバンドギャップを有する半導体装置
KR20110047860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나노와이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JP2012186471A (ja) 2011-03-03 201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気エネルギー発生装置
KR101200353B1 (ko) 2011-05-06 2012-1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 성장된 압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인공와우용 주파수 분리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455A (ja) * 2004-10-27 2008-05-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調整可能なエネルギバンドギャップを有する半導体装置
KR20110047860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나노와이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JP2012186471A (ja) 2011-03-03 201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気エネルギー発生装置
KR101200353B1 (ko) 2011-05-06 2012-11-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 성장된 압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인공와우용 주파수 분리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178A (ko) 2011-06-10 2014-04-30 더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트렁크 지지 외골격 및 그 사용방법
KR20160047290A (ko) * 2014-10-22 2016-05-02 한국과학기술원 나노와이어 어레이 압전소자의 제조방법
KR101626955B1 (ko) 2014-10-22 2016-06-02 한국과학기술원 나노와이어 어레이 압전소자의 제조방법
KR20180076734A (ko) 2016-12-28 2018-07-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력발전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33396A (ko) * 2020-09-09 2022-03-16 (주)한국바이오셀프 압전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10166B1 (ko) * 2020-09-09 2023-03-15 (주)한국바이오셀프 압전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o et al. A review of flexible perovskite oxide ferroelectric films and their application
Hu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nanogenerators for energy harvesting
Dudem et al. Highly-flexi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with silver nanowires and barium titanate embedded composite films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Ren et al. Flexible lead-free BiFeO3/PDMS-based nanogenerator as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Guo et al. Synthesis of orthorhombic perovskite-type ZnSnO3 single-crystal nanoplates and their application in energy harvesting
Lin et al. BaTiO3 nanotubes-based flexible and transparent nanogenerators
Gupta et al. Flexible high-performance lead-free Na0. 47K0. 47Li0. 06NbO3 microcube-structure-bas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Ko et al. Flexible Pb (Zr0. 52Ti0. 48) O3 films for a hybrid piezoelectric-pyroelectric nanogenerator under harsh environments
Wu et al. Lead-free nanogenerator made from single ZnSnO3 microbelt
Ippili et al. Unveiling predominant air-stable organotin bromide perovskite toward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Baek et al. Enhanced output performance of a lead-free nanocomposite generator using BaTiO3 nanoparticles and nanowires filler
Batra et al. Tb-doped ZnO: PDMS based flexible nanogenerator with enhanced piezoelectric output performance by optimizing nanofiller concentration
KR101409326B1 (ko)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Sun et al. Direct-current piez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two-layer zinc oxide nanorod arrays with equal c-axis orientation for energy harvesting
Park et al. Piezoelectric BaTiO3 microclusters and embossed ZnSnO3 microspheres-based monolayer for highly-efficient and flexible composite generator
Huan et al. Ultrahigh energy harvesting properties in Ag decorated potassium-sodium niobite particle-polymer composite
Prajesh et al. Flexi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Based on One-Dimensional Neutral Coordination Network Composites
Park et al. Enhanced piezoelectric performance of composite fibers based on lead-free BCTZ ceramics and P (VDF-TrFE) piezopolymer for self-powered wearable sensors
Zhu et al. Poly (vinylidene fluoride)-stabilized black γ-phase CsPbI3 perovskite for high-performance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Shi et al. Advances in wearable flexibl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s: materials, structures, and fabrication
Ben Ayed et al. Robust and flexible piezoelectric lead-free Zn-BCZT/PVDF-HFP nanogenerators for wearable energy harvesting
Bagheri et al. Advancements and challenges in molecular/hybrid perovskites for piezoelectric nanogenerator application: A comprehensive review
KR101169544B1 (ko) 플렉서블 나노제너레이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나노제너레이터
KR101172278B1 (ko) 나노와이어의 전체가 코팅되고 발전량이 향상된 나노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Cheng et al. Enhanced piezoelectric performance of ZnSnO3@ PVDF composite films by control of embedded contents of ZnSnO3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