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225B1 -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225B1
KR101409225B1 KR1020120111285A KR20120111285A KR101409225B1 KR 101409225 B1 KR101409225 B1 KR 101409225B1 KR 1020120111285 A KR1020120111285 A KR 1020120111285A KR 20120111285 A KR20120111285 A KR 20120111285A KR 101409225 B1 KR101409225 B1 KR 10140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pport portion
electronic device
support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126A (ko
Inventor
윤상문
이우종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2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컵홀더에 제 1 코일을 구비하고, 전자기기에 제 2 코일을 구비하여,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의 유도결합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간단하게 무선으로 충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홀더의 수용부 내부에 회전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에 전자기기가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지지부의 제 1 코일과 전자기기의 제 2 코일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코일의 유도전류가 제 2 코일로 충분하게 유기되어, 전자기기의 배터리의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의 상부에 음료용기가 수용될 때, 지지부가 하방으로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음료용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이동 또한 제한되므로, 지지부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음료용기를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Charging System Using Cup Holder}
본 발명은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음료수가 담긴 음료용기나, 동전 등의 작은 물품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컵홀더가 구비되어 있다. 컵홀더는 컵 또는 캔 등의 음료 용기를 수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컵홀더 내부에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097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하여, 수용부에 수용된 컵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도 있다.
한편,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폰은 운전자가 운전하는 도중 수시로 확인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그 크기가 커서 운전에 방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운전자는 휴대폰을 컵홀더에 보관하곤 한다. 이때, 컵홀더에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이 있으면, 휴대폰을 컵홀더에 보관하는 도중에 배터리가 충전되어, 운전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으나, 휴대폰 충전 기능을 가진 컵홀더는 시중에서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유선 충전 단자에 휴대폰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곤 한다. 그러나 충전단자에 휴대폰을 연결하는 행동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도중, 손을 이용하여 휴대폰과 충전 단자를 상호 끼워 맞추어야 하므로, 운전자의 입장에서 대단히 번거로운 행동이며,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가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될 때, 간단한 구성으로 컵홀더의 제 1 코일과 전자기기의 제 2 코일이 상호 근접되도록 하여, 유도결합에 의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홀더에 전자기기 또는 음료용기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제 1 코일이 탑재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컵홀더; 및 제 2 코일이 탑재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전자기기가 위치될 때, 상기 지지부는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자기기가 상호 면접촉되고, 상기 제 1 코일로 인가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 2 코일에 충전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상기 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지지부의 상측의 높이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의 높이가 동일할 때까지 상기 지지부를 기울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회전핀이 관통되고, 상기 회전핀의 양 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삽입 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 물품이 수용될 때, 상기 물품의 외주연은 상기 수용부의 내주연에 지지되고, 상기 물품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양 단부를 동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이 상호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이 상호 수평상태로 위치될 때,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 하측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물품의 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지지부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은 컵홀더에 제 1 코일을 구비하고, 전자기기에 제 2 코일을 구비하여,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의 유도결합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간단하게 무선으로 충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은 컵홀더의 수용부 내부에 회전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에 전자기기가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지지부의 제 1 코일과 전자기기의 제 2 코일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코일의 유도전류가 제 2 코일로 충분하게 유기되어, 전자기기의 배터리의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은 지지부의 하부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지지부의 상부에 음료용기가 수용될 때, 지지부가 하방으로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음료용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이동 또한 제한되므로, 지지부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음료용기를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 유도방식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가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에 전자기기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의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의 유도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에 음료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 유도방식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자기 유도방식 충전 시스템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212)에 공급할 충전 전력을 생성시키는 충전부(100)와, 상기 충전부(100)로부터 무접점으로 충전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내부의 배터리(212)를 충전시키는 전자기기(200)를 포함한다. 전자기기(200)는 배터리(212)가 내장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MP3플레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부(100)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전자기기로 충전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충전부(100)에는 제 1 코일(110)이 내장되어 있고, 전자기기(200)에는 제 1 코일(110)에 대응되는 제 2 코일(210)이 내장되어 있으며, 제 1, 2 코일(110, 210)은 유도 결합에 의해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되어, 제 1 코일(11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제 2 코일(210) 내에 유도 전류를 유기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기기(200)의 배터리(212)는 제 2 코일(210)에 의해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된다. 그런데 제 1 코일(11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제 2 코일(210)로부터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저감되므로, 충전부(100)와 전자기기(200)는 그 거리가 가깝도록 하기 위하여 상호 면접촉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2는 종래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컵홀더(300)는 바닥부(310)와, 바닥부(31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측벽부(3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컵홀더(300)에 전자기기(200)가 수용되면, 전자기기(200)의 길이는 바닥부(310)의 지름보다 길게 구성되는바, 전자기기(200)가 바닥부(310)에 밀착되지 못하여, 전자기기(200)는 컵홀더(300)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바닥부(310)에 제 1 코일(미도시)을 구비하고, 전자기기(200)에 제 2 코일(미도시)을 구비한다 하더라도, 전자기기(200)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은 멀리 떨어져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 1 코일과 상기 제 2 코일의 유도결합에 의한 충전 효율은 아주 낮거나, 충전 자체가 아예 진행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가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은 제 1 코일(22: 도 8 도시)을 구비하는 컵홀더(10)와, 상기 제 1 코일(22)과 유도결합되는 제 2 코일(210: 도 8 도시)을 구비하는 전자기기(200)를 포함한다.
컵홀더(10)는 차량에 구비되어, 컵, 캔 등의 음료용기(250: 도 9 도시), 동전, 전자기기(200) 등 사용자가 놓고자 하는 작은 물품을 수용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다수 개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컵홀더(10)는 내부에 공간부(16)가 구비되되 상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11)와, 상기 공간부(16)에 위치되는 지지부(20)를 포함한다.
수용부(11)는 그 저면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부(12)와, 상기 바닥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는 측벽부(14)를 포함한다. 바닥부(12)는 컵, 캔 등의 음료용기(250)가 수용되기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외,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부(14)는 상측과 하측의 직경이 동일한 기둥형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바닥부(12)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바닥부(12)와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는 그 내부에 제 1 코일(22)이 탑재되고, 차량의 배터리 전원이 적정 전압으로 변경되어 제 1 코일(22)에 공급된다. 제 1 코일(22) 및 후술하는 제 2 코일(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평면형 나선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코일(22)과 제 2 코일(210)의 중심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는 수용부(11)의 바닥부(12)와 수평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부(20)의 양측에 회전핀(24)이 관통되어, 회전핀(24)의 단부가 측벽부(14)에 회동되도록 삽입되거나, 또는, 지지부(20)의 양측에 제 1 결합부(26: 도 6 도시)가 형성되어, 제 1 결합부(26)의 단부가 측벽부(14)에 회동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0)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전자기기(200)는 상기 제 1 코일(22)과 유도결합되는 제 2 코일(210)이 탑재되는 것으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MP3플레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코일(210)은 전자기기(200)의 상기 배터리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20)에 배치된 제 1 코일(22)과 유도 결합하여, 제 1 코일(22)로 인가되는 유도 전류에 의해 제 2 코일(210)에 충전 전류가 유도되며, 이렇게 유도된 충전 전류는 전자기기(200)의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컵홀더(10)의 제 1 코일(22)과 전자기기(200)의 제 2 코일(210)이 상호 유도결합되어 전자기기(200)의 배터리가 간단하게 무선으로 충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자기기(200)는 수용부(11)에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수용되는데, 이때, 지지부(20)의 상면과 대향되는 전자기기(200)의 하면은 지지부(20)에 면접촉되도록 구성되며, 그 결과, 지지부(20)의 제 1 코일(22)의 유도전류가 전자기기(200)의 제 2 코일(210)로 충분하게 유기되어,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는 하기 도 7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20)가 원형으로 형성되면 지지부(20)의 상부에 올려지는 전자기기(200) 또는 음료용기(250)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20)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면, 단가가 낮아져서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2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핀(24)에 의하여 수용부(11)의 측벽부(14)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핀(24)이 지지부(20)의 중앙에 관통되고, 그 양 단부는 측벽부(14)에 형성되는 오목부(14a)에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20)는 회전핀(24)에 지지되면서 회전되어, 전자기기(200)가 지지부(20)에 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지지부(2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지부(2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양측에 제 1 결합부(26)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 1 결합부(26)와 대향되는 수용부(11)의 측벽부(14)에 제 2 결합부(14a')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1 결합부(26)가 제 2 결합부(14a')에 회전되도록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는 제 1, 2 결합부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전자기기(200)가 지지부(20)에 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지지부(2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에 전자기기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의 제 1 코일과 제 2 코일 간의 유도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기기(200)가 컵홀더(10)에 수용될 때, 전자기기(200)의 길이가 수용부(11)의 측벽부(14)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전자기기(200)는 수용부(11)에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서 수용된다. 이때, 컵홀더(10)의 수용부(11) 내부에는 지지부(2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므로, 전자기기(200)의 하단부가 지지부(20)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부(20)가 전자기기(200)의 기울어지는 각도와 동일하게 비스듬하게 기울어진다. 여기서 지지부(20)는 지지부(20)의 상측의 높이와 수용부(11)의 측벽부(14)의 높이가 동일할 때까지 비스듬하게 기울어진다. 이처럼 지지부(20)가 전자기기(200)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게 기울어지므로 지지부(20)의 상면과 전자기기(200)의 하면은 상호 면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20)와 전자기기(200)가 상호 면접촉되면, 지지부(20)의 제 1 코일(22)과, 전자기기(200)의 제 2 코일(210)은 상호 가까이 위치되며, 그 결과, 제 1 코일(22)과 제 2 코일(210)의 유도결합에 의한 충전 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즉, 제 1 코일(22)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제 2 코일(210)에서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저감되고, 유도 결합되는 자속밀도에 비례하는 충전효율은 제 1 코일(22)에 대한 제 2 코일(210)의 위치가 가까울수록 높아지므로,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에서는 제 1 코일(22)과 제 2 코일(210)의 간격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용부(11)에 비스듬하게 위치되는 전자기기(200)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도록 수용부(11) 내부에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20)를 구비하고, 전자기기(200)가 수용부(11)에 수용될 때, 지지부(20)가 전자기기(200)와 동일하게 기울어지도록 구성하여, 지지부(20)와 전자기기(200)가 상호 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20)와 전자기기(200)가 상호 면 접촉되면, 지지부(20)의 제 1 코일(22)과 전자기기(200)의 제 2 코일(21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제 1 코일(22)의 유도전류가 제 2 코일(210)로 충분하게 유기되어, 전자기기(200)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에 음료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컵홀더(10)에는 전자기기(2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이 수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컵홀더(10)에는 컵, 캔 등의 음료용기(25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음료용기(250)의 외주연은 상기 수용부(11)의 측벽부(14) 내주연에 지지되고, 음료용기(250)의 하면은 지지부(20)의 양 단부를 동일하게 가압하도록 위치되어 지지부(20)와 수용부(11)의 바닥부(12)가 상호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컵홀더(10)에 수용되는 음료용기(250)는 지지부(20)에 안전하게 지지된 채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음료용기(250)에 담긴 물, 음료수 등이 외부로 엎질러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더하여, 음료용기(250)가 지지부(20)에 안전하게 지지될 때, 지지부(20)의 하측에는 스토퍼(14b)가 더 구비되어 지지부(2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스토퍼(14b)는 수용부(11)의 측벽부(14)에서 지지부(20)의 일단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부(20)의 일단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처럼 지지부(20)의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14b)에 의하여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음료용기(250)의 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지지부(20)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음료용기(250)를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4b)는 측벽부(14)에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바닥부(12)에서 지지부(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바닥부(12)에서 지지부(20) 방향으로 구비되는 용수철이나 스펀지 등의 탄성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컵홀더 11: 수용부
12: 바닥부 14: 측벽부
14a: 오목부 14a': 제 2 결합부
14b: 스토퍼 16: 공간부
20: 지지부 22: 제 1 코일
24: 회전핀 26: 제 1 결합부
200: 전자기기 210: 제 2 코일
212: 배터리 250: 음료용기

Claims (7)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되 상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이격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제 1 코일이 탑재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컵홀더; 및
    제 2 코일이 탑재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전자기기가 위치될 때, 상기 지지부는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자기기가 상호 면접촉되고,
    상기 제 1 코일로 인가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 2 코일에 충전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상기 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지지부의 상측의 높이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의 높이가 동일할 때까지 상기 지지부를 기울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회전핀이 관통되고,
    상기 회전핀의 양 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삽입 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지지부에 일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 물품이 수용될 때, 상기 물품의 외주연은 상기 수용부의 내주연에 지지되고, 상기 물품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양 단부를 동일하게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이 상호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이 상호 수평상태로 위치될 때,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 하측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물품의 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지지부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20120111285A 2012-10-08 2012-10-08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140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85A KR101409225B1 (ko) 2012-10-08 2012-10-08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85A KR101409225B1 (ko) 2012-10-08 2012-10-08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126A KR20140045126A (ko) 2014-04-16
KR101409225B1 true KR101409225B1 (ko) 2014-06-18

Family

ID=5065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285A KR101409225B1 (ko) 2012-10-08 2012-10-08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002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구비한 컵 홀더
KR102239310B1 (ko) * 2018-07-20 2021-04-1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CN109730509A (zh) * 2018-12-26 2019-05-10 江苏思凯林家居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沙发杯托
KR102300573B1 (ko) * 2019-07-08 202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틸트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2058A1 (en) 1999-06-21 2005-06-09 Baarman David W. Inductively powered apparatus
KR20110114704A (ko) * 2009-02-10 2011-10-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KR20120080602A (ko) * 2009-09-17 2012-07-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회전하는 안테나를 갖는 무선 전력 충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2058A1 (en) 1999-06-21 2005-06-09 Baarman David W. Inductively powered apparatus
KR20110114704A (ko) * 2009-02-10 2011-10-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KR20120080602A (ko) * 2009-09-17 2012-07-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회전하는 안테나를 갖는 무선 전력 충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126A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225B1 (ko) 컵홀더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US9096177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a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of a vehicle
EP2748909B1 (en) A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9461501B2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KR101285084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KR101404358B1 (ko)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US7952322B2 (en)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1601017B2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20100264871A1 (en) Inductive chargers and inductive charging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200010002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구비한 컵 홀더
KR20120080602A (ko) 회전하는 안테나를 갖는 무선 전력 충전기
KR20150033305A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시스템
CN207853537U (zh) 磁吸无线充电支架
CN107210610A (zh) 无线充电站
CN205791813U (zh) 无线充电设备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101858179B1 (ko) 차량용 무선충전기
KR101455343B1 (ko)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JP2008236887A (ja) 携帯装置用充電装置、携帯装置用充電装置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129511A (ko) 충전 장치
KR200483222Y1 (ko)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US11699911B2 (en) Smart charger with built in connector
CN204870780U (zh) 一种车用储物装置及具有该车用储物装置的仪表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