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135B1 - 갈조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갈조류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135B1 KR101409135B1 KR1020130050797A KR20130050797A KR101409135B1 KR 101409135 B1 KR101409135 B1 KR 101409135B1 KR 1020130050797 A KR1020130050797 A KR 1020130050797A KR 20130050797 A KR20130050797 A KR 20130050797A KR 101409135 B1 KR101409135 B1 KR 1014091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gear
- brown algae
- cylindrical member
- air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절 가공된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갈조류(brown algae, 褐藻類)를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에 투입시켜 건조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열풍에 의해 가열되어 자체적으로 발열 됨과 동시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유동관이 구비되어 있어 갈조류가 열기와 열풍에 의해 이중으로 건조될 수 있으며, 원통부재의 내부에는 다수의 연장돌기가 토출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갈조류가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10시~11시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추락 됨에 따라 토출구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 처리될 수 있으며, 열풍유동관이 유입구 측에서 유출구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전방에서 후방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어 분사구를 통해 동일한 양의 열풍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갈조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는 베이스다이와, 상기 베이스다이 일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전의 갈조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제 1 고정몸체와, 상기 베이스다이 타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후의 갈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 2 고정몸체와, 상기 제 1 고정몸체와 제 2 고정몸체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갈조류가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베이스다이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재와 연결되어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원통부재를 연속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내부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몸체 및 제 2 고정몸체에 그 양단이 고정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송되는 갈조류의 건조에 필요한 열기가 공급되는 열풍유동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는 베이스다이와, 상기 베이스다이 일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전의 갈조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제 1 고정몸체와, 상기 베이스다이 타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후의 갈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 2 고정몸체와, 상기 제 1 고정몸체와 제 2 고정몸체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갈조류가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베이스다이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재와 연결되어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원통부재를 연속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내부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몸체 및 제 2 고정몸체에 그 양단이 고정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송되는 갈조류의 건조에 필요한 열기가 공급되는 열풍유동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갈조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절 가공된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갈조류(brown algae, 褐藻類)를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에 투입시켜 건조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열풍에 의해 가열되어 자체적으로 발열 됨과 동시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유동관이 구비되어 있어 갈조류가 열기와 열풍에 의해 이중으로 건조될 수 있으며, 원통부재의 내부에는 다수의 연장돌기가 토출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갈조류가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10시~11시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추락 됨에 따라 토출구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 처리될 수 있으며, 열풍유동관이 유입구 측에서 유출구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전방에서 후방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어 분사구를 통해 동일한 양의 열풍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갈조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갈조류(brown algae, 褐藻類)란 해조의 일종으로 식용 가능한 것은 한랭해에서 주로 자라는데, 미역과 같이 한랭해, 온난해 양쪽에 분포하는 것도 있다. 엽록체 중에 클로로필 α 외에 피코피엔 같은 클로로필계의 색소를 함유하고 세포막은 독특한 다당류인 알긴산으로 만들어지지만, 계절에 따라 라미나린과 같은 β-글루칸계의 다당류를 축적해 두는 것도 있다. 또 만니톨과 같은 당알코올을 다량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건조시 표면에 희게 분말상으로 석출되며, 미역, 다시마, 녹미채, 대황과 같은 중요한 해조가 이에 속한다.
이 중에서도 미역은 많은 미네랄과 비타민 A, B1, B2, C 등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혈압강하, 변비해소, 동맥경화 예방 등의 효과가 입증된 알긴산 등의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 불균형이 심각한 현대인에게 영양의 균형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식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미역이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은, 식이섬유(dietary fiber)라 불리며 거의 소화되지 않는 성분이나 해조류에서 채취되어 공업용 풀, 아이스크림이나 면류, 과자, 잼 등에 끈기를 주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알긴산은 점성이 높은 섬유 질 성분으로서 위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숙변을 쉽게 제거하며, 대장이나 소장 등에 머물면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콜레스테롤 침착 예방 효과와 농약 등 공해물질과 결합해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알긴산은 또한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해산소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이를 제거하는 효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미역은 대략 길이가 1.5 ~ 2m 정도로 되고, 줄기를 중심으로 뿌리 바로 위에 양쪽으로 귀가 달리고 뿌리의 50cm 정도 위에서부터 줄기 양쪽으로 20cm 정도의 길이로 잎이 자라게 되는데, 건조되지 않은 생물의 상태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한 다음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도록 건조시켜 판매되는 것이 보통이다.
미역과 같은 갈조류의 건조는 태양광을 이용한 자연건조 또는 열기가 공급되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한 건조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3949호(2005.05.02.등록)에는 농수산물 건조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힌지를 개재하여 전면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쌍의 도어가 배설되고,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캐스터가 고정설치되며, 내부가 좌우 한쌍의 건조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중앙에 구획벽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공간의 내측면에 단열재가 배설된 하우징과, 건조시킬 농ㆍ수산물(예를 들면, 고추, 고구마, 벼, 가지, 호박, 약초, 해산물(어류, 미역 및 다시마) 등)이 담기는 건조 용기가 착탈가능하게 재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좌ㆍ우 내측면 및 상기 구획벽의 양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각각 배설된 지지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의 천정 중앙에 설치되어 농수산물을 건조시킨 고온다습의 공기를 흡입하여 습기를 응축시켜서 건조한 고온 공기를 상기 건조공간내의 양측 벽에 설치된 덕트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건조공간내로 분출하는 습기탈취 및 온기공급유닛과, 상기 습기탈취 및 온기공급유닛에서 응축된 결로수를 수집하는 결로수 수집용기와, 상기 결로수 수집용기에 일측이 접속되어 수집된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농ㆍ수산물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농ㆍ수산물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색상 및 영양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농ㆍ수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농ㆍ수산물의 건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기 시(비가 올 경우)에도 농ㆍ수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자연건조 방식에 비해서 건조대상물인 농,수산물이 날씨와 상관없이 건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건조대상물이 회전되거나 이송됨 없이 건조 용기 내에 담겨져 정지 상태로 건조됨에 따라 건조대상물 전체가 골고루 건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건조가 종료된 후 건조대상물을 지속적으로 교체해 줘야 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건조작업이 실시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절 가공된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갈조류(brown algae, 褐藻類)를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에 투입시켜 건조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열풍에 의해 가열되어 자체적으로 발열 됨과 동시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유동관이 구비되어 있어 갈조류가 열기와 열풍에 의해 이중으로 건조될 수 있으며, 원통부재의 내부에는 다수의 연장돌기가 토출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갈조류가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10시~11시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추락 됨에 따라 토출구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 처리될 수 있으며, 열풍유동관이 유입구 측에서 유출구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전방에서 후방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어 분사구를 통해 동일한 양의 열풍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갈조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다이와, 상기 베이스다이 일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전의 갈조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제 1 고정몸체와, 상기 베이스다이 타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후의 갈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 제 2 고정몸체와, 상기 제 1 고정몸체와 제 2 고정몸체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갈조류가 상기 토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원통부재와, 상기 베이스다이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재와 연결되어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원통부재를 연속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고 내부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몸체 및 제 2 고정몸체에 그 양단이 고정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 내에서 이송되는 갈조류의 건조에 필요한 열기가 공급되는 열풍유동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입구에는 열풍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발생장치와 연결된 유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에는 상기 열풍유동관 내에서 유동 된 열풍이 상기 열풍발생장치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발생장치와 연결된 순환관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통부재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연장돌기가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10° 내지 12°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장돌기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의 갈조류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재의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추락되며 이송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통부재의 외주연에는 일정 간격마다 환형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다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 내에 면접되어 상기 원통부재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롤러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다이의 하부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축 상에 제 1 기어가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기어, 제 3 기어 및 제 4 기어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원통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 중, 일측의 롤러부재와 동일 축 상에 구비되는 제 5 기어와, 상기 원통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 중, 타측의 롤러부재와 동일 축 상에 구비되는 제 6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 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체인과, 상기 3 기어와 5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일측의 롤러부재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체인과, 상기 4 기어와 6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타측의 롤러부재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 3 체인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풍유동관의 하부에는 유입된 열풍이 상기 공간부의 갈조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열풍유동관은 상기 유입구 측에서 유출구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3단계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내로 유입된 열풍이 상기 유출구 측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어 상기 분사구를 통해 동일한 양의 열풍이 분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풍유동관은 그 내부로 유동되는 열풍에 의해 발열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재로부터 추락되는 갈조류가 쌓이지 않도록 고깔 형태의 갓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다이의 하단에는 수평조절용 나사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입구는 갈조류가 자중에 의해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고정몸체로부터 상기 공간부의 하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고정몸체 상에는 상기 공간부 내의 온도가 측정될 수 있도록 온도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몸체 측에는 상기 제 2 고정몸체 내부 세척이 가능하도록 청소구가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는 첫째, 세절 가공된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갈조류(brown algae, 褐藻類)를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에 투입시켜 건조되도록 하되, 내부에는 열풍에 의해 가열되어 자체적으로 발열 됨과 동시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유동관이 구비되어 있어 갈조류가 열기와 열풍에 의해 이중으로 건조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원통부재의 내부에는 다수의 연장돌기가 토출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갈조류가 회전되는 원통부재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10시~11시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추락 됨에 따라 토출구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 처리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열풍유동관이 유입구 측에서 유출구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전방에서 후방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어 분사구를 통해 동일한 양의 열풍이 분사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작동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작동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1)는 베이스다이(10)와, 상기 베이스다이(10) 일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전의 갈조류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출되는 유출구(22)가 구비된 제 1 고정몸체(20)와, 상기 베이스다이(10) 타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후의 갈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32)가 구비된 제 2 고정몸체(30)와, 상기 제 1 고정몸체(20)와 제 2 고정몸체(30)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는 공간부(41)가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투입구(21)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구(31)와 연통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된 갈조류가 상기 토출구(31) 측으로 이송되는 원통부재(40)와, 상기 베이스다이(10)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재(40)와 연결되어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원통부재(40)를 연속 회전시키는 구동수단(50)과, 상기 공간부(41) 내에 위치되고 내부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몸체(20) 및 제 2 고정몸체(30)에 그 양단이 고정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유출구(22)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구(32)와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41) 내에서 이송되는 갈조류의 건조에 필요한 열기가 공급되는 열풍유동관(6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베이스다이(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판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다리들이 수직방향으로 기립 설치된다. 이때 지지다리의 하단에는 전체 베이스다이(1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용 나사부재(11)가 구비된다. 이 수평조절용 나사부재(11)는 기본적으로는 베이스다이(10)가 지면과 수평이 유지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필요에 따라 베이스다이(10)가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의 구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설명될 원통부재(40) 내부의 갈조류가 전방의 토출구(31)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베이스다이(10) 양측에는 다수 개의 롤러부재(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롤러부재(12)는 설치 위치에 따라 원통부재(40)가 회전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과, 단순히 원통부재(40)가 베이스다이(10) 상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전술한 롤러부재(12)는 추후에 설명될 제 1 고정몸체(20) 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역시 추후에 설명될 제 2 고정몸체(30) 측에 또 한 쌍이 설치되며 그 중간 위치에 나머지 한 쌍이 설치된다. 이때 제 2 고정몸체(30)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12)는 추후에 설명될 구동수단(50)과 치합되어 구동수단(50)의 구동력을 원통부재(4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나머지 두 쌍의 롤러부재(12)는 원통부재(40)의 원활한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물론 제 2 고정몸체(30)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12) 또한 원통부재(40)에 면접 회전되는바 원통부재(40)의 원활한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 또한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다이(10) 일단에는 제 1 고정몸체(20)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 제 1 고정몸체(20)는 원통부재(4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갈조류가 투입됨과 동시에 열풍이 유출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1 고정몸체(20)의 일측에는 건조 전의 갈조류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출되는 유출구(22)가 구비된다.
이때 전술한 투입구(21)는 투입되는 갈조류가 자중에 의해 원통부재(40)의 공간부(41) 내로 용이하게 미끄러지며 투입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몸체(20)로부터 공간부(41)의 하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유출구(22)에는 열풍유동관(60) 내에서 유동 된 열풍이 열풍발생장치(70)로 순환될 수 있도록 열풍발생장치(70)와 연결된 순환관(72)이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하되, 전술한 열풍발생장치(70)는 종래기술에 따른 열풍발생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고정몸체(20) 상에는 공간부(41) 내의 온도가 측정될 수 있도록 온도계(23)가 설치되며, 작업자는 이 온도계(23)를 확인해 가면서 열풍발생장치(7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다이(10)의 타단에는 제 2 고정몸체(30)가 설치되는데, 이 제 2 고정몸체(30)는 전술한 제 1 고정몸체(20)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원통부재(4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서 건조된 갈조류가 토출됨과 동시에 열풍이 유입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2 고정몸체(30)의 일측에는 건조 후의 갈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32)가 구비된다.
이때 전술한 유입구(32)에는 열풍발생장치(70)로부터 발생된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열풍발생장치(70)와 연결된 유입관(71)이 연결되고 내부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청소구(33)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고정몸체(20) 및 제 2 고정몸체(30) 사이에는 원통부재(4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원통부재(40)는 회전에 의해 투입구(21) 내로 투입된 갈조류를 토출구(31) 측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그 내부로 공급되는 열기와 열풍을 이용해 갈조류가 건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통부재(40)는 전술한 제 1 고정몸체(20)와 제 2 고정몸체(30)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는 공간부(41)가 형성되되 일단은 투입구(21)와 연통되고 타단은 토출구(31)와 연통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투입구(21)로 투입된 갈조류가 토출구(31) 측으로 이송 처리된다.
이와 같은 원통부재(40)의 외주연에는 전술한 롤러부재(12)와 면접되는 가이드 돌기(43)가 일정 간격마다 돌출 구비되고, 내주연에는 다수의 연장돌기(42)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가이드 돌기(43)는 롤러부재(12)가 이동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전술한 연장돌기(42)는 갈조류가 원통부재(40) 내벽에 달라붙지 않고 토출구(31) 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전술한 연장돌기(42)는 제 2 고정몸체(30)의 토출구(31) 방향으로 10° 내지 12°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연장돌기(42)에 의해 공간부(41) 내의 갈조류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재(40)의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10시~11시 방향에서 토출구(3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추락 되며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다이(10) 일측에는 구동수단(50)이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구동수단(50)은 전술한 원통부재(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50)은, 베이스다이(10)의 하부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축 상에 제 1 기어(52)가 구비되는 구동모터(51)와, 구동모터(5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기어(53-1), 제 3 기어(53-2) 및 제 4 기어(53-3)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회전축(53)과, 원통부재(4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12) 중, 일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 축 상에 구비되는 제 5 기어(54)와, 원통부재(4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12) 중, 타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 축 상에 구비되는 제 6 기어(55)와, 제 1 기어(52)와 제 2 기어(53-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51)의 구동력이 회전축(53) 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체인(56)과, 3 기어와 5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축(53)의 회전력을 일측의 롤러부재(12)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체인(57)과, 4 기어와 6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축(53)의 회전력을 타측의 롤러부재(12)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 3 체인(58)이 포함된다.
즉, 전술한 구동모터(51)가 작동되어 제 1 기어(52)가 회전되면 제 2 기어(53-1)와 제 1 체인(56)에 의해 연결된 회전축(53)이 함께 회전되고, 회전축(53) 상에 설치된 제 3 기어(53-2) 및 제 4 기어(53-3) 또한 회전되면서 전술한 제 3 기어(53-2)와 제 2 체인(57)에 의해 연결된 제 5 기어(54)가 회전되고, 마찬가지로 전술한 제 4 기어(53-3)와 제 3 체인(58)에 의해 연결된 제 6 기어(55)가 회전된다. 이때 전술한 제 5 기어(54)는 원통부재(40)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롤러부재(12) 중에서 일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한 회전축(53)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제 6 기어(55)는 타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한 회전축(53) 상에 설치되어 있는바 구동모터(51)의 구동력이 양측 롤러부재(12)에 전달되게 되고 회전되는 롤러부재(12)에 의해서 원통부재(40)가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롤러부재(12)와 가이드 돌기(43) 상에 기어돌기가 돌출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지만 구동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롤러부재(12) 및 가이드 돌기(43) 상에 상호 치합 가능한 기어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공간부(41) 내에는 열풍유동관(60)이 고정 설치되는데, 이 열풍유동관(60)은 열풍발생장치(70)로부터 유입된 열풍이 유동되면서 그 열기가 공간부(41) 내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부의 열풍은 공간부(41) 내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풍유동관(60)은 전술한 공간부(41) 내에 위치되고 내부는 관통 형성되며 제 1 고정몸체(20) 및 제 2 고정몸체(30)에 그 양단이 고정 연결되되 일단은 유출구(22)와 연통되고 타단은 유입구(32)와 연통되어 공간부(41) 내에서 이송되는 갈조류의 건조에 필요한 열기가 공급된다. 이때 전술한 열풍유동관(60)의 하부에는 유입된 열풍이 공간부(41)의 갈조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61)가 관통 형성되되, 열풍유동관(60)은 유입구(32) 측에서 유출구(22)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3단계로 구분 형성되며 유입구(32) 내로 유입된 열풍이 유출구(22) 측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어 분사구(61)를 통해 동일한 양의 열풍이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열풍유동관(60)은 그 내부로 유동되는 열풍에 의해 발열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회전되는 원통부재(40)로부터 추락되는 갈조류가 쌓이지 않도록 고깔 형태의 갓 부재(6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즉, 유입구(32)로 유입된 열풍은 유출구(22)로 유출될 때까지 열풍유동관(60) 내부에서 유동되며 금속재질인 열풍유동관(60)이 뜨겁게 데워지도록 하고, 열풍 중에서 일부는 분사구(61)를 통해서 공간부(41) 내부로 분사된다. 동시에 회전되는 원통부재(40) 내부의 갈조류는 10시에서 11시 방항에서 하측으로 연속 추락되며 열풍유동관(6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와 분사구(61)를 통해 분사되는 열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건조된다. 이때 전술한 분사구(61)는 3단계로 형성되는 열풍유동관(60) 구간 중에서 그 내경이 가장 작은 유출구(22) 측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두 구간에만 형성되며, 유입구(32)에서 유출구(22)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짐에 따라 열풍은 열풍유동관(60) 내에서 동일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갈조류 건조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풍발생장치(70)로부터 발생된 열풍은 유입관(71)과 유입구(32)를 통해 열풍유동관(60) 내로 유입되고 열풍유동관(60) 내부의 열풍 중에서 일부는 분사구(61)를 통해 공간부(41) 내로 분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유출구(22)와 순환관(72)을 통해 열풍발생장치(70)로 순환된다.
그런 다음 전술한 구동모터(51)가 작동되어 제 1 기어(52)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제 2 기어(53-1)와 제 1 체인(56)에 의해 연결된 회전축(53)이 함께 회전되고, 회전축(53) 상에 설치된 제 3 기어(53-2) 및 제 4 기어(53-3) 또한 회전되면서 전술한 제 3 기어(53-2)와 제 2 체인(57)에 의해 연결된 제 5 기어(54)가 회전되고, 마찬가지로 전술한 제 4 기어(53-3)와 제 3 체인(58)에 의해 연결된 제 6 기어(55)가 회전된다. 이때 전술한 제 5 기어(54)는 원통부재(40)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롤러부재(12) 중에서 일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한 회전축(53)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제 6 기어(55)는 타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한 회전축(53) 상에 설치되어 있는바 구동모터(51)의 구동력이 양측 롤러부재(12)에 전달되게 되고 회전되는 롤러부재(12)에 의해서 원통부재(40)가 일체로 회전된다.
그런 다음 세절 된 갈조류가 투입구(21)를 통해 회전되는 원통부재(40)의 공간부(41) 내로 투입되고, 투입된 갈조류는 연장돌기(42)에 의해 원통부재(40)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상승과 추락을 반복하면서 토출구(31) 측으로 점차 이송된다. 이때 열풍유동관(60)이 내부로 유동되는 열풍에 의해 뜨겁게 가열되면서 그 열기가 공간부(41) 내로 공급되고, 동시에 분사구(61)를 통해 열풍이 직접 공급되면서 갈조류가 효과적으로 이중 건조 처리된다.
공간부(41) 내에서 이송이 완료되어 완전 건조된 갈조류는 토출구(31)를 통해서 외부로 토출되어 추후 가공단계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건조처리는 1회로 종료될 수도 있으며 투입되는 갈조류의 양이나 건조상태에 따라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갈조류 건조장치 10 : 베이스다이
11 : 수평조절용 나사부재 12 : 롤러부재
20 : 제 1 고정몸체 21 : 투입구
22 : 유출구 23 : 온도계
30 : 제 2 고정몸체 31 : 토출구
32 : 유입구 33 : 청소구
40 : 원통부재 41 : 공간부
42 : 연장돌기 43 : 가이드 돌기
50 : 구동수단 51 : 구동모터
52 : 제 1 기어 53 : 회전축
53-1 : 제 2 기어 53-2 : 제 3 기어
53-3 : 제 4 기어 54 : 제 5 기어
55 : 제 6 기어 56 : 제 1 체인
57 : 제 2 체인 58 : 제 3 체인
60 : 열풍유동관 61 : 분사구
62 : 갓 부재 70 : 열풍발생장치
71 : 유입관 72 : 순환관
11 : 수평조절용 나사부재 12 : 롤러부재
20 : 제 1 고정몸체 21 : 투입구
22 : 유출구 23 : 온도계
30 : 제 2 고정몸체 31 : 토출구
32 : 유입구 33 : 청소구
40 : 원통부재 41 : 공간부
42 : 연장돌기 43 : 가이드 돌기
50 : 구동수단 51 : 구동모터
52 : 제 1 기어 53 : 회전축
53-1 : 제 2 기어 53-2 : 제 3 기어
53-3 : 제 4 기어 54 : 제 5 기어
55 : 제 6 기어 56 : 제 1 체인
57 : 제 2 체인 58 : 제 3 체인
60 : 열풍유동관 61 : 분사구
62 : 갓 부재 70 : 열풍발생장치
71 : 유입관 72 : 순환관
Claims (10)
- 베이스다이(10);
상기 베이스다이(10) 일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전의 갈조류가 투입되는 투입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출되는 유출구(22)가 구비된 제 1 고정몸체(20);
상기 베이스다이(10) 타단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는 건조 후의 갈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유입구(32)가 구비된 제 2 고정몸체(30);
상기 제 1 고정몸체(20)와 제 2 고정몸체(30)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는 공간부(41)가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투입구(21)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토출구(31)와 연통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투입구(21)로 투입된 갈조류가 상기 토출구(31) 측으로 이송되는 원통부재(40);
상기 베이스다이(10)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재(40)와 연결되어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원통부재(40)를 연속 회전시키는 구동수단(50); 및
상기 공간부(41) 내에 위치되고 내부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몸체(20) 및 제 2 고정몸체(30)에 그 양단이 고정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유출구(22)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구(32)와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41) 내에서 이송되는 갈조류의 건조에 필요한 열기가 공급되는 열풍유동관(6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2)에는 열풍발생장치(70)로부터 발생된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발생장치(70)와 연결된 유입관(71)이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22)에는 상기 열풍유동관(60) 내에서 유동 된 열풍이 상기 열풍발생장치(70)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발생장치(70)와 연결된 순환관(7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재(4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연장돌기(42)가 상기 토출구(31) 방향으로 10° 내지 12°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장돌기(42)에 의해 상기 공간부(41) 내의 갈조류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재(40)의 내주연에 달라붙지 않고 상기 토출구(3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추락되며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재(40)의 외주연에는 일정 간격마다 환형의 가이드 돌기(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다이(10)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 내에 면접되어 상기 원통부재(4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롤러부재(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베이스다이(10)의 하부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축 상에 제 1 기어(52)가 구비되는 구동모터(51);
상기 구동모터(5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기어(53-1), 제 3 기어(53-2) 및 제 4 기어(53-3)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회전축(53);
상기 원통부재(4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12) 중, 일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 축 상에 구비되는 제 5 기어(54);
상기 원통부재(4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부재(12) 중, 타측의 롤러부재(12)와 동일 축 상에 구비되는 제 6 기어(55);
상기 제 1 기어(52)와 제 2 기어(53-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51)의 구동력이 상기 회전축(53) 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체인(56);
상기 3 기어와 5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53)의 회전력을 상기 일측의 롤러부재(12)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체인(57); 및
상기 4 기어와 6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53)의 회전력을 상기 타측의 롤러부재(12)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 3 체인(58)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관(60)의 하부에는 유입된 열풍이 상기 공간부(41)의 갈조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구(61)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열풍유동관(60)은 상기 유입구(32) 측에서 유출구(22) 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3단계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32) 내로 유입된 열풍이 상기 유출구(22) 측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 될 수 있어 상기 분사구(61)를 통해 동일한 양의 열풍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동관(60)은 그 내부로 유동되는 열풍에 의해 발열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회전되는 상기 원통부재(40)로부터 추락되는 갈조류가 쌓이지 않도록 고깔 형태의 갓 부재(6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다이(10)의 하단에는 수평조절용 나사부재(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는 갈조류가 자중에 의해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고정몸체(20)로부터 상기 공간부(41)의 하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몸체(20) 상에는 상기 공간부(41) 내의 온도가 측정될 수 있도록 온도계(23)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몸체(30) 측에는 상기 제 2 고정몸체(30) 내부 세척이 가능하도록 청소구(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조류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797A KR101409135B1 (ko) | 2013-05-06 | 2013-05-06 | 갈조류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797A KR101409135B1 (ko) | 2013-05-06 | 2013-05-06 | 갈조류 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9135B1 true KR101409135B1 (ko) | 2014-07-02 |
Family
ID=5174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0797A KR101409135B1 (ko) | 2013-05-06 | 2013-05-06 | 갈조류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13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88760A1 (ko) * | 2016-04-29 | 2017-11-02 | 주식회사 홀그레인 | 녹색 통곡물의 전처리 건조를 위한 회전식 건조장치 |
CN108991560A (zh) * | 2018-06-21 | 2018-12-14 | 林泽和 | 基于滚动作用而达到初步震荡的冰糖雪梨烘烤装置 |
CN113819725A (zh) * | 2021-11-02 | 2021-12-21 |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 一种具备排湿功能的果蔬干燥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693U (ko) * | 1989-06-07 | 1991-01-21 | ||
JP2000245405A (ja) | 1999-03-05 | 2000-09-12 | Wataee:Kk | 海苔の焼加工方法及び装置 |
KR200335279Y1 (ko) | 2003-09-23 | 2003-12-06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감자세척 건조장치 |
KR100668533B1 (ko) | 2005-07-05 | 2007-01-12 | 주식회사 푸르메 | 곡물세척기 |
-
2013
- 2013-05-06 KR KR1020130050797A patent/KR1014091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693U (ko) * | 1989-06-07 | 1991-01-21 | ||
JP2000245405A (ja) | 1999-03-05 | 2000-09-12 | Wataee:Kk | 海苔の焼加工方法及び装置 |
KR200335279Y1 (ko) | 2003-09-23 | 2003-12-06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감자세척 건조장치 |
KR100668533B1 (ko) | 2005-07-05 | 2007-01-12 | 주식회사 푸르메 | 곡물세척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88760A1 (ko) * | 2016-04-29 | 2017-11-02 | 주식회사 홀그레인 | 녹색 통곡물의 전처리 건조를 위한 회전식 건조장치 |
CN108991560A (zh) * | 2018-06-21 | 2018-12-14 | 林泽和 | 基于滚动作用而达到初步震荡的冰糖雪梨烘烤装置 |
CN108991560B (zh) * | 2018-06-21 | 2021-10-12 | 淮北朗泰机械科技有限公司 | 基于滚动作用而达到初步震荡的冰糖雪梨烘烤装置 |
CN113819725A (zh) * | 2021-11-02 | 2021-12-21 |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 一种具备排湿功能的果蔬干燥设备 |
CN113819725B (zh) * | 2021-11-02 | 2022-04-12 |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 一种具备排湿功能的果蔬干燥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46015B (zh) | 用於擠壓系統的改進式預調節器以及處理食物或飼料材料之方法 | |
KR101558836B1 (ko) | 오파란 처리기 | |
KR101409135B1 (ko) | 갈조류 건조장치 | |
CN208286148U (zh) | 一种畜牧养殖用喂食装置 | |
CN108617960B (zh) | 一种玉米面生产用设备 | |
CN105163838B (zh) | 锥形桶式双轴预处理机 | |
EP0743497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 food granuleslurry | |
CN206498912U (zh) | 一种竹笋脱壳装置 | |
CN108901886A (zh) | 一种畜牧业养殖用具有定量给料功能的喂水喂食装置 | |
CN107629944A (zh) | 一种沼气生成方法 | |
CN108208874A (zh) | 一种大豆水洗去杂烘干装置 | |
KR102235240B1 (ko) | 맥아 발아건조기 | |
CN104770694B (zh) | 利用马铃薯冲调粉造粒设备进行造粒的方法 | |
CN109497583A (zh) | 一种带清洗功能的葡萄加工处理设备 | |
CN109430818B (zh) | 一种大球盖菇加工设备 | |
CN209612715U (zh) | 一种食品加工快速研磨搅拌装置 | |
CN208786551U (zh) | 一种畜牧用饲料粉碎装置 | |
CN203353411U (zh) | 鸡蛋刷洗及烘干器 | |
CN210399838U (zh) | 一种食品加工烘干系统 | |
CN209108170U (zh) | 一种畜牧养殖场用的消毒装置 | |
CN112006127A (zh) | 一种可调温度的茶叶烘干设备及其使用方法 | |
CN109805356A (zh) | 一种脱水食用菌用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 |
CN219244152U (zh) | 一种生物制药行业用的热风循环风干装置 | |
KR101397618B1 (ko) | 초미세 기포를 이용한 건강차 제조방법과 이에 의한 건강차 제조장치 | |
CN110179055A (zh) | 一种营养挂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