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692B1 -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 Google Patents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692B1
KR101408692B1 KR1020120064348A KR20120064348A KR101408692B1 KR 101408692 B1 KR101408692 B1 KR 101408692B1 KR 1020120064348 A KR1020120064348 A KR 1020120064348A KR 20120064348 A KR20120064348 A KR 20120064348A KR 101408692 B1 KR101408692 B1 KR 101408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insole body
tracking function
position trac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162A (ko
Inventor
강경태
Original Assignee
(주)핼릭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핼릭스케어 filed Critical (주)핼릭스케어
Priority to KR102012006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6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정신지체자 및 치매 환자와 같이 스스로 의사표현이 불가능하거나 여성과 같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피보호자의 위치확인을 통해 조난, 사고, 납치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제공한다. 이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갑피(100)와 아웃솔(110)을 구비하는 신발과 분리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발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갑피(100)내에 넣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인솔이 위치추적 기능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의 필요에 따라 신발을 선택하여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을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의 극대화를 통해 위치확인 기능의 부여에 따른 부담비용을 낮추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INSOLE WITH POSITION PURSUIT FUNCTION}
본 발명은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정신지체자 및 치매 환자와 같이 스스로 의사표현이 불가능하거나 여성과 같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피보호자의 위치확인을 통해 조난, 사고, 납치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신발은 착용감을 좋게 하거나 충격흡수성을 높이는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 선보이고 있다. 특히, GPS 기술과 이동통신 기술 등을 적용한 위치추적 기능을 통해 유아 등의 미아발생사고를 줄이고 유아에게 긴급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15517호 "신발에 부착되는 위치추적용 발신장치"는 장치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태양전지 혹은 압전소자 발전기와 상기 에너지 공급원에서 발생된 여분의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발진주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발진주기 조정수단과 발진주기 조정수단에서 출력되는 주기 제어신호에 따라 발신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신자의 코드 및 상태정보를 변조/증폭하여 위치추적 시스템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장치가 신발의 특정부위에 설치되는 위치추적 발신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24738호 "위치추적이 되는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은 신발과; 상기 신발의 일측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위성이나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와; 위치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위치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되는 위치발신부와; 상기 위치발신부에 연동되며,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내장하고 신발내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신발의 교체시 교체된 신발에 장착되어 별도의 설정없이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식별모듈부와; 상기 신발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80672호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시스템"은 지체 장애인이나 고령의 노인 등이 생활하는 실내의 바닥에 좌표 정보를 포함한 RFID 태그를 다수 설치하고,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신발을 신은 위치 추적 대상자가 이동하면, RFID 리더기에 의해 바닥에 설치된 RFID 태그의 좌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대상자의 현재 위치나 이동 경로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사한 기술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00763호 "휴대용 위치정보 발신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신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99776호 "미아방지용 신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16874호 "GPS 모듈이 설치된 신발", 공개번호 제10-2011-0071728호 "인솔형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위치확인을 위한 구성이 신발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호환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기술들에 따른 신발은 위치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신발의 아웃솔, 중창, 갑피에 설치되고 있어 하나의 신발에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치확인 기능을 부여한 신발은 가격이 높게 되는데, 하나의 신발에 국한되어 사용되게 되므로 보호자의 가격 부담문제가 있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성장과 함께 주기적으로 신발을 교환해주어야 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위치확인 기능을 부여한 신발은 가격부담이 높은 문제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유아, 정신지체자 및 치매 환자와 같이 스스로 의사표현이 불가능하거나 여성과 같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피보호자의 위치확인을 통해 조난, 사고, 납치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확인 기능을 인솔에 적용함으로써 신발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설치면적이 제한적인 인솔에 사용자의 위치확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면서도 인솔의 기본적인 쿠션 기능과 지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의 다른 요소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솔의 휴대성과 같은 장점을 극대화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갑피(100)와 아웃솔(110)을 구비하는 신발과 분리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발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갑피(100)내에 넣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인솔에 있어서, 하면(14)과 상면(16)을 갖는 인솔 몸체(12)와; 상기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위치 송신 모듈(20)과; 상기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40)와;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에 설치되는 스위치(50) 및;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4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에 설치되는 충전 어댑터(6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에서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는 사용자의 발뒷굼치가 닿는 상기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은 상기 인솔 몸체(12)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의 하면(14)으로 상기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결합되는 힐컵(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은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는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결합되는 상하쿠션(80, 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에 의하면, 갑피(100)와 아웃솔(110)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신발과 분리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되는 인솔에 위치추적(확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이 일체로 설치됨으로 보호자 또는 피보호자의 필요에 따라 신발을 선택하여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을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의 극대화를 통해 위치확인 기능의 부여에 따른 부담비용을 낮추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배치시키고, 휠컵(70) 또는/및 상하쿠션(80, 90)을 통해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보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위치확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면서도 인솔의 기본적인 쿠션 기능과 지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충전 배터리(40)를 적용하여 충전 어댑터(60)를 통해 필요시 장소에 관계없이 충전가능하도록 하고, 스위치(50)를 통해 미사용시 오프시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다른 요소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솔의 특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의 사용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바닥면으로 향하게 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의 사용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갑피(100)와 아웃솔(110; out sole)을 구비하는 신발과 분리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발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갑피(100)내에 넣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인솔이 위치추적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유아, 정신지체자 및 치매 환자와 같이 스스로 의사표현이 불가능하거나 여성과 같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피보호자의 위치확인을 통해 조난, 사고, 납치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신발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호환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여 위치추적 기능의 구현으로 인한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낮추고, 종래기술에서 신발의 교체로 인한 위치추적 기능의 재사용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인솔 몸체(12)에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를 설치하여 사용자(피보호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인솔 몸체(12)는 하면(14)과 상면(16)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솔 몸체(12)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쿠션 기능과 항균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위치 송신 모듈(20)은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위치 송신 모듈(20)은 이미 이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기술{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위치추적장치}이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충전 배터리(40)와 충전 어댑터(60)는 신발의 다른 요소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솔의 특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의 편의함을 증가시킨다. 즉, 일반 건전지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건전지 교환의 부담 및 장치 크기의 증가를 줄이고, 사용자가 필요시 장소에 관계없이 충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정뿐만아니라 야외에서도 언제든지 충전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는 것이다. 이때, 충전 배터리(40)는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위치 송신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어댑터(60)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충전 배터리(4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인솔 몸체(12)에 설치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충전 어댑터(60)는 일반적으로 외부 전원을 접속시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휴대형 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50)를 통해 미사용시 오프시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50)는 위치 송신 모듈(20)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인솔 몸체(12)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가 사용자의 발뒷굼치가 닿는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설치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발뒷굼치가 닿는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은 사용자의 발 앞부분이 닿는 인솔 몸체(12)의 앞측 영역(S2)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높게 가져갈 수 있어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들로 인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과 같이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은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휠컵(70)을 적용하고, 뒤측 영역(S1)의 공간을 활용해서 쿠션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인솔의 기본 기능인 완충 및 지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들로 인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갑피(100)와 아웃솔(110)을 구비하는 신발과 분리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발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갑피(100)내에 넣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받치도록 형성된다. 이때, 신발은 일반적인 신발과 같이 갑피(100)내에서 아웃솔(110)상에 다양한 형태의 미드솔(mid sole; 120)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솔(10)은 신발의 사이즈에 맞게 다양한 길이와 크기를 갖도록 제공되거나 사용자의 발 크기에 맞추어 가위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큰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인솔의 구성 및 제조방법, 위치확인(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및 전자 회로의 구성 및 작용 등 종래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바닥면으로 향하게 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인솔 몸체(12)에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충전 어댑터(60), 힐컵(70) 및 상하쿠션(80, 90)을 설치하여 사용자(피보호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갑피(100)와 아웃솔(110; out sole)을 구비하는 신발과 분리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발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갑피(100)내에 넣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받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아, 정신지체자 및 치매 환자와 같이 스스로 의사표현이 불가능하거나 여성과 같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피보호자의 위치확인을 통해 조난, 사고, 납치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인솔 몸체(12)는 하면(14)과 상면(16)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16)에는 통기성과 수분의 흡수성이 뛰어나고 항균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천 형태의 원단(18)이 부착된다. 인솔 몸체(12)는 일반적으로 인솔의 형성시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EVA, 우레탄 소재 등으로 성형용 금형에 의해 발포성형되어 형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인솔 몸체(12)의 소재 및 제조방법은 이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는 기술이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인솔 몸체(12)는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충전 어댑터(60)}, 힐컵(70) 및 상하쿠션(80, 90)이 결합되는 뒤측 영역(S1)에 인솔(12)의 하면(14)의 두께가 낮아지는 절개면(11)을 형성하여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및 상하쿠션(80, 90)이 결합됨으로써 발생되는 두께의 증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절개면(11)을 통해, 도 5 및 도 6과 같이, 접착공정시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과 상하쿠션(80, 90)의 조립체를 작업자가 쉽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솔 몸체(12)에 부착시키기 전에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과 상하쿠션(80, 90)을 조립하여 조립체를 형성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용 금형에 인솔 몸체(12)를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과 상하쿠션(80, 90)의 조립체를 인솔 몸체(12)상에 놓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절개면(11)의 전단에 형성되는 턱을 기준으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에서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은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위치 송신 모듈(20)은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위치 송신 모듈(20)은 이미 이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기술이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위치 송신 모듈(20)에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송신하도록 하기 위해 통신을 위한 안테나, 피보호자의 식별코드(전화번호 등)를 저장하는 구성, GPS 위성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좌표를 계산하기 위한 구성, 계산된 위치좌표를 이동통신망과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구성 등이 구비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충전 배터리(40)는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위치 송신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어댑터(60)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충전 배터리(4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접속단자(62)가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인솔 몸체(12)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충전 배터리(40)와 충전 어댑터(60)는 일반 건전지를 사용하는 종래기술보다 신발의 다른 요소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솔의 특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의 편의함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에에서 스위치(50)는 위치 송신 모듈(20)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작동자(52)가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인솔 몸체(12)에 설치되어 미사용시 오프시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힐컵(70) 및 상하쿠션(80, 90)을 설치하여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인솔의 기본 기능인 완충 및 지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들로 인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가 사용자의 발뒷굼치가 닿는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가 상하로 배치되어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결합되는 상하쿠션(80, 90)에 의해 감싸진 후, 힐컵(70)에 의해 보호되도록 한다.
이때, 힐컵(70; heel cup)은 인솔 몸체(12)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인솔 몸체(12)의 하면(14)으로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힐컵(70)은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되는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를 상하쿠션(80, 90)을 감싸 이루어지는 조립체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인솔 몸체(12)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발뒤굼치를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과 상하쿠션(80, 90)의 조립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상하쿠션(80, 90)을 통해 위치추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인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를 보호하고, 이들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며, 이들이 인솔 몸체(12)에 삽입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상하쿠션(80, 9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가 위치되도록 조립홈(92)을 형성하여,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솔 몸체(12)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하여 관리 및 조립의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10)은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서 상하쿠션(80, 90)과 휠컵(70)을 적용하여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인솔의 기본 기능인 완충 및 지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위치추적 기능을 위한 구성들로 인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12 : 인솔 몸체 14 : (인솔 몸체) 하면
16 : (인솔 몸체) 상면 20 : 위치 송신 모듈
40 : 충전 배터리 50 : 스위치
60 : 충전 어댑터 70 : 힐컵
80 : 상 쿠션 90 : 하 쿠션
100 : 갑피 110 : 아웃솔
S1 : (인솔 몸체) 뒤측 영역 S2 : (인솔 몸체) 앞측 영역

Claims (4)

  1. 갑피(100)와 아웃솔(110)을 구비하는 신발과 분리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신발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갑피(100)내에 넣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인솔에 있어서,
    하면(14)과 상면(16)을 갖는 인솔 몸체(12)와;
    상기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고, 현재 위치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위치 송신 모듈(20)과;
    상기 인솔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40)와;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에 설치되고, 상기 인솔의 장착 또는 탈착시에 온/오프시킬수 있는 스위치(50) 및;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40)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솔 몸체(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에 설치되는 충전 어댑터(6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는 사용자의 발뒷굼치가 닿는 상기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솔 몸체(12)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의 하면(14)으로 상기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결합되는 힐컵(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 송신 모듈(20), 충전 배터리(40), 스위치(50) 및 충전 어댑터(60)는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인솔 몸체(12)의 뒤측 영역(S1)에 결합되는 상하쿠션(80, 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64348A 2012-06-15 2012-06-15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KR10140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48A KR101408692B1 (ko) 2012-06-15 2012-06-15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48A KR101408692B1 (ko) 2012-06-15 2012-06-15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62A KR20130141162A (ko) 2013-12-26
KR101408692B1 true KR101408692B1 (ko) 2014-06-17

Family

ID=4998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348A KR101408692B1 (ko) 2012-06-15 2012-06-15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425A (ko) * 2019-10-30 2021-05-10 (주) 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위치추적기능을 포함하는 신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529A (ko) * 2009-02-04 2010-08-12 (주)소노비젼 통신 기능을 갖는 신발 및 그를 이용한 운동정보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529A (ko) * 2009-02-04 2010-08-12 (주)소노비젼 통신 기능을 갖는 신발 및 그를 이용한 운동정보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62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27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 tracking device in a footwear insole
KR102006027B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US20120266493A1 (en) Footwear with Position Determination Unit
US9131745B2 (en) Footwear with embedded track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956753B2 (en) Tether apparatus
JP2016073366A (ja) 歩行による発電機能と無線通信および測位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機および無線通信機を中敷として用いた歩行者の位置監視システム
KR101408692B1 (ko)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인솔
KR101901739B1 (ko) 스마트신발용 위치추적모듈
CN202588456U (zh) 多功能gprs定位追踪定位鞋
KR100824738B1 (ko) 위치추적이 되는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CN203735549U (zh) 一种无线充电可控域监测鞋
KR101899362B1 (ko) 다기능 스마트 신발
WO2013061856A1 (ja) 靴に装着して用いる通報装置、靴に装着して用いる通報装置を搭載した靴、および通報システム
KR102064362B1 (ko) 패치형 센서모듈
CN106072974A (zh) 一种智能卫星定位鞋
KR102440038B1 (ko) 위치추적기능을 갖는 인솔
US89077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geographically distributed resources
JP3617001B2 (ja) 所在報知靴および靴における所在報知中敷
CN206729336U (zh) 一种能自动充电储电的定位鞋垫
CN209711671U (zh) 定位鞋
KR20100089529A (ko) 통신 기능을 갖는 신발 및 그를 이용한 운동정보 서비스 시스템
CN111869992A (zh) 一种带无线充电功能的多功能鞋垫
JP2014230062A (ja) Idタグ、靴、idタグシステム及びid情報送信方法
JP2019063421A (ja) ウェアラブル装置
CN213939875U (zh) 一种多功能智能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