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027B1 -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027B1
KR102006027B1 KR1020120126924A KR20120126924A KR102006027B1 KR 102006027 B1 KR102006027 B1 KR 102006027B1 KR 1020120126924 A KR1020120126924 A KR 1020120126924A KR 20120126924 A KR20120126924 A KR 20120126924A KR 102006027 B1 KR102006027 B1 KR 10200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window
secondary coil
ion generator
shoe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159A (ko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2012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027B1/ko
Priority to EP13191975.5A priority patent/EP2731228B1/en
Priority to US14/074,489 priority patent/US20140130381A1/en
Priority to CN201310552645.1A priority patent/CN103799610A/zh
Publication of KR2014006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electric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power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창; 상기 본창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착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상기 본창의 하면에 부착되는 뒷굽; 상기 착용공간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 발생기; 상기 본창, 상기 외피, 또는 상기 뒷굽에 내장되며 상기 이온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본창, 상기 외피, 또는 상기 뒷굽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이온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와 관련된 무선 충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WIRELESS CHARGEABLE SHOES AND WIRELESS CHARG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방식을 적용하여 배터리 교체 없이 발냄새 제거, 살균등 청결한 착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자의 발을 보호하는 신체 보호수단의 일종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로 항상 지면과 접촉하므로 발에서 분비되는 땀을 흡수하게 되고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그대로 노출되고 이를 쉽게 흡수하여 신발 내부는 항상 습하게 되고, 이와 같은 땀과 오염물질의 작용에 의해 각종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발생하며 사용자 신체에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신발은, 통풍성이 좋은 신발깔창을 사용하거나, 신발의 외피에 통풍구를 뚫어주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과 신발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통풍을 시켜주는 방법이 제기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신발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통풍을 시켜줌으로써 악취를 희석하여 다소간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는 미소한 효과만을 발휘할 뿐 원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한편, 위생적 기능구현을 위해 신발에 전자부품을 장착할 경우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데, 신발의 특성상 외부에서 전원의 공급이 곤란함에 따라 내부에 배터리를 탑재해야 한다.
통상 배터리는 사용시간에 제한이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주어야 함에 따라 유지관리가 불편하고 비용이 소모됨은 물론, 교체부위를 통해 외부에서 습기가 침투할 우려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발내의 악취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하며 배터리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이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은, 본창; 상기 본창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착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상기 본창의 하면에 부착되는 뒷굽; 상기 착용공간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 발생기; 상기 본창, 상기 외피, 또는 상기 뒷굽에 내장되며 상기 이온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본창, 상기 외피, 또는 상기 뒷굽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이온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상기 2차 코일, 상기 정류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뒷굽에 설치되고, 상기 뒷굽에는, 상기 2차 코일의 자기장이 상기 정류부 또는 상기 제어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 쉴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뒷굽과 상기 본창은 수밀되게 상호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은, 상기 본창 또는 외피에는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용을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온 발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착용 감지센서는, 상기 본창의 상면 중 상기 뒷굽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상기 이온 발생기의 동작을 소정 주기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뒷굽의 바닥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2차 코일은 제 1 서브 코일과, 상기 제 1 서브코일 위에 중첩 설치되는 제 2 서브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 충전 가능한 신발은, 상기 착용공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생체 정보 감지 센서; 상기 본창, 외피, 또는 뒷굽에 내장되며 상기 생체 정보 감지 센서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생체 정보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술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에 대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신발이 거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2차 코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1차 코일이 내장되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상술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에 대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신발이 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신발의 뒷굽이 삽입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2차 코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1차 코일이 내장되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의 착용공간에 이온 발생기를 탑재하여 착용공간의 악취체거는 물론 살균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항상 청결한 착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신발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교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배터리의 교체가 불필요해짐에 따라 완전 밀폐식으로 신발에 내장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누수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중 여성용 신발의 하이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에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에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의 일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100)은, 본창(20); 상기 본창(20)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착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10); 및 본창(20) 뒷부분에 부착된 뒷굽(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창(20)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이온 발생기(40)가 부착되고, 뒷굽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배터리(34)가 내장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온 발생기(40)가 본창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10)와 본창이 형성하는 수용공간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력 전송 수신 장치는, 후술하는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2차 코일(31)과 이 2차 코일(31)에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뒷굽(30)에는 상기 2차 코일(31)로부터의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34)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배터리(34)를 제어하여 상기 이온 발생기(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기판(33)과, 상기 2차 코일(31)의 위에 설치되어서, 누설 자기장이 기판이나 배터리(34)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는 차폐 쉴드(32)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2차 코일(31)은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 1 서브 코일과, 상기 제 1 서브코일 위에 종방향으로 중첩 설치되는 제 2 서브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굽의 단면넓이가 넓지 못해서, 충분한 사이즈의 2차 코일(31)을 만들기 힘든 경우에는 2개의 코일을 중첩 설치하여 무선 전력 신호의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꿈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압력 센서(60)가 부착되어서, 이온 발생기(40)의 온오프를 이 압력센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60)를 통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있다고 판단되면, 이온 발생기(40)의 동작을 정지하고, 신발을 벗고 있는 상태로 인식하면 이온 발생기(4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온 발생기(40)를 소정 주기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신발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압력센서가 이용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감지 센서가 외피 또는 본창에 설치되어서, 사용자의 신발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기판(33)과 이온 발생기(40)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성 회로 기판(50)이 이용될 수 있다. 신발은 사람이 걷거나 뛰게 될 때 본창(20)이 휘어지는데, 이 때 연성 회로 기판(50)을 이온 발생기(40)와 기판(33)의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본창(20)이 휘더라도 내구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배터리, 기판,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뒷굽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사용 양태등에 따라 본창이나 외피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중 여성용 신발의 하이힐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성용 신발인 하이힐의 경우, 수평 단면의 크기가 작은 반면 수직 단면의 크기는 크다. 이점을 고려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코일(31)을 하이힐의 뒷굽(30)의 측면에 수직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2차 코일(31)을 설치함으로써, 무선 전력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기에 대하여 도 4및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에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 제거 신발에 대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장치는 베이스부(200)의 주면 중 일부가 충전부(210)을 이루고, 이 충전부(210)의 아래에 1차 코일(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뒷굽(30)이 걸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부(200)의 일측으로부터 수직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20)이 형성되어서, 신발을 신발장에 넣는 경우,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보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경사진 상태에서도 1차 코일(211)과 2차 코일(31)이 밀착하므로 무선 충전 효율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에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여성용 신발인 하이힐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면에 충전부인 2차 코일(31)이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200)의 주면에 리세스부(240)를 형성하고, 이 리세스부(240)에 1차 코일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신발의 앞굽 부분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면(250)이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측면에 설치된 충전부인 2차 코일(31)과 1차 코일(211)을 밀접하게 유지시켜, 무선 충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신발은 2차 코일(31), 배터리(34), 압력 센서(60), 이온 발생기(40), 메모리(45), 생체 정보 감지 센서(70), 통신부(80) 및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동작중 전술한 내용을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맥박정보나 체온 정보등을 획득할 수 있는 생체 정보 감지센서(70)가 더 포함된다. 이 생체 감지 센서(70)는 신발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서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생체 정보는 메모리(45)에 저장된다, 제어부(33)는 이 메모리(45)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통신부(8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 예컨대, 착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나 기설정된 병원 서버등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생체 정보를 획득한 외부 전자기기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몸 상태를 검사하고, 만약 몸상태가 좋지 않다고 판단되면, 기저장된 착용자의 이메일정보나 핸드폰 정보를 이용하여 착용자에게 이를 알리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기능을 구비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신발을 보관할 때 편리하게 충전이 개시됨과 더불어서, 이온 발생기로 신발 내부를 살균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뽀송뽀송한 느낌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이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외피
20 : 본창
30 : 뒷굽
31 : 2차 코일
32 : 차폐쉴드
33 : 기판
34 : 배터리
40 : 이온 발생기
50 : 연성 회로 기판
60 : 압력 센서
70 : 생체 정보 감지 센서
200 : 베이스부
210 : 충전부
211 : 1차 코일
220 : 걸림턱
230 : 충전 표시부
240 : 리세스부
250 : 지지면

Claims (10)

  1. 본창;
    상기 본창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착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상기 본창의 하면에 부착되는 뒷굽;
    상기 착용공간에 구비되어 그 내부로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 발생기;
    상기 본창, 상기 외피, 또는 상기 뒷굽에 내장되며 상기 이온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본창, 상기 외피, 또는 상기 뒷굽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본창 또는 외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용을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이온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착용 감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온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상기 이온 발생기를 소정 주기로 동작시키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상기 2차 코일, 상기 정류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뒷굽에 설치되고,
    상기 뒷굽에는, 상기 2차 코일의 자기장이 상기 정류부 또는 상기 제어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 쉴드가 더 설치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굽과 상기 본창은 수밀되게 상호 부착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감지센서는, 상기 본창의 상면 중 상기 뒷굽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인 것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뒷굽의 바닥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은 제 1 서브 코일과, 상기 제 1 서브코일 위에 중첩 설치되는 제 2 서브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공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생체 정보 감지 센서;
    상기 본창, 외피, 또는 뒷굽에 내장되며 상기 생체 정보 감지 센서에서 상기 생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생체 정보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26924A 2012-11-09 2012-11-0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KR10200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24A KR102006027B1 (ko) 2012-11-09 2012-11-0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EP13191975.5A EP2731228B1 (en) 2012-11-09 2013-11-07 Footwear able to be wirelessly charged
US14/074,489 US20140130381A1 (en) 2012-11-09 2013-11-07 Footwear able to be wirelessly charg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used for the same
CN201310552645.1A CN103799610A (zh) 2012-11-09 2013-11-08 无线充电的鞋及适用于此的无线充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24A KR102006027B1 (ko) 2012-11-09 2012-11-0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159A KR20140060159A (ko) 2014-05-19
KR102006027B1 true KR102006027B1 (ko) 2019-07-31

Family

ID=4955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924A KR102006027B1 (ko) 2012-11-09 2012-11-0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130381A1 (ko)
EP (1) EP2731228B1 (ko)
KR (1) KR102006027B1 (ko)
CN (1) CN1037996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777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슈올즈 앱과 연동하는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1994B8 (en) 2012-08-31 2020-11-04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with sensors
US20160183628A1 (en) * 2014-12-30 2016-06-30 Clancy Usifoh Therapeutic vibration shoe device
US10439422B2 (en) * 2015-01-20 2019-10-08 David Singer Wireless power transfer to a medical computer cart
US10231505B2 (en) * 2015-05-28 2019-03-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a charg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4275535A3 (en) * 2015-05-29 2024-02-28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device with compact spool system
KR101690005B1 (ko) * 2015-08-21 2017-01-09 주식회사 제이드엠 오차범위 축소가 가능한 스마트신발의 위치추적시스템
KR20170110802A (ko) * 2016-03-24 2017-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5996287A (zh) * 2016-05-27 2016-10-12 张蜀军 一种智能灭菌的卫生鞋
AT518546B1 (de) 2016-09-27 2017-11-15 Stapptronics Gmbh Einlegesohle oder Schuhsohle
CN108695915A (zh) * 2017-04-07 2018-10-23 丁明照 一种可杀菌除臭的无线充电器
CN107242633A (zh) * 2017-06-04 2017-10-13 福建省晋江市陈埭江头茂泰橡塑厂 一种智能感知自动系带鞋及其方法
CN107242637A (zh) * 2017-08-09 2017-10-13 邵辉 一种内置鞋子的智能灭菌方法
US11382383B2 (en) 2019-02-11 2022-07-12 Brilliant Sole, Inc. Smart footwear with wireless charging
US11737507B1 (en) * 2022-10-28 2023-08-29 Th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Intelligent automated footwe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69Y1 (ko) * 2005-12-02 2006-03-13 김경현 발열수단이 내장된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501B1 (en) * 1994-04-14 2001-05-15 Promxd Technology, Inc. Ergonomi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intelligent adaptive surfaces and temperature control
US7204041B1 (en) * 1997-08-14 2007-04-17 Promdx Technology, Inc. Ergonomi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intelligent adaptive surfaces
US6255799B1 (en) * 1998-12-30 2001-07-0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Rechargeable shoe
KR101028300B1 (ko) * 2009-01-28 2011-04-11 이용식 음이온발생장치가 구비된 구두
US8544197B2 (en) * 2010-02-11 2013-10-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lluminable panel
US8356430B2 (en) * 2010-02-11 2013-01-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lluminable fluid-filled chamber
KR20120045420A (ko) * 2010-10-29 2012-05-09 이수덕 전자장치를 구비하는 신발의 배터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N201995701U (zh) * 2011-04-07 2011-10-05 宋琳 无线充电自动控温式保暖鞋
WO2012162140A2 (en) * 2011-05-20 2012-11-29 Brian James Vogt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footwear
US20120317843A1 (en) * 2011-06-20 2012-12-20 Thomas Bove Shoe sole system providing a negative ion environment
KR101315540B1 (ko) * 2012-01-20 2013-10-08 김병엽 무선충전이 가능한 난방용 실내화 및 난방용 실내화의 무선충전 장치
US20150068069A1 (en) * 2013-07-27 2015-03-12 Alexander Bach Tran Personally powered appliance
WO2015084430A1 (en) * 2013-12-04 2015-06-11 Schawbel Technologies Llc Heated insole with removable and recharge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69Y1 (ko) * 2005-12-02 2006-03-13 김경현 발열수단이 내장된 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777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슈올즈 앱과 연동하는 신발
KR102398480B1 (ko) * 2020-07-31 2022-05-16 주식회사 슈올즈 앱과 연동하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0381A1 (en) 2014-05-15
CN103799610A (zh) 2014-05-21
EP2731228A1 (en) 2014-05-14
KR20140060159A (ko) 2014-05-19
EP2731228B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027B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신발 및 이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기기
US9847006B2 (en) Fall detector and alert system
US10743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 tracking device in a footwear insole
CN103155011B (zh) 具有温度感测功能的远程儿童监测系统
US20050211187A1 (en) Control station with integrated collar recharging docking station for pet electronics products
KR20120007154A (ko) 발열신발
KR101997045B1 (ko) 살균이 가능한 피부 관리 미용 기기
EP2730218A1 (en) Footwear able to be wirelessly charged and transmit bio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footwea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US10145055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ultraviolet light treatment of laundry
KR20180003692U (ko) 보온신발
CN105852317A (zh) 智能鞋垫
KR20120007675A (ko) 알 에프 리모컨 조작 발열 깔창
KR102419679B1 (ko) 강제 공기순환이 가능한 신발의 안창
KR101742198B1 (ko) 무선 충전 가능한 미용기기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기
KR101588837B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발열 신발
KR20060114824A (ko) 신발깔창에서의 전기자극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27339A (ko) 장비 소독
KR102186995B1 (ko) 스마트 슈즈 및 그 시스템
KR101315540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난방용 실내화 및 난방용 실내화의 무선충전 장치
CN108713819B (zh) 一种智能穿戴鞋
CN205494461U (zh) 一种紫外线杀菌器
KR20180135673A (ko) 패치형 센서모듈
JP2019063421A (ja) ウェアラブル装置
JP2021137562A (ja) 電子機器および見守りシステム
KR100781493B1 (ko) 휴대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저주파 발 자극용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