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659B1 -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659B1
KR101408659B1 KR1020120119590A KR20120119590A KR101408659B1 KR 101408659 B1 KR101408659 B1 KR 101408659B1 KR 1020120119590 A KR1020120119590 A KR 1020120119590A KR 20120119590 A KR20120119590 A KR 20120119590A KR 101408659 B1 KR101408659 B1 KR 10140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ehicle
bomb
trunk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3546A (en
Inventor
최슬기
최재준
최한철
Original Assignee
최슬기
최한철
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8861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086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슬기, 최한철, 최재준 filed Critical 최슬기
Priority to KR102012011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659B1/en
Publication of KR2014005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6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2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preassembled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 특히 LPI엔진을 장착하여 액화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에 있어서, 가스 연료 저장 봄베를 도넛형으로 제작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되어 있는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장착할 수 있고, 가스 연료 충전 밸브와 연료 잔량 게이지가 결합된 일체형의 밸브어셈블리를 상기 봄베에 구비된 통공부에 장착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트렁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가스 연료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는 대체연료 저장부를 형성하는 도넛형 본체와, 중앙 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일부를 이루는 알파벳 "C"자 유사형 외벽부, 상기 외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공간부를 감싸는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장착부와, 상기 내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통공부를 갖고, 차량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장착되는 봄베; 상기 봄베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펌프; 및 상기 봄베의 통공부에 결합되고, 충전밸브와 연료 잔량 게이지가 일체화된 밸브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torage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trunk,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using liquefied gas fuel, particularly a vehicle using liquefied gas fuel by mounting an LPI engine, a gas fuel storage bomb is manufactured in a donut shape and mounted in a spare tir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A gas fuel filling valve and a fuel remaining amount gaug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valve assembly can be mounted on a cylinder provided in the cylinder so as to facilitate manufacturing and maximize utilization of the trunk space. .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nut-shaped body forming a substitute fuel storage portion, a central space portion, and a letter "C" An outer wall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ortion and enclosing the central space portion, a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outer wall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portion, and a communicat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wall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portion A bomb mounted on a spare tire storage portion of a vehicle trunk; A pump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omb; And a valve assembly coupled to the passage of the bomb and having a fill valve and a fuel gauge integrated therewith; .

Description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trunk,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torage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trunk,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 특히 LPI엔진을 장착하여 액화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에 있어서, 가스 연료 저장 봄베를 도넛형으로 제작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되어 있는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장착할 수 있고, 가스 연료 충전 밸브와 연료 잔량 게이지가 결합된 일체형의 밸브어셈블리를 상기 봄베에 구비된 통공부에 장착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트렁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가스 연료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using liquefied gas fuel, particularly a vehicle using liquefied gas fuel by mounting an LPI engine, a gas fuel storage bomb is manufactured in a donut shape and mounted in a spare tir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A gas fuel filling valve and a fuel remaining amount gaug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valve assembly can be mounted on a cylinder provided in the cylinder so as to facilitate manufacturing and maximize utilization of the trunk space. .

일반적으로 액화 가스 연료, 특히 LPG(Liquefied petroleum Gas) 연료는 가솔린 등의 액체 연료 보다 연료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택시 등의 영업용 차량과 일부의 승용차와 승합차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liquefied gas fuels, especially LPG (liquefied petroleum gas) fuels, are more popular in commercial vehicles such as taxis and some passenger cars and vans because they have a lower fuel cost than liquid fuels such as gasoline.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엔진은 일반적으로 두 종류로 나뉘는데, 액체 상태의 가스 연료를 저장한 후 엔진에 기화 상태의 가스 연료를 주입하는 기화기 엔진과, 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n engine of a vehicle using a gaseous fuel is divided into two types: a carburetor engine for storing gaseous fuel in a liquid state and then injecting gaseous fuel in a vaporized state into the engine;

액체 상태의 가스 연료를 저장한 후 엔진에 액화 가스 연료를 바로 주입하는 LPI(Liquid Phase LPG Injection) 엔진이 있으며,There is a LPI (Liquid Phase LPG Injection) engine that directly injects liquefied gas fuel into the engine after storing the gaseous fuel in liquid state,

특히, 최근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의 정도가 낮기 때문에 정부 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개조되는 가스 연료 차량은 대부분 LPI엔진을 채용하고 있다.Especially, since the degree of air pollution caused by exhaust gas is low, most of the gas fuel vehicles that are conver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as part of the government environmental policy adopt LPI engines.

통상적으로 상기 개조된 가스 연료 차량은 액화 가스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 장치를 차량의 트렁크에 장착한다.
Typically, the retrofitted gas-fueled vehicle mounts a separate storage device in the trunk of the vehicle for storing the liquefied gas fuel.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을 위한 연료 저장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105638호(공개일자 2012.09.26.)가 있는데,The prior art relating to a fuel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using gaseous fuel is disclosed i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05638 (published on September 26, 2012)

상기 발명은 가스연료차량용 연료탱크 및 그의 연료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격 또는 진동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가스 연료를 보호하도록 강제의 고압용기로 형성되는 봄베 및 상기 봄베 내부에 미리 설정된 압력을 형성하도록 주입되는 압력 형성 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형성가스는 가스 연료의 최초 주입 전에 주입되는 구성을 마련한 가스연료차량용 연료탱크 및 그의 연료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tank for a gas-fueled vehicle and a fuel filling method thereof, which comprises a bomb made of a forced high-pressure vessel to protect the gaseous fuel stored therein from impact or vibration, Wherein the pressure forming gas is injected before the initial injection of the gaseous fuel, and a fuel filling method thereof.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1-0002731호(공개일자 2001.01.15.)가 있는데,Another prior art is disclosed i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02731 (published on January 15, 2001)

상기 발명은 LPG용 차량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 의 한정된 공간 설치패키지의 활용이 용이하고 차실내의 가스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료가스의 충전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된 LPG용 차량의 다열 일체형 연료탱크 구조로서, 다열의 연료탱크들을 서로 기상 및 액상의 연통파이프들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면서 이웃하는 연료탱크들과 서로 연결브라켓들로 고정시키고, 상기 각각의 연료탱크들에는 차량의 진동및 충격등으로부터 연결브라켓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들이 한쪽선단원통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는 엘피지용 차량의 다열 일체형 연료탱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tank structure installed in a vehicle for LP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tank structure which is easy to utilize a limited space installation package of a vehicle body and prevents gas contamination in a car interior, Wherein a plurality of fuel tanks are fix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brackets to neighboring fuel tanks while interconnecting the fuel tanks of a plurality of rows with each other through gas and liquid communication pip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ow integral type fuel tank structure for a vehicle for use in an automotive vehicle for an elastomer,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fixing brackets attached to a vehicle body are installed on one end cylindrical portion to prevent breakage of connection brackets due to vibration and impact.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8-0062301호(공개일자 2008.07.03.)가 있는데,Another prior ar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8-0062301 (published on July 3, 2008)

상기 발명은 LPG를 연료로 하는 차량이 주행 중 연료 흐름에 따라 연료 부족으로 인한 시동 꺼짐을 방지하고, 도로 상황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LPG 차량의 연료인 LPG를 저장하는 봄베장치에 있어서, LPG 차량에 LPG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료펌프와 드라이버가 설치된 배출 밸브와, 내부에 LPG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인렛 밸브가 구비된 메인 봄베와, 상기 메인 봄베와 직렬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메인 봄베보다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내부에 연료 게이지가 장착된 보조 봄베와, 상기 메인 봄베와 보조 봄베 사이를 상부에 연결하여 서로 간에 압력을 소통하는 압력 소통 파이프와, 상기 압력 소통 파이프 하부에는 메인 봄베와 보조 봄베 사이를 연결하여 서로 간에 연료가 이동할 수 있는 제2 연료 이송 파이프와, 상기 연료 이송 파이프의 하부에는 메인 봄베와 보조 봄베 사이를 연결하여 보조 봄베에서 메인 봄베로 연료가 유입되고, 메인 봄베에서 보조 봄베로는 잔존하는 연료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메인 봄베에 위치하는 단부에 체크 밸브가 장착된 제1 연료 이송 파이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지 차량의 직렬 듀얼 봄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tart-up of the vehicle driven by LPG fuel from being shut off due to lack of fuel according to the fuel flow, and stably supplies the fuel irrespective of the road condition. The structure stores LPG, which is the fuel of the LPG vehicle A main bomb having an inlet valve for injecting LPG fuel therein and a discharge valve provided with a fuel pump and a driver for supplying LPG fuel to the LPG vehicle, An auxiliary bomb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main bomb and having a fuel gauge mounted therein; a pressure communication pipe communicating pressure between the main bomb and the auxiliary bomb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econd fuel delivery pipe connecting the main bomb and the auxiliary bomb to allow fuel to move between the main fuel bomb and the auxiliary bomb, In the lower part of the fuel transfer pipe, fuel is introduced from the auxiliary bomb into the main bomb by connecting between the main bomb and the auxiliary bomb. In the main bomb, a check valve And a first fuel delivery pipe to which the first fuel delivery pipe is mounted.

그러나 상기 발명들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는 매우 큰 부피를 갖게 됨으로써, 차량의 트렁크 공간을 대부분 차지하여 트렁크의 활용에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large volume, thereby occupying most of the trunk space of the vehicle, thereby limiting the utilization of the trunk.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 기술로는 제10-1994-7002798호(공개일자 1994.09.17.)가 있는데, Another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the 10-1994-7002798 (published September 14, 1994)

상기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휠 칸안에 쉽게 넣을 수 있는 둥근 고리모양의 L.P.G.가스 탱크의 개량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한 고리모양의 탱크에 있어서, 탱크의 속이 비어있는 중심부는 돌출되거나 또는 플러시가 장치된 밸브 연결 링(valve group connection ring)의 위치결정(positioning)에 사용되며, 또한 탱크를 엔진 연료공급 시스템 및 필터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파이프들이 통과하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밸브들은 기밀실(airtight chamber)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리드와 바닥 판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가 연결된 개량형 L.P.G. 가스 탱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type of round annular LPG gas tank which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a spare wheel compartment of an automobile. In the annular tank described above, the central hollow portion of the tank is protruded or flushed Is used to position a valve group connection ring and also to allow pipes to be used to connect the tank with the engine fuel supply system and filter and the valves are used to form an airtight chamber To an improved LPG gas tank to which a valve located between a lead and a bottom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is connected.

그러나 상기 발명은 저장 장치에 액화 가스 연료를 차량의 엔진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가 연결되는 장착공과 연료 충전을 위한 충전 밸브를 위한 장착공 및 연료 잔량게이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 등의 여러 개의 장착공이 구비됨으로써 가스 연료 저장 장치의 제작이 난해하고, 그에 따른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LPI을 위한 펌프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various mounting holes such as a mounting hole to which a pump for supplying liquefied gas fuel to an engine of a vehicle is connected to a storage device, a mounting hole for a charging valve for charging fu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gaseous fuel storage device and thus a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a pump for LPI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트렁크 하부에 구비된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연료 저장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도넛형의 봄베를 포함하고,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 단가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연료 저장장치를 장착했을 때 트렁크 상측으로 돌출되어 트렁크의 공간 활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펌프가 삽입하여 장착되는 장착부와, 가스 연료 충전을 위한 충전 밸브와 연료 잔량 게이지가 일체화된 밸브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통공부를 구비한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roidal bomb that can mount a fuel storage device in a spare tire storag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trunk so as to maximize utilization of trunks of the vehicle, A charging part for charging the gas fuel and a fuel remaining amount gauge for charging the gas fuel, a mounting part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pump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trunk when the fuel storage device is mounted on the spare tire storage part, The fuel tank being provided with a valve assembly in which a valve assembly is integr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펌프 및 밸브어셈블리를 상기 봄베에 견고하게 결합시켜 연료가 누출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와 상기 통공부에 보호용 슬리브와 결합용 체결공을 구비한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prevent fuel leakage, the pump and the valve assembly are firmly coupled to the bomb. In order to prevent the fuel from leaking out, the fuel tank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a protective slee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나아가 본 발명은 가스 연료의 잔량이 적을 때 차량이 기울어져 가스 연료가 일측으로 편심되어 유동될 때 펌프를 통한 가스 연료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엔진으로의 가스 연료 공급이 중단되어 시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펌프에 구비된 가스 연료 흡입부가 상시적으로 연료에 잠겨 연료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연료 유출 억제용 연료입출부와 연료 유출 억제 보강용 노즐을 구비한 연료공급 보장용 연료저장컵을 더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gaseous fuel is small, when the vehicle tilts and the gaseous fuel flows eccentrically to one side, the gaseous fuel is not sucked through the pump and the supply of gaseous fuel to the engine is stopped, , A fuel supply assisting fuel storage cup having a fuel outflow inhibiting fuel inlet and a fuel outflow inhibition reinforcement nozzle is provided so that the gas fuel intake portion provided in the pump is always locked with the fuel so as not to interrupt the fuel supply And a fuel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trun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대체연료 저장부를 형성하는 도넛형 본체와, 중앙 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일부를 이루는 알파벳 "C"자 유사형 외벽부, 상기 외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공간부를 감싸는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장착부와, 상기 내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통공부를 갖고, 차량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장착되는 봄베; A donut-shaped body forming a substitute fuel reservoir, a central space, an alphabet "C " -like outer wall constituting a part of the main body, an inner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ortion and surrounding the central space portion, A bumper mounted on the spare tire storage unit of the vehicle trunk, the bumper having a cylinder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the cylinder bumper being formed in the inner wa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상기 봄베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펌프; 및A pump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omb; And

상기 봄베의 통공부에 결합되고, 충전밸브와 연료 잔량 게이지가 일체화된 밸브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valve assembly coupled to the bore of the bomb and having a fill valve and a fuel gauge integrat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에서 상기 장착부는 상향 개구되어 있고, 개구부 둘레에는 보호용 제1슬리브와, 펌프 결합용 제1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부는 사선 배열되어 돌출된 제2슬리브를 갖고, 이 제2슬리브에는 밸브어셈블리 결합용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s upwardly open, and a first sleeve for protection and a first fastening hole for pump coupling are formed around the opening, And a second sleeve, wherein a second fastening hole for engaging the valve assembly is formed in the second sleev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에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펌프의 흡입부를 감싸고 저면부에 유출 억제형 연료입출부를 갖는 상시 연료공급 보장용 연료저장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uel supply cup for ensuring fuel supply at all times, which surrounds the suction portion of the pump and has a fuel outflow-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에서 상기 연료저장컵의 연료입출부에는 저면에 인접 배열된 연료 유출 억제 보강용 노즐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outflow restraining nozzle arrang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uel inlet and outlet of the fuel storage cup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는 도넛형 본체로 이루어지는 봄베를 도입하여,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된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연료 저장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트렁크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The fuel storage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tru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bomb made of a toroidal main body and mounts a fuel storage device in a spare tire storage portion provid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trunk by the user However,

충전밸브와 연료 잔량 게이지가 일체화된 밸브어셈블리를 도입하여, 저장 장치의 제작이 매우 쉽고, 제작 단가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By introducing the valve assembly in which the charge valve and the fuel remaining amount gauge are integrated, it is very easy to manufacture the storage device,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는 보호용 슬리브와 결합용 체결공을 구비한 장착부와 통공부를 도입하여, 펌프와 밸브어셈블리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짐으로써 연료 누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봄베의 저장부와 연통된 두 개의 통공만을 필요로 하므로 저장장치의 제작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ortion including a protective sleeve and a coupling hole and a through hole are introduced to firmly connect the pump and the valve assembly, thereby preventing a fuel leakage accident And only two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portion of the bomb need to be produced, so that the manufacturing of the storage device can be greatly facilitat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는 유출 억제형 연료입출부 및 연료 유출 억제 보장용 노즐을 구비한 연료 공급 보장용 연료저장컵을 도입하여 펌프의 연료 흡입부가 상시적으로 잠겨 펌프를 통한 연료 공급이 상시적으로 가능해짐으로써 차량이 기울어져 액화 가스 연료가 일측으로 편심 유동되어 펌프에 흡입되지 않아 시동이 꺼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fuel supply assisting fuel storage cup having a fuel outflow inhibiting fuel inlet and a fuel outflow inhibiting nozzle, so that the fuel intake part of the pump is always lock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liquefied gas fuel is eccentrically flow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tarting is not turned off because the fuel is not sucked into the pu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의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의 연료공급 보장용 연료저장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의 충격해소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fuel storage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tru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plan view of a fuel storage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tru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el storage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tru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el storage cup for fuel supply in a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act canceling means of the fuel storage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tru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우선 종래의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 특히, 개조를 통한 가스 연료 이용 차량의 경우 가스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가 차량의 트렁크에 장착된다.First of all, in a vehicle using a conventional gaseous fu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gas-fueled vehicle through modification,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gaseous fuel is mount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상기 저장장치는 통상적으로 봄베라 하는데, 봄베라 함은 압축가스, 액화 가스를 저장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원통형의 내압(耐壓) 용기로서, 두꺼운 강철로 만들어진 긴 원통형(실린더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에 가스 분출구가 있고 감압 밸브가 장치되어 있다.The storage device is typically a spring vessel, which is a cylindrical pressure resistant vessel for storing or transporting compressed gas and liquefied gas, is of a long cylindrical (cylindrical) type made of thick steel, And a pressure reducing valve is provided.

봄베는 제조방법에 따라 용접용기와 이음매 없는 용기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염소ㅇ암모니아ㅇ프로페인ㅇ뷰테인 등 비교적 저압의 액화가스용이며, 용기의 두께도 얇고 중량도 가볍다. 후자는 수소ㅇ산소ㅇ질소ㅇ아르곤ㅇ 헬륨ㅇ 메테인 등을 150기압 정도까지의 고압으로 내장하는 것이므로 용기의 두께도 두껍고 중량이 70kg 이상이 되는 것도 있다. Bombs are divided into welding vessels and seamless vessel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former is for relatively low pressure liquefied gas such as chlorine, ammonia, propane, butane, and the thickness of the vessel is thin and light. The latter is built up with hydrogen, oxygen, nitrogen, argon, helium, methane, etc. at pressures of up to 150 atmospheres, so the vessel is thick and weighs more than 70 kg.

다양한 봄베 중 대체 연료 차량에 구비된 봄베는 매우 큰 부피로 인하여 부피가 큰 물건들을 적재하기 위한 용도의 트렁크 활용에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The bombs installed in the alternative fuel vehicles of various bombs have a very large volume, so tha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utilization of trunks for loading bulky objects,

트렁크의 최내측에 저장 장치를 장착하게 되므로, 저장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storage device is mounted on the innermost side of the trunk, it is very difficult to repair the storage device if a failure occurs.

그러데 최근 차량 무게 감소를 통한 연비 증가와 차량 매입 시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스페어타이어를 일회용의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타이어로 이용하거나, 차량 출시 시 아예 스페어타이어를 포함하지 않은 채 스페어타이어 보관부만을 구비하여 출시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reduce fuel consumption by reducing vehicle weight and to reduce the price when purchasing a vehicle, the spare tire is used as a tire made of a disposable light material, or only a spare tire storage portion is included in a vehicle without a spare tire .

이에 본 발명은 대용량의 대체연료(가스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를 트렁크에 구비하는 가스 연료 차량에 있어서, 저장장치 구비로 인하여 트렁크의 공간 활용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연료 저장장치를 구비, 장착할 수 있는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를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fueled vehicle having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large-capacity alternative fuel (gaseous fuel) in a trunk, the storage device being capable of prevent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trunk from being hinder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trunk mount capable of mounting and mounting a fuel storage device on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의 단면도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를 정하고, 도 2의 평면도을 참고하여 중앙 공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내외측을 정한다.In describing the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unambiguous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is the lower side, Referring to the plan view of FIG. 2, inner and outer sides are defined around the central spac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 저장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대체연료(가스 연료)는 가솔린 엔진용 액체 연료를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액화가스(LPG, LNG, CNG 등) 등과 같이 차량에 기본 장착된 연료통 외의 저장장치에 채워지는 연료를 의미하며,In describing the fuel storage device for a trunk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ternative fuel (gas fuel) may be a liquid fuel (LPG, LNG, CNG, etc.) Means a fuel that is filled into a storage device other than a fuel cell,

이러한 범주에서 옥수수유 등의 바이오디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This concept covers biodiesel, such as corn oil.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시 연료공급 보장형 차량 연료저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onstant fuel supply assurance type vehicl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시 연료공급 보장형 차량 연료저장장치는 대체연료 저장부(11)를 형성하는 도넛형 본체(10)와, 중앙 공간부(12)와, 상기 본체(10)의 일부를 이루는 알파벳 "C"자 유사형 외벽부(13), 상기 외벽부(13)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공간부(12)를 감싸는 내벽부(14)와, 상기 외벽부(13)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11)와 연통된 장착부(15)와, 상기 내벽부(14)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11)와 연통된 통공부(16)를 갖고, 차량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장착되는 봄베(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regular fuel supply-type vehicle fuel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nut-shaped body 10 forming an alternative fuel storage unit 11, a central space 12, An outer wall portion 13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ortion 13 and enclosing the central space portion 12 and an inner wall portion 14 surrounding the outer wall portion 13, (16) formed in the inner wall part (14)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part (11), the mounting part (15) being formed in the vehicle trunk And a bomb (B) mounted on the spare tire storage uni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의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and 2 show a perspective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벽부(13)와 내벽부(14)는 봄베(B)의 본체(10)를 구성하는 별도 부재가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봄베의 본체(10)의 일부를 지칭하는 표현으로써, 도 2의 평면도를 참고하여 봄베의 내측을 형성하는 본체의 일부를 내벽부(14), 봄베의 외측을 형성하는 본체의 일부를 외벽부(13)라 칭한다. The outer wall portion 13 and the inner wall portion 14 are not separate members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of the bomb B but refer to portions of the main body 10 of the bomb in this specification. A part of the main body forming the inside of the bomb will be referred to as the inside wall part 14 and a part of the main body forming the outside of the bomb will be referred to as the outside wall part 13. [

즉, 상기 봄베(B)를 형성하는 본체(10)는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지칭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해석의 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된다.That is, the main body 10 forming the cylinder B can be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scope of the right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designations.

따라서 상기 봄베(B)의 본체는 내벽부와 외벽부의 결합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작자(이하에서는 당업자라 칭한다)의 선택에 의하여 다양하게 구성되고, 여러 방법으로 조립, 형성될 수 있으나, 가스 연료의 안전성을 감안하여 각 구성부는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main body of the cylinder B is not limited to the combination of the inner wall portion and the outer wall portion, but may be variously formed by a manufactur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safety, each of the components is preferably coupled through welding.

통상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구비된 스페어타이어 보관부는 타이어의 형상에 맞도록 도넛형의 홈부를 갖고 중앙에 돌출되어 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다.Typically, a spare tire storag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trunk of a vehicle has a groove portion of a toroid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ire, and has a fixing bracket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 fix the tire.

그리고 타이어보관부와 트렁크의 적재공간을 구분하고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덮개 또는 개폐판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And a lid or an opening / closing plate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by separating the loading space of the trunk and the tire st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봄베(B)의 외벽부(13)가 형성하는 최외측 둘레는 차량에 구비된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의 외측 둘레와 같거나 작아도 상관없으나,In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circumference formed by the outer wall portion 13 of the cylinder B may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are tire storage portion provided in the vehicle,

대체 연료를 가능한 많은 양을 저장하기 위하여 보관부의 외측 둘레와 거의 같게 이루어지되,Is made approximately equal to the outer perimeter of the storage part to store as much fuel as possible,

후술하는 완충부재를 감안하여, 상기 보관부의 외측과 상기 봄베(B)의 외벽부(13)의 최외측 둘레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outer wall portion 13 of the cylinder 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1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more preferably about 5 to 10 cm.

완충부재의 구성 내지 효과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buffer member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중앙 공간부(12)에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과 결합될 수 있는 격판(12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aphragm 121 which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provided in the spare tire storage unit in the central space portion 12. [

이를 위하여 상기 격판(121)에는 결속부(122)가 더 구비되어 있고, 이 결속부(122)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본 발명의 연료 저장장치를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diaphragm 121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122, and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22 to engage and fix the fuel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are tire storage part. .

상기 격판(121)은 상기 중앙 공간부(12)의 하부 즉, 후술하는 통공부(16) 하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결속부(122)는 통공부(16)와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aphragm 121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space portion 12,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16 described later, and the binding portion 122 is arranged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passage portion 16 Do.

상기 통공부(16)는 후술하는 밸브 어셈블리(30)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써, 고정부재를 통한 연료 정장 장치의 결합 내지 분리의 용이함을 위하여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ylinder block 16 is arranged to be displac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for easy coupling or separation of the fuel regulator through the fixing memb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격판(121)과 이격된 상면 즉, 격판(121)의 상측 내벽부(14)에는 상기 결속부(122)와 수직방향으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와의 체결 용이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보조 결속브라켓(1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diaphragm 121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diaphragm 121 can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An auxiliary coupling bracket 123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는 저장된 대체 연료를 차량의 엔진에 공급하기 위하여 펌프(20)를 구비하고 있다.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ump 20 for supplying stored alternative fuel to the engine of the vehicle.

대체 연료를 이용하는 차량의 엔진의 종류에 따라 상기 펌프(20)의 기능은 상이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대체 연료를 액화 상태로 저장하고 엔진 공급 시에는 기화 상태로 공급하는 기화기 엔진 방식의 경우 상기 펌프(20)는 기화기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하고,The function of the pump 2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using the alternative fuel.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vaporizer engine system in which the alternative fuel is stored in the liquefied state and supplied to the vaporized state when the engine is supplied The pump 20 functions to supply fuel to the vaporizer,

액화 가스 연료를 액화 상태 그대로 엔진에 공급하여 엔진 동력을 발생시키는 LPI엔진의 경우 액화 가스 연료를 엔진에까지 직접 공급시키는 기능을 갖는다.In the case of the LPI engine that supplies the liquefied gas fuel directly to the engine in a liquefied state to generate engine power, it has a function of directly supplying the liquefied gas fuel to the engine.

상기 펌프(20)는 상기 저장부(11)의 저면 즉, 봄베(B)의 하부에 저장되는 연료 잔량의 흡입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The pump 20 not only sucks the remaining amount of fuel stored in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11,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B,

스페어타이어 보관부 상부에 형성되는 트렁크 적재공간의 활용을 위하여 트렁크의 적재공간을 침해하지 않기 위하여,In order not to infringe the loading space of the trunk for the utilization of the trunk loading space formed above the spare tire storage unit,

상기 펌프(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즉, 상기 저장부(11)에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펌프(20)의 일부 즉, 연료 공급을 위한 이송라인 및 펌프(20)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PCB 등으로 구성되는 펌프 드라이버(도면 미도시) 등만이 외부로 노출되되, The pump 20 is built in the main body 10, that is, in the reservoir 11, and controls a part of the pump 20, that is, the transfer line for supplying fuel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20 (Not shown) composed of a PCB or the like is exposed to the outside,

돌출되어 노출되는 펌프는 상술한 트렁크 덮개 또는 개폐판으로 밀폐 가능할 정도의 높이까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ump is protruded to a height enough to be hermetically sealed by the above-mentioned trunk lid or opening / closing plate.

이를 위하여 상기 펌프(20)가 결합하기 위한 장착부(15)는 상기 외벽부(13)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다.To this end, a mounting portion 15 for engaging the pump 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portion 13.

또한 상기 장착부(15)는 상향 개구되어 있고, 개구부 둘레에는 보호용 제1슬리브(151)와, 펌프(20) 결합용 제1체결공(1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15 is upwardly opened and the first sleeve 151 for protection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152 for coupling the pump 20 are formed around the opening.

상기 펌프(20)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체결공(152)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결합되기 위한 제1결합공(211)을 구비한 받침부재(212)와, The pump 20 includes a support member 212 having a first coupling hole 211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152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상기 받침부재(212) 하측으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연료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1)로 이루어진다.And a suction unit (21)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212) to suck fuel of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펌프(20)에 구비되어 펌프(20)를 제어하는 PCB 등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펌프 드라이버(도면 미도시)는 전자기기의 특수성과 제작의 편의를 감안하여 상기 장착부(15)를 덮는 펌프덮개(22)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ump driver (not shown) including a control unit such as a PCB for controlling the pump 20 provided in the pump 20 is provided with a pump (not shown) for covering the mounting unit 15,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id 22.

그리고 상기 펌프덮개는 상기 장착부(15)의 개구부를 덮되, 차량 엔진으로의 연료 이송라인(도면미도시) 등의 설치를 위하여 개구부의 일부만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mp cover may cover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15 and may be formed to cover only a part of the opening portion for installation of a fuel transfer line (not shown) to the vehicle engine.

도 3에서는 평면도 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진 펌프(20)를 도시하고 있고, 펌프(20)에 상응하여 PCB판 등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펌프덮개(22)는 반원형의 형상을 띄고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수정, 치환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3 shows a pump 20 of a circular shape in plan view and a pump lid 22 comprising a control part such as a PCB plate corresponding to the pump 20 has a semicircular shap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modified, and substitu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right, so that the right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limited.

또한 상기 펌프(20)를 구성하는 각 요소 내지 작동 원리, 케이블 등의 연결 구성 등은 통상적인 LPI 엔진에 사용되는 펌프나 기화기 엔진에 사용되는 일반펌프 등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로써, 당업자라면 충분히 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urther,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ump 20, the operating principle there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bles and the like are well known in the art, such as a pump used in a conventional LPI engine or a general pump used in a carburetor engin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공부(16)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통공부(16)는 후술하는 밸브어셈블리(30)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써,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passage 16, and the passage 16 is provided for coupling the valve assembly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통공부(16)는 사선 배열되어 돌출된 제2슬리브(161)를 갖고, 이 제2슬리브(161)에는 밸브어셈블리 결합용 제2체결공(16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age 16 has a second sleeve 161 protruded diagonally and a second coupling hole 162 for coupling the valve assembly is formed in the second sleeve 16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어셈블리(30)는 상기 제2슬리브(161)에 결합되어 상기 봄베의 중앙 공간부(12)를 향하여 사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연료 정장장치의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lve assembly 30 is coupled to the second sleeve 161 and protrudes obliquely toward the central space 12 of the bomb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fuel regulator. hav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공부(16) 하부에는 결속부(122)를 갖는 격판(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공부(16)가 상기 결속부(122)와 수직 방향으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어셈블리(30)가 상기 제2슬리브(161)에 결합되면 연료 저장장치를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장착 고정하거나 해제할 때 작업의 편의성이 저해되므로,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aphragm 121 having the coupling portion 122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ssage portion 16, the passage portion 1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valve assembly 30 is coupled to the second sleeve 161,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is deteriorated when the fuel storage device is mounted to or detached from the spare tire storage unit,

상기 통공부(16)와 상기 격판(121)의 결속부(122)는 상호 어긋난 위치에 배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passages 16 and the coupling portions 122 of the diaphragm 121 are arranged at mutually offset positions.

그리고 상기 통공부(16)에 결합하는 상기 밸브어셈블리(30)는 저장부(11)에 가스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밸브(31)와 저장부(11) 내의 연료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게이지(3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valve assembly 30 coupled to the passage 16 includes a fill valve 31 for filling the storage part 11 with gaseous fuel and a gauge 32 for indicating the amount of fuel remaining in the storage part 11 Are integrally formed.

통상적으로 종래의 가스 연료 저장장치의 봄베는 충전밸브와 연결된 통공과 게이지가 삽입되는 통공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Typically, the bomb of the conventional gas fuel storage device has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charging valve and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gauge separately.

그러나 본 발명은 충전밸브와 게이지를 일체화 시킨 밸브 어셈블리를 도입함으로써 하나의 통공부만 봄베의 본체에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의 편의를 도모하고, 제작 단가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alve assembly in which a charging valve and a gauge are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valve assembly in a main body of a single cylinder so that the manufacturing convenience can be achie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구비된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의 충전 밸브와 게이지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우선 통상적으로 게이지라 함은 LPG 인디게이터라 불리우는 지시계와 봄베의 저장부 내로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인관의 말단에 스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연료의 잔량에 따라 자성의 의하여 스윙 운동하여 변위되는 속칭 뜨게로 불리우는 변위부재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gauge means a gauge, which is referred to as an LPG indicator, an insertion tube inserted into a storage portion of a bomb, a swingable swingable connection to the end of the shovel tube,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변위부재의 변위에 따라 상기 지시계에 구비된 바늘 또는 눈금이 움직여 사용자에게 연료 저장장치에 남은 연료의 잔량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The needle or scale provided on the indicator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displacement member,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fuel remaining in the fuel storage device.

그리고 통상적인 충전 밸브는 LPG 가스 충전소 등의 가스 연료 충전소에서 연료 충전 노즐과 결합하여 연료를 공급받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고 저장부내로 삽입되어 가스를 이송 저장 시키는 이송관과 상기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계폐수단(예: 볼밸브, 슬라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A typical charging valve includes an injection port connected to a fuel filling nozzle such as an LPG gas filling station and supplied with fuel,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injection port and inserted into the storage section to transfer and store the gas, (For example, a ball valve, a slide valve, etc.).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측정부재가 결합된 삽입관(312)에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을 연료 충전 밸브의 주입구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게이지의 삽입관을 이송관으로 전용하여 충전 밸브와 게이지가 일체화된 밸브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ollow in the insertion tube (312) to which the measuring member is coupled, and communicates the hollow with the injection port of the fuel fill valve, so that the injection tube of the gauge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tube, And a valve assembly (30).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통공부에 삽입되어 연료 충전 시 연료 이송관의 기능을 하고, 평상시에는 말단에 구비된 변위부재(도면 미도시)의 변위에 의한 잔량 감지의 기능을 하게 된다.The valv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so as to function as a fuel transfer pipe when the fuel is filled, and functions as a remaining amount detection function by displacement of a displacement member (not shown) provided at a terminal end.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어셈블리(30)로 일체화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봄베(B)의 저장부(11)내로 삽입되기 위한 통공이 하나로 설계됨으로써,Theref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valve assembly 30, the through holes for inserting into the reservoir 11 of the cylinder B are designed as one,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는 제작의 편의를 높일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 단가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hances manufacturing convenience but also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uel storage device.

상기 충전 밸브와 지시계에 있어서, 상기 충전밸브의 주입구의 형태나 개폐수단의 구성과,In the charging valve and indicator, the shape of the injection port of the filling valve,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

상기 게이지에 구비되고 연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연료 잔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지시계와 변위부재의 변위에 따른 잔량 측정 방법 및 A indicator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uel and indic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uel to the outside, a residual amount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displacement member,

저장부 내에 일정량 이하의 연료가 남을 경우, 경고등을 발광하여 차량의 운전석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센서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본질적 특징과는 직접적 관련성이 낮으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구성 및 연결 관계를 생략한다.
A sensor that can emit a warning light to notify a user in a driver's seat of the vehicle when the amount of fuel remaining in the storage uni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like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는 트렁크의 적재공간 하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밸브어셈블리(30)가 상기 펌프(20)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under the loading space of the trunk,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valve assembly 30 protrudes upward like the pump 20.

따라서 상기 통공부(16)는 중앙 공간부(12)를 형성하는 내벽부(14)에서 사선 배열되어 돌출하되, Therefore, the through-passages 16 are obliquely arranged and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portion 14 forming the central space portion 12,

상기 밸브어셈블리(30)의 높이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펌프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더라도, 상부에 위치하는 트렁크의 적재공간 활용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 즉, 상술한 트렁크 덮개 또는 개폐판으로 밀폐 가능할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Even if the height of the valve assembly 30 is higher than the uppermost level of the main body or the pump, the height of the trunk cover or the opening / closing plate ,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이는 차량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연료 저장장치의 범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밸브어셈블리(30)가 결합될 경우 밸브어셈블리(30)의 최상단 높이가 상기 봄베(B)의 본체(10) 또는 상기 펌프(20)의 최상단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versatility of the fuel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lve assembly 30 is coupled, the uppermost level of the valve assembly 3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of the cylinder B ) Or the height of the uppermost end of the pump (20).

상기 밸브어셈블리(30)는 상기 통공부(16)의 제1슬리브(161)내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관(312)과 상기 제2체결공(162)과 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공(311)이 구비되어 있다.
The valve assembly 30 includes an insertion tube 312 for inserting into the first sleeve 161 of the passage 16 and a second tube 166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162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A coupling hole 311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내에 펌프(20)로의 연료 흡입을 보조하기위한 연료공급 보장용 연료저장컵이 더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료저장컵의 사시도 및 기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uel supply cup for assisting fuel intake into the pump 20 in the reservoir 11, as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nd a function of the fuel storag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료저장컵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el storage cu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종래의 실린더형 연료 저장 장치 등은 차량이 일측으로 기울었을 때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된 연료가 일측으로 편심되어 유동됨으로써 순간적으로 펌프(20)가 연료를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The fuel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s eccentrically moved to one side when the vehicle is tilted to one side, and thus the conventional fuel storage device or the like has a problem that the pump 20 can not inhale the fuel instantaneous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에서 상기 봄베(B)의 저장부(11)에는 상기 펌프(20)의 흡입부(21)를 감싸고 저면부에 유출 억제형 연료 입출부(41)를 갖는 상시 연료공급 보장용 연료저장컵(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portion 11 of the cylinder B surrounds the suction portion 21 of the pump 20, And a fuel supply reservoir 40 for supplying fuel at all times.

상기 연료저장컵(40)은 펌프(20)의 연료 흡입을 상시적으로 보장하여 차량의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에 이상이 생겨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되기 위한 장치로써,The fuel storage cup 40 is a device for always ensuring the fuel suction of the pump 20 to prevent the start of the vehicle from being stopped due to an abnormality in fuel supply to the engine of the vehicle.

펌프(20)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저장부(11)의 연료를 흡입하는 흡입부(21)를 감싸는 컵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흡입부(21)는 상기 연료저장컵(40)에 채워진 연료에 상시적으로 잠기게 된다.The suction portion 21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pump 20 and surround the suction portion 21 for sucking the fuel of the storage portion 11 so that the suction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fuel filled in the fuel storage cup 40 It is always locked.

도 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연료의 수위가 매우 낮을 경우)에도 상기 연료저장컵(40)은 상기 연료 입출부(41)를 통해 일정량의 연료가 채워져 저장부(11)내의 연료와 동일한 수위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4A, even when the fuel is not sufficiently stored (the level of the fuel is very low), the fuel storage cup 40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fuel through the fuel inlet 41 And has the same water level as the fuel in the storage part 11. [

그리고 이때 차량이 기울어 저장부(11) 내의 연료가 일측으로 편심되어 유동할 때, 상기 연료저장컵(40) 내의 연료는 일정량이 상시적으로 컵 내부에 남게 되므로 컵 내부의 연료에 상시적으로 잠긴 펌프(20)의 흡입부(21)는 차량의 기울어 있는 상태에서도 연료 흡입이 가능함으로써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중지되지 않는다.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tilts and the fuel in the storage portion 11 eccentrically flows to one side, the fuel in the fuel storage cup 40 always remains in the cup, so that the fuel inside the cup is always locked The suction portion 21 of the pump 20 is capable of sucking fuel even when the vehicle is inclined, so that fuel supply to the engine is not stopped.

이를 위하여 상기 연료입출부(41)는 상기 컵 형태의 연료저장컵(40)을 형성하는 측벽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컵(40)의 저면에 인접 배열되고,For this, the fuel inlet 4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wall forming the cup-shaped fuel storage cup 40 and is arrang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cup 40,

연료 유출 억제 보강용 노즐(42)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A fuel leakage restraining nozzle 42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노즐(42)은 일측 단부가 상기 연료입출부와 연결되어 컵 내부로 돌출 형성되면서, 타측 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zzle 42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fuel inlet and protruding into the cup, and the other end bent in one direction.

즉, 도 4의 A 및 도 4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펌프(20)의 흡입부(21)가 생략되어 있으나, 차량의 평행상태에서는 상기 연료입출부(41)와 절곡 형성된 노즐(42)을 통해 일정량의 연료가 계속 공급되어 상기 펌프(20)의 흡입부(21)가 상시적으로 연료에 잠기게 되고,4A and 4B, the suction portion 21 of the pump 20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in the parallel state of the vehicle, the fuel inlet 41 and the bent nozzle 42 to continuously supply the fuel to the suction portion 21 of the pump 20,

차량의 기울었을 경우 도 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저장컵(40) 내의 연료 수위보다 상측에 상기 연료입출부가 형성되어 컵 외부로 연료가 배출되지 않아, 컵의 바닥면과 인접하게 형성된 펌프(20)의 흡입부(21)는 상시적인 연료 흡입이 가능해진다.When the vehicle is tilted, as shown in FIG. 4B, the fuel inlet portion is formed above the fuel level in the fuel storage cup 40 so that fuel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up, So that the suction portion 21 of the pump 20 is always able to suck fuel.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이 도 4의 B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노즐(42)의 말단은 상기 연료저장컵(40) 내의 연료의 수위보다 상측에 형성되므로 연료의 컵 외부 유출이 방지됨은 충분히 예측가능하다.4, the distal end of the nozzle 42 is formed above the level of the fuel in the fuel storage cup 40, so that even when the vehicle is in a cup The prevention of the outflow is sufficiently predictable.

나아가 도 4의 B에 도시된 기울기 정도 보다 낮게 차량이 기울어져 상기 노즐(42) 또는 연료입출부(41)가 컵 내의 연료에 모두 잠기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11)내의 연료의 편심현상 또한 연료 공급이 중지될 정도로 연료의 편심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시적인 연료공급이 가능해진다.Further, when the vehicle is inclined lower than the degree of inclination shown in FIG. 4B so that the nozzle 42 or the fuel inlet 41 is fully immersed in the fuel in the cup, The eccentric flow of the fuel is not performed enough to stop the supply, so that the fuel can be supplied at all times.

뿐만 아니라,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료입출부(41) 및 상기 노즐(42)이 형성된 방향으로 차량이 기울었을 경우 즉, 도 4의 B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료입출부(41)와 상기 노즐이 소위 시소 운동을 하듯이 기울지 않고,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vehicle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uel inlet 41 and the nozzle 42 are formed, that is, the fuel inlet 41 and the fuel inlet 41 The nozzle is not tilted like a so-called seesaw motion,

상기 연료 입출부(41)와 상기 노즐이 같은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져 상기 연료입출부(41) 및 상기 노즐(42)이 컵 내의 연료에 전부 잠기게 되는 경우,When the fuel inlet 41 and the nozzle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fuel inlet 41 and the nozzle 42 are completely immersed in the fuel in the cup,

상기 연료저장컵(40) 내의 연료는 컵 외부로 유출되지만 절곡 형성된 노즐(42)과, 작은 통공으로 이루어진 연료입출부(41)로 인하여 연료의 외부 유출이 억제됨으로써 컵 내의 연료는 급격히 유출되지 않으므로, The fuel in the fuel storage cup 40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cup, but the outflow of the fuel is suppressed due to the bent nozzle 42 and the fuel inlet 41 composed of a small through hole, so that the fuel in the cup does not flow out rapidly ,

차량이 기울어져 있는 시간을 감안하면(통상적인 도로 상황을 감안하면, 차량이 장시간 동안 기울어진 상태로 주행되지 않을 것이므로) 연료 유출에 의한 연료 공급 중단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Considering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inclined (considering the usual road conditions, the vehicle will not travel in a state of being inclin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 fuel supply interruption due to the fuel outflow does not occur.

상기 연료 입출부(41)의 형성 위치 즉, 형성 방향은 제한이 없으나, 통상적인 도로 상황과 자동차의 주행 특성을 감안하였을 때,The forming position of the fuel inlet / outlet 41 is not limited.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general road conditions and the running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자동차의 트렁크를 후면으로 정하여 보이는 방향으로 전후좌우를 특정할 경우에 자동차의 기울어짐은 좌우 방향 보다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짐인 더욱 많으므로(즉, 좌우 경사진 도로보다 언덕이나 산 등에 개설된 도로에서 전후 기울어짐이 더욱 많으므로)In the case of specify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runk of the vehicle,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is more incli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a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Since there is more tilting back and forth)

상기 연료입출부(41) 및 노즐(42)은 차량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 어느 한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연료입출부(41) 및 노즐(42) 모두가 컵 내의 연료에 잠기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el inlet 41 and the nozzle 42 are formed at any position to the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both the fuel inlet 41 and the nozzle 42 It is prefera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fuel is immersed in the fuel in the cup.

나아가 상기 연료입출부(41) 및 노즐(42)의 수 역시 제한은 없으나, 컵 내로의 연료 투입의 안정성과 연료 유출 방지 및 억제력을 감안하였을 때, 상기 연료입출부(41)와 노즐(42)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되, The number of the fuel inlet and outlet 41 and the number of the nozzles 42 are not limited but the number of the fuel inlet 41 and the number of the nozzles 42 is not limited. However,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fuel injection into the cup,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연료입출부(41)와 노즐(42)의 형성 방향이 상호 반대편을 향하도록,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 the fuel inlet 41 and the nozzle 42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Respectively.

또한 차량이 추돌하거나, 특히 차량 후방에서의 추돌이 발생할 경우 추돌에 의한 충격력(외력)이 상기 스페어타이어보관부에까지 전달되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에까지 충격력이 전달될 수 있는데,In addition, when a vehicle collides, particularly when a collision occurs in the rear of the vehicle, an impact force (external force) due to a collision is transmitted to the spare tire storage unit so that the impact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충격력에 의한 연료 저장장치의 파손 및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In order to prevent breakage and explosion of the fuel storage device due to impact force,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에서 상기 봄베(B)의 외벽부(13)에는 스페어타이어의 보관부와의 사이에 배열되는 완충부재(1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6, in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wall portion 13 of the cylinder B further includes a buffer member 17 arrange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 13 and the storage portion of the spare tire Do.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에서 완충부재(17)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ffer member 17 in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완충부재(17)는 상기 외벽부(13)에 밀착 결합된 밀착패널(171)과 상기 밀착패널(171)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브라켓(172) 및 상기 연결브라켓(172)와 연결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보관부에 인접한 충돌패널(17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shioning member 17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72 protruding from the close panel 171 and the connection panel 171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wall 13, And a collision panel 173 adjacent to the storage part.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완충부재(17)가 단절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밀착패널(171) 및 충돌패널(173)은 튜브, 특히 도넛형 튜브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172)은 소정 간격으로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일방에서의 충격력 흡수뿐만 아니라 사방 모두에서의 충격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6, the cushioning member 17 is shown as disconnected, but the tightening panel 171 and the collision panel 173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particularly a toroidal tub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s 172 are arranged radi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able to absorb not only the impact force at one side but also the impact force at all four sides.

상기 완충부재(17)는 외벽부(13)에 밀착된 밀착패널(171)을 구비함으로써, 충돌패널로부터 전달되어 연결브라켓(172)과 밀착패널(171)의 결합부에 응집되는 충격력을 상기 밀착패널(171)에서 분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저장장치의 파손 또는 폭발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cushioning member 17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panel 17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portion 13 so that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impact panel and coherent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bracket 172 and the clo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breakage or explosion of the fue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ersing in the panel 171.

상기 완충부재(17)의 충격력 해소를 보다 확실히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부재(17)는 탄성수단을 통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In order to reliably relieve the impact force of the cushioning member 17, the cushioning member 17 may be formed to be stretchable through elastic means,

특히 상기 연결브라켓(172)은 충격력에 의하여 충돌패널의 변위를 보장하는 탄성부재(예: 코일스프링이나 스폰지, 기타 엘라스트모 등)가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bracket 172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e.g., a coil spring, a sponge, or other elastomer) that assures displacement of the impact panel by an impact force.

이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로 LPI 엔진을 탑재한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기회기 엔진을 탑재한 차량을 포함하여 상술한 대체 연료를 이용한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해석에 제한이 있어서는 안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pplied to a vehicle equipped with an LPI engin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right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G : 대체 연료 B : 봄베
10 : 본체 10 : 본체
11 : 저장부 12 : 중앙공간부
121 : 격판 122 : 결속부
123 : 보조결속브라켓 124 : 통과공
13 : 외벽부 14 : 내벽부
15 : 장착부 151 : 제1슬리브
152 : 제1체결공 16 : 통공부
161 : 제2슬리브 162 : 제2체결공
17 : 완충부재 171 : 밀착패널
172 : 연결브라켓 173 : 충돌패널
20 : 펌프 21 : 흡입부
22 : 펌프덮개 30 : 밸브어셈블리
31 : 충전밸브 32 : 게이지
40 : 연료저장컵 41 : 연료입출부
42 : 노즐
G: Alternative fuel B: Bomb
10: main body 10: main body
11: storage part 12: central space part
121: diaphragm 122:
123: Auxiliary fastening bracket 124: Through hole
13: outer wall part 14: inner wall part
15: mounting portion 151: first sleeve
152: first fastening hole 16:
161: second sleeve 162: second fastening hole
17: buffer member 171:
172: connection bracket 173: collision panel
20: Pump 21: Suction part
22: pump cover 30: valve assembly
31: Charging valve 32: Gauge
40: fuel storage cup 41: fuel inlet part
42: Nozzle

Claims (4)

대체연료 저장부를 형성하는 도넛형 본체와, 중앙 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일부를 이루는 알파벳 "C"자 유사형 외벽부, 상기 외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공간부를 감싸는 내벽부와, 상기 외벽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장착부와, 상기 내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된 통공부를 갖고, 차량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장착되는 봄베;
상기 봄베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펌프; 및
상기 봄베의 통공부에 결합되고, 충전밸브와 연료 잔량 게이지가 일체화된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펌프의 흡입부를 감싸고 저면부에 유출 억제형 연료 입출부를 갖는 상시 연료공급 보장용 연료저장컵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료저장컵의 연료입출부에는 저면에 인접 배열된 연료 유출 억제 보강용 노즐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
A donut-shaped body forming a substitute fuel reservoir, a central space, an alphabet "C " -like outer wall constituting a part of the main body, an inner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ortion and surrounding the central space portion, A bumper mounted on the spare tire storage unit of the vehicle trunk, the bumper having a cylinder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the cylinder bumper being formed in the inner wa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A pump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omb; And
And a valve assembly coupled to the cylinder of the cylinder and having a fill valve and a fuel remaining amount gauge integrated therewith,
Wherein the storage portion further includes a fuel supply cup for ensuring normal fuel supply that surrounds the suction portion of the pump and has a fuel outflow-inhibiting fuel inlet / outlet portion in the bottom portion thereof,
Wherein the fuel outlet of the fuel storage cup is further provided with a fuel leakage restraining nozzle arrang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향 개구되어 있고, 개구부 둘레에는 보호용 제1슬리브와, 펌프 결합용 제1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부는 사선 배열되어 돌출된 제2슬리브를 갖고, 이 제2슬리브에는 밸브어셈블리 결합용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is upwardly open, and a first sleeve for protection and a first fastening hole for pump coupling are formed around the opening,
Wherein the through-hole has a second sleeve protruded obliquely,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 engaging the valve assembly is formed in the second slee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공간부에는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과 결합될 수 있는 격판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spac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aphragm coupled to a fixing bracket provided in the spare tire storag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봄베의 외벽부에는 스페어타이어 보관부와의 사이에 배열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outer wall of the bomb further comprises a buffer member arranged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bomb and the spare tire storage unit.
KR1020120119590A 2012-10-26 2012-10-26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KR1014086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90A KR101408659B1 (en) 2012-10-26 2012-10-26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90A KR101408659B1 (en) 2012-10-26 2012-10-26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46A KR20140053546A (en) 2014-05-08
KR101408659B1 true KR101408659B1 (en) 2014-06-17

Family

ID=5088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590A KR101408659B1 (en) 2012-10-26 2012-10-26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6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821B1 (en) 2016-10-12 2017-09-28 주식회사 대흥정공 An lpg composite fule tank for a vehicle
KR20230018059A (en)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대흥정공 Lpg fule tank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336B1 (en) * 2021-08-06 2023-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Reservoir cup assembly of lpg fule tank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0790A (en) * 1991-11-06 1995-01-26 アイ.コ.エム.エス.アール.エル Particularly regarding the positioning of collective valves. P. G. (liquid propane gas) tank improvement
KR200440592Y1 (en) * 2007-04-24 2008-06-20 (주)모토닉 a fuel tank of gas fuel vehicles
KR20110035017A (en)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캐놀 Integrated eqipment for fuel tank of lpi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0790A (en) * 1991-11-06 1995-01-26 アイ.コ.エム.エス.アール.エル Particularly regarding the positioning of collective valves. P. G. (liquid propane gas) tank improvement
US5488970A (en) * 1991-11-06 1996-02-06 Cippitani; Luciano L.P.G. (Liquid Propane Gas) tanks, 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ing of the valve groups
KR200440592Y1 (en) * 2007-04-24 2008-06-20 (주)모토닉 a fuel tank of gas fuel vehicles
KR20110035017A (en)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캐놀 Integrated eqipment for fuel tank of lpi veh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821B1 (en) 2016-10-12 2017-09-28 주식회사 대흥정공 An lpg composite fule tank for a vehicle
KR20230018059A (en)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대흥정공 Lpg fule tank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46A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298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lternative fuel container support
US8302997B2 (en) Vehicle fuel storage system
US11396230B2 (en) Integrated fill system and method
US20090025694A1 (en) Fuel vapor control devices
US20090272590A1 (en) Hydrogen storage system for vehicle
KR101408659B1 (en)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KR20060100231A (en) Integral vapor storage and vent valve assembly for use with a small engine fuel tank and vapor emission system employing same
US8459313B2 (en) Gas fuel vehicle
US20150114505A1 (en) Urea solution apparatus for vehicles
US20120152215A1 (en) Dual fuel source trailer tractor
US20180038320A1 (en) Multi-stage check valve for vapor recirculation line of liquid containment system
US9068534B2 (en) Compressed natural gas pressure regulator protective bracket
NL2009328C2 (en) Assembly for buffering a liquefied petroleum gas in a liquefied petroleum gas storage and storage bag therefore.
CN103889759A (en) Support arm assembly
KR101408658B1 (en) Gas tank apparatus for vehicle
JP5357703B2 (en) Punk repair kit
KR101199319B1 (en) Fuel tank for gas fuel vehicles and fuel charge method thereof
CN104890503A (en) CNG gas storage system for forklift
KR101464067B1 (en) LPG bombe for vehicle
KR20010062390A (en) Fuel supply systems
US10094344B2 (en) Fuel supply device
KR20100019617A (en) A lpg bomb for a vehicle
CN113217805A (en) Vehicle-mounted hydrogen storage device
KR20100058063A (en) Apparatus for mounting natural gas vessel for a vehicle
KR102203485B1 (en) Closed tan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