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011B1 -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 - Google Patents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011B1
KR101408011B1 KR1020120001315A KR20120001315A KR101408011B1 KR 101408011 B1 KR101408011 B1 KR 101408011B1 KR 1020120001315 A KR1020120001315 A KR 1020120001315A KR 20120001315 A KR20120001315 A KR 20120001315A KR 101408011 B1 KR101408011 B1 KR 10140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preamble sequence
bandwidth request
bits
prea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541A (ko
Inventor
린 이-팅
짜이 쭝-위
지엔 춘-처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12008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시스템은 제1유형 통신 표준과 제2유형 통신 표준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무선장치로부터 스테이션 ID와 식별정보의 일부를 가진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장치가 제1유형 무선장치 및 제2유형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결정한다. 상기 제1유형 무선장치는 상기 제1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고, 상기 제2유형 무선장치는 상기 제2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장치이다.

Description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의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과 무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uplink) 신호 내 일부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장치가 제1 유형의 무선장치와 제2 유형의 무선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 기술들의 응용제품과 서비스들이 점차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다른 서비스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통신 전송 기술 및 통신 표준이 점점 발전되고 있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시스템은 일대다(point to multipoint) 광대역 무선 액세스 기술이고, 최근 빠른 성장세를 갖고 있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들 중 하나이다.
WiMAX 시스템은 IEEE 802.16 시리즈 표준을 기초로 하여 구현된다. WiMAX를 위한 IEEE 802.16m 표준에 따르면,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장치 간 연결이 성립되면,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이하 STID)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무선장치에 할당된다. 스테이션 ID는 대역폭 요청 채널(bandwidth request channel)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성립 후, 상기 무선장치가 베이스 스테이션에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업링크 대역폭의 베이스 스테이션을 알려주길 원하면, 상기 무선장치는 대역폭 요청 채널을 통해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그 스테이션 ID와 대역폭 요청 정보를 전송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스테이션 ID는 12비트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 스테이션은 4096개의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 단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IEEE 802.16p 표준 또한 발전하므로, 만약 베이스 스테이션이 IEEE 802.16m 표준(또한 advanced mobile station으로도 알려짐; 이하 AMS)에서 적합한 무선장치들과 IEEE. 802.16p 표준(또한 Machine to Machine device; 이하 M2M 장치)에서 적합한 무선장치들을 동시에 서비스할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할당될 수 있는 스테이션 ID들이 빨리 고갈될 것이다.
따라서, 대역폭 요청 채널의 기존의 물리적 계층 프레임워크(Physical layer framework) 하의 스테이션 ID들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급히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역폭 요청 채널의 기존의 물리적 계층 프레임워크 하의 스테이션 ID(STID)들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이션 ID(STID)의 사용을 확장할 수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역폭 요청 채널의 기존 물리적 계층 프레임 워크 하의 스테이션 ID(STID)들을 확장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장치는 스테이션 ID와 식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장치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매커니즘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반복적으로 동일한 스테이션 ID를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할당함으로써 스테이션 ID의 사용을 확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션 ID가 부족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WiMAX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는 IEEE 802.16m 표준에 따르는 무선 장치이고,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는 IEEE 802.16p 표준에 따르는 무선장치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을 위한 베이스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1 유형 통신 표준, 제2 유형 통신 표준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트랜시버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시버는 무선 장치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스테이션 ID(STID)와 식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장치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는 제1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고,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는 제2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른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1유형 통신 표준, 제2유형 통신표준을 가진다. 상기 무선장치는 프로세서와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업링크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스테이션 ID(STID)와 식별정보의 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달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장치가 제1유형 무선장치 및 제2유형 무선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유형 무선장치는 제1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고, 상기 제2유형 무선장치는 제2유형 통신 표준에 따른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유형 통신 표준 및 제2 유형 통신 표준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은, 무선 장치로부터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및 식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수신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제1 유형 무선 장치와 상기 제2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시스템이고, 상기 제1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m 표준이고, 상기 제2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p 표준이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상기 제1 비트에 의해 나타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2 비트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확장 스테이션 ID(extension station 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한다.
상기 제2 비트들의 수는 4개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테이션 ID를 포함하는 할당 메시지(allocation message)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상기 무선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ID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메시지에 상기 스테이션 ID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할당 메시지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의해 전달된다.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검색하고,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할당 메시지는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른 제1 순열 관계식 및 제2 순열 관계식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의 동일성에 따라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장치를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비트 및 상기 제2 비트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장치를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비트 및 상기 제2 비트의 적어도 하나는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비트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나타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유형 통신 표준 및 제2 유형 통신 표준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장치는,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및 식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이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장치가 제1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시스템이고, 상기 제1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m 표준이고, 상기 제2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p 표준이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에 의해 나타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로 정의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하나의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무선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확장 스테이션 ID(extension station 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상기 제2 비트들의 수는 4개이다.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이션 ID를 포함하는 할당 메시지(allocation message)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ID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메시지에 상기 스테이션 ID를 저장한다.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할당 메시지는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검색하고,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른 제1 순열 관계식에 의해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른 제2 순열 관계식에 의해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로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이 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이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비트들 및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비트들 및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제1 비트들 및 상기 제2 비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들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로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스테이션 ID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비트들 중 하나에 의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에 따르면, 대역폭 요청 채널의 기존의 물리적 계층 프레임워크 하의 스테이션 ID(STID)를 확장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여 스테이션 ID(STID)의 사용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대역폭 요청 채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12 비트 스테이션 ID 및 4 비트의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12 비트 스테이션 ID 및 5 비트의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 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11) 및 무선 장치(13)는 제1 유형 통신 표준(first-type communication standard) 및 제2 유형 통신 표준(second-type communication standard)을 갖는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된다.
베이스 스테이션(11)은 신호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지며, 신호 커버리지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들을 위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장치(13)는 베이스 스테이션(11)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위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11)은 실제로 동일한 방식인 각 무선 장치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베이스 스테이션(11) 및 무선 장치(13)와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1)은 무선 장치(13)와 연결을 성립한다. 연결을 성립하는 과정에 있어서, 베이스 스테이션(11)은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 102)를 무선 장치(13)로 전송한다. 다운링크 신호(102)는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STID)를 포함하는 할당 메시지(allocation message)를 전달한다. 연결이 성립된 이후, 무선 장치(13)가 베이스 스테이션(11)으로 업링크 데이터(uplink data) 전송을 필요로 하는 경우, 무선 장치(13)는 요구되는 업링크 대역폭(uplink bandwidth)의 베이스 스테이션을 알리기 위해 업링크 신호(114)를 전송한다. 업링크 신호(114)는 베이스 스테이션(11)에 의해 할당된 스테이션 ID(STID) 및 및 식별 정보(identifying information)의 일부를 포함한다.
업링크 신호(114)가 수신된 이후, 베이스 스테이션(11)은 식별 정보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또는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제1 유형 무선 장치는 제1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고, 제2 유형 무선 장치는 제2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른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션(11)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동일한 스테이션 ID(STID)를 할당하고, 식별 정보에 따라 업링크 신호(114)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또는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의해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스테이션 ID(STID)의 사용을 확장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ID(STID)들의 부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스테이션(11)은 트랜시버(transceiver, 111) 및 프로세서(113)를 포함한다. 트랜시버(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113)는 스테이션 ID(STID)를 포함하는 할당 메시지를 생성한다. 트랜시버(111)는 할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다운링크 신호(102)를 무선 장치(13)로 전송한다. 또한, 트랜시버(111)는 무선 장치(13)로부터 업링크 신호(114)를 수신한다. 프로세서(113)는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장치(13)는 트랜시버(131) 및 프로세서(13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3)는 할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1)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102)를 수신하고, 할당 메시지로부터 스테이션 ID(STID)를 검색(retrieve)한다. 프로세서(133)는 스테이션 ID(STID)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신호(114)를 생성한다. 프로세서(1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트랜시버(131)는 업링크 신호(114)를 베이스 스테이션(11)으로 전송한다. 즉, 베이스 스테이션(11)은 업링크 신호(114)의 식별 정보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대역폭 요청 채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12 비트 스테이션 인증 및 4 비트의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스테이션(11) 및 무선 장치(13)는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시스템, IEEE 802.16m 표준인 제1 유형 통신 표준 및 IEEE 802.16p 표준인 제2 유형 통신 표준을 위해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업링크 신호(114)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은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 10)을 포함한다. 대역폭 요청 채널(10)은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들(101, 103, 105)을 포함한다. 대역폭 요청 블록(101, 103, 105) 각각은 6개의 연속하는 서브캐리어들(subcarriers) 및 6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symbol)들로 구성된다. 대역폭 요청 블록(101)은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101m)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 101p)를 포함한다. Mi는 i(i는 0 내지 35)번째 데이터 서브캐리어를 나타내고, Prj는 j(j는 0 내지 23)번째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를 나타낸다. 이와 유사하게, 대역폭 요청 블록(103)은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103m)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3p)를 포함하고, 대역폭 요청 블록(105)은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105m)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5p)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101m, 103m, 105m)은 무선 장치(13)의 스테이션 ID(STID) 및 기정의된 밴드폭 요청 인덱스(a 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다. 스테이션 ID(STID) 및 기정의된 밴드폭 요청 인덱스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스테이션 ID(STID)는 12개의 비트들(S0S1S2S3S4S5S6S7S8S9S10S11)로 구성되고, 기정의된 밴드폭 요청 인덱스는 4개의 비트들(S12S13S14S15)로 구성된다.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12 비트의 스테이션 ID(STID) 및 기정의된 밴드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S12)를 엑세스 메시지로 저장한다. 기정의된 밴드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S12)는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제1 비트(S12)가 0인 경우, 무선 장치(13)는 제1 유형 무선 장치(즉, IEEE 802.16m 표준에 따르는 무선 장치)에 속하고, 제1 비트(S12)가 1인 경우, 무선 장치(13)는 제2 유형 무선 장치(즉, IEEE 802.16p 표준에 따르는 무선 장치)에 속한다. 그러므로,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무선 장치(13) 그 자체의 유형에 따라 제1 비트(S12)를 생성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트랜시버(111)에 의해 업링크 신호(114)가 수신된 이후, 프로세서(113)는 제1 비트(S12)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또는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지 결정한다. 이 경우, 다른 유형의 2개의 무선 장치들에 동일한 스테이션 ID(STID)가 할당되더라도, 무선 장치들은 여전히 제1 비트(S12)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11)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에 의해 생성된 기정의된 밴드폭 요청 인덱스의 제2 비트들(S13S14S15)은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WiMAX 시스템은 제2 비트들(S13S14S15)을 생성한 이후에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정의하고,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제2 비트들(S13S14S15)에 따라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가질 수 있다(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는 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함). 다시 말해서, 제2 비트들(S13S14S15)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무선 장치에 대한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8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은 제2 비트들(S13S14S15)에 의해 나타난 8개의 값에 상응)에 상응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트랜시버(111)에 의해 업링크 신호(114)가 수신된 이후, 프로세서(13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제2 비트들(S13S14S15)을 검색(retrieve)하고, 그런 다음 제2 비트들(S13S14S15)에 의해 나타난 대역폭 요청 사이즈에 따라 업링크 대역폭을 무선 장치(13)로 할당할 수 있다.
제2 비트들(S13S14S15) 및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사이의 대응 관계는 테이블 룩업(table lookup) 또는 미리 나타낸 4개의 산술 동작들(예컨대, IEEE 802.16m 표준에 나타난 순열 관계식)을 통해 이뤄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EEE 802.16m 표준에 따르면,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근거로 사용하기 위해 동작들은 제2 비트들(S13S14S15) 및 스테이션 ID(STID)에 만들어지므로, 이에 나타난 순열 관계식은 선택을 위한 근거로써 스테이션 ID(STID)를 갖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즉,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는 스테이션 ID(STID)(S0S1S2S3S4S5S6S7S8S9S10S11) 및 제2 비트들(S13S14S15)에 따라 선택된다. 스테이션 ID(STID)간의 대응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2 비트들(S13S14S15) 및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은 현행 IEEE 802.16m 표준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고, 스테이션 ID(STID)와 관련된 설명이 생략되는 반면 "제2 비트들에 따라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고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제2 비트들을 검색(retrieve)"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무선 장치(13)가 제2 유형 무선 장치(즉, IEEE 802.16p 표준에 따르는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제2 비트들(S13S14S15) 중 적어도 하나가 확장 스테이션 ID(extension station 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제2 비트(S13)가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로부터 생성된 할당 메시지는 스테이션 ID(STID) 뿐 아니라 1 비트의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포함한다.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할당 메시지로부터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검색(retrieve)한다. 그러면,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제2 비트들(S13S14S15)을 생성하고,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는데 제2 비트(S13)를 사용하며,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나타내는데 제2 비트들(S14S15)을 사용한다.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확장 스테이션 ID(S13) 및 제2 비트들(S14S15)에 따라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가 제1 비트(S12)에 따라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무선 장치(13)를 결정한 이후, 프로세서(113)는 스테이션 ID(STID) 및 확장 스테이션 ID(S13)에 따라 무선 장치(13)를 인식한다. 이 경우, 대역폭 사이즈를 위한 4개의 선택(즉, 제2 비트들(S14S15)에 의해 나타난 4개의 값)이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의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제2 비트들(S13S14)이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에 의해 생성된 할당 메시지는 스테이션 ID(STID) 뿐 아니라 2 비트의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포함한다.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는데 제2 비트들(S13S14)을 사용하고,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나타내는데 제2 비트(S15)를 사용하며, 확장 스테이션 ID(S13S14) 및 제2 비트(S15)에 따라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그러면,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가 제1 비트(S12)에 따라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무선 장치(13)를 결정한 이후, 프로세서(113)는 스테이션 ID(STID) 및 확장 스테이션 ID(S13S14)에 따라 무선 장치(13)를 인식한다. 이 경우, 대역폭 사이즈를 위한 2개의 선택(즉, 제2 비트(S15)에 의해 나타난 2개의 값)이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의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2 비트들(S13S14S15)이 모두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에 의해 생성된 할당 메시지는 스테이션 ID(STID) 뿐 아니라 3 비트의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확장 스테이션 ID(S13S14S15)에 따라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그러면,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가 제1 비트(S12)에 따라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무선 장치(13)를 결정한 이후, 프로세서(113)는 스테이션 ID(STID) 및 확장 스테이션 ID(S13S14S15)에 따라 무선 장치(13)를 인식한다. 이 경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대역폭 사이즈는 고정된 값이다.
따라서,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2 비트들(S13S14S15)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유형 무선 장치의 확장 스테이션 ID로 사용함으로써 스테이션 ID(STID)의 사용을 확장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스테이션(11)은 더 많은 수의 제2 유형 무선 장치들을 위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즉, IEEE 802.16m 표준에 따르는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무선 장치(13)는 여전히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나타내는데 제2 비트들(S13S14S15)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은 12 비트 스테이션 인증 및 5 비트의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및 제3 실시예와는 달리, 제4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에 의해 생성된 제2 비트의 수는 4이다(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3S14S15S16). 즉,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은(무선 장치를 위한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 16개) 4 비트의 16개의 값을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는 무선 장치(13)가 제1 비트(S12)에 따라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때,프로세서(11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4개의 제2 비트들(S13S14S15S16)을 얻을 수 있고, 제2 비트들(S13S14S15S16)은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113)는 무선 장치(13)가 제1 비트(S12)에 따라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때, 프로세서(11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4개의 제2 비트들(S13S14S15S16)을 얻을 수 있고, 제2 비트들(S13S14S15S16) 중 적어도 하나는 확장 스테이션 ID를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제1 유형 무선 장치(예를 들어, IEEE 802.16m 표준을 따르는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예를 들어, IEEE 802.16p 표준을 따르는 무선 장치)가 다른 순열 관계식을 각각 이용하여(또는 테이블 룩업(table look up)을 통해)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점,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의해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는 서로 동일하지 않을 것이어서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는 식별 정보를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는 다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특히,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일 때, 프로세서(113)는 제2 비트들(S13S14S15)을 생성하고 제2 비트에 따라 제1 순열 관계식을 이용하여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로부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한다. 이 경우, 제1 비트(S12) 및 제2 비트들(S13S14S15) 중 적어도 하나는 확장 스테이션 ID를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장치를 위해, 제1 순열 관계식을 이용하여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 및 제2 순열 관계식을 이용하여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는 서로 배타적이다.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제1 순열 관계식 및 제2 순열 관계식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가 제1 순열 관계식(예를 들어, 제1 순열 관계식에 따르는 제2 비트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는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라면, 프로세서(113)는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라고 결정한다. 반대로,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가 제2 순열 관계식(예를 들어, 제2 순열 관계식에 따르는 제2 비트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는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라면, 프로세서(113)는 무선 장치(13)가 제2 유형 무선 장치라고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11)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S12)에 따르는 대신,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의 동일성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며, 따라서 프리앰블 시퀀스는 식별 정보를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예를 들어, IEEE 802.16m 표준을 따르는 무선 장치)에 속할 때,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가 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도록 한다. 그러나, 무선 장치(13)가 제2 유형 무선 장치(예를 들어, IEEE 802.16p 표준을 따르는 무선 장치)에 속할 때,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가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한다면, 프로세서(133)는 여전히 생성된 제2 비트들(S13S14S15)에 따라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로부터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가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 안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러나, 무선 장치(13)가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한다면, 프로세서(133)는 생성된 제2 비트들(S13S14S15)에 따라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로부터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가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안에(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3p, 105p)가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는 동안) 전달되도록 한다.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3p, 105p)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가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안에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와 동일할 수 있고,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3p, 105p) 중 나머지 하나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가 남아있는 23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무작위로 선택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3p, 105p)는 또한 남아있는 23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무작위로 2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다.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일 때, 업링크 신호(114)가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트랜시버(111)에 의해 수신된 후에 프로세서(11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예를 들어, 제1 비트(S12) 및 제2 비트들(S13S14S15))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표현하는데 이용된다. 다른 한편, 무선 장치(13)가 제2 유형 무선 장치일 때, 프로세서(11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예를 들어, 제1 비트(S12) 및 제2 비트들(S13S14S15))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확장 스테이션 ID를 표현하는데 이용된다.
간단히 말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는 무선 장치가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한다면 적어도 두개의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포함하여야 한다. 게다가, 제2 비트들(S13S14S15)에 따라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에 의해 전달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가 베이스 스테이션(11) 및 무선 장치(13)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것인 이상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3p, 105p)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의 동일성에 따라 무선 장치(13)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2 비트들(S13S14S15) 중 하나가 식별 정보를 표현하는데 이용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는 다르다.
제2 비트가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에 의해 생성될 때, 제2 비트들 중 하나는 무선 장치(13) 자체의 유형에 따라 생성되고 식별 정보를 표현하는데 이용된다. 이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3)는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101p, 103p, 105p)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제2 비트들을 검색(retrieve)하며, 제2 비트들 중 하나에 의해 표현되는 식별 정보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2 비트(S15)가 식별 정보를 표현한다면,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무선 장치(13) 자체의 유형에 따라 제2 비트(S15)를 생성하며, 베이스 스테이션(11)의 프로세서(113)은 제2 비트(S15)에 따라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유사하게, 무선 장치(13)가 제1 유형 무선 장치일 때,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은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표현하는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S12) 및 제2 비트들(S13S14)을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무선 장치(13)가 제2 유형 무선 장치일 때,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는 확장 스테이션 ID를 표현하는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S12) 및 제2 비트들(S13S14)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비트들이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동안,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있는 것처럼 제2 비트들을 4개의 비트들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장치(13)의 프로세서(133)에 의해 생성된 제2 비트들의 수는 4(예를 들면, S13S14S15S16)이다. 제2 비트(S15)가 식별 정보를 표현한다면,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S12) 및 제2 비트들(S13S14 및 S16)은 제1 유형 무선 장치를 위한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표현하는데 이용되고,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S12) 및 제2 비트들(S13S14 및 S16)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비트들이 제2 유형 무선 장치를 위한 대역폭 요청 사이즈를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동안, 확장 스테이션 ID를 표현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역폭 요청 채널의 기존의 물리적 계층 프레임워크 하의 스테이션 ID(STID)를 확장하는 매커니즘(mechanism)을 제공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하면, 베이스 스테이션은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대해 동일한 스테이션 ID(STID)를 반복적으로 할당함에 의해 스테이션 ID(STID)의 사용을 확장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스테이션 ID(STID)가 부족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해결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인 수단이 WiMAX 시스템(여기서, 제1유형 무선 장치는 IEEE 802.16m 표준에 따르는 무선장치이고, 제2유형 무선장치는 IEEE 802.16p 표준에 따르는 무선장치이다)에 적용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확장 스테이션 ID(STID)를 표현하는 원래의(original) 물리적 자원(physical resource)을 이용함에 의해 IEEE 802.16p 표준에 따르는 무선 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대역폭 요청 채널 11: 베이스 스테이션
13: 무선 장치 101, 103, 105: 대역폭 요청 블록
111, 131: 트랜시버 113, 133: 프로세서

Claims (24)

  1. 제1 유형 통신 표준 및 제2 유형 통신 표준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에 있어서,
    무선 장치(wireless device)로부터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및 식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수신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장치가 상기 제1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제1 유형 무선 장치와 상기 제2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시스템이고,
    상기 제1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m 표준이고, 상기 제2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p 표준인 베이스 스테이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상기 제1 비트에 의해 나타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retrieve)하고,
    상기 제2 비트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retrieve)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확장 스테이션 ID(extension station 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retrieve)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트들의 수는 4개인 베이스 스테이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테이션 ID를 포함하는 할당 메시지(allocation message)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상기 무선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ID를 검색(retrieve)하고 상기 액세스 메시지에 상기 스테이션 ID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할당 메시지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의해 전달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검색(retrieve)하고,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할당 메시지는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른 제1 순열 관계식 및 제2 순열 관계식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의 동일성에 따라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장치를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비트 및 상기 제2 비트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무선 장치를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비트 및 상기 제2 비트의 적어도 하나는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들을 검색(retrieve)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비트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나타나는 베이스 스테이션.
  13. 제1 유형 통신 표준 및 제2 유형 통신 표준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장치(wireless device)에 있어서,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및 식별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이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장치가 제1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 및 제2 유형 통신 표준에 따르는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시스템이고,
    상기 제1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m 표준이고, 상기 제2 유형 통신 표준은 IEEE 802.16p 표준인 무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제1 비트에 의해 나타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로 정의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 무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는 무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하나의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무선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확장 스테이션 ID(extension station 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는 무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트들의 수는 4개인 무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수신하고, 상기 스테이션 ID를 포함하는 할당 메시지(allocation message)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스테이션 ID를 검색(retrieve)하고 상기 액세스 메시지에 상기 스테이션 ID를 저장하는 무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할당 메시지는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할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를 검색(retrieve)하고, 상기 확장 스테이션 ID에 따라 상기 제2 비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는 무선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을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른 제1 순열 관계식에 의해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트들에 따른 제2 순열 관계식에 의해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는 무선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로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나타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이 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이 상이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1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대역폭 요청 사이즈(bandwidth request size)를 나타내는 상기 제1 비트들 및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무선 장치가 상기 제2 유형 무선 장치에 속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비트들 및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확장 스테이션 ID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제1 비트들 및 상기 제2 비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무선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BR channel)은 각각이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data subcarrier set) 및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preamble sequence subcarrier set)들를 포함하는 3개의 대역폭 요청 블록(bandwidth request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브캐리어 세트들은 상기 스테이션 ID와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predefined bandwidth request index)의 제1 비트를 포함한 액세스 메시지(access message)를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들로 정의하고,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정의된 대역폭 요청 인덱스의 다수의 제2 비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스테이션 ID에 따라 상기 2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부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서브캐리어 세트들 각각에 의해 전달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며,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비트들 중 하나에 의해 나타나는 무선 장치.
KR1020120001315A 2011-01-07 2012-01-05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 KR101408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30583P 2011-01-07 2011-01-07
US61/430,583 2011-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541A KR20120080541A (ko) 2012-07-17
KR101408011B1 true KR101408011B1 (ko) 2014-06-17

Family

ID=4645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315A KR101408011B1 (ko) 2011-01-07 2012-01-05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55035B2 (ko)
KR (1) KR101408011B1 (ko)
CN (1) CN102595659B (ko)
TW (1) TWI4680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498A2 (ko) * 2011-03-04 201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수행 방법 및 장치
JP5993004B2 (ja) * 2011-07-02 2016-09-1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機器間の通信における加入者端末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5071025A1 (en) * 2013-11-14 2015-05-21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
US10206211B2 (en) * 2015-06-04 2019-02-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wideband long-term evolution (LTE) uplink transmission
CN108023619B (zh) * 2016-11-03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预编码配置方法、设备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305A (ko) * 2006-12-29 2009-09-04 인텔 코오퍼레이션 Wimax와 gsm의 동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028622A (ja) * 2008-07-23 2010-02-0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ネットワーク処理装置
JP2010103743A (ja) 2008-10-23 2010-05-06 Japan Radio Co Ltd WiMAX通信システム
KR20100101455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상향링크 대역 요청 채널 신호 생성 방법 및/또는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4799B2 (en) 2006-12-29 2010-09-28 Intel Corporation Uplink contention based access with quick access channel
US8284721B2 (en) * 2008-06-26 2012-10-0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tenna isolation-dependent coexistence in wireless systems
JP5226870B2 (ja) * 2008-08-13 2013-07-0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マルチif/ratレイヤ制限の報告
US8649313B2 (en) 2009-04-10 2014-02-11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obile station,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hereof
TWI434582B (zh) * 2009-04-10 2014-04-11 Inst Information Industry 行動台、基地台、傳輸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CN101730193B (zh) * 2009-06-09 2012-06-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选择网关节点的方法及系统
US20120142268A1 (en) * 2010-12-06 2012-06-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ignal transmission method,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247454B2 (en) * 2010-12-23 2016-01-26 Intel Corporation Grouping small burst transmissions for downlink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305A (ko) * 2006-12-29 2009-09-04 인텔 코오퍼레이션 Wimax와 gsm의 동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028622A (ja) * 2008-07-23 2010-02-0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ネットワーク処理装置
JP2010103743A (ja) 2008-10-23 2010-05-06 Japan Radio Co Ltd WiMAX通信システム
KR20100101455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상향링크 대역 요청 채널 신호 생성 방법 및/또는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5659A (zh) 2012-07-18
CN102595659B (zh) 2014-12-17
US9155035B2 (en) 2015-10-06
US20120178463A1 (en) 2012-07-12
KR20120080541A (ko) 2012-07-17
TWI468063B (zh) 2015-01-01
TW201230851A (en)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7725B (zh) 载波聚合
US106159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KR102005995B1 (ko) 고효율성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프리앰블에서의 자원 배정 시그널링
KR101615062B1 (ko) 다운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들을 할당 및 검출하는 방법과 장치
US10420092B2 (en)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3491875B1 (en)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02170702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基站和通信系统
JP56705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制御情報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JP5543461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高速フィードバック情報送受信装置及び方法
CN102474345B (zh) 带宽请求信道中给前导码编索引的方法和装置
KR20180126048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
KR101643855B1 (ko) 제어 채널 후보들의 개수 및 블라인드 검출 횟수를 할당하는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CN103609084A (zh) 通信系统中物理下行链路控制信令的延伸
CN103427970A (zh) 传输下行控制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1754396B (zh) 一种指示传输模式的方法、系统和装置
KR101408011B1 (ko) 베이스 스테이션 및 무선 장치
US86387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using codebook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44793A2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W201824908A (zh) 傳輸信息的方法、網絡設備和終端設備
CN105228248A (zh) 一种d2d传输中的资源分配方法和装置
US11229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reamble zone selection
CN105992380B (zh) 基站、移动台和下行链路调度方法
US868757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7507514A (ja) Timセグメンテーションのためのトラフィック指示マップ情報要素インジケータ
EP3285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multiple users in wireless la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