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964B1 -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964B1
KR101407964B1 KR1020130017826A KR20130017826A KR101407964B1 KR 101407964 B1 KR101407964 B1 KR 101407964B1 KR 1020130017826 A KR1020130017826 A KR 1020130017826A KR 20130017826 A KR20130017826 A KR 20130017826A KR 101407964 B1 KR101407964 B1 KR 10140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
image
partial images
audien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회진
최재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드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드로버
Priority to KR102013001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1Content authoring involving branching, e.g. to different story en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객이 원하는 스토리의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관객의 성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결말의 영상을 관람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variable story screening program and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객이 원하는 스토리의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관객의 성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결말의 영상을 관람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와 같은 영상을 관람할 때, 관객은 제작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스토리로 제작된 영상을 관람하게 되고, 이는 관객이 원하는 스토리의 영상을 관람할 수 있게 해 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호러(horror)물이나 스릴러(thriller)물을 좋아하지 않는 관객은 자신이 좋아하는 연기자가 출연함에도 불구하고 관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호러 영화 시청중 관객이 심장마비로 목숨을 읽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으므로 관객은 영화 선택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작자는 다양한 결말을 갖는 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관객을 자신이 원하는 장르 또는 감정의 영상을 관람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관객이 원하는 다양한 결말의 영상을 제공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관객이 직접 선택한 스토리의 영상들을 출력하거나 관객의 성향에 따른 스토리의 영상들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객이 직접 선택한 스토리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객의 성향에 따른 스토리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관객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를, 장르 또는 사람의 감정에 따른 스토리를 갖는 복수의 부분 영상들을 저장하는 영상저장수단; 관객으로부터 스토리를 선택받는 스토리 선택수단; 및 상기 영상저장수단에 저장된 부분 영상들 중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스토리의 부분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영상이 출력되게 하는 영상출력수단;으로 기능하게 하여 관객에 의해 선택된 스토리 라인의 전체 영상이 출력되게 하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은 상기 부분 영상들을 출력시간대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은 각 부분 영상의 출력이 종료될 때마다, 관객으로부터 스토리를 선택받고, 상기 영상출력수단은 출력시간대 별로 선택된 스토리의 부분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은 특정 출력시간대에서 선택할 수 있는 스토리의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영상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체 영상의 개수를 조절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관객으로부터 성향파악을 위한 설문정보를 입력받는 설문정보 입력수단; 상기 설문정보를 분석하여 관객의 성향을 계산하는 성향계산수단; 및 계산된 성향에 대응하는 장르 또는 감정의 스토리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스토리 자동선택수단;으로 더 기능하게 하고, 상기 영상출력수단은 상기 스토리 자동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스토리의 부분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영상이 출력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부분 영상들은 장르별 또는 감정별로 가중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성향계산수단은 상기 설문정보를 분석하여 관객의 성향을 장르별 또는 감정별 가중치로 계산하며, 상기 스토리 자동선택수단은 출력되는 모든 부분 영상들의 가중 합이 상기 성향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장르별 또는 감정별 가중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전체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체를 갖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체;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상기 매체에 저장된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에 의하면, 장르 또는 사람의 감정에 따라 서로 다른 스토리를 갖는 부분영상을 관객이 직접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에 의하면 설문조사를 통해 관객의 성향을 파악하고 관객의 성향에 일치하는 부분 영상들을 선택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해 줌으로써 관객은 자신이 원하는 결말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의 부분 영상 및 전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100)에 의해 읽혀지고, 상기 컴퓨터(100)가 스토리가 가변하는 영상을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100)에 고정식 디스크 또는 이동식 디스크의 형태로 읽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100)는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서 공지되어 사용 가능할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자기 및 광 기록을 겸할 수 있는 자기-광 기록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에 저장되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로 짜여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체가 포함된 컴퓨터(100) 및 상기 컴퓨터(10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관객이 영상을 관람할 수 있게 하는 영상 출력 장치(200)를 하나의 영상 출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출력장치(200)는 LCD, LED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빔 프로젝터와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빔 프로젝터만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체,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상기 매체에 저장된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 시스템은 상기 매체에 저장된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100)를 영상저장수단(110), 스토리 선택수단(120) 및 영상출력수단(130)으로 기능하게 한다.
상기 영상저장수단(110)은 출력될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장르 또는 사람의 감정에 따른 스토리로 구분되는 복수의 부분 영상들을 저장한다.
도 3은 상기 부분 영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분 영상들은 스토리에 따라 복수 개의 부분 영상들(111,112,113,1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토리란 영상의 장르 또는 사람의 감정에 따른 이야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리는 유머, 공포, 기쁨, 슬픔, 반전, 드라마 등 다양한 종류의 스토리일 수 있다.
즉, 상기 부분 영상들은 유머 스토리를 갖는 유머 부분 영상들(111), 공포 스토리를 갖는 공포 부분 영상들(112), 기쁨의 스토리를 갖는 기쁨 부분 영상들(113), 슬픈 스토리를 갖는 슬픔 부분 영상들(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도시한 스토리의 종류는 일례일 뿐이며, 상기 영상저장수단(110)은 상기 부분 영상들은 반전이나 드라마 스릴러 등 다양한 종류의 스토리를 갖는 부분 영상들을 서로 구분되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부분 영상들(111,112,113,114)은 아닌 서론, 본론, 결론 각각의 스토리를 갖는 부분 영상들로 이루어진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유머 부분영상들(111)은 서론에 해당하는 유머1 부분 영상, 본론에 해당하는 유머2 부분 영상, 결론에 해당하는 유머n 부분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의 구분은 서론, 본론, 결론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t1,t2,...,t3)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부분 영상들(111,112,113,114)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출력될 복수 개의 부분 영상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분 영상들(111,112,113,114) 중, 초기 시간(t1)의 부분 영상들(유머1, 공포1, 기쁨1, 슬픔1)은 하나의 동일한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120)은 관객으로부터 관객이 원하는 스토리를 선택받는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120)은 컴퓨터의 출력장치로 스토리를 선택받기 위한 스토리 선택영상을 출력하고,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통해 관객으로부터 특정한 스토리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120)은 상기 컴퓨터(100)와 연결되는 영상 출력 장치(200)로 스토리 선택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120)은 각 부분 영상들이 출력되기 전에 관객으로부터 스토리를 선택받는다.
즉, 관객은 하나의 부분 영상을 관람하기 전후에 자신이 원하는 스토리의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결론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120)은 하나의 부분 영상이 종료될 때마다 스토리를 선택받으므로 매우 많은 개수의 결론을 갖는 전체 영상이 출력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한 부분 영상의 출력 시간대에서 선택할 수 있는 스토리의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전체 영상이 갖는 결론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100)를 설문정보 입력수단(140), 성향 계산수단(150) 및 스토리 자동선택수단(160)으로 더 기능하게 하여 관객이 하나의 부분 영상을 감상한 후, 스토리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스토리를 갖는 부분 영상들이 자동으로 선택되게 하여 한번에 관람하게 할 수도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설문정보 입력수단(140)은 관객으로부터 설문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설문은 컴퓨터의 출력장치로 출력되며, 입력장치를 통해 관객으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인 설문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러나 미리 조사된 설문결과만을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문은 관객이 좋아하는 장르가 어떤 것인지를 묻는 것뿐만 아니라 관객의 건강상태나 현재 기분 등 다양한 설문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향 계산수단(150)은 상기 설문정보를 분석하여 관객의 성향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각 설문에는 각 스토리에 해당하는 가중치점수가 부여되고, 각 가중치점수의 합계를 계산하여 관계의 성향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부분 영상들은 장르별 또는 감정별로 가중치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머1 부분 영상에는 유머 가중치 0.7, 공포 가중치 0, 기쁨 가중치 0.3, 슬픔 가중치 0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 자동선택수단(160)은 출력될 모든 부분 영상들의 가중 합이 상기 성향 계산수단에서 계산된 가중치와 일치하도록 출력될 부분 영상들을 선택한다.
여기서 가중 합이란 가중치의 평균값일 수 있다.
예들 들어, 관객의 성향이 유머 가중치 0.5, 공포 가중치 0.1, 기쁨 가중치 0.3, 슬픔 가중치 0.1로 도출된 경우, 출력될 모든 부분 영상들의 유머 가중치의 가중 합이 0.5, 공포 가중치의 가중 합이 0.1, 기쁨 가중치의 가중 합이 0.3, 슬픔 가중치의 가중 합이 0.1이 되도록 부분 영상들을 선택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영상 출력수단(130)이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관객은 매 부분 영상의 종료 후에 스토리를 선택하지 않고 한 번의 설문조사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끊김 없이 관람할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수단(130)은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120) 또는 상기 스토리 자동 선택수단(160)에서 선택된 부분 영상들을 상기 영상 출력장치(200)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컴퓨터 200:영상 출력 장치
110:영상 저장수단 120:스토리 선택수단
130:영상 출력수단 140:설문정보 입력수단
150:성향 계산수단 160:스토리 자동선택수단

Claims (7)

  1. 컴퓨터를,
    장르 또는 사람의 감정에 따른 스토리를 갖는 복수의 부분 영상들을 저장하는 영상저장수단;
    관객으로부터 스토리를 선택받는 스토리 선택수단; 및
    상기 영상저장수단에 저장된 부분 영상들 중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스토리의 부분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영상이 출력되게 하는 영상출력수단;으로 기능하게 하여 관객에 의해 선택된 스토리 라인의 전체 영상이 출력되게 하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관객으로부터 성향파악을 위한 설문정보를 입력받는 설문정보 입력수단;
    상기 설문정보를 분석하여 관객의 성향을 계산하는 성향계산수단; 및
    계산된 성향에 대응하는 장르 또는 감정의 스토리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스토리 자동선택수단;으로 더 기능하게 하고,
    상기 영상출력수단은 상기 스토리 자동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스토리의 부분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하나의 전체 영상이 출력되게 하고,
    상기 각 부분 영상들은 장르별 또는 감정별로 가중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성향계산수단은 상기 설문정보를 분석하여 관객의 성향을 장르별 또는 감정별 가중치로 계산하며,
    상기 스토리 자동선택수단은 출력되는 모든 부분 영상들의 가중 합이 상기 성향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장르별 또는 감정별 가중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전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은 상기 부분 영상들을 출력시간대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은 각 부분 영상의 출력이 종료될 때마다, 관객으로부터 스토리를 선택받고,
    상기 영상출력수단은 출력시간대 별로 선택된 스토리의 부분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 선택수단은 특정 출력시간대에서 선택할 수 있는 스토리의 개수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영상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체 영상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의 매체를 갖는 컴퓨터; 및
    상기 컴퓨터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
  7. 제 1 항의 매체;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상기 매체에 저장된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통해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시스템.
KR1020130017826A 2013-02-20 2013-02-20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 KR10140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26A KR101407964B1 (ko) 2013-02-20 2013-02-20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26A KR101407964B1 (ko) 2013-02-20 2013-02-20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964B1 true KR101407964B1 (ko) 2014-06-17

Family

ID=5113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26A KR101407964B1 (ko) 2013-02-20 2013-02-20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84B1 (ko) * 2015-01-27 2016-06-21 (주)프리비젼엔터테인먼트 영화 재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258A (ja) 2001-03-05 2002-09-13 Sharp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サーバーおよびそれに用いるクライアント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300563A (ja) * 2001-04-02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再生システム
JP2002330419A (ja)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ストーリー視聴装置及びマルチストーリー視聴方法
KR20090058842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시청자 참여를 반영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258A (ja) 2001-03-05 2002-09-13 Sharp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サーバーおよびそれに用いるクライアント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300563A (ja) * 2001-04-02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再生システム
JP2002330419A (ja)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ストーリー視聴装置及びマルチストーリー視聴方法
KR20090058842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시청자 참여를 반영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84B1 (ko) * 2015-01-27 2016-06-21 (주)프리비젼엔터테인먼트 영화 재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llaespesa et al. Ephemeral storytelling with social media: Snapchat and Instagram stories at the Brooklyn Museum
US10279257B2 (en) Data mining, influencing viewer selections, and user interfaces
TWI558186B (zh) 基於環境感測之視訊選擇
Syrett et al. The oculus rift film experience: a case study on understanding films in a head mounted display
Hall The authenticity of social-media performance: lonelygirl15 and the amateur brand of Young-Girlhood
Vosmeer et al. Project Orpheus a research study into 360 cinematic VR
KR102164836B1 (ko)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338209B2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conducting a competition between participants
Howlin et al. Audiovisual aesthetics of sound and movement in contemporary dance
US202304218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ntent using progress bars
Eklund Custom thumbnails: The changing face of personalisation strategies on Netflix
JP6767808B2 (ja) 視聴ユーザログ蓄積システム、視聴ユーザログ蓄積サーバ、及び視聴ユーザログ蓄積方法
Studt Virtual reality documentaries and the illusion of presence
KR101407964B1 (ko) 스토리 가변 전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영상 출력 시스템
US11373213B2 (en) Distribution of promotional content based on reaction capture
Guha Making a “Hate-Watch”: Netflix’s Indian Matchmaking and the Stickiness of “Cringe Binge TV”
Jang et al. Effects of temporal format of everyday video on narrative engagement and social interactivity
Rime et al. How Will You Pod? Implications of Creators’ Perspectives for Designing Innovative Podcasting Tools
Seaver Computing Taste: The Making of Algorithmic Music Recommendation
Leyda Financial Times: Economic and Industrial Temporalities in Netflix’s Arrested Development
JP2021081882A (ja) ライブ動画配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Blau et al. Perceptual Underpinnings for “Good” Editing: A Fractal Analysis
Lordin Consumer engagement during concerts: A study on using mobile interactive technology to enhance the live music event experience
Dee Me and my TV: Reconceptualizing the television audience with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US11451870B1 (en) Methods and systems to dynamically adjust a playlist based on cumulative mood s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