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836B1 -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836B1
KR102164836B1 KR1020190157916A KR20190157916A KR102164836B1 KR 102164836 B1 KR102164836 B1 KR 102164836B1 KR 1020190157916 A KR1020190157916 A KR 1020190157916A KR 20190157916 A KR20190157916 A KR 20190157916A KR 102164836 B1 KR102164836 B1 KR 10216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nsity
user
content
characteris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윤
김지은
상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은,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이용자로부터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해당 이용자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ENTS RECOMMENDATION,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하는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도입과 더불어 고객들에게 맞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시청한 콘텐츠 장르를 고려하여 유사한 장르의 콘텐츠를 추천하거나, 또는 시청자가 시청한 영화 콘텐츠의 주연 배우가 연기했던 다른 영화를 추천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경우 실제 시청된 콘텐츠에 기반하여 추천을 하고 각 개인들의 성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콘텐츠 추천에 대한 고객 만족도가 높지 않은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7-006082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텐츠를 이용하는 시청자/청취자의 성향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여 콘텐츠 추천에 따른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는,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이용자로부터 답변을 입력받는 성향 문답 처리부와;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해당 이용자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성향/특성 판단부와;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추천 리스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리스트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은,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이용자로부터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해당 이용자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콘텐츠를 시청하는 아이)의 성향에 따라 추천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됨으로써, 각기 다른 성향을 가진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콘텐츠(예를 들어 책을 읽어주는 콘텐츠)를 부모들이 알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과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아이의 부모의 양육 성향을 분석하여 아이 양육과 관련한 올바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처음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에게는 양육의 올바른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이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추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콘텐츠 이용자에게 소정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콘텐츠 이용자는 댁내에 구비된 아이피 TV(200)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 추천은 물론이고 콘텐츠 시청을 할 수 있다.
물론 콘텐츠 이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츠 추천을 받고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콘텐츠 이용자는 셋탑박스(201) 및 TV(202)로 구성된 아이피 TV(200)를 이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셋탑박스(201)는 실제 콘텐츠 추천 장치(100)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 또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TV(202)에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TV(202)는 셋탑박스(201)로부터 전달된 정보 또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TV(202)에 출력되는 콘텐츠는 예를 들어 소정의 책을 읽어주는 음성/영상 콘텐츠일 수 있다.
특히 셋탑박스(2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콘텐츠 추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소정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셋탑박스(201) 및 TV(202)의 콘텐츠 표시를 위한 기능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요청, 정보, 답변을 아이피 TV(20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여 설명할 수 있다.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이용자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하여 그 분석된 내용(즉,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콘텐츠 추천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성향 문답 처리부(110), 성향/특성 판단부(120),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 리스트 출력 제어부(140), 시청 이력 관리부(150), 콘텐츠 재생 처리부(160), 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저장부(170)는 콘텐츠 추천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각종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콘텐츠 추천 장치(100)의 동작 중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시청 이력 관리부(150)는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용자가 소정의 콘텐츠를 이용(시청)하는 경우 시청 이력 관리부(150)는 그 이용된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가 콘텐츠 제공까지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공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이용자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고, 또는 콘텐츠 제공이 별도의 콘텐츠 제공 서버(미 도시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해당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 이용에 따른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저장/관리 할 수도 있다.
성향 문답 처리부(110)는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이용자로부터 답변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성향 문단 처리부는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분야를 지정 입력받은 경우 그 지정된 분야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부모)가 자신의 자녀의 성향, 행동 특성, 감정 특성 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추천 콘텐츠를 확인하려고 하는 경우, 성향 문답 처리부(110)는 복수 개의 분야 리스트를 제공하여 부모가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기 구비된 복수 개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중에서 부모에 의해 선택된 분야에 대응되는 설문을 선별적으로 추출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콘텐츠 추천 장치(100)가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은 셋탑박스(201)에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성향 문답 처리부(110)가 제공하는 분야 리스트에는 예를 들어 도덕성, 협동심, 분리불안, 실용능력, 자신감, 잠재공격성, 정서불안, 산만함, 창의성, 공감력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성향 문답 처리부(110)가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시함에 있어서 랜덤 함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용자가 지정한 분야에 대응되는 설문이 100개가 있는 경우 그 중에서 랜덤 방식으로 기 설정된 개수(일 예로 6개)만을 선정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성향 문답 처리부(110)는 6개의 설문을 랜덤 방식으로 한꺼번에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지만, 각 설문에 대한 답변 결과에 따라 그 이후의 설문을 선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지정한 분야(일 예로, 도덕성)와 관련된 설문 중에서 첫 번째 설문은 랜덤 방식으로 선정하여 제공하고, 두 번째 설문은 첫 번째 설문에 대한 이용자의 답변 결과를 참조하여 선정하는 것이다.
이때 두 번째 설문 역시 랜덤 방식과 조합하여 선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설문이 '아이가 거짓말을 잘 하나요?'라는 설문인 경우, 이에 대해 답변은 '상', '중', '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는데, 미리 해당 설문의 답변 중 '상'에 대응되는 설문이 10개, '중'에 대응되는 설문이 20개, '하'에 대응되는 설문이 15개 저장되어 있고, 이용자가 '중'을 선택한 경우 성향 문답 처리부(110)는 '중'에 대응되는 설문 20개 중에서 랜덤 방식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두 번째 설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해당 이용자의 성향 또는 특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성향 판단은 일종의 수치로 환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해당 이용자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앞서 든 예와 같이 6 개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에 대한 답변이 모두 완료된 경우,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그 답변에 따라 해당 분야에 대한 점수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각 설문에 대한 답변마다 점수를 판단하고, 그 각 설문에 대한 점수를 평균내거나 합산하여 최종 성향/특성 점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설문에 대한 답변에 따른 점수는 미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설문에는 '상', '중', '하'와 같은 선택 항목이 있을 수 있고, 이 각각의 선택 항목에는 미리 소정의 점수가 할당(일 예로 '상'에는 1, '중'에는 2, '하'에는 3이 할당)될 수 있을 수 있다.
이때 이용자가 그 중 어느 하나를 답변으로써 선택하게 되면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각 '상', '중', '하'에 대응되는 점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이용자가 각 분야를 선정할 때마다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분야별로 성향/특성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청 이력 관리부(150)에 의해 이용자의 시청 이력이 저장부(170)에 저장된 경우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시청 이력 관리부(150)에 의해 저장된 시청 이력과 이용자로부터 성향 파악 설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답변을 모두 종합하여 성향/특성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시청한 콘텐츠마다 '도덕성'에 관련된 점수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이용자가 이용한 콘텐츠들의 '도덕성' 관련 점수를 평균낸 후에, 시청자의 설문 답변에 대한 점수에 반영(평균 또는 합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성향/특성 판단부(120)는 이용자로부터 연령, 성별, 형제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기본 정보 및 앞서 언급한 설문에 대한 답변을 모두 종합하여 성향/특성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는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70)에는 각 콘텐츠에 대응되는 성향 참조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는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성향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덕성'과 관련하여 총 합산 성향/특성 점수가 14인 경우,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는 해당 점수를 기준으로 소정의 마진을 둔(예를 들어 성향 참조 점수가 12, 13, 14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또는 해당 성향/특성 점수 이하인 콘텐츠(성향 참조 점수가 14 이하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소정의 분야를 지정하여 그 분야에 따른 성향/특성 점수가 산출되었고, 각 콘텐츠에 대응하여 분야별 성향 참조 점수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는 특성별 성향/특성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분야별 성향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청 이력 관리부(150)가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저장/관리하는 경우,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는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성향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1차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시청 이력 관리부(150)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이러한 1차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 적용하여 최종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 20 개의 콘텐츠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는 그 중 이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장르에 대응되는 콘텐츠 항목만을 선별하여 최종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리스트 출력 제어부(140)는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 또는 최종 콘텐츠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리스트 출력 제어부(140)는 추천 리스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셋탑박스(201)에 전송하여 TV(202)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콘텐츠 재생 처리부(160)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항목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콘텐츠 재생 처리부(160)는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를 고려한 재생 음성 톤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70)에 각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재생 처리부(160)는 이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콘텐츠를 저장부(170)로부터 추출하여 셋탑박스(201)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 신호가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부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하여 각기 서로 다른 음성 신호로 생성된 복수 개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이용자로부터 특정 콘텐츠 아이디가 선택된 경우 콘텐츠 재생 처리부(160)는 그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중에서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셋탑박스(201)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콘텐츠 재생 처리부(16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 그 스트리밍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를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동적으로 선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영상 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처리부(160)는 음성 톤 대신, 또는 음성 톤과 함께 영상 톤을 성향/특성 판단부(120)에서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것으로 변경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부모가 자신의 자녀에 대해 성향을 파악하여 그에 부합되는 콘텐츠를 추천받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다 자녀인 경우 각각의 자녀에 대한 성향 파악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이용자가 입력하는 자녀 이름 별로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성향 파악 처리를 수행(즉, 성향 설문 제시 및 점수 산출 등)할 수 있고, 이렇게 수행된 결과는 자녀별로 매칭되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100)의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성향 파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우선,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개인 정보 입력 페이지를 제공하는데(단계 S1), 여기서 개인 정보 입력 페이지는 예를 들어 부모 이름 또는 자녀 이름 등 성향 파악의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인 정보 입력 페이지에는 앞서 설명한 기본 정보 즉, 연령, 성별, 형제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용자로부터 개인 정보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단계 S3) 이를 저장함과 아울러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분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한다(단계 S5).
예를 들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도덕성, 협동심, 분리불안, 실용능력, 자신감, 잠재공격성, 정서불안, 산만함, 창의성, 공감력 각각에 해당하는 선택 버튼이 포함된 페이지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선택을 기다리는 것이다.
이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분야가 선택된 경우(단계 S7),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선택된 분야에 대응되는 설문을 제공한다(단계 S9). 이때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구비된 설문들 중에서 랜덤 방식에 의해 선정된 기 설정된 개수의 설문만을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이용자로부터 해당 설문에 대응되는 답변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고(단계 S11),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용자의 답변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점수를 산출하여 저장한다(단계 S13). 즉,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앞서 입력한 개인 정보에 매칭하여 성향/특성 점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복수의 분야 선택 버튼이 포함된 분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할 때, 만일 일부 분야가 이미 설문을 완료하여 성향/특성 점수가 산출된 경우에는 분야 선택 버튼에 성향 분석 완료 취지의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용자가 이미 설문을 완료하여 성향/특성 점수가 산출된 분야의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해당 분야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는 대신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기초한 분야 설명 문구 또는 도표가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동시에 해당 분야에 대한 설문을 다시 진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이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분야에 대응되는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S9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과정을 거쳐 성향/특성 점수가 산출된 대상에 대한 콘텐츠 추천 과정을 나타낸다.
이용자가 콘텐츠 리스트를 요청하는 경우(예를 들어 명시적으로 추천 콘텐츠를 요청하거나 또는 콘텐츠 시청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켜거나 또는 셋탑박스(201)를 켜는 경우)(단계 S21)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기 산출되었던 해당 이용자(즉, 부모 또는 자녀)의 성향/특성 점수를 추출한다(단계 S23).
이어서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추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한다(단계 S27).
예를 들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추출된 성향/특성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들의 성향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단계 S25)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을 선정하고, 그 중 관련성이 높은(예를 들어 가장 높은 성향 참조 점수를 갖거나 또는 성향/특성 점수에 가장 근접한 성향 참조 점수를 갖는) 콘텐츠 순으로 정렬한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단계 S27).
이용자가 콘텐츠 리스트를 요청하는 경우 소정의 분야를 먼저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야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점수를 추출하고 그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해당 특성과 관련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생성한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셋탑박스(201)에 전송하여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9).
이용자가 콘텐츠 리스트를 요청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분야 선택 페이지와 연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분야 선택 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분야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이용자가 선택한 경우 해당 분야 대한 설문이 완료되어 이미 성향/특성 점수가 산출된 경우에 해당 분야에 대해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기초한 분야 설명 문구 또는 도표가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는데, 이와 동시에 (일실시예로 분야 설명 문구 또는 도표의 하단에) 해당 분야에 대해 추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항목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해 이용자의 시청 이력이 있는 경우 콘텐츠 항목이 표시될 때 시청 이력도 같이 표시(일예로 '5번 시청했어요' 문구 표시)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좋아하는 콘텐츠를 파악하거나 중복 재생 선택을 방지하는 등 이용자의 콘텐츠 선택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거쳐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확인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용자가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콘텐츠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단계 S31),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그 선택된 콘텐츠를 추출한다(단계 S33).
또한,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해당 이용자(부모 또는 자녀)에 대응되어 산출되었던 성향/특성 점수를 추출하고(단계 S35), 그 추출한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음성 톤으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37).
예를 들어 추출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셋탑박스(201)에 전송함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음성 톤으로 변경/필터링하여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도 3 내지 도 5는 이해를 돕기 위해 구분하여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도 3 내지 도 5는 연속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성향/특성 점수가 산출된 이후 즉시 그 산출된 성향/특성 점수에 대응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추천 장치(100)가 셋탑박스(201)와 통신하는 하나의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였는데, 복수의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100)가 도 6과 같이 콘텐츠 추천 서버(101)와 알고리즘 처리 서버(102)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콘텐츠 추천 서버(101)는 셋탑박스(201)에 설문 표시와 답변을 입력받는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알고리즘 처리 서버(102)는 콘텐츠 추천 서버(101)로부터 수신되는 설문 답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성향/특성 점수를 산출한 후 그에 대응되는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콘텐츠 추천 서버(10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 추천 서버(101)는 알고리즘 처리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셋탑박스(201)에 전달함과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콘텐츠 추천 서버(101)는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관리할 수도 있는데, 이때 콘텐츠 추천 서버(101)는 알고리즘 처리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 중에서 이용자의 시청 이력에 대응되는 콘텐츠 항목을 선별한 최종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셋탑박스(201)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추천 장치(100)가 셋탑박스(201)와 구분되는 서버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상술한 콘텐츠 추천 장치(100)의 각 기능이 이용자의 댁내에 구비된 장치 즉, 셋탑박스(201)에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예를 들어 아이들의 성향 또는 특성에 맞는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아이들에 대한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이용자(부모 등)로부터 아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은 경우, 그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아이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등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부모들은 아이의 성향 또는 특성에 부합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소정의 책을 읽어주는 것인 경우, 콘텐츠 추천 장치(100)는 설문 응답을 한 아이의 성향 등에 따른 책을 추천하고, 사용자가 그 중 어느 하나의 책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책의 내용(텍스트)를 읽어서 들려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부모들의 성향, 감정 특성, 또는 행동 특성에 맞는 콘텐츠의 제공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설문 내용이 부모의 성향, 감정 특성, 또는 행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대해 부모가 자신이 아이를 양육하는 방식 등에 대한 답변을 하는 경우, 그에 맞는 맞춤형 육아 영상을 추천할 수도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문 내용이 부모들의 자존감, 자율성 관계지향(친화), 연대감, 성취지향, 양육만족도, 책임감, 완벽치향, 신중성, 자기성찰, 자기확신, 자기 효능감, 사회기술(사회불안),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성, 부부만족도, 부모-자녀관계, 환경 통제감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이렇게 설문 내용에 따른 부모들의 특성이 예를 들어 점수화되는 경우, 그에 따른 맞춤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추천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추천 장치 200 : IPTV
201 : 셋탑박스 202 : TV
110 : 성향 문답 처리부 120 : 성향/특성 판단부
130 : 추천 리스트 생성부 140 : 리스트 출력 제어부
150 : 시청 이력 관리부 160 : 콘텐츠 재생 처리부
170 : 저장부

Claims (24)

  1. (a) 이용자가 선택한 분야에 대한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이용자로부터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해당 이용자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 이전에, (e) 이용자가 특정 분야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야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분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f) 이용자가 선택한 분야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분야에 대해 이미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이용자의 선택 분야에 대해 아직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제공 및 이용자의 답변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a) 단계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이용자의 선택 분야에 대해 이미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제공 및 이용자의 답변 입력이 완료된 경우에는 해당 설문 및 답변을 통해 산출된 성향/특성 정도에 대응되는 분야 설명 또는 도표와, 해당 성향/특성 정도에 대응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성향/특성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분야를 지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특성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분야별로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분야별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분야별 성향/특성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지정하는 분야에는, 도덕성, 협동심, 분리불안, 실용능력, 자신감, 잠재공격성, 정서불안, 산만함, 창의성, 공감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각 특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중 기 설정된 개수만큼 랜덤 함수에 의해 선택된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각 특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중 랜덤 함수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답변을 입력받은 후, 해당 답변 결과를 참조하여 그 이후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이용자의 시청 이력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모두 종합하여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1차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참조하여 최종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최종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서 선택된 추천 항목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을 고려한 재생 음성 톤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연령, 성별, 형제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기본 정보 및 답변을 종합하여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4. 이용자가 선택한 분야에 대한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이용자로부터 답변을 입력받는 성향 문답 처리부와;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종합하여 해당 이용자의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성향/특성 판단부와;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추천 리스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리스트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는 이용자가 특정 분야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야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분야 선택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선택한 분야 선택 버튼에 대응되는 분야에 대해 이미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해당 판단 결과 이용자의 선택 분야에 대해 아직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제공 및 이용자의 답변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성향 문답 처리부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해당 판단 결과 이용자의 선택 분야에 대해 이미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제공 및 이용자의 답변 입력이 완료된 경우에는 해당 설문 및 답변을 통해 산출된 성향/특성 정도에 대응되는 분야 설명 또는 도표와, 해당 성향/특성 정도에 대응되는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하여 산출된 성향/판단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성향/판단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문답 처리부는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분야를 지정 입력받은 경우 그 지정된 분야에 대응되는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고,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분야별로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에서 판단된 분야별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에 대응되는 성향/판단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분야별 성향/판단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지정하는 분야에는, 도덕성, 협동심, 분리불안, 실용능력, 자신감, 잠재공격성, 정서불안, 산만함, 창의성, 공감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문답 처리부는 각 특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중 기 설정된 개수만큼 랜덤 함수에 의해 선택된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문답 처리부는 각 특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 중 랜덤 함수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제공하여 답변을 입력받은 후, 해당 답변 결과를 참조하여 그 이후의 성향/특성 파악용 설문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저장하는 시청 이력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는 상기 시청 이력 관리부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이용자의 시청 이력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을 모두 종합하여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저장하는 시청 이력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에서 판단된 내용에 대응되는 성향/판단 점수와 기 구비된 각 콘텐츠의 성향/판단 참조 점수를 비교하여 1차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시청 이력 관리부에 의해 저장된 상기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상기 1차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 적용하여 최종 콘텐츠 추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추천 리스트 생성부에서 생성된 최종 콘텐츠 추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항목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에서 판단된 내용을 고려한 재생 음성 톤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재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특성 판단부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연령, 성별, 형제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기본 정보 및 답변을 종합하여 성향, 감정 특성, 행동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추천 장치.
KR1020190157916A 2019-07-10 2019-12-02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64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416A KR20190094292A (ko) 2019-07-10 2019-07-10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0083416 2019-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836B1 true KR102164836B1 (ko) 2020-10-13

Family

ID=676246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416A KR20190094292A (ko) 2019-07-10 2019-07-10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0157916A KR102164836B1 (ko) 2019-07-10 2019-12-02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416A KR20190094292A (ko) 2019-07-10 2019-07-10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942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101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텐덤 사용자의 성향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2343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에이아이닷엠 판매자 유형에 따른 상품 키워드 추천 방법
KR102616284B1 (ko) * 2023-02-23 2023-12-20 에스넷시스템(주) 유아동 창의력 평가 결과를 이용한 ai 기반 컨텐츠 추천방법 및 추천시스템
WO2024039220A1 (ko)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495B1 (ko) * 2021-07-09 2022-02-09 이민희 큐레이션을 통한 동영상 및 카드 뉴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939A (ko) * 2001-03-13 2002-09-19 (주)데카커뮤니케이션즈 인터넷 쇼핑 에이전트에서의 다이알로그 마이닝 기법을이용한 개인화된 구매의사결정 지원과 마케팅 정보 추출방법
KR20120077873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3950A (ko) * 2014-06-13 2015-12-24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사용자 성향을 고려한 지능형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KR20170060828A (ko) 2015-11-25 2017-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콘텐츠 접근 이력에 기반한 추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939A (ko) * 2001-03-13 2002-09-19 (주)데카커뮤니케이션즈 인터넷 쇼핑 에이전트에서의 다이알로그 마이닝 기법을이용한 개인화된 구매의사결정 지원과 마케팅 정보 추출방법
KR20120077873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3950A (ko) * 2014-06-13 2015-12-24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사용자 성향을 고려한 지능형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KR20170060828A (ko) 2015-11-25 2017-06-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콘텐츠 접근 이력에 기반한 추천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101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텐덤 사용자의 성향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610787B1 (ko) * 2020-12-28 2023-12-06 주식회사 텐덤 사용자의 성향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2343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에이아이닷엠 판매자 유형에 따른 상품 키워드 추천 방법
KR102594369B1 (ko) * 2021-06-01 2023-10-26 주식회사 에이아이닷엠 판매자 유형에 따른 상품 키워드 추천 방법
WO2024039220A1 (ko)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6284B1 (ko) * 2023-02-23 2023-12-20 에스넷시스템(주) 유아동 창의력 평가 결과를 이용한 ai 기반 컨텐츠 추천방법 및 추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292A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836B1 (ko) 콘텐츠 추천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89444B2 (en) Determining associations between media objects
US9100701B2 (en) Enhanced video systems and methods
Hassoun Tracing attentions: Toward an analysis of simultaneous media use
CN103686235B (zh) 将音频和/或图像与脸部特征和表情相关的系统和方法
US20030106058A1 (en) Media recommender which presents the user with rationale for the recommendation
US2016018295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Khoo Picturing diversity: Netflix’s inclusion strategy and the Netflix recommender algorithm (NRA)
JP200914007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9241301A (zh) 资源推荐方法及装置
JP4742366B2 (ja) 番組提示システム
CA29295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reactive responses within live or stored video, audio or textual content
KR20130050868A (ko) 텔레비전 광고 제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텔레비전 광고 제품 정보의 기록 매체
CN108140056A (zh) 媒体节目时刻指南
JP2018032252A (ja) 視聴ユーザログ蓄積システム、視聴ユーザログ蓄積サーバ、及び視聴ユーザログ蓄積方法
US88327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lized advertisement information using a set top box
US109848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lmeida et al. Content unification in iTV to enhance user experience: the UltraTV project
Wang et al. The impact of the audience's continuance intention towards the vlog: focusing on intimacy, media synchronicity and authenticity
Reisa et al. Fragmentation and audience activity on Video-on-Demand platform: Netflix and the ‘Binge-watching’
Guha Making a “Hate-Watch”: Netflix’s Indian Matchmaking and the Stickiness of “Cringe Binge TV”
Anbuhl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around Using the Music Streaming Provider Spotify-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how German Millennials use Spotify
KR102407013B1 (ko) 검색 키워드를 추천하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nns The Illusion of Control: History and Criticism of Interactive Television
Bellar Pocket Full of Jesus: Evangelical Christians' Use of Religious iPhon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