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14B1 -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 Google Patents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714B1
KR101407714B1 KR1020120077438A KR20120077438A KR101407714B1 KR 101407714 B1 KR101407714 B1 KR 101407714B1 KR 1020120077438 A KR1020120077438 A KR 1020120077438A KR 20120077438 A KR20120077438 A KR 20120077438A KR 101407714 B1 KR101407714 B1 KR 101407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bale
hydraulic pump
oil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743A (ko
Inventor
백형민
박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죽암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죽암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죽암기계
Priority to KR102012007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7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41Drives for ba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작동유 냉각을 위한 오일쿨러를 갖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는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포장 대상 베일을 지지 및 회전시키는 베일지지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일지지유닛에 지지된 베일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비닐필름을 상기 베일의 외주면에 감는 래핑암을 포함하는 베일포장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유가 저장되는 유압탱크와, 상기 유압탱크의 작동유를 펌핑하여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의 구동을 위해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공급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Bale wrapper with hydraulic pump}
본 발명은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작동유 냉각을 위한 오일쿨러를 갖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는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축산농가에서는 동절기에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기 위해 볏짚이나 사료작물을 저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볏짚이나 사료작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신선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료작물을 수확한 후 이를 베일러로 형성한 원형베일을 필름으로 포장하는 베일포장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베일포장기는 구동 방식에 따라 롤러 방식과 테이블방식으로 구분된다.
테이블방식 베일포장기는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별도의 집게와 테이블의 수직수평운동에 의해 지면에 위치한 원형베일을 턴테이블 위로 집어올려 포장필름으로 포장하는 방식으로 테이블에 올려진 베일을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롤러 및 회전 벨트가 원형베일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부프레임에 부착된 래핑암이 베일 둘레를 돌면서 포장하는 방식이다.
한편 롤러방식 베일포장기는 원주운동을 할 수 있는 암에 달린 한쌍의 롤러 위에 원형 베일을 탑재하고, 2개의 롤러의 자체 회전에 의해 베일 뭉치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필름 래핑암이 베일을 포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베일포장기는 이동을 위해 트랙터와 같은 작업차량에 연결되며, 베일 포장을 위한 롤러나 포장유닛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을 작업차량의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중 작동유의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의 발생이 빈번하고, 베일을 세우는 작동을 위해 베일기립수단을 작동시켜야 할 때에는 베일의 포장을 위해 구동하는 구동장치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고 베일기립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관련 분야의 종래 기술 중 한국 공개번호 10-2011-0097782호와, 한국 등록특허 10-107771호에 베일포장기에 관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두 선행기술모두 자체적으로 유압펌프를 포함하지 못하고, 작업차량의 유압펌프에서 유압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수단을 가지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동력 전달을 위한 유압펌프를 구비하고, 더욱이 장시간 사용에도 작동유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포장 대상 베일을 지지 및 회전시키는 베일지지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일지지유닛에 지지된 베일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비닐필름을 상기 베일의 외주면에 감는 래핑암을 포함하는 베일포장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유가 저장되는 유압탱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탱크의 작동유를 펌핑하여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의 구동을 위해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의 구동을 위해 공급된 후 리턴되는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유압탱크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제2 유압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유압탱크는 연결파이프를 통해 제2 유압탱크의 작동유가 제1 유압탱크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압펌프는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유압탱크와 연결되며, 유압펌프에서 펌핑되어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으로 공급된 작동유는 리턴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유압탱크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의 구동을 위해 공급된 후 리턴되는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오일쿨러는 상기 리턴라인과 연결되어 작동유가 유입되도록 상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된 작동유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제3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유압탱크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차량의 피티오(PTO) 동력을 통해 구동하도록 상기 작업차량에 체결브라켓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작업차량의 동력인출장치에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인출축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는 자체적으로 유압펌프 및 작동유의 냉각을 위한 오일쿨러를 포함하고 있어서, 장시간의 사용 중에도 작동유의 온도가 상승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작업차량의 유압펌프를 동시에 사용하여 여러 작업을 함께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베일기립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베일기립수단에 의해 베일이 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의 유압 회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유압펌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발췌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161)를 구비한 베일포장기(이하 '베일포장기'라 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161)를 구비한 베일포장기(100)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베일지지유닛(120)과 베일포장유닛(140), 베일을 기립시키기 위한 베일기립수단 및 상기 베일지지유닛과 베일포장유닛(140)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공급부(16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베일지지유닛(120)과 베일포장유닛(1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후방에는 트랙터와 같은 작업차량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후면에 링크연결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베일지지유닛(120)은 포장대상의 베일을 지지 및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1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회전프레임(121,122)과, 제1, 제2 회전프레임(121,122)에 각각 설치되는 보조롤러(123) 및 구동롤러(124)와, 구동롤러(124)를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구동모터(126)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롤러(123) 및 구동롤러(124)는 각각 제1, 제2 회전프레임(121,122)에 자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보조롤러(123)는 원통형이며, 외주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고, 구동롤러(124)는 외주면에 구동롤러(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마찰돌기(125)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롤러(124)와 보조롤러(123)는 롤러구동모터(126)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일지지유닛(12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베일포장유닛(140)에 의해 비닐필름이 포장된 후 비닐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필름커터(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일포장유닛(140)은 베일지지유닛(120)에 안착된 베일에 비닐필름을 포장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상단으로부터 보조롤러(123)와 구동롤러(124)에 의해 지지되는 베일의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서포트프레임(141)과, 이 서포트프레임(141)의 단부에 설치되고 암구동모터(143)가 내장된 하우징(142)과, 상기 하우징(1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핑암(146)을 포함한다.
상기 래핑암(146)은 회전중심축이 암구동모터(143)와 연결되도록 하우징(1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회전바(148)와, 회전바(148)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래핑바(149)를 구비한다. 래핑바(149)는 필름롤(145)을 장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필름롤(145)이 래핑바(14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서 비닐 필름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필름롤(145)이 회전하면서 권취되어 있는 비닐필름이 풀릴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일기립수단(150)은 포장이 완료된 베일을 보조롤러(123)와 구동롤러(124)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기립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11)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51)와, 베이스프레임(111)에 설치된 가이드파이프(154)와, 가이드파이프(154)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인출파이프(155)와, 인출파이프(155)의 단부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56)를 구비한다.
상기 액추에이터(151)는 실린더바디(152)가 베이스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인출로드(153)는 상기 인출파이프(155)와 연결되어 인출파이프(155)를 가이드파이프(154)로 인입 및 인출시킨다.
가이드파이프(154)는 인출파이프(155)가 인입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인출파이프(155)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곡률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져 있다. 인출파이프(155) 역시 가이드파이프(154)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인출파이프(155)는 가이드파이프(154)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파이프(154)의 곡률방향을 따라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56)는 포장된 베일과 접촉하며 포장된 포장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 가능한 롤러가 인출파이프(155)의 단부에 설치된다.
베일의 포장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액추에이터(151)의 인출파이프(155)가 가이드파이프(154)로부터 인출되도록 구동한다. 인출파이프(155)가 가이드파이프(154)의 곡률방향을 따라 인출되면서 인출파이프(155)의 단부 가이드롤러(156)가 베일의 일측단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베일의 타측면이 지면에 접촉하면서 기립하게 된다.
유압공급부(160)는 상기 베일지지유닛(120)과 베일포장유닛(140)을 구동시키는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유압공급부(160)는 수직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펌프(161)와, 유압탱크,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166)를 구비한다.
유압탱크는 두 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유압탱크(162)는 상기 유압펌프(161)와 제1 연결라인(171)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 작동유를 급유하거나 보충하기 위한 주입구(16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유압탱크(163)는 제1 유압탱크(162)와 연결파이프(172)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리턴필터(165)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유압탱크(163)는 제3 연결라인(174)을 통해 오일쿨러(166)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오일쿨러(166)에서 냉각된 작동유가 리턴필터(165)를 거쳐 제2 유압탱크(163)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유압탱크(163)의 작동유는 상기 연결파이프(172)를 통해 제1 유압탱크(162)로 이동하게 된다.
유압펌프(161)는 상술한 것처럼 제1 연결라인(171)에 의해 제1 유압탱크(162)의 작동유를 펌핑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펌핑된 작동유는 제2 연결라인(173)을 통해 유압펌프(161)로부터 각각의 작동기구로 전달된다. 유압펌프(161)에서 배출된 작동유는 상술한 베일포장유닛(140)의 구동모터나 베일지지유닛(120)의 구동롤러(1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등 유압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장치들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오일쿨러(166)는 구동장치로부터 배출된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며, 리턴라인(175)을 통해 오일쿨러(166)의 상측에 형성된 유입구로 작동유가 유입되고, 오일쿨러(166)에서 냉각된 작동유는 하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연결라인(174)을 거쳐 제2 유압탱크(163)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오일쿨러(166)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작동유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방열핀들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일포장기(100)의 제2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압펌프(180)가 작업차량의 후방 동력인출장치(190)에 연결되어 작업차량의 PTO 동력을 통해 작동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유압펌프(180)는 체결브라켓(181)을 통해 작업차량에 고정되고, 작업차량의 동력인출장치(190)로부터 연장된 동력인출축(182)이 유압펌프(180)를 구동시켜 작동유를 펌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압펌프(18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유압탱크(162)로부터 작동유를 펌핑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펌핑된 작동유는 롤러구동모터(126)나 암구동모터(143)와 같은 유압장치들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공급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유압펌프(161)가 작업차량의 PTO동력을 통해 작동하도록 작업차량의 동력인출부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일포장기(100)는 베일을 회전시키거나 비닐필름의 포장을 위해 래핑암(146)을 회전시키는 등의 작업을 위해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유압펌프(161)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특히 장시간 동안의 베일 포장작업 중에도 작동유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는 유압공급을 위한 유압펌프를 자체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각 구동장치들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베일포장기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구성이 간단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00;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110; 메인프레임
111; 베이스프레임 112; 수직프레임
113; 링크연결부
120; 베일지지유닛
121; 제1 회전프레임 122; 제2 회전프레임
123; 보조롤러 124; 구동롤러
125; 마찰돌기 126; 롤러구동모터
140; 베일포장유닛
141; 서포트프레임 142; 하우징
145; 필름롤 146; 래핑암
150; 베일기립수단
151; 액추에이터 154; 가이드파이프
155; 인출파이프 156; 가이드롤러
160; 유압공급부
161; 유압펌프 162,163; 제1, 제2 유압탱크
166; 오일쿨러

Claims (5)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포장 대상 베일을 지지 및 회전시키는 베일지지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일지지유닛에 지지된 베일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면서 비닐필름을 상기 베일의 외주면에 감는 래핑암을 포함하는 베일포장유닛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유가 저장되는 유압탱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탱크의 작동유를 펌핑하여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의 구동을 위해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포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의 구동을 위해 공급된 후 리턴되는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포장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유압탱크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제2 유압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유압탱크는 연결파이프를 통해 제2 유압탱크의 작동유가 제1 유압탱크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압펌프는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유압탱크와 연결되며, 유압펌프에서 펌핑되어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으로 공급된 작동유는 리턴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유압탱크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포장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부는 상기 베일지지유닛 또는 베일포장유닛의 구동을 위해 공급된 후 리턴되는 작동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쿨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오일쿨러는 상기 리턴라인과 연결되어 작동유가 유입되도록 상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된 작동유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제3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유압탱크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포장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차량의 피티오(PTO) 동력을 통해 구동하도록 상기 작업차량에 체결브라켓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작업차량의 동력인출장치에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인출축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포장기.
KR1020120077438A 2012-07-16 2012-07-16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KR10140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38A KR101407714B1 (ko) 2012-07-16 2012-07-16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38A KR101407714B1 (ko) 2012-07-16 2012-07-16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43A KR20140010743A (ko) 2014-01-27
KR101407714B1 true KR101407714B1 (ko) 2014-06-16

Family

ID=5014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438A KR101407714B1 (ko) 2012-07-16 2012-07-16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54A (ko) * 2020-01-23 2021-08-02 진원화 펌프카의 숏크리트용 에어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931B1 (ko) * 2019-02-20 2021-10-27 주식회사 라이브맥 베일 랩핑기
KR102223307B1 (ko) * 2019-10-23 2021-03-05 주식회사 명성 중형 베일러의 자동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655Y2 (ja) * 1987-04-11 1994-09-28 井関農機株式会社 収穫機等におけるオイル冷却装置
KR100582102B1 (ko) * 2005-03-02 2006-05-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원형베일래퍼
KR101009041B1 (ko) * 2010-10-13 2011-01-17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포장기
KR101158889B1 (ko) * 2011-11-18 2012-06-25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 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655Y2 (ja) * 1987-04-11 1994-09-28 井関農機株式会社 収穫機等におけるオイル冷却装置
KR100582102B1 (ko) * 2005-03-02 2006-05-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원형베일래퍼
KR101009041B1 (ko) * 2010-10-13 2011-01-17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포장기
KR101158889B1 (ko) * 2011-11-18 2012-06-25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 포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54A (ko) * 2020-01-23 2021-08-02 진원화 펌프카의 숏크리트용 에어 공급장치
KR102440414B1 (ko) * 2020-01-23 2022-09-06 진원화 펌프카의 숏크리트용 에어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43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011B2 (ja) ベールラッパーおよび複合ベーラー/ベールラッパー
KR101009041B1 (ko) 베일포장기
KR100582102B1 (ko) 원형베일래퍼
KR101407714B1 (ko) 유압펌프를 구비한 베일포장기
CN105460257B (zh) 一种悬挂式青贮圆捆裹膜机
CN104209291B (zh) 具有软管卷筒和电动泵组件的压力清洗机
KR101019749B1 (ko) 베일 포장기
NO327415B1 (no) Kombinert ballepresse/balleomvikler.
KR20090085575A (ko) 회전형 제품 어큐물레이터
CN110407004A (zh) 一种消防水带快速收卷装置
KR101418547B1 (ko) 베일 포장기
KR101158889B1 (ko) 베일 포장기
KR101130325B1 (ko) 테이블형 베일포장기
KR101761874B1 (ko) 베일 포장기를 이용한 베일 포장방법
KR101107772B1 (ko) 베일포장기의 랩 절단장치
KR101374391B1 (ko) 베일 포장장치
CN209720002U (zh) 一种防止货物甩出的缠绕包装机
GB2188024A (en) Wrapping machine
EP0242975A2 (en) Wrapping machine
KR101490557B1 (ko) 베일러용 래퍼
CN114931030A (zh) 方捆打捆包膜一体机装置
KR101079353B1 (ko) 베일포장기
CN102873043A (zh) 一种带有卷管器的高压清洗机
KR101074155B1 (ko) 테이블형 베일 포장기
US20040177597A1 (en) Bale wrapp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